KR20020078161A - A driving device for an elevator system - Google Patents

A driving device for an elevato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8161A
KR20020078161A KR1020010018168A KR20010018168A KR20020078161A KR 20020078161 A KR20020078161 A KR 20020078161A KR 1020010018168 A KR1020010018168 A KR 1020010018168A KR 20010018168 A KR20010018168 A KR 20010018168A KR 20020078161 A KR20020078161 A KR 20020078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ystem
controller
real
control operation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1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동준
윤지택
Original Assignee
(주)이엠티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엠티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이엠티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010018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8161A/en
Publication of KR20020078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161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Primary evaluation crite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PURPOSE: A driving unit of an elevator system is provided to divide the control actions of a controller and an inverter into a real-time control action and a sequential control action and perform each action independently. CONSTITUTION: A driving unit(200) of an elevator system comprises a controller(210) and a safety monitor(220). The controller performs a real-time control action of requiring a real-time process and a sequential control action of repeatedly performing a predetermined action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order together, among control actions for performing an elevator system. The controller comprises a real-time control unit(214) and a sequential control unit(212). The safety monitor monitors whether each apparatus operates normally or not, independent of the controller. The safety monitor receives power source(100) through a different path from a path for supplying to the controller. The space for interface between apparatuses and the burden of process for communicating mutually are reduced by the constitution following the properties of the actions.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동장치{A driving device for an elevator system}A driving device for an 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운행하는 데에 요구되는 각종 제어동작들을 그 각각의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수행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 system of an elevato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e system of an elevator system that performs various control operations required for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 중에는 엘리베이터 카 또는 건물내 각 층의 승강장으로부터의 콜(call)에 응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현재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제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 또는 승강장에 구비된 표시기의 제어, 도어 구동기의 제어, 군관리 제어, 원격감시를 위한 감시반과의 통신제어 그리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장치의 감시 등과 같은 다양한 제어동작이 수행된다.Dur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system, the position control of the elevator car which moves the elevator car from its current position to another position in response to a call from the elevator car or the platform of each floor in the building, Various control operations such as control, door driver control, military management control, communication control with a monitoring panel for remote monitoring, and monitoring of various devices constituting the elevator system are performed.

상기와 같은 다양한 제어동작들 중에서, 대표적인 제어동작으로서 상기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제어동작을 수행하는 통상적인 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 중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로서,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시브(108)에 감겨진 로프(116)의 일측에 고정되어 운행되는 엘리베이터 카(114)와, 상기 로프(116)의 타측에 고정된 균형추(112)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114)의 운행을 위해 상기 시브(108)를 구동하는 전동기(106)와, 상기 전동기(106)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검출기(110)와, 상기 전동기(106)에 전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그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인버터(102)와, 상기 인버터(102)에 명령을 인가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114)의 위치를 제어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요구되는 다양한 엘리베이터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기(104)를 구비한다. 상기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구비된 제어기(104)와 인버터(102)는 전원(100)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음으로써, 둘 중의 어느 하나에 이상 상태가 발생한 경우에 엘리베이터 카(114)의 낙하 등의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안전기능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Among the various control operations described above, a typical method of performing the position control operation of the above described elevator car as a representative control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parts of a conventional elevator system. The conventional elevator system includes an elevator car 114 fixedly operated at one side of a rope 116 wound on a sheave 108, and A counterweight 112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pe 116, an electric motor 106 for driving the sheave 108 for driving the elevator car 114, and a speed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electric motor 106 An inverter 102 for supplying power to the detector 110, the electric motor 106 and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thereof, and applying a command to the inverter 102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elevator car 114. And at the same time it is provided with a controller 104 for perform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various elevator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The controller 104 and the inverter 102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system are each independently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wer supply 100, so that when an abnormal state occurs in any one of them, the elevator car 114 falls. It is also configured to perform safety functions to prevent accidents.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카(114) 또는 승강장으로부터 콜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어기(104)가 상기 엘리베이터 카(114)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의 정보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카(114)가 이동해야 할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된 거리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소정의 속도 패턴을 생성하여, 상기 인버터(102)에 속도명령을 공급한다. 상기 인버터(102)는 속도명령에 따라 상기 전동기(106)를 구동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114)를 목적지까지 이동시킨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levator system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a call is made from the elevator car 114 or the platform, the controller 104 is the elevator car from the information of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destination of the elevator car 114 The 114 calculates a distance to be moved, generates a predetermined speed pattern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and supplies a speed command to the inverter 102. The inverter 102 drives the electric motor 106 according to the speed command to move the elevator car 114 to the destination.

