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1427A - 부각 성형 다이 - Google Patents

부각 성형 다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1427A
KR20020071427A KR1020010027153A KR20010027153A KR20020071427A KR 20020071427 A KR20020071427 A KR 20020071427A KR 1020010027153 A KR1020010027153 A KR 1020010027153A KR 20010027153 A KR20010027153 A KR 20010027153A KR 20020071427 A KR20020071427 A KR 20020071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cam
half die
lower half
cam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7196B1 (ko
Inventor
마츠오카미츠오
Original Assignee
유믹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믹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믹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1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brakes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on one sid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B21D19/082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for making negative 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B21D19/082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for making negative angles
    • B21D19/086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for making negative angles with rotary c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8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with die parts on rotating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미세한 피벗팅운동이 로터리 캠을 소정 성형 위치에서 벗어나게 하여, 가공물의 만곡 표면에서의 원하지 않는 단계를 행하게 하거나 아치형상 만곡부를 성형할 수 없게 하고, 때때로 대개 1/100 mm 정도로 정밀한 제품을 제공하거나 고 품질로 성형된 금속제 박판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종래에는 불가능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로터리 캠을 소정 성형 위치에 유지하여, 이에 의해 고 품질로 성형된 금속제 박판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본 발명은 금속제 박판 가공물을 위치시키기 위한 지지부를 가진 하반부 다이, 가공물을 성형하기 위해 하반부 다이에 대하여 직선 방향으로 하강하는 상반부 다이로 구성되어 있는 부각 성형 다이를 제공하고, 하반부 다이에 형성된 관입 성형부는 상반부 다이의 하향 괘적의 지지부 안쪽 근처의 에지부에 형성되고, 로터리 캠은 하반부 다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슬라이드 캠은 로터리 캠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대향하며 관입 성형부를 포함하고, 자동 복귀구는 성형 작업 이후에 로터리 캠을 일정 위치로 뒤로 피벗팅하여 가공물을 하반부 다이로부터 빼내게 하기 위해 하반부 다이에 제공되고, 하반부 다이의 지지부상에 위치된 가공물은 로터리 캠의 관입 성형부와 슬라이드 캠의 관입 성형부에 의해 성형되고, 슬라이드 캠은 슬라이딩에 의해 가공물을 성형하고, 상기 자동 복귀구는 성형 작업 이후에 가공물을 하반부 다이로부터 빼내게 하기 위해 로터리 캠을 뒤로 피벗팅하고, 상기 로터리 캠은 돌출하는 지지 축을 포함하는 각각의 두 개의 끝부를 가지고 있고, 지지 축은로터리 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하반부 다이에 의해 지지되고, 로터리 캠의 축선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수단은 하반부 다이와 로터리 캠에 제공되어 있다.

Description

부각 성형 다이{NEGATIVE-ANGLE FORMING DIE}
본 발명은 금속제 박판을 성형하기 위한 부각(negative-angle) 성형 다이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부각 성형 다이는, 상반부 다이의 직선 하향 괘적 보다 하반부 다이의 더 안쪽 위치에 만들어진 성형물에 대하여 사용된다.
금속제 박판으로서 제공된 가공물을 상반부 다이의 직선 하향 괘적 보다 하반부 다이의 더 안쪽 부분을 가진 형상으로 부각 성형하는 것은 슬라이드 캠을 사용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실행된다.
금속제 박판 가공물의 종래 기술의 관입 성형 공정에 따르면, 가공물은 하반부 다이에 위치되어 있고 상반부 다이가 수직으로 하강한다. 이 때, 상반부 다이의 구동 캠이 하반부 다이의 수동 캠을 구동하여 사이드에서 가공물을 성형한다. 성형이 완성되고 상반부 다이가 상승한 후, 구동 캠은 스프링에 의해 후퇴된다.
