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4381A -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 - Google Patents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4381A
KR20020074381A KR1020020005146A KR20020005146A KR20020074381A KR 20020074381 A KR20020074381 A KR 20020074381A KR 1020020005146 A KR1020020005146 A KR 1020020005146A KR 20020005146 A KR20020005146 A KR 20020005146A KR 20020074381 A KR20020074381 A KR 20020074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ortion
nonlinear
signal
distortion component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5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6500B1 (ko
Inventor
나가사까히로유끼
하루야마신이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79533A external-priority patent/JP455030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79532A external-priority patent/JP4550302B2/ja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20074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366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undesirable properties of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modulator and the demodulator
    • H04L27/367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undesirable properties of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modulator and the demodulator using predistortion
    • H04L27/368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undesirable properties of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modulator and the demodulator using predistortion adaptive predistor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4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 H03F1/3294Acting on the real and imaginary components of the input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 송신기 등에서 이용되는 직교 변조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광대역인 변조신호의 왜곡 보상을 행할 수 있는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를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비선형 고출력 증폭하는 송신기에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 시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방법으로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한 변조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성분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비선형 왜곡 성분의 직교 복조 직전에 상기 추출된 비선형 왜곡성분 신호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의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 신호의 각 주파수 신호마다 위상 지연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위상 특성을 보정하는 과정과, 상기 보정된 왜곡성분을 기저대역 영역으로 직교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직교 복조되어 생성되는 기저대역 영역의 왜곡성분의 역위상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비선형 증폭을 수행하는 모든 장치에 적용한다.

Description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COMPENSATING METHOD AND CIRCUIT OF NON-LINEAR DISTORTION}
본 발명은 무선 송신기 등에서 이용되는 직교 변조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고전력 증폭할 때에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직교 변조 회로에서는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상기 변조 신호를 고전력 증폭한다. 이때, 상기 고전력 증폭하는 변조 신호의 전력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비선형 특성을 갖는 증폭을 수행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증폭기 특성에서 선형 특성을 가지는 증폭 영역과 비선형 특성을 가지는 증폭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고전력 증폭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비선형 특성의 영역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비선형 특성의 영역에서 증폭이 이루어지면 증폭한 변조 신호는 비선형 왜곡이 발생한다. 따라서 입출력 특성을 선형화 하기 위해서는 상기 비선형 왜곡이 발생한 신호의 왜곡 보상을 수행해야만 한다. 이러한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프리디스토션(predistortion) 방식의 비선형 왜곡 보상방식이 있다.
그러면 도 8을 참조하여 프리디스토션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기저대역 신호(I, Q)는 왜곡 보상 연산부(1)를 통하여 제1 D/A 컨버터(2)와 제2 D/A 컨버터(3)로 입력된다. 상기 제1 및 제2 D/A 컨버터(2, 3)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직교 변조기(4)로 출력한다. 직교 변조기(4)는 입력된 기저대역 신호(I, Q)를 직교 변조하여 고전력 증폭기(HPA)(5)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고전력 증폭기(5)는 직교 변조되어 입력된 아나로그 신호를 고전력 증폭하여 출력한다.
보상 데이터 테이블(7)은 보상 데이터를 테이블화 하여 저장한다. 상기 보상 데이터 테이블(7)에 저장된 데이터는 고전력 증폭기(5)에서 증폭 시의 비선형 특성을 미리 측정하고, 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가 된다. 그리고 전력계산기(6)는 기저대역 신호(I, Q)의 전력을 계산하여, 얻어진 전력을 보상 데이터 테이블(7)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보상 데이터 테이블(7)은 기저대역 신호(I,Q)의 전력에 따라 그 테이블을 참조하고 상기 전력에 대응하는 보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왜곡 보상 연산부(1)로 출력한다.
이를 통해 왜곡 보상 연산부(1)는 입력되는 직교 변조하기 전의 기저대역 신호(I, Q)에 고전력 증폭기(4)에서 발생할 비선형 왜곡을 소거시키는 역특성의 왜곡을 미리 가한다. 그리고 상기 비선형 왜곡을 소거하기 위한 역특성의 왜곡 성분이 포함된 신호를 제1 및 제2 D/A 컨버터(2, 3)로 출력한다. 따라서 고전력 증폭기(5)에서 고전력 증폭된 변조신호에는 비선형 왜곡이 포함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프리디스토션 방식의 비선형 왜곡 보상방식에서는, 기저대역신호의 전력에 따라 그 보상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하는 것다. 따라서 고전력 증폭기(5)의 특성의 편차나 온도 변화 등이 고려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한 고전력 증폭기(5)의 특성 편차와 온도 변화 등에 의해 회로 전체의 성능이 저하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자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전력 증폭기(5)의 출력을 방향성 결합기(8)에서 분기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성 결합기(8)에서 상기 분기된 신호는 직교 복조기(9)로 입력되며, 상기 직교 복조기(9)에서 직교 복조한 후 보상 데이터 연산부(10)로 피드백 되는 방식의 회로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회로의 보상 데이터 연산부(10)는 상기 피드백 정보에 따른 계수를 내장된 보상 데이터 테이블(도 9에 보상 데이터 테이블을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며, 상기 보상 데이터 테이블은 전술한 도 8의 보상 데이터 테이블(7)과 동일함)의 데이터에 승산하여 보정한다. 그러면 고전력 증폭기(5)의 특성의 편차나 온도변화 등에 관계없이 정밀도가 높은 보상 데이터를 왜곡 보상 연산부(1)로 출력한다. 이러한 회로를 통해 전술한 문제점으로 발생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모든 회로가 의사적인 비선형 왜곡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상기 결점을 충분히 해결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모든 회로가 복잡한 디지털 연산을 수행하므로 회로규모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회로가 커지므로 소비전력도 증가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과 같이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는 송신기에서는 동작시간이 단축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의 발명자는 일본국 특허출원 2000-233631호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를 제안했다. 상기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는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들(19, 21)과,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 감쇠기(13), 감산기(14), 직교 복조부(15), 위상 조정기(22), 진폭 조정기들(23, 24) 및 감산기들(26, 2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는 직교 변조부(11)와 고전력 증폭기(HPA)(12)의 사이에,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19)를 연결한다. 상기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19)는 직교 변조부(11)로부터 입력되는 변조 신호를 분기 둘로 분기하고, 상기 분기한 변조 신호를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로 출력한다. 그러면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는 입력된 신호의 그 위상을 적절하게 시프트 하고, 감쇠기(13)의 출력신호의 위상에 맞춘 후, 감산기(14)로 출력한다. 또한, 고전력 증폭기(12)의 출력도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21)에 의해 분기되어 감쇠기(13)로 입력된다.