즉,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엘리베이터 카(114)의 위치제어동작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114)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의 인식, 이동거리의 연산, 속도 패턴의 생성 및 전동기의 속도제어 등 다양한 제어동작들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제어동작들 중에서 이동거리의 연산, 속도 패턴의 생성 및 전동기의 속도제어와 같은 제어동작들은 매우 복잡한 알고리즘에 의한 연산이 실시간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의 제어동작들 중, 상기 엘리베이터 카(114)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의 인식을 비롯한 여타의 제어동작들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동작들로서, 일련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이렇게,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다양한 제어동작들은, 크게 실시간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제어동작과,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제어동작으로 나눌 수 있으며, 편의상 이하에서는 전자를 "실시간 제어동작"이라 하고, 후자를 "순차제어동작"이라 부르기로 한다.That is, the position control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114 generally performed by the elevator system includes recognition of the current position and destination of the elevator car 114, calculation of a moving distance, generation of a speed pattern, speed control of an electric motor, and the like. It consists of various control operations. Among the control operation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operations such as the calculation of the moving distance, the generation of the speed pattern, and the speed control of the motor should be performed in real time by a very complicated algorithm. Meanwhile, among the control operations described above, other control operations including recognition of the current position and destination of the elevator car 114 are relatively simple operations, and are sequentially performed in a sequence of orders. As such, various control operations performed by a general elevator system may be divided into control operations to be performed in real time and control operations sequentially perform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former is referred to as a "real time control operation", and the latter This is called "sequential control operation".

상기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구비된 제어기(104)와 인버터(102)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실시간 제어동작 및 순차제어동작은 상호간에 구분없이제어기(104) 또는 인버터(102)에 의하여 수행되었는데, 상기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114)의 위치제어동작을 예로 들어 이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의 실시간 제어동작 중 전동기(106)의 속도제어동작은 상기 인버터(102)에서 수행되도록 구성되며, 기타의 실시간 제어동작 및 순차제어동작은 모두 상기 제어기(104)에서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상기 실시간 제어기능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구성된 것은, 속도제어기능만을 갖는 인버터를 사용하는 것이 비용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According to the controller 104 and the inverter 102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system, the real time control operation and the sequential control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wer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04 or the inverter 102 without being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 position control operation of a conventional elevator car 11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is example. That i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levator system of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speed control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106 of the real-time control operation is configured to be performed in the inverter 102, and other real-time control operation and The sequential control operations are all configured to be performed in the controller 104.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system, the real-time control function is configured to be performed by two different devices because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to use an inverter having only a speed control function.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상기 제어기(104)에서 속도 패턴을 생성하는 방법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제어기에서 속도 패턴을 실시간으로 연산하여 생성하는 방법으로, 생성된 속도 패턴에 따른 속도명령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상기 인버터(102)에 인가하고, 상기 속도명령에 따라 상기 인버터(102)가 전동기(106)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현재 주로 고급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The conventional elevator system as described above may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a method of generating a speed pattern in the controller 104. First, in a method of calculating and generating a speed pattern in real time by a controller, a speed command according to the generated speed pattern is applied to the inverter 102 in an analog manner, and the inverter 102 is driven by an electric motor according to the speed comm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peed of 106) may be mentioned. This method is currently used mainly in high-end elevator systems.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카(114)의 운전이 매끄럽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속도 패턴을 실시간으로 연산하기 위하여 고성능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필요하므로, 그 비용이 증가하고, 상기 제어기(104)와 인버터(102) 사이의 통신이 아날로그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이즈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levator system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114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riding comfort, as described above, a high performance microprocessor is required to calculate the speed pattern in real time. In other words, the cost is increased,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ler 104 and the inverter 102 is performed in an analog manner, which is disadvantageous in nois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속도 패턴을 실시간으로 연산하는대신에 미리 소정의 속도 패턴을 입력하여 저장시켜 두고, 이들을 단순히 호출하여 그에 따른 속도명령을 인가하는 방식도 제안된 바 있다. 즉, 먼저 다단계의 속도 패턴을 상기 제어기(104)에 저장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114)의 이동거리에 적합한 속도 패턴을 선별한 다음, 그에 따른 속도데이터를 디지털화하여 상기 인버터(102)에 인가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종래의 다른 방식은, 상기 제어기(104)와 상기 인버터(102) 사이의 통신이 디지털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이즈에 강하고, 상기 제어기(104)의 처리부담이 감소하며, 비교적 저가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stead of calculating the speed pattern in real time, a method of inputting and storing predetermined speed patterns in advance and simply calling them and applying a speed command accordingly has also been proposed. That is, first, the multi-step speed pattern is stored in the controller 104, the speed pattern suitable for the moving distance of the elevator car 114 is selected, and then the speed data is digitized and applied to the inverter 102. That's the way. This conventional alternative method is noise-resistant becaus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ler 104 and the inverter 102 is made digital, which reduces the processing burden of the controller 104, and can be implemented at a relatively low cost. It has an advantag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른 방식에 의하는 경우에는 사용되는 속도 패턴이 구간 선형 함수(piecewise linear function)이기 때문에, 그에 따른 가속도 패턴이 불연속적이 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카(114)의 정지위치 부근에서는 소위 '크립(creep) 운전'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매끄럽지 않고, 승차감이 저하되며, 운전효율이 나쁘다는 단점을 갖는다.However,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metho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peed pattern used is a piecewise linear function, the acceleration pattern is discontinuous, and the speed pattern is discontinuous. It is inevitable that so-called 'creep operation' occurs.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is not smooth, the riding comfort is lowered, and the driving efficiency is bad.