상기 배열에 있어서, 사이드로부터 가공물상으로 슬라이드되는 수동 캠은 성형 이후 만큼의 가공물과 동일한 형상으로 단편으로 성형된 성형부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하반부 다이는 성형이후 가공물이 하반부 다이로부터 빼내지게 해야만 하고, 이러한 이유 때문에 관입 성형을 제공하는 하반부 다이의 일정 부분은 후퇴를위해 분리 가능하게 만들어져야만 하고 또는 그 후부는 가공물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빼내지도록 절결되어 있어야만 한다. 관입의 범위가 작다면 이러한 것은 심각한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관입의 범위가 크거나 가공물이 금속제 박판로부터 자동차 전방 필러-아우터의 성형 상태와 같은 홈 형상 섹션을 가진 긴 프레임으로 성형된다면, 문제는 심각해진다. 특히, 가공물의 홈 너비가 매우 좁기 때문에 홈에 상응하는 하반부 다이의 부분이 나누어지거나 절결되면, 수동 캠의 성형부가 말끔하게 성형되는 것은 불가능하게된다. 게다가 하부 다이의 강도가 감소하므로 말끔하게 성형되는 관입 성형을 실행하기가 불가능했었다.
더욱이, 성형된 제품은 교정되어야만 하는 비뜰리거나 왜곡된 부위를 갖기도 한다. 하지만, 예를 들어 사이드 패널, 팬더, 루프, 보닛, 트렁크 덮게, 도어 패널, 및 전방 필러-아우터 등과 같은 자동차의 외판를 제공하는 많은 자동차 부품은 3-차원 표면 또는 라인을 갖도록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성형 이후에 교정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불가능하다. 자동차 금속제 박판 부품을 조립하는데 있어, 부품에 비뜰림이나 왜곡이 있다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지 않고서는 이 부품을 서로 끼워맞춤하는 것이 어렵고, 고 품질의 자동차 금속제 박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고, 성형된 금속제 박판 제품에서 원하는 레벨의 제품 정밀도를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반부 다이의 직선 하강직선 운동이 로터리 캠의 로터리 운동으로 전환되어 상반부 다이의 직선 하향 괘적 보다 더 안쪽 하반부 다이에 그 부분을 성형하도록 피벗하는 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성형 작업 이후에, 로터리 캠은 뒤로 피벗되어 완성된 가공물이 하부 다이로부터 빼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배열은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특히,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각 성형 다이는 가공물(W)이 놓여있는 지지부(101)를 포함하는 하반부 다이(102), 하반부 다이(102)로 직선으로 하강하고 프레스하여 이에 의해 가공물(W)를 성형하는 상반부 다이(103)로 구성되어 있다. 하반부 다이(102)는 상향 개방 축선상 홈(104)에 지지되는 로터리 캠(106)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다. 홈(104)은, 상반부 다이(103)의 괘적 보다 더 안쪽에 위치된 관입 성형부(105)로 형성된 지지부에 인접한 부분을 가지고 있다. 하반부 다이(102)는 로터리 캠(10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반부 다이(103)는 로터리 캠(106)에 대향하는 슬라이드 캠(108)을 구비하고 관입 성형부(107)를 구비하고 있다. 하반부 다이는, 성형 이 후에, 가공물(W)이 하반부 다이(102)로부터 빼내지는 상태로 로터리 캠(106)을 뒤로 이동하게 하는 자동 복귀구(109)를 더 구비하고 있다. 하반부 다이(102)의 지지부(101)상에 위치된 가공물(W)은 로터리 캠(106)의 관입 성형부(105) 및 슬라이드 캠(108)의 관입 성형부(107)에 의해 성형된다. 가공물(W)은 로터리 캠(106)의 로터리 운동과 슬라이드 캠(108)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성형된다. 성형 이후에, 자동 복귀구(109)는 로터리 캠(106)을 뒤로 피벗하여 가공물(W)이 하반부 다이(102)로부터 빼내지게 한다.
이제, 부각 성형 다이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우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반부 다이(103)는 상사점에 위치결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공물(W)은 하반부 다이(102)의 지지부(101)에 위치된다.로터리 캠(106)은 자동 복귀구(109)에 의해 후퇴된 위치에 유지된다.