상기 감산기(14)는 입력된 신호간 차를 계산하여 위상 조정기(22)로 출력한다. 즉, 상기 감산기(14)로부터 얻어지는 비선형 왜곡 성분은 상기 위상 조정기(22)를 통해서 그 위상을 조정한 후, 직교 복조부(15)로 입력된다. 직교 복조부(15)로부터 출력되는 기저대역의 비선형 왜곡 성분도 진폭 조정기들(23, 24)을 통해 그 진폭을 적절하게 조정한 후 각각 감산기(26, 27)로 입력된다.
그러나 상기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는 하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 방법은 고전력 증폭기(12)로부터 직교 변조부(11)의 입력측으로 신호를 피드백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피드백을 위한 경로는 방향성 결합기들(19, 21)과 지연 회로 또는 이상기(20) 및 감쇠기(13)를 거쳐 감산기(13)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감산기(14)에서 위상 조정기(22)와 직교 복조부(15) 및 진폭 조정기들(23, 24)과 각각의 감산기(26, 27)를 통해 직교 변조부(11)로 입력된다.
그런데 상기 경로들 중 감산기(14)로부터 직교 복조부(15)에 이르는 전기적인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상기 경로의 전기적인 길이가 길어지면, 상기 직교 변조부(11)의 입력측으로 피드백 되는 왜곡 성분의 위상 지연량은 왜곡 성분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 낮은 주파수와 높은 주파수간 서로 다른 위상 지연량을 가진다. 즉, 소정 길이의 동일 전송 선로 상을 전송해도 주파수에 따라서 파장이 다르므로, 낮은 주파수성분보다 높은 주파수성분쪽이 당연히 위상의 회전량이 커져 버린다.
본 출원의 발명자가 제안한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의 원리상, 상술한 피드백되는 왜곡성분의 주파수 대역 내의 모든 주파수에서, 피드백하여 원래의 송신신호와 합성하는 시점에서의 위상 지연량이 동일하지 않으면, 광대역인 변조신호의 왜곡 보상이 불가능하다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피드백 경로를 매우 짧게 하여 효과적으로 왜곡 보상할 수 있는 주파수대역을 어느 정도 넓힐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피드백 경로를 짧게 하는 것은 회로적 구성이 용이하지 않고 거리를 짧게 하는 것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를 완전히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역인 변조신호의 왜곡 보상을 행할 수 있는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비선형 고출력 증폭하는 송신기에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 시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방법으로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한 변조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성분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비선형 왜곡 성분의 직교 복조 직전에 상기 추출된 비선형 왜곡성분 신호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의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 신호의 각 주파수 신호마다 위상 지연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위상 특성을 보정하는 과정과, 상기 보정된 왜곡성분을 기저대역 영역으로 직교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직교 복조되어 생성되는 기저대역 영역의 왜곡성분의 역위상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비선형 고전력 증폭하는 송신기에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 시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로서, 상기 비선형고전력 증폭한 변조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성분을 추출하는 왜곡 추출부와, 상기 비선형 왜곡 성분의 직교 복조 직전에 상기 추출된 비선형 왜곡성분 신호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의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 신호의 각 주파수 신호마다 위상 지연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위상 특성을 보정하는 위상 특성 보정부와, 상기 위상 특성 보정된 왜곡성분을 기저대역 영역으로 직교 복조하는 직교 복조부와, 상기 직교 복조부로부터 출력되는 기저대역 영역의 왜곡성분의 역위상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하는 왜곡 중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상 특성 보정부는 ;
상기 왜곡 추출부로부터 추출한 왜곡성분의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대역으로 분할하는 주파수 대역 분할부와, 상기 주파수 대역 분할부에 의해 분할된 상기 왜곡성분의 각 주파수 대역마다 위상 지연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위상 조정하는 복수의 지연회로와, 상기 복수의 지연회로의 출력을 합성하는 신호 합성부로 구성하거나,
상기 왜곡 추출부로부터 추출한 왜곡성분의 주파수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고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적은 군지연 특성을 가지는 필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비선형 고전력 증폭하는 송신기에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 시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방법으로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한 변조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성분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비선형 왜곡성분을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된 각 주파수 대역의 비선형 왜곡성분을 각 주파수마다 위상 지연량이 동일하도록 위상 조정한 상태에서 기저대역 영역으로 직교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각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되어 기저대역 영역으로 직교 복조된 비선형 왜곡 성분을 합성하는 과정과, 상기 합성된 기저대역 영역을 갖는 왜곡성분의 역위상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신호에 중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비선형 고전력 증폭하는 송신기에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 시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로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한 변조 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성분을 추출하는 왜곡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비선형 왜곡성분을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주파수 분할부와, 상기 분할된 각 주파수 대역의 비선형 왜곡성분을 각 주파수마다 위상 지연량이 동일하도록 위상 조정한 상태에서 기저대역 영역으로 직교 복조하는 복수의 직교 복조부와, 상기 각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되어 기저대역 영역으로 직교 복조된 비선형 왜곡 성분을 합성하는 합성부와, 상기 합성된 기저대역 영역을 갖는 왜곡성분의 역위상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신호에 