나아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들은 상기 제어기(104)가 상기 엘리베이터 카(114)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시해야 하기 때문에, 그 처리부담이 크고, 상기 속도검출기(110)로부터의 출력이 상기 제어기(104)와 상기 인버터(102) 모두에 입력되어야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Furthermore, such conventional schemes require a large amount of processing burden because the controller 104 must monitor the position of the elevator car 114 in real time, and the output from the speed detector 11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input to both 104 and the inverter 102.

그외에도, 상기 제어기(104)와 상기 인버터(102)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공간과 통신의 부담이 증가하는 등, 전반적으로 제어시스템의 구성이 비효율적이고, 그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system is inefficient and the cost thereof increases, such as an increase in the space and communication burden for the interface of the controller 104 and the inverter 102.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구비된 제어기와 인버터가 수행하던 제어동작을 그 특성에 따라 실시간 제어동작 및 순차제어동작으로 구분하고, 이들 각각의 동작을 상호간에 독립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된 처리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vide a control operation performed by a controller and an inverter provided in a conventional elevator system into a real time control operation and a sequential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ve system for an elevator system having a processing device configured to independently perform each of these operations.

도 1은 통상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parts of a conventional elevator system;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동장치와 기타 주요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drive system and other main parts of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동장치와 기타 주요부분의 일부를 도시한 상세블록도.FIG.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a portion of the drive system and other main parts of the elevator system of FIG.

도 4는 도 2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동장치와 기타 주요부분의 다른 부분을 도시한 상세블록도.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part of the drive system and other main parts of the elevator system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의 기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i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전원200 : 구동장치100: power supply 200: drive device