그 다음에, 상반부 다이(103)가 하강하기 시작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캠(108)의 하부 표면은, 슬라이드 캠(108)이 로터리 캠(106)의 관입 성형부(105)와 간섭하게 하지 않으면서 피보팅 플레이트(111)와 접촉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로터리 캠(106)을 피보팅하고 이에 의해 로터리 캠(106)을 성형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 다음 패드(110)가 가공물(W)를 프레스한다.
상반부 다이(103)가 계속하여 하강할 때, 반부 다이의 외향으로의 가압하에 있는 슬라이드 캠(108)은, 코일스프링(112)으로부터의 가압에 대항하여 슬라이딩 캠으로서의 슬라이딩 운동을 측면 좌향으로 시작한다. 이러한 것은 도 11에 도시되는데, 여기에서 피봇된 로터리 캠(106)의 관입 성형부(105) 및 슬라이드 캠(108)의 관입 성형부(107)는 가공물(W)을 성형한다.
관입 성형 이후에, 상반부 다이(103)가 상승하기 시작한다. 코일 스프링(112)에 의해 반부 다이를 외향으로 가압하는 슬라이드 캠(108)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우향으로 이동하고 관입 성형 이후에 가공물(W)과 간섭하지 않으면서 계속 상승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로터리 캠(106)이 슬라이드 캠(108)에 의한 지지로부터 해제되고, 따라서 자동 복귀구(109)에 의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향으로 피벗된다. 따라서, 가공물(W)이 관입 성형 후에 하반부 다이로부터 빼내어 질 때, 가공물(W)은 로터리 캠(106)의 관입 성형부(105)와 간섭하지 않으면서 제거될 수가 있다.
상기 설명된 부각 성형 공정에 따라, 코일 스프링(112)에 의해 가압된 슬라이드 캠(108)의 하부 표면은 자동 복귀구(109)의 코일 스프링(113)에 의해 가압된 피버팅 플레이트(111)에 접촉하여 로터리 캠(106)을 성형 위치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이후, 패드(110)는 가공물(W)을 프레스한다. 이러한 배열로 인하여, 패드(110)로부터 가공물(W)로의 가압력은 성형시 가공물이 도면과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미세하게 피벗될 수 있을 만큼 강하다. 또 하나의 경우에 있어서, 슬라이드 캠(108)의 코일 스프링(112)의 가압은 자동 복귀구(109)의 코일 스프링(113)의 가압과 잘 밸런스되지 않아 그 결과 성형을 위해 소정 위치로부터 로터리 캠(106)의 미세한 피벗팅운동을 낳는다. 때때로, 이러한 상황이 정밀한 만곡부를 성형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때때로, 대개 1/100mm 정도의 정밀도를 가진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고 품질 부각 성형을 성취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더욱이, 도 9 내지 도 12로 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로터리 캠(106)은 홈부(104)를 제외한 캠의 외주부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하여 하반부 다이(102)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로터리 캠(106)을 지지하는 하반부 다이(102)의 지지부(대략 원형 섹션을 가진 보어) 및 로터리 캠(106)에 정밀하고 어려운 기계 가공이 되어야한다.
더욱이, 로터리 캠(106)의 외벽의 대부분이 하반부 다이(102)에 의한 지지를 위해 사용되므로, 부각 성형 다이는 크고 고가인 경향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각 성형 다이로 성형하는 자동차의 금속제 박판부의 가공 전과 가공 후를 도시하는 두 개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금속제 박판부를 성형하는 상반부 다이가 하사점 까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로터리 캠의 지지와 위치결정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위치결정 수단의 일례인 위치결정 블럭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 있는 화살표(V)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부터 취해진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위치결정 수단의 일례인 수용 블록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수용 블록의 측면도,
도 8은 로터리 캠 축선으로부터 거리가 광범위하게 변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종래의 다중-직경 로터리 캠의 평면도,
도 9는 종래의 부각 성형 다이의 상반부 다이가 상사점에 있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종래의 부각 성형 다이의 상반부 다이가 하강하여 하반부 다이에 맞닿음하여 가공물에 접촉하기 시작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11은 도 9의 종래의 부각 성형 다이의 상반부 다이가 하사점에 있는 상태의 종단면도, 그리고
도 12는 도 9의 종래의 부각 성형 다이가 관입성형하여 상반부 다이가 상승하여 상사점에 있는 상태의 종단면도.