중첩하는 왜곡 중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할된 각 주파수 대역의 비선형 왜곡성분을 각각 기저대역 영역으로 직교 복조할 때에, 독립하여 위상 조정하기 위해서 캐리어 신호를 위상 조정하는 위상 조정기를 더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한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에서의 위상 특성 보정회로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귀환왜곡성분의 주파수 대역을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한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에서의 다른 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위상 특성 보정회로를 구성하는 밴드 패스 필터의 군지연 특성을 도시한 특성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위상 특성 보정회로를 구성하는 밴드 패스 필터를 SAW 필터로 구성하는 경우에서의 기판상의 동박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기 출원된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종래의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종래의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의 다른 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부호의 설명>
11 …직교 변조부12 …HPA(고전력 증폭기)
13 …감쇠기4, 26, 27, 46, 47 …감산기
15, 16, 17 …직교 복조부18 …캐리어 발생기
9, 21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20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
25, 28 …분기회로26, 27 …밴드 패스 필터
30 …위상 특성 보정회로29, 30, 31 …위상 조정기
41, 42, 114 …가산기111, 151, 161, 171 …π/2이상기
23, 24, 164, 165, 174, 175 …진폭 조정기
112, 113, 152, 153, 162, 163, 172, 173 승산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을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는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비선형 고전력 증폭하는 송신기의 장치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회로를 각 크게 기능별로 구분하면, 비선형 고전력 증폭을 수행하는 고전력 증폭기(HPA)(12)와 상기 고전력 증폭기(12)에 의해 비선형 고전력 증폭한 변조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성분을 추출하는 왜곡 추출부와,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의 그 주파수 대역 내에서 위상 지연량이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을 직교복조하기 직전에 동일하게 되도록 위상 특성을 보정하는 위상 특성 보정부와, 상기 왜곡 추출부로부터 추출한 왜곡성분을 기저대역 영역으로 직교 복조하는 직교 복조부와, 상기 직교 복조부로부터 출력되는 기저대역 영역의 왜곡성분의 역위상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하는 왜곡 중첩부를 가지고 있다.
그러면 상술한 각 부분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왜곡 추출부는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들(19, 21)과,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와, 감쇠기(13) 및 감산기(14)로 구성된다. 또한, 왜곡 중첩부는 진폭 조정기들(23, 24)과, 감산기들(26, 27)로 구성된다. 그리고 위상 특성 보정부는 위상 특성 보정회로(30)가 되며, 직교 복조부는 직교 복조부(15)에 각각 상당한다. 또한, 송신기의 구성에서 송신할 신호를 직교 변조하는 직교 변조부(11)와, 캐리어 신호를 발생하는 캐리어 발생기(18)가 구비된다.
직교 변조부(11)는 π/2 이상기(111)와, 승산기들(112, 113)과, 가산기(114)로 이루어지고, 직교 복조부 (15)는 π/2 이상기(151), 승산기들(152, 153)으로 이루어지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연결 구성을 가진다.
상기 도 1의 제1실시 예의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가 도 7에 도시한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와 구성상 다른 점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는 감산기(14)와 직교 복조부(15) 사이에 위상 특성 보정회로(30)를 새로이 구비한다. 또한 도 7의 위상 조정기(22) 대신에, 위상 조정기(31)(기능은 위상 조정기(22)와 동일)를 직교 복조부(15)의 캐리어 신호 입력측에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이 외의 구성은 도 7에 도시한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한 구성과 달리 위상 조정기(31)를 위상 특성 보정회로(30)의 전단에 구비해도 무방하다. 즉, 상기 위상 조정기(31)는 상기 감산기(14)와 위상 특성 보정회로(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해도 상기 도 1에 도시한 실시 예와 동일한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캐리어 발생기(18)로부터 상기 직교 복조부(15)로 입력되는 신호는 도 7과 동일한 연결 구성을 가진다. 상기 위상 조정기(31)는 각 위치에 따라 캐리어 발생기(18)의 출력인 캐리어, 또는 추출한 비선형 왜곡성분의 위상을 조정하여 직교 복조부(15)로 입력한다. 이를 통해 상기 위상 조정기(31)는 상기 직교 복조부(15)에 위치한 감산기들(26, 27)에서 기저대역영역의 왜곡성분의 역위상의 왜곡성분이 높은 정밀도로 상기 기저대역신호에 중첩되도록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기저대역 신호(I, Q)는 각각 감산기들(26, 27)에서 후술하는 왜곡성분들(e, f)가 감산된 후, 직교 변조부(11)로 입력된다. 상기 직교 변조부(11)의 π/2 이상기(111)는 캐리어 발생기(18)에서 발생된 신호를 수신하여 승산기(112)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캐리어 발생기(18)에서 발생된 신호는 승산기(113)로 직접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승산기(112)는 π/2 이상기(111)에서 π/2만큼 위상이 이상(移相)된 캐리어 h와 기저대역신호 Q를 승산하여 가산기(114)로 출력한다.
한편 다른 기저대역 신호(I)는 캐리어 발생기(18)에서 발생된 캐리어 g와 승산기(113)에서 승산된 후, 가산기(114)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승산기(112)의 출력 신호와 상기 승산기(113)의 신호가 가산기(114)로 입력되면, 상기 가산기(114)는 두 신호를 가산하여 직교 변조 신호 i를 출력한다. 상기 직교 변조 신호 i는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19)에 의해 둘로 분기되어, 일측의 분기출력은 고전력 증폭기(12)에, 타측의 분기출력은 지연회로 또는 이상회로(20)에 각각 입력된다.
상기 고전력 증폭기(12)는 직교 변조 신호를 소정의 이득(K)을 가지도록 비선형 고전력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고전력 증폭기(12)의 출력 신호 j는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21)에 의해 둘로 분기된다. 상기 고전력 증폭기(12)의 출력신호 j 중 상기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21)에 의해 분기된 일부는 출력 신호로송출되고, 다른 신호는 감쇠기(13)로 입력된다. 상기 감쇠기(13)는 입력된 신호를 고전력 증폭기(12)의 증폭 이득만큼 감쇠(1/K)하여 출력한다. 상기 감쇠기(13)의 출력신호 k는 감산기(14)로 입력된다.