210 : 제어기220 : 안전감시기210: controller 220: safety monitor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두 층 이상의 층을 구비한 건축물에 설비되어 상기 층간을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를 구동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장치들과 접속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을 위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제어동작 중 실시간 처리가 요구되는 실시간 제어동작 및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순차제어동작을 통합하여 수행하는 제어기; 및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장치들과 접속되어 상기 제어기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각종 장치들의 정상동작여부를 감시하되, 상기 제어기에 공급되는 전원공급경로와는 별도의 경로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안전감시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동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ve system of an elevator system for driving an elevator car that is installed in a building having at least two or more floors, the various devices constituting the elevator system and A controller which is connected to perform a control operation integrating a real time control operation requiring real time processing and a sequential control operation repeatedly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according to a preset order among control operations to be performed for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system; And connected to the various devices constituting the elevator system to monitor the normal operation of the various devices independently of the controller, the safety is supplied power through a path separate from the power supply path supplied to the controller It provides a drive device of an elevator system including a monit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기및 구동장치의 구성과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controller and drive of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을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기 및 구동장치와 기타 주요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주요 부분 중 도 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것들은 도 1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표시하였다.First, referring to FIG. 2,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ler and a driving device and other main parts of an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elevator system shown in FIG. 2, the same ones as shown in FIG. 1 are indicat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used in FIG. 1.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동장치(200)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장치들과 접속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을 위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제어동작 중 실시간 처리가 요구되는 실시간 제어동작 및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순차제어동작을 통합하여 수행하는 제어기(210)와,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장치들과 접속되어 상기 제어기(210)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각종 장치들의 정상동작여부를 감시하되, 상기 제어기(210)에 공급되는 전원공급경로와는 별도의 경로를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안전감시기(22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drive device 200 of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various devices constituting the elevator system, real-time processing of the real-time processing of the control operation to be performed for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system is required. The controller 210 performs the control operation and the sequential control operation of repeatedly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a preset order, and is connected to various devices constituting the elevator system and independently of the controller 210. While monitor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various devices, it includes a safety monitor 220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a separate path from the power supply path supplied to the controller 210.

예컨대, 상기 안전감시기(220)는 차단기(No Fuse Braker ; NFB)(29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반면, 상기 제어기(210)는 입력측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 MC)(26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For example, the safety monitor 220 is powered from a No Fuse Braker (NFB) 290, while the controller 210 is powered from an input magnetic contactor (MC) 260. .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기(210)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구비된 제어기(104)와 인버터(102)에 의하여 분담되어 수행되었던 제어동작들이 통합되어 처리되도록 구현한 것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에 요구되는 각종 처리동작 중 실시간 제어동작을 전담하여 수행하는 실시간제어부(214)와, 기타 일련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순차제어동작을 전담하여 수행하는 순차제어부(2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210)에 포함된 상기 실시간 제어부(214) 및 순차제어부(212)는, 실시간 제어동작 및 순차제어동작을 상호간에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물리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구별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210 is implemented so that the control operations that wer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04 and the inverter 102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system are integrated and processed. The real-time control unit 214 performs a dedicated real-time control operation among various processing operations required for the control of the elevator system, and a sequential control unit 212 dedicated to perform a sequential control operation sequentially performed according to a series of other order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real-time control unit 214 and the sequential control unit 212 included in the controller 210 are sufficient to perform a real-time control operation and a sequential control operatio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are physically or logically distinguished hardware or software. It can be implemented by.

나아가, 상기 제어기(210)에는, 상기 실시간 제어동작과 순차제어동작을 최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두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간제어부(214)와 상기 순차제어부(212)가 각각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Furthermore, in the controller 210, the real-time control unit 214 and the sequential control unit 212 are configured using two microprocessors that operate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so as to optimally perform the real-time control operation and the sequential control opera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each be implemented.

한편, 상기 안전감시기(220)는,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한 운행을 위하여 그에 포함되는 각종 장치들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기(210) 및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에 관여하는 소정의 장치들과 접속되어 이들의 정상동작여부를 감시한다.Meanwhile, the safety monitor 220 monitors the state of various devices included therein for the safe operation of the elevator system,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10 and predetermined devices involved in the safety of the elevator system. To monitor their normal operation.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추가로 참조하면서, 상기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동장치(200)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기 및 구동장치와 기타 주요부분의 일부를 도시한 상세블록도이며, 도 4는 도 2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기 및 구동장치와 기타 주요부분의 다른 부분을 도시한 상세블록도이다.3 and 4, the drive device 200 of the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G.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controller and drive unit and other main parts of the elevator system of FIG. 2, and FIG. 4 shows another part of the controller and drive unit and other main parts of the elevator system of FIG. Detailed block diagram.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순차제어부(212)는,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을 위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각종 제어동작 중 상기한 순차제어동작을 수행하기위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측 전자접촉기(270), 안전스위치(280), 조속기(250), 브레이크(232), 카 상부 제어기(310), 도어 구동기(320), 엘리베이터 카(114)의 버튼/표시기(330), 승강장의 버튼/표시기(340) 등에 접속되어 상기 장치들의 제어를 수행한다.First, referring to FIG. 3, the sequential control unit 212 is for performing the sequential control operation among various control operations to be performed for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system. As shown, the output side magnetic contactor ( 270, safety switch 280, governor 250, brake 232, car upper controller 310, door driver 320, button / indicator 330 of the elevator car 114, button / indicator of the platform 340 and the like to control the devices.