상기 설명된 배경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미세한 피벗팅운동이 로터리 캠을 소정 성형 위치에서 벗어나게 하여, 가공물의 만곡 표면에서 원하지 않는 단계를 행하게 하거나 정밀한 만곡부를 성형할 수 없게 하는 것; 대개 1/100 mm 정도로 정밀한 제품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것; 고 품질로 성형된 금속제 박판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 등의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소정 성형 위치에 로터리 캠을 유지하여, 고 품질로 성형된 금속제 박판 제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금속제 박판 가공물을 위치시키기 위한 지지부를 가진 하반부 다이, 가공물을 성형하기 위해 하반부 다이에 대하여 직선 방향으로 하강하는 상반부 다이로 구성되어 있는 부각 성형 다이를 제공하고, 하반부 다이에 형성된 관입 성형부는 상반부 다이의 하향 괘적의 지지부 안쪽 근처의 에지부에 형성되고, 로터리 캠은 하반부 다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슬라이드 캠은 로터리 캠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대향하며 관입 성형부를 포함하고, 자동 복귀구는 성형 작업 이후에 로터리 캠을 일정 위치로 뒤로 피벗팅하여 가공물을 하반부 다이로부터 빼내게 하기 위해 하반부 다이에 제공되고, 하반부 다이의 지지부상에 위치된 가공물은 로터리 캠의 관입 성형부와 슬라이드 캠의 관입 성형부에 의해 성형되고, 슬라이드 캠은 슬라이딩에 의해 가공물을 성형하고, 상기 자동 복귀구는 성형 작업 이후에 가공물을 하반부 다이로부터 빼내게 하기 위해 로터리 캠을 뒤로 피벗팅하고, 상기 로터리 캠은 돌출하는 지지 축을 포함하는 각각의 두 개의 끝부를 가지고 있고, 지지 축은 로터리 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하반부 다이에 의해 지지되고, 로터리 캠의 축선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수단은 하반부 다이와 로터리 캠에 제공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설명된 배경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미세한 피벗팅운동이 로터리 캠을 소정 성형 위치에서 벗어나게 하여, 가공물의 만곡 표면에서의 원하지 않는 단계를 행하거나 정밀한 만곡부를 성형할 수 없게 하는 것; 대개 1/100 mm 정도로 정밀한 제품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것; 고 품질로 성형된 금속제 박판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 등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본 발명은 관입 성형시 로터리 캠의 원하지 않는 운동을 최소화하고 소정 성형 위치에 로터리 캠을 유지하고, 이에 의해 고 품질로 성형된 금속제 박판 제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금속제 박판 가공물을 위치시키기 위한 지지부를 가진 하반부 다이, 가공물을 성형하기 위해 하반부 다이에 대하여 직선 방향으로 하강하는 상반부 다이로 구성되어 있는 부각 성형 다이를 제공하고, 하반부 다이에 형성된 관입 성형부는 상반부 다이의 하향 괘적의 지지부 안쪽 근처의 에지부에 형성되고, 로터리 캠은 하반부 다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슬라이드 캠은 로터리 캠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대향하며 관입 성형부를 포함하고, 자동 복귀구는 성형 작업 이후에 로터리 캠을 일정 위치로 뒤로 피벗팅하여 가공물을 하반부 다이로부터 빼내게 하기 위해 하반부 다이에 제공되고, 하반부 다이의 지지부상에 위치된 가공물은 로터리 캠의 관입 성형부와 슬라이드 캠의 관입 성형부에 의해 성형되고, 슬라이드 캠은 슬라이딩에 의해 가공물을 성형하고, 상기 자동 복귀구는 성형 작업 이후에 가공물을 하반부 다이로부터 빼내게 하기 위해 로터리 캠을 뒤로 피벗팅하고, 상기 로터리 캠은 돌출하는 지지 축을 포함하는 각각의 두 개의 끝부를 가지고 있고, 지지 축은 로터리 캠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하반부 다이에 의해 지지되고, 하반부 다이에 형성된 백업부는 슬라이드 캠을 수용하는 측과 반대측의 로터리 캠면을 지지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축선으로부터 관입 성형부의 거리에 있어 큰 변화가 있는 경우에도 다중-직경 로터리 캠에 좌우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은 관입 성형부가 피벗팅 축선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백업부와 접촉하는 로터리 캠의 프레스 측 부분을 변화시키는 부각 성형 다이를 제공한다.