한편 상기 직교 변조부(11)에서 출력되어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19)에 의해 분기된 신호 중 다른 한 신호는 지연회로 또는 이상회로(20)로 입력된다. 상기 지연회로 또는 이상회로(20)는 상기 입력된 직교 변조 신호 i의 분기출력의 위상을 적절하게 시프트(shift)하여 감산기(14)로 출력한다. 이를 통해 상기 감산기(14)는 상기 감쇠기(13)의 출력신호 k의 변조파 위상과 상기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의 출력 신호 l와 감산된다.
감산기(14)는 고전력 증폭기(12)로부터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 (21)와, 감쇠기(13)를 통해서 출력되어 비선형 왜곡을 포함한 신호 k에서, 직교 변조부(11)로부터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19)와, 지연회로 또는 이상회로(20)를 통해서 출력된 왜곡이 없는 직교 변조 신호 I을 감산한다. 이를 통해 감산기(14)는 비선형 증폭 왜곡성분 a만을 추출한다.
상기 감산기(14)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비선형 증폭 왜곡성분 a는 위상 특성 보정회로(30)로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위상 특성 보정회로(30)는 비선형 증폭 왜곡성분 a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 위상 지연량이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을 직교 복조하기 직전과 동일하도록 위상 특성을 보정한다. 그리고, 직교 복조부(15)의 승산기들(152, 153)로 출력한다.
상기 직교 복조부(15)로 입력되는 다른 신호는 캐리어 발생기(1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이다. 상기 캐리어 발생기(18)에서 발생된 캐리어 g는 위상 조정기(31)에 의해 위상 조정된 상태에서 직교 복조부(15)로 입력된다.
상기 직교 복조부(15)의 승산기(152)는 위상 특성 보정회로(30)로부터 입력되는 위상 특성이 보정된 비선형 왜곡성분 b와 위상 조정기(31)를 통해서 입력되는 위상 조정된 캐리어 m을 승산하여 직교 복조한 후 이를 진폭 조정기(23)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위상 조정기(31)로부터 위상 조정된 캐리어 m은 π/2 이상기(151)에서 π/2의 위상만큼 이상된 캐리어 n과 상기 위상 특성 보정회로(30)로부터 입력되는 위상 특성이 보정된 비선형 왜곡 성분 b를 승산하여 직교 복조한 후 이를 진폭 조정기(24)로 출력한다. 상기 각 진폭 조정기들(23, 24)을 통해서 출력되는 기저대역 영역의 왜곡성분들(e, f)는 각각 기저대역 신호 I, Q의 신호를 입력하는 각 감산기들(26, 27)로 입력된다.
따라서, 감산기(26)에서는 기저대역 신호 I로부터 고전력 증폭기(12)에서 증폭 동작에 의해 생기는 왜곡성분 e가 미리 감산됨으로써, 역왜곡 성분이 중첩된 기저대역 신호 I가 직교 변조부(11)로 입력된다. 감산기(17)에서는 기저대역 신호 Q로부터 고전력 증폭기(12)에서 증폭 동작에 의해 생기는 왜곡성분 f가 미리 감산됨으로써, 역왜곡 성분이 중첩된 기저대역신호 Q가 직교 변조부(11)로 입력된다.
즉, 상기 감산기들(26, 17)에서는 감산기(14)에서 추출한 왜곡성분을 직교 복조함으로써 생성되는 기저대역영역에서의 역왜곡 특성 즉, 고전력 증폭 시에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성분을 소거하는 특성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한다. 따라서, 상기 역왜곡 성분이 중첩된 기저대역 신호가 직교 변조부(11)에 의해 직교 변조된 후, 고전력 증폭기(12)에서 비선형 고전력 증폭될 때에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은 소거된다.
이어서, 위상 특성 보정회로 30의 일 예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에 있어서, 위상 특성 보정회로(30)는 감산기(14)로부터 추출된 왜곡성분의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대역으로 분할하는 분할부와, 상기 분할된 신호들을 각 대역에 따라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필터회로들과, 상기 필터 회로들을 통과한 신호들의 위상 지연량이 동일하도록 위상 조정을 수행하는 지연회로들과, 상기 각 지연회로들의 출력 신호를 합성하는 신호 합성부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분기회로(301)는 2개의 대역으로 분할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분기된 신호는 각각 통과 대역이 결정된 밴드 패스 필터들(302, 303)로 입력된다. 상기 밴드 패스 필터들(302, 303)은 SAW(표면탄성파)필터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 패스 필터(302)는 직교 변조파의 메인 로브의 중심 주파수를 f0(Hz)으로 하면, 그 통과대역은 f0∼fH[Hz]이고, 또한 밴드패스필터(303)의 통과대역은 fL∼f0[Hz]이다.
그리고 각 밴드 패스 필터들(302, 30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는 지연라인들(304, 305)은 각각은 SAW 지연라인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연라인들(304, 305)은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신호의 전파속도가 다르게 설정되어 있어, 신호의 전파속도가 낮은 주파수에서는 비교적 빨라지고, 높은 주파수에서는 비교적 느려지도록 설정한다. 즉, 신호의 전파속도가 고주파를 통과시키는 밴드패스 필터(302)의 출력단에 연결된 지연회로(304)에서는 느려지고 저주파를 통과시키는 밴드패스 필터(303)의 출력단에 연결된 지연회로(305)에서는 빨라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도 2에서 입력단자(300)로부터 입력되는 감산기(14)의 출력 신호 주파수 대역 fL∼fH[Hz]의 왜곡성분은 분기회로(301)에 의해 2계통으로 분기되고, 주파수대역이 f0∼fH[Hz]의 왜곡성분은 밴드 패스 필터(302)를 통과하고, 지연라인 회로(304)에서 위상 지연량이 적어지도록 조정되어, 합성회로(306)로 입력된다. 또한, 주파수대역 fL∼f0[Hz]의 왜곡성분은 밴드 패스 필터(303)를 통과하고, 지연라인 회로(305)에서 위상 지연량이 커지도록 조정되어, 합성회로(306)로 입력된다.