다음으로, 상기 실시간 제어부(214)는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을 위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각종 제어동작 중 상기한 실시간 제어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검출기(332), 속도검출기(234), 위치검출기(380) 등에 접속되어 이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전력변환기(240)에 접속되어 그 동작을 제어한다.Next, the real-time control unit 214 is to perform the real-time control operation of the various control operations to be performed for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system, as shown, the current detector 332, the speed detector 234 )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detector 380 and the like to receive signals from them, and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verter 240 to control its operation.

상기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동장치(200)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순차제어부(212)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114)의 버튼/표시기(330)와 승강장의 버튼/표시기(340)의 상태를 감시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카(114) 또는 승강장으로부터 콜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또는 승강장의 표시기(330 또는 340)에 콜 표시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순차제어부(212)는 상기 실시간 제어부(214)와도 접속되어 그에게 상기 엘리베이터 카(114)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 등의 정보를 전송한다.The driving device 200 of the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position control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The sequential controller 212 monitors the state of the button / indicator 330 of the elevator car 114 and the button / indicator 340 of the boarding point, and when a call occurs from the elevator car 114 or the boarding point, The call ind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indicator 330 or 340 of the elevator car or the platform. In addition, the sequential control unit 212 is also connected to the real-time control unit 214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such as the current position and destination of the elevator car 114 to him.

상기 실시간 제어부(214)는, 상기 순차제어부(212)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위치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실시간 제어부(214)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114)가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해야 할 거리를 산출하고, 속도 패턴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생성된 속도 패턴에 따라 전동기(230)를구동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력변환기(240)에 송신한다. 상기 전력변환기(240)는 3상 교류의 전압과 주파수를 변환하는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3상 브리지 다이오드와 인버터, 또는 컨버터와 인버터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전력변환기(240)에 송신되는 제어신호는 상기 전력변환기(240)를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구동신호이다.The real time control unit 214 receive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quential control unit 212 and performs a position control operation in response thereto. That is, the real-time control unit 214 calculates the distance that the elevator car 114 must move from the current position to the destination, and generates a speed pattern. Next,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motor 230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generated speed pattern and transmitted to the power converter 240. The power converter 240 is a device for converting the voltage and frequency of the three-phase alternating current, and is typically composed of a three-phase bridge diode and an inverter, or a converter and an inverter. In this case,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o the power converter 240 is a gate driving signal of the switching element constituting the power converter 240.

상기 실시간 제어부(214)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운행되는 동안 상기 전동기(230)의 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소정의 전류검출기(332)와 속도검출기(234)로부터 상기 전동기(230)의 속도값과 전류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실시간 제어부(214)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114)가 목적지에 도달함에 따라, 소정의 위치검출기(380)로부터의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114)가 미리 설정된 정지위치에 정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카(114)가 정지한 다음에는, 상기 순차제어부(212)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114)가 정지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순차제어부(212)는 이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의 도어구동기(320)에 신호를 전송하여 도어를 개폐한다.The real-time control unit 214 is a speed value and current of the electric motor 230 from a predetermined current detector 332 and the speed detector 234 to precisely control the speed of the electric motor 230 while the elevator system is running. Receive a value. In addition, the real-time control unit 214 receives the position signal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detector 380 as the elevator car 114 reaches the destination, and the elevator car 114 stops at a preset stop position. After the elevator car 114 stop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elevator car 114 is stopped is transmitted to the sequential control unit 212. The sequential control unit 212 transmits a signal to a predetermined door driver 320 in response to this signal to open and close the door.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간 제어부(214)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114)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위치제어동작 중 실시간 연산 및 처리가 필요한 실시간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즉, 엘리베이터 카(114)의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속도 패턴을 생성하며, 상기 전류검출기(332), 상기 속도검출기(234) 및 상기 위치검출기(38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력변환기(240)를 구동하여 전동기의 속도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순차제어부(212)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실시간제어부(214)의 주요 기능은 복잡한 연산 및 처리를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것이므로, 상기 실시간 제어부(214)는 복잡한 연산 및 처리를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예컨대, 32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채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real-time control unit 214 performs a real-time control operation that requires real-time calculation and processing of the position control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elevator car 114, that is,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car 114 Calculate a distance, generate a speed pattern, receive signals from the current detector 332, the speed detector 234, and the position detector 380, and drive the power converter 240 to control the speed of the motor. Do this. In addition, communication with the sequential control unit 212 is performed. Since the main function of the real-time control unit 214 is to perform a complex operation and processing in real time, the real-time control unit 214 is a microprocessor (for example, 32-bit micro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a complex operation and processing at high speed It is preferable to employ and implement.