(실시예)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근거로하여 상세히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부각 성형 다이에 의한 성형 이전 그리고 이후의 자동차 금속제 박판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b에 도시된 가공물(W)은 관입 성형 공정에 의해 형성된 하부를 가지고 있다.
이 부분은 3-차원 만곡 표면/선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있어서 자동차의 외판을 제공한다는 것을 여기에서는 유의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반부 다이(1)는 가공물(W)용 지지부(2)로 형성된 상부를 가지고 있다. 하반부 다이(1)는 로터리 캠(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데, 이는 지지부(2)에 인접한 사이드를 가지고 있고 상반부 다이(3)의 괘적 안쪽에 위치된 오목부를 성형하기 위한 관입 성형부로 성형되어 있다. 코드(C)는 로터리 캠(5)의피벗팅 운동의 중심을 표시한다. 가공물(W)이 성형된 이 후에, 가공물(W)을 하반부 다이(1)에서 빼내기 위해, 하반부 다이(1)는 에어 실린더 같은 예시 생략된 자동 복귀구를 구비한다. 로터리 캠(5)은 볼트(7)에 의해 하반부 다이에 고정된 피벗-지지 부재(6)에 의해 지지된다.
상반부 다이(3)는 슬라이드 캠(8)과 패드(9)를 구비한다.
소정의 축선위치에 로터리 캠을 유지하여 이에 의해 고 품질 금속제 박판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반부 다이(1)와 로터리 캠(5)은 로터리 캠(5)의 축선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위치결정 수단를 구비한다. 도 3은 위치결정 수단의 모식도이다.
축 형상 로터리 캠(5)은 뻗어있는 지지 축(11)을 구비하는 각각의 두 개의 끝부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지지 축(11)은 베어링(13)에 고정된 관형상 메탈(12)에 끼워 맞춤되어 있다. 메탈(12)은 로터리 캠(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 축(11)은 로터리 캠(5)의 끝부에, 볼트에 의해 고정된 기판(14)을 가지고 있다. 지지 축(11)이 끼워맞춤된 베어링(13)은 볼트(16)에 의해 하반부 다이(1)에 고정된다.
로터리 캠(5)은 상기 한 바와 같이, 베어링(13)에 의해 끝부에 지지된다. 로터리 캠을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하반부 다이에 직접 접촉하려면, 정확한 기계가공이 요구된다. 그러나, 로터리 캠(5)의 대부분은 하반부 다이(1)에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로터리 캠(5)과 하반부 다이(1)의 기계가공이 용이해진다.
로터리 캠(5)의 축선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축선상 위치결정 블록(17)은볼트(18)에 의해 하반부 다이(1)에 고정된다. 위치결정 블록(17)은 볼트(20)에 의해 로터리 캠(5)에 고정되고 위치결정 블록(17)에 끼워맞춤된 수용 블록(19)에 대항하여 소정 위치로 로터리 캠(5)을 위치결정시킨다. 이러한 배열로 인하여, 로터리 캠(5)이 프레스 작업시 축선상 하중을 받는다하더라도, 로터리 캠(5)은 수용 블록(19)과 위치결정 블록(17)과의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축선상 이동이 방지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위치결정 블록(17)은 볼록하게 형성되는 반면, 수용 블록(19)은 오목하게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위치결정 블록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수용 블록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들이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예를 들면, 성형 작업시 로터리 캠이 원하지 않는 이동을 하는 것을 방지 가능하게 하는 위치에 이동 방지 벽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배열이 먼지, 오일 등이 쉽게 바닥으로 떨어지게 하기 때문에, 용이한 사용을 위해 하반부 다이의 위치결정 블록(17)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는 위치결정 블록(17)을 도시하는 반면, 도 6 및 도 7은 수용 블록(19)을 도시하고 있다. 로터리 캠(5)이 대략 기둥형상이므로, 위치결정 블록(17)은 아치형상의 오목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로터리 캠(5)의 기둥형상 외주부에 끼워맞춤하는 반면, 수용 블록(19)은 위치결정 블록(17)에 끼워맞춤하도록 형성된다.