이 결과 각 지연라인 회로들(304, 305)의 출력을 합성회로(306)에서 합성한 시점에서, 주파수가 달라도 위상 지연량이 동일한 왜곡성분을 얻을 수 있고, 출력단자(307)을 통해서 직교 복조부(15)의 승산기(152, 153)로 출력된다.
이어서, 위상 특성 보정회로(30)의 다른 예를 도 4에 도시하였다. 상기 도 4에서, 위상 특정 보정회로(30)는 왜곡 추출부로부터 추출한 왜곡성분의 주파수 대역을 통과대역으로 하고,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서 작아지는 군지연 특성을 가진 밴드 패스 필터(310)로 구성한다.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밴드 패스 필터(310)는 대상이 되는 신호대역 즉, 상기 도 1에서 직교 변조기(11)의 입력측으로 피드백되는, 고전력 증폭기(12)의 출력에 포함되는 왜곡성분의 신호대역 fL∼fH[Hz]를 통과대역으로 하는 SAW 필터에 Chirp 필터로 구성한다. 상기 필터(310)의 군지연 특성을 도 5에 도시하였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지연량이 작아지도록 설정한 것이다.
SAW·Chirp·Filter의 기판상의 동박 패턴 예를 도 6에 도시하였다. SAW·Chirp·Filter는 통상의 SAW 필터와 동일하게, 한 쌍의 IDT로 구성되는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IDT의 전극간격, 전극지의 폭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점점 감소하도록 전극패턴을 기판 상에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고, 왜곡 추출부로부터 추출한 왜곡성분은 입력단자(300)를 통해서 밴드 패스 필터(310)로 입력된다. 상기 밴드 패스 필터(310)를 통과함으로써, 출력단자(307)의 출력은 주파수가 서로 달라도 위상 지연량이 동일한 귀환 왜곡성분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귀환 왜곡성분은 직교 변조기(110)의 입력측으로 피드백되는 고전력 증폭기(12)의 출력에 포함되는 왜곡성분을 말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회로를 적용하면 비선형 전력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광대역 변조 신호의 왜곡 보상을 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는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비선형 고전력 증폭하는 송신기의 보상 방법 및 보상 회로의 발명이다. 그러면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를 살펴본다.
상기 도 10에 도시된 각 회로들을 크게 기능별로 구분하면, 비선형 고전력 증폭을 수행하는 고전력 증폭기(HPA)(12)와 상기 고전력 증폭기(12)에 의해 비선형 고전력 증폭한 변조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성분을 추출하는 왜곡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비선형 왜곡성분을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주파수 분할부와, 상기 분할된 각 주파수 대역의 비선형 왜곡성분을 각각 독립하여 위상 조정한 상태에서 기저대역 영역으로 직교 복조하는 복수의 직교 복조부와, 상기 기저대역영역으로 직교 복조된 상기 분할된 각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비선형 왜곡성분을 합성하는 합성부와, 상기 합성된 기저대역영역의 왜곡성분의 역위상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신호에 중첩하는 왜곡 중첩부를 가진다.
그러면 상기한 각 부분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상기 왜곡 추출부는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들(19, 21)과,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와, 감쇠기(13) 및 감산기(14)로 구성된다. 또한 주파수 분할부는 각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기 위한 수로 신호를 분기하는 분기회로(25)와, 각 주파수 대역에 따른 수로 구성되며, 각기 통과대역이 다른 밴드 패스 필터들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다른 두 개의 밴드패스필터(26, 27)로 구성한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분기회로(25)는 신호를 둘로 분기하여 출력한다. 이미 도 3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직교 변조파의 메인 로브의 중심주파수를 f0[Hz], 왜곡성분의 주파수 대역을 fL∼fh[Hz]로 하면, 밴드 패스 필터(26)의 통과대역은 f0∼fH[Hz]이고, 밴드 패스 필터(27)의 통과대역은 fL∼f0[Hz]가 된다. 각 밴드 패스 필터들(26, 27)은 협대역으로, 감쇠특성도 상당히 급격(precipitous)한 것이 필요하게 되므로 SAW 필터가 적절하다.
또한, 복수의 직교 복조부는 본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직교 복조부들(16, 17)로 구성하며, 직교 복조부(16)는 π/2 이상기(161)와, 승산기들(162, 163)과, 진폭 조정기들(164, 165)로 구성되며, 다른 직교 복조부(17)는 π/2 이상기(171)와, 승산기들(172, 173)과, 진폭 조정기들(174, 175)로 구성된다. 또한, 각 직교 복조부들(16, 17)의 출력을 합성하는 합성부는 2개의 가산기들(41, 42)로 구성되고, 왜곡 중첩부는 2개의 감산기들(46, 47)로 구성한다. 그리고 직교 변조부(11)와, 캐리어 발생기(18)가 구비된다.
직교 변조부(11)는 π/2 이상기(111)와, 2개의 승산기들(112, 113)과, 가산기(114)로 구성된다. 분기회로(28)는 캐리어 발생기(18)로부터 출력되는 캐리어 신호를 직교 복조부들(16, 17)로 각각 공급하도록 분기하며, 위상 조정기들(29, 40)은 직교 복조부들(16, 17)로 공급되는 캐리어 신호의 위상 조정을 각각 독립으로 수행한다. 또한, 상기 위상 조정기들(29, 40)은 캐리어 발생기(18)의 출력인 캐리어의 위상을 조정하고 나서 직교 복조기(16, 17)로 입력함으로써, 감산기들(46, 47)에서 기저대역 영역의 왜곡성분의 역위상 왜곡성분이 높은 정밀도로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되도록 한다.