한편, 상기 순차제어부(212)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제어동작 중에서 상기한 실시간 제어동작 이외에, 상기 실시간 제어부(214)로 위치제어정보를 공급하는 등의 순차제어동작만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순차제어부(212)는, 상기 예로 든 위치제어동작 이외에도,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을 위하여 요구되는 각종 순차제어동작, 즉 상기 실시간 제어부(114)와의 통신, 상기 엘리베이터 카 또는 승강장의 버튼/표시기(330, 340)와의 통신, 도어 구동기(320)의 통신 등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quential control unit 212 performs only the sequential control operation such as supplying the position control information to the real-time control unit 214, in addition to the real-time control operation of the position control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Further, the sequential control unit 212,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position control operation, various sequential control operation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system, that is, communication with the real-time control unit 114, button / of the elevator car or platform Communication with the indicators 330 and 340 and communication with the door driver 320 are performed.

상기의 동작들 이외에도 상기 순차제어부(212)가 수행하는 순차제어동작의 예를 들면, 상기 안전감시기(220)와의 통신, 엘리베이터 카 상부 제어기(310)와의 통신, 군관리 제어기(360)와의 통신, 원격감시기능을 위한 감시반(350)과의 통신 등의 각종 통신 동작과, 각종 안전스위치(280), 조속기(250), 브레이크(232), 출력측 전자접촉기(270) 등의 감시 및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안전스위치(280)로서는, 도어 스위치, 리미트 스위치 및 소방 스위치 등의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 및 고장과 관련된 각종 스위치가 포함된다.In addition to the above operations, for example, the sequential control operation performed by the sequential control unit 212, communication with the safety monitor 220, communication with the elevator car upper controller 310, communication with the military management controller 360, Performs various communication operations such as communication with the monitoring panel 350 for the remote monitoring function, and monitors and controls the various safety switches 280, the governor 250, the brake 232, the output side magnetic contactor 270, and the like. do. The safety switch 280 includes various switches related to safety and failure of the elevator system such as door switches, limit switches, and firefighting switches.

상기한 바와 같이 순차제어부(212)는, 각종 통신 동작 및 신호 또는 데이터의 입출력 처리 동작 등 상기 실시간 제어부(214)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단순한 연산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의 각종 통신 동작은, 예컨대 직렬통신방식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순차제어부(212)는 직렬통신기능 및 다양한 입출력 기능을 구비한 16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quential control unit 212 sequentially performs relatively simple operations in a predetermined order as compared with the real time control unit 214 such as various communication operations and input / output processing operations of signals or data.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arious communication operations can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serial communication method, the sequential control unit 212 is a 16-bit microcomputer having a seri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various input / output functions. It can be implemented using a processor.