로터리 캠(5)은 베어링(13)에 의해 끝 부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로터리 캠(5)의 외주부의 대부분을 사용함으로써 하반부 다이(1)가 지지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는 부분 접촉에 의해 제공된다.
로터리 캠(5)은, 볼트(23)에 의해 고정된 관입 성형부(4)를 구비하는 상부, 볼트(25)에 의해 고정된 프레스 측 부재(24)를 구비하는 측부, 그리고 볼트(27)에 의해 고정된 피벗팅 접촉 부재(26)에 의해 제공된 바닥부를 가지고 있는, 코어부로서 작용하는 로터리 캠 본체(21)를 포함한다.
로터리 캠(5)은 피벗팅 지지 부재(6)에 접촉하는 피벗팅 접촉 부재(26)를 가지고 있을뿐만 아니라 하반부 다이(1)의 백업부(38)와 접촉하는 프레스 측 부재(24)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배열로 인해, 로터리 캠(5)의 관입 성형부(4) 및 슬라이드 캠(8)의 관입 성형부(22)가 가공물(W)을 프레스할 때, 백업부(28)는 프레스 측 부재(24)에 접촉하여 이에 의해 로터리 캠(5)이 변형하는 것을 방지한다. 백업부(28)를 제공함으로써 로터리 캠(5)의 변형은 명백하게 방지될 수가 있고 고 품질 금속제 박판로 성형된 제품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슬라이드 캠(8)은 볼트(32)에 의해 상반부 다이 기판(31)에 고정된 엑추에이터 캠(33)상에서 슬라이드하고, 볼트(34)에 의해 하반부 다이(1)에 고정된 캠 베이스(35)상에 더 슬라이드한다.
슬라이드 캠(8)은 볼트(39)에 의해 고정된 관입 성형부(22)를, 볼트(37)에 의해 기부(36)에 고정된 브레킷(38)에 유지한다.
슬라이드 캠(8)의 기부(36)에 있어서, 볼트(40)에 의해 고정된 웨어 플레이트(41)는 볼트(43)에 의해 캠 베이스(35)에 고정된 웨어 플레이트(42)상으로 슬라이드한다.
더욱이, 볼트(50)에 의해 브래킷(38)의 하부 표면에 고정된 웨어 플레이트(43)는 볼트(44)에 의해 고정된 웨어플레이트(45)상에서 로터리 캠(5)의 로터리 캠(5) 본체(21)로 슬라이드한다.