각 기저대역 신호 I, Q는 각 감산기들(46, 47)에서 후술하는 왜곡성분 j, k와 감산된 후, 직교 변조부(11)로 입력된다. 상기 직교 변조부(11)의 π/2 이상기(111)는 캐리어 발생기(18)에서 발생되어 입력된 캐리어 신호를 수신하여π/2만큼 위상을 이상(移相)하여 승산기(112)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승산기(112)는 π/2만큼 위상이 이상된 캐리어 신호와 상기 왜곡 성분 k와 감산된 기저대역 신호 Q를 승산한 후 이를 가산기(114)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왜곡 성분 j와 감산된 기저대역 신호 I와 캐리어 발생기(18)에서 발생된 캐리어 신호는 다른 승산기(113)로 입력된다. 그러면 승산기(113)는 두 신호를 승산하여 가산기(114)로 출력한다. 상기 가산기(114)는 각 승산기들(112, 113)에서 승산된 신호들을 가산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저대역 신호 I, Q는 직교 변조된다.
이와 같이 직교 변조된 직교 변조부(11)의 출력인 신호는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19)로 입력된다. 상기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19)는 상기 입력된 신호를 둘로 분기하고, 상기 분기된 신호 중 하나는 고전력 증폭기(12)로 출력하며, 다른 하나의 출력은 지연회로 또는 이상회로(20)로 출력한다. 상기 고전력 증폭기(12)는 분기되어 수신된 직교 변조 신호를 비선형 고전력 증폭(이득 K)하여 출력한다. 상기 비선형 특성을 갖는 고전력 증폭기(12)에서 증폭된 신호는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21)로 입력되어 다시 둘로 분기된다. 상기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21)에서 분기된 두 출력 중 하나는 출력 신호가 되며, 다른 하나의 출력은 감쇠기(13)로 입력된다. 상기 감쇠기(13)는 상기 고전력 증폭기(12)의 증폭 이득만큼 감쇠(1/K)하여 이를 감산기(14)로 출력한다.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는 상기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19)로부터 입력된 직교 변조 신호된 신호 중 분기되어 입력된 신호의 위상을 적절하게 시프트(shift) 하여 감산기(14)로 출력한다.
상기 감산기(14)는 상기 감쇠기(13)로부터 입력된 신호와 상기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로부터 입력된 신호들을 감산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감산의 효과는 상기 고전력 증폭기(12)로부터 비선형 증폭되어 출력된 신호를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21)와, 감쇠기(13)를 통해서 출력된 신호에서 직교 변조부(11)에서 출력되어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19) 및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를 통해서 출력된 왜곡이 없는 직교 변조 신호를 감산하여 비선형 증폭 왜곡성분 a만을 추출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감산기(14)의 출력은 비선형 증폭 왜곡성분 a만이 출력된다.
상기 비선형 증폭 왜곡 성분 a는 주파수대역(신호대역)이 fL∼fH[Hz]의 대역폭을 가진다. 상기 비선형 증폭 왜곡 성분 a는 분기회로(25)에 의해 분기되며, 상기 분기된 신호 중 하나인 분기출력 b는 밴드 패스 필터(26)로 입력되며, 상기 분기된 신호 중 다른 하나인 분기출력 d는 밴드 패스 필터(27)로 입력된다. 상기 밴드 패스 필터(26)는 입력된 분기출력 b중 주파수대역이 f0∼fH[Hz]인 왜곡성분 c만을 통과시킨다. 따라서 상기 왜곡성분 c는 직교 복조부(16)의 승산기들(162, 163)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밴드 패스 필터(27)는 입력된 분기출력 d중 주파수 대역이 fL∼f0[Hz]인 왜곡성분 e만을 통과시킨다. 따라서 상기 왜곡성분 e는 직교 복조부(17)의 승산기들(172, 173)로 입력된다. 여기에서 왜곡성분 c, e는 각각 주파수가 다르므로, 왜곡성분 a와 비교한 위상 지연량은 다르다.
한편, 캐리어 발생기(18)로부터 출력되는 캐리어 신호는 분기회로(28)로 입력된다. 상기 분기회로(28)는 입력된 캐리어 신호를 둘로 분기하여 각각 위상 조정기들(29, 40)로 출력한다. 상기 각 위상 조정기들(29, 40)은 상기 직교 복조부(16,17)로부터 출력되는 왜곡 성분과 위상 지연량이 동일하도록 위상을 조정한다. 즉, 상기 각 직교 복조부들(16, 17)로 입력되는 왜곡 신호는 주파수가 서로 상이하므로 위상 지연량이 다르다. 따라서 상기 위상 조정기들(29, 40)은 각 직교 복조부(16, 17)로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과 같도록 즉, 각각 위상 조정량이 서로 다르게 구성된다.
직교 복조부(16)의 승산기(162)는 비선형 왜곡성분 c와 위상 조정기(29)를 통해서 입력된 캐리어 신호 m을 승산하여 진폭 조정기(164)로 출력하며, 다른 승산기(163)는 위상 조정기(29)의 출력 신호를 π/2 이상기(161)에서 π/2만큼 이상된 캐리어 신호 m'와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 c를 승산하여 진폭 조정기(165)로 출력한다. 상기 각 진폭 조정기들(164, 165)은 각각 입력된 신호의 진폭을 조정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각 진폭 조정기들(164, 165)에서 출력된 신호는 진폭 조정된 기저대역 영역의 왜곡성분 f, g가 되어, 각각 가산기(41)와 가산기(42)로 입력된다.
또한 직교 복조부(17)의 승산기(172)는 비선형 왜곡성분 e와 위상 조정기(40)으로부터 입력된 캐리어 신호 n을 승산하여 진폭 조정기(174)로 출력한다. 그리고 직교 복조부(17)의 다른 승산기(173)는 위상 조정기(40)에 의해 입력된 캐리어 신호 n을 π/2만큼 이상하여 출력하는 π/2 이상기(171)에서 출력된 캐리어 신호 n'와 승산하여 진폭 조정기로 출력한다. 상기 각 진폭 조정기들(174, 175)은 각각 입력된 신호의 진폭을 조정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각 진폭 조정기들(174, 175)에서 출력된 신호는 진폭 조정된 기저대역영역의 왜곡성분 h, i가 된다.