상기 순차제어부(212)와 상기 실시간 제어부(214) 상호간에 송수신되는 정보로서는, 예컨대 상기 엘리베이터 카(114)의 운전상태, 시스템의 특정 부분 또는 전반적인 이상발생여부 등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을 위하여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된다.A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sequential control unit 212 and the real-time control unit 214, for example, various operation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system, such as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vator car 114, a specific part of the system or whether or not an overall abnormality occurs. Information is included.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안전감시기(220)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안전감시기(220)는,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한 운행을 위하여 그에 포함되는 각종 장치들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에 관여하는 소정의 장치들과 접속되어 이들의 정상동작여부를 감시하며, 상기 제어기(210)의 정상동작여부도 감시한다. 또한, 상기 안전감시기(2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기(210)와는 별도의 경로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상기 제어기(210)에 비상사태가 발생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반적인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역으로, 상기 안전감시기(220)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기(210)가 이를 감지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을 보장하며, 관리자에게 조치를 취하게 할 수 있다.Nex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afety monitor 2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The safety monitor 220 monitors the status of various devices included therein for safe operation of the elevator system, and is connected to predetermined devices that are involved in the safety of the elevator system to monitor their normal operation. The controller 210 also monitors normal operation. In addition, the safety monitor 220,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power is supplied through a separate path from the controller 210, even if an emergency occurs in the controller 210, the overall safety of the elevator system I can guarantee it. Conversely,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safety monitor 220, the controller 210 detects this to ensure the safety of the elevator system, and may cause the manager to take action.

예를 들어, 상기 안전감시기(220)는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기동시에 차단기(290)가 온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안전스위치(280), 상기 조속기(250), 상기 브레이크(232) 등의 정상동작여부를 점검하고, 이들의 상태가 정상이면 입력측전자접촉기(260)를 닫음으로써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이 진행중인 동안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장치들의 상태를 감시하고, 이들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입력측 전자접촉기(260) 또는 출력측 전자접촉기(270)를 차단하여 시스템에 전원공급을 중단한다.For example, the safety monitor 220 is a normal operation of the safety switch 280, the governor 250, the brake 232, etc. when the breaker 290 is turned on when the elevator system is activated and power is applied. If the status is normal, the system supplies power to the system by closing the input side magnetic contactor 260. On the other hand, while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system is in progress, and monitors the state of the various devices constituting the elevator system, if the abnormality occurs in the input side magnetic contactor 260 or output side magnetic contactor 270 to supply power to the system Abort.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안전감시기(220)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반적인 상태를 감시하는 것이므로 수행하여야 할 연산은 단순한 것인 반면에, 다양한 장치들과의 다양한 입출력 신호를 처리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전감시기(220)는 다양한 입출력의 처리기능을 가지고 있는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afety monitor 220 is to monitor the overall state of the elevator system, while the operation to be performed is simple, while processing the various input and output signals with various devices. Therefor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monitor 220 may be implemented using an 8-bit microprocessor having a processing function of various input and output.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기 및 구동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ler, the drive device and the method of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발명에 의하면, 그 수행되는 동작의 특성에 따라 통합형으로 구성됨으로써,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장치들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공간 및 상호간의 통신을 위한 처리작업의 부담이 감소된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integrated ty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to be performed, the space for the interface between the devices and the processing burden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each other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as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간 제어부(214)와 순차제어부(212)가 구분된 제어기(21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실시간 제어부(214)는 엘리베이터 카(114)의 위치제어와 같은 실시간 제어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순차제어부(212)는 순차제어동작만을 수행하도록 각각의 기능에 적합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동작의 수행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성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l-time control unit 214 and the sequential control unit 212 is divided into a controller 210, the real-time control unit 214 performs a real-time control operation such as position control of the elevator car 114 And since the sequential control unit 212 can distinguish and use the microprocessor suitable for each function to perform only the sequential control operation, not only can increase the execution efficiency of the control operation, but also reduce the configuration cost thereof. have.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안전감시기(220)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기(210)와 안전감시기(220)가 상호간에 정상동작여부를 감시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한 쪽에서 고장이나 오류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한 경우에도 전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더우기, 안전스위치(280), 조속기(250), 브레이크(232) 등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과 관련된 각종 장치들의 상태를 상기 제어기(210)와 안전감시기(220)가 이중으로 감시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반적인 안전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roller 210 and the safety monitor 220 can monitor whether the normal operation between each other, provided with a separate safety monitor 220, any one of the fault or error, etc. Even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e safety of the entire elevator system can be guaranteed. Furthermore, the controller 210 and the safety monitor 220 monitor the state of various devices related to the safety of the elevator system, such as the safety switch 280, the governor 250, the brake 232, and the overall safety of the elevator system. Can enhance the function.