상기 직교 복조기(16)의 진폭 조정기(164)의 출력 신호 f와 상기 직교 복조기(17)의 진폭 조정기(174)의 출력 신호 h는 가산기(42)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직교 복조기(16)의 진폭 조정기(165)의 출력 신호 g와 상기 직교 복조기(17)의 진폭 조정기(175)의 출력 신호 i는 가산기(42)로 입력된다. 따라서 캐리어 발생기(18)로부터 출력되는 캐리어 신호를 위상 조정기들(29, 40)에 의해 적절하게 위상 조정하고, 이를 직교 복조한 후 각 왜곡성분 f, g, h, i의 위상 지연량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가산기(41)는 왜곡성분 f와 왜곡성분 h가 가산하여 왜곡성분 j를 출력하며, 감산기(46)로 출력한다. 또한 가산기(42)는 왜곡성분 g와 왜곡성분 i를 가산하여 왜곡성분 k를 감산기(47)로 출력한다. 따라서 감산기(46)는 기저대역 신호 I로부터 고전력 증폭기(12)의 증폭동작에 의해 생기는 왜곡성분 j를 미리 감산한다. 이를 통해 역왜곡 성분이 중첩된 기저대역 신호 I가 직교 변조부(11)로 입력된다. 또한 가산기(47)는 기저대역 신호 Q로부터 고전력 증폭기(12)의 증폭동작에 의해 생기는 왜곡성분 k가 미리 감산한다. 이를 통해 역왜곡 성분이 중첩된 기저대역신호 Q가 직교 변조부(11)로 입력된다.
즉, 상기 각 감산기들(46, 47)은 감산기(14)에서 추출한 왜곡성분을 직교 복조로 인하여 발생되는 기저대역 영역에서의 역왜곡 특성(고전력 증폭 시에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성분을 소거하는 특성)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한다. 따라서, 상기 역왜곡 성분이 중첩된 기저대역 신호가 직교 변조부(11)에 의해 직교 변조된 후, 고전력 증폭기(12)에서 비선형 고전력 증폭될 때에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은 소거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들은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로서 고전력 증폭 시에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성분을 추출하고, 그 왜곡성분을 직교 변조하여 생성하는 I 성분과, Q 성분 각각을 직교 변조하기 전의 기저대역 I, Q 신호로부터 감산하도록 피드백 한다. 이를 통해 증폭기에서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보상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다시 살펴보면, 왜곡성분의 피드백·루프를 복수개 구비하고, 각 피드백·루프에서 상기 왜곡성분의 직교 복조 후에 위상 지연량이 동일하도록 각각 독립하여 적절한 위상 조정을 한다. 따라서 광대역인 변조신호에 있어서도 전 대역 내에서 효과적인 비선형 왜곡 보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전력 증폭에 의해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성분을 소거하기 위한 피드백·루프를 2중으로 하고 있지만, 고전력 증폭에 의해 발생하는 왜곡성분의 주파수대역을 더 많은 세밀한 대역으로 분할하여, 3개 이상의 피드백·루프를 겹쳐서 왜곡성분을 소거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사용하는 밴드 패스 필터는 SAW 필터타입 이외의 필터이어도 된다.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고전력 증폭기에서 발생하는 왜곡을 피드백 하여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되는 신호를 각 주파수 별로 위상을 조정함으로써 주파수 성분에 따라 발생하는 보정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광대역의 신호에 대하여 고전력 증폭 시에 발생하는 왜곡 특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비선형 고출력 증폭하는 송신기에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 시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한 변조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성분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비선형 왜곡 성분의 직교 복조 직전에 상기 추출된 비선형 왜곡성분 신호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의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 신호의 각 주파수 신호마다 위상 지연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위상 특성을 보정하는 과정과,
    상기 보정된 왜곡성분을 기저대역 영역으로 직교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직교 복조되어 생성되는 기저대역 영역의 왜곡성분의 역위상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방법.
  2.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비선형 고전력 증폭하는 송신기에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 시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한 변조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성분을 추출하는 왜곡 추출부와,
    상기 비선형 왜곡 성분의 직교 복조 직전에 상기 추출된 비선형 왜곡성분 신호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의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 신호의 각 주파수 신호마다 위상 지연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위상 특성을 보정하는 위상 특성 보정부와,
    상기 위상 특성 보정된 왜곡성분을 기저대역 영역으로 직교 복조하는 직교 복조부와,
    상기 직교 복조부로부터 출력되는 기저대역 영역의 왜곡성분의 역위상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하는 왜곡 중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특성 보정부는,
    상기 왜곡 추출부로부터 추출한 왜곡성분의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대역으로 분할하는 주파수 대역 분할부와,
    상기 주파수 대역 분할부에 의해 분할된 상기 왜곡성분의 각 주파수 대역마다 위상 지연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위상 조정하는 복수의 지연회로와,
    상기 복수의 지연회로의 출력을 합성하는 신호 합성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특성 보정부는,
    상기 왜곡 추출부로부터 추출한 왜곡성분의 주파수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고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적은 군지연 특성을 가지는 필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
  5.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비선형 고전력 증폭하는 송신기에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 시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한 변조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성분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비선형 왜곡성분을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된 각 주파수 대역의 비선형 왜곡성분을 각 주파수마다 위상 지연량이 동일하도록 위상 조정한 상태에서 기저대역 영역으로 직교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각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되어 기저대역 영역으로 직교 복조된 비선형 왜곡 성분을 합성하는 과정과,
    상기 합성된 기저대역 영역을 갖는 왜곡성분의 역위상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신호에 중첩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방법.
  6.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비선형 고전력 증폭하는 송신기에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 시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한 변조 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성분을 추출하는 왜곡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비선형 왜곡성분을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주파수 분할부와,
    상기 분할된 각 주파수 대역의 비선형 왜곡성분을 각 주파수마다 위상 지연량이 동일하도록 위상 조정한 상태에서 기저대역 영역으로 직교 복조하는 복수의 직교 복조부와,
    상기 각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되어 기저대역 영역으로 직교 복조된 비선형 왜곡 성분을 합성하는 합성부와,
    상기 합성된 기저대역 영역을 갖는 왜곡성분의 역위상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신호에 중첩하는 왜곡 중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각 주파수 대역의 비선형 왜곡성분을 각각 기저대역 영역으로 직교 복조할 때에, 독립하여 위상 조정하기 위해서 캐리어 신호를 위상 조정하는위상 조정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
KR10-2002-0005146A 2001-03-19 2002-01-29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 KR100446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79532 2001-03-19
JP2001079533A JP4550303B2 (ja) 2001-03-19 2001-03-19 非線形歪み補償方法及び非線形歪み補償回路
JP2001079532A JP4550302B2 (ja) 2001-03-19 2001-03-19 非線形歪み補償方法及び非線形歪み補償回路
JPJP-P-2001-00079533 2001-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381A true KR20020074381A (ko) 2002-09-30
KR100446500B1 KR100446500B1 (ko) 2004-09-04

Family

ID=2661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146A KR100446500B1 (ko) 2001-03-19 2002-01-29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20131523A1 (ko)
KR (1) KR100446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284A (ko) * 2005-04-22 2006-10-27 삼성전기주식회사 쏘 필터를 이용한 데이타 송신기 및 데이타 송수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3820A1 (en) * 2000-10-17 2002-04-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mmunications systems
DE10360470B4 (de) * 2003-12-22 2010-11-18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emodulieren eines Empfangssignals
EP1557995A3 (en) * 2004-01-22 2012-10-17 Panasonic Corporation Data converter and data conversion method, and transmitter circuit, communications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958761B2 (en) * 2006-10-25 2015-02-17 Nxp, B.V. Determining on chip loading impedance of RF circuit
JP5146456B2 (ja) * 2007-09-26 2013-02-20 富士通株式会社 送受信増幅器および遅延偏差補償方法
EP2232413B1 (en) * 2007-12-05 2012-06-20 Wavelogics AB Data carrier device
US8953663B2 (en) * 2009-09-25 2015-02-10 Intel Corporation Calibration of quadrature imbalance via loopback phase shifts
JP6089706B2 (ja) * 2013-01-07 2017-03-08 富士通株式会社 送信信号電力制御装置、通信装置及びプリディストーション係数更新方法
CN110836639A (zh) * 2019-10-28 2020-02-25 哈尔滨工业大学 相位生成载波微分交叉相乘载波延迟和伴生调幅消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400677A (nl) * 1984-03-02 1985-10-01 Philips Nv Transmissiesysteem voor de overdracht van data signalen in een modulaatband.
FR2731799B1 (fr) * 1995-03-13 1997-06-20 Concept Aero System Sarl Soc Procede et dispositif d'analyse des signaux de radionavigation
JP3169803B2 (ja) * 1995-08-28 2001-05-28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電力増幅器の非線形補償回路
JP3428846B2 (ja) * 1997-01-07 2003-07-22 株式会社鷹山 時間拡散ルートナイキストフィルタ
US5923712A (en) * 1997-05-05 1999-07-13 Glenayre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inear transmission by direct inverse modeling
KR100262652B1 (ko) * 1998-05-29 2000-08-01 서평원 선왜곡 방식을 이용한 고전력 증폭기의 선형화 회로
US6539319B1 (en) * 1998-10-30 2003-03-25 Caterpillar Inc Automatic wavelet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6246286B1 (en) * 1999-10-26 2001-06-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Adaptive linearization of power amplifiers
JP2001203772A (ja) * 2000-01-24 2001-07-27 Nec Corp 非線形歪補償装置
JP4326673B2 (ja) * 2000-06-06 2009-09-09 富士通株式会社 非線形歪補償装置を有する通信装置の起動方法
JP2002111401A (ja) * 2000-10-03 2002-04-12 Fujitsu Ltd 信号の歪補償装置および歪補償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284A (ko) * 2005-04-22 2006-10-27 삼성전기주식회사 쏘 필터를 이용한 데이타 송신기 및 데이타 송수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31523A1 (en) 2002-09-19
KR100446500B1 (ko) 200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1145B1 (ko)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
US6111462A (en) RF power amplifier linearization using parallel RF power amplifiers having intermod-complementing predistortion paths
JP6265206B2 (ja) 無線送信装置および無線送信方法
JP2967699B2 (ja) 送信装置
EP1181768B1 (en) Linearisation and modulation device
US20020097811A1 (en)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KR100438445B1 (ko)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
JPH10145161A (ja) プリディストーション自動調整回路
KR20010006290A (ko) 자동교정 알.에프. 상관기를 사용한 오류 추출
WO2005093962A1 (ja) 無線システム、無線送信装置および無線受信装置
US7486939B2 (en) Apparatus for removing distortions created by an amplifier
KR100446500B1 (ko)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
US6904267B2 (en) Amplifying device
JP3080188B2 (ja) フィードフォワード干渉回路
JP4382950B2 (ja) 非線形歪み補償回路および非線形歪み補償方法
JP3239926B2 (ja) 歪補償回路
JP4550302B2 (ja) 非線形歪み補償方法及び非線形歪み補償回路
JP4550303B2 (ja) 非線形歪み補償方法及び非線形歪み補償回路
KR100371531B1 (ko) 에러 피드백을 이용한 피드포워드 선형 전력 증폭기
KR100790122B1 (ko)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 및 비선형 왜곡 보상방법
KR100375315B1 (ko) 왜곡을 감소시키는 믹서
JPH10271044A (ja) 非線形歪低減回路
JPH10271045A (ja) 非線形歪低減回路
JP2000261253A (ja) フィードフォワード歪補償回路
JP2008154288A (ja) 歪補償増幅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