Claims (5)

적어도 두 층 이상의 층을 구비한 건축물에 설비되어 상기 층간을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를 구동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동장치에 있어서,In the drive system of the elevator system for driving the elevator car which is installed in a building having at least two or more floors to move between the floors,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장치들과 접속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을 위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제어동작 중 실시간 처리가 요구되는 실시간 제어동작 및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순차제어동작을 통합하여 수행하는 제어기; 및It is connected to various devices constituting the elevator system of the control operation to be performed for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system real-time control operation requiring real-time processing and sequential control operation to repeatedly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in a predetermined order A controller that performs integration; And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장치들과 접속되어 상기 제어기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각종 장치들의 정상동작여부를 감시하되, 상기 제어기에 공급되는 전원공급경로와는 별도의 경로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안전감시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동장치.Is connected to the various devices constituting the elevator system to monitor the normal operation of the various devices independently of the controller, the safety monitor receiving power through a path separate from the power supply path supplied to the controller Driving device of the elevator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기는,The controller,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에 요구되는 각종 처리동작 중 실시간 제어동작을 전담하여 수행하는 실시간제어부; 및A real time control unit configured to perform a dedicated real time control operation among various processing operations required for the control of the elevator system; And 일련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순차제어동작을 전담하여 수행하는 순차제어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동장치.An elevator system driving apparatus including a sequential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 sequential control operation that is performed sequentially according to a series of order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기는,The controller, 상기 실시간 제어동작과 순차제어동작을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두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구현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동장치.An apparatus for driving an elevator system implemented using two microprocessors that independently perform the real-time control operation and the sequential control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전감시기는,The safety monitor, 상기 제어기의 정상동작여부도 감시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동장치.Driving device of the elevator system for monitor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기는,The controller, 상기 안전감지기의 정상동작여부도 감시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동장치.Driving device of the elevator system for monitor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safety detector.
KR1020010018168A 2001-04-06 2001-04-06 A driving device for an elevator system KR200200781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168A KR20020078161A (en) 2001-04-06 2001-04-06 A driving device for an elevato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168A KR20020078161A (en) 2001-04-06 2001-04-06 A driving device for an elevato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161A true KR20020078161A (en) 2002-10-18

Family

ID=2770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168A KR20020078161A (en) 2001-04-06 2001-04-06 A driving device for an elevato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8161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551A (en) * 1989-11-21 1991-06-28 시키모리야 Elevator control
KR970061760A (en) * 1996-02-22 1997-09-12 이종수 Emergency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elevator
KR970065395A (en) * 1996-03-30 1997-10-13 이종수 Control device of hydraulic elevator
KR970069855A (en) * 1996-04-02 1997-11-07 이종수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scue Operation of Elev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551A (en) * 1989-11-21 1991-06-28 시키모리야 Elevator control
KR970061760A (en) * 1996-02-22 1997-09-12 이종수 Emergency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elevator
KR970065395A (en) * 1996-03-30 1997-10-13 이종수 Control device of hydraulic elevator
KR970069855A (en) * 1996-04-02 1997-11-07 이종수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scue Operation of Elev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3502B1 (en) Elevator with a semiconductor switch for brake control
EP3322660B1 (en) Elevator control system
EP1836118B1 (en) Elevator including elevator rescue system
JP6325575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80566B1 (en) Elevator system
KR101338843B1 (en) Elevator device
JP5360225B2 (en) Elevator equipment
US5780788A (en) Special emergency service control arrangement for elevator car
JP5265009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08156071A (en) Control device of elevator
KR20120042991A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CN109153538B (en) Elevator system
KR20020078161A (en) A driving device for an elevator system
JP2002167135A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H05155553A (en) Velocity monitoring device for elevator
JP3669761B2 (en) Elevator operation device
RU2328438C2 (en) Hoist and method of saving operation incorportated in hoisting-and-transport equipment (versions)
WO2022118378A1 (en) Elevator car overspeed monitoring device and elevator car overspeed monitoring system
JP4657424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KR100491224B1 (en) Apparatus for braking elevator
JPS6351954B2 (en)
KR200290749Y1 (en) Apparatus for braking elevator
JPH02249883A (en) Speed controller for elevator
CN117735358A (en) Elevator control method and device, elevator controller, elevator safety system and elevator
JPH0659984B2 (en) Elevator speed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