가공물을 부각 성형할 때, 통상적으로 피벗 축선으로부터 관입 성형부의 거리는 축선을 따라 변한다. 이러한 것은 축선으로부터 관입 성형부의 거리가 짧다면, 문제가 없다. 하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가 긴 경우 축선을 따라 다른 직경을 가진 다중-직경 로터리 캠(201)이 사용된다. 다중-직경 로터리 캠(201)은 가공물(W)에 긁힌자국을 가끔 남기는 각이진 에지(202)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피벗 축선으로부터의 관입 성형부의 관입 길이가 광범위하게 변화한다면, 다중-직경 로터리 캠이 사용되지않지고, 프레스 측 부재(24)가 축선으로부터의 길이를 따라 사용된다. 프레스 측 부재(24)는 관입 성형부의 축선으로부터의 길이변화에 따라 점차적으로 변형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설명된 바와 같이, 금속제 박판 가공물을 위치시키기 위한 지지부를 가진 하반부 다이, 가공물을 성형하기 위해 하반부 다이에 대하여 직선 방향으로 하강하는 상반부 다이로 구성되어 있는 부각 성형 다이를 제공하고, 하반부 다이에 형성된 관입 성형부는 상반부 다이의 하향 괘적의 지지부 안쪽 근처의 에지부에 형성되고, 로터리 캠은 하반부 다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슬라이드 캠은 로터리 캠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대향하며 관입 성형부를 포함하고, 자동 복귀구는성형 작업 이후에 로터리 캠을 일정 위치로 뒤로 피벗팅하여 가공물을 하반부 다이로부터 빼내게 하기 위해 하반부 다이에 제공되고, 하반부 다이의 지지부상에 위치된 가공물은 로터리 캠의 관입 성형부와 슬라이드 캠의 관입 성형부에 의해 성형되고, 슬라이드 캠은 슬라이딩에 의해 가공물을 성형하고, 상기 자동 복귀구는 성형 작업 이후에 가공물을 하반부 다이로부터 빼내게 하기 위해 로터리 캠을 뒤로 피벗팅하고, 상기 로터리 캠은 돌출하는 지지 축을 포함하는 각각의 두 개의 끝부를 가지고 있고, 지지 축은 로터리 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하반부 다이에 의해 지지되고, 로터리 캠의 축선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수단은 하반부 다이와 로터리 캠에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세한 피벗팅운동이 로터리 캠을 소정 성형 위치에서 벗어나게 하여, 가공물의 만곡 표면에서 원하지 않는 단계를 행하거나 정밀한 만곡부를 성형할 수 없게 하는 것; 대개 1/100 mm 정도로 정밀한 제품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것; 고 품질로 성형된 금속제 박판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 등의 문제들을 해결한다. 본 발명에 따라, 로터리 캠은 소정 성형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고, 따라서 고 품질 금속제 박판 성형 제품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금속제 박판 가공물을 위치시키기 위한 지지부를 가진 하반부 다이, 가공물을 성형하기 위해 하반부 다이에 대하여 직선 방향으로 하강하는 상반부 다이로 구성되어 있는 부각 성형 다이를 제공하고, 하반부 다이에 형성된 관입 성형부는 상반부 다이의 하향 괘적의 지지부 안쪽 근처의 에지부에 형성되고, 로터리 캠은 하반부 다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슬라이드 캠은 로터리 캠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대향하며 관입 성형부를 포함하고, 자동 복귀구는 성형 작업 이후에 로터리 캠을 일정 위치로 뒤로 피벗팅하여 가공물을 하반부 다이로부터 빼내게 하기 위해 하반부 다이에 제공되고, 하반부 다이의 지지부상에 위치된 가공물은 로터리 캠의 관입 성형부와 슬라이드 캠의 관입 성형부에 의해 성형되고, 슬라이드 캠은 슬라이딩에 의해 가공물을 성형하고, 상기 자동 복귀구는 성형 작업 이후에 가공물을 하반부 다이로부터 빼내게 하기 위해 로터리 캠을 뒤로 피벗팅하고, 상기 로터리 캠은 돌출하는 지지 축을 포함하는 각각의 두 개의 끝부를 가지고 있고, 지지 축은 로터리 캠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하반부 다이에 의해 지지되고, 하반부 다이에 형성된 백업부는 슬라이드 캠을 수용하는 측과 반대측의 로터리 캠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세한 피벗팅 운동이 로터리 캠을 소정 성형 위치에서 벗어나게 하여, 가공물의 만곡 표면에서의 원하지 않는 단계를 행하거나 정밀한 만곡부를 성형할 수 없게 하는 것; 대개 1/100 mm 정도로 정밀한 제품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것; 고 품질로 성형된 금속제 박판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 등의 문제들을 해결한다. 본 발명에 따라, 관입 성형시 로터리 캠의 원하지 않는 운동을 최소화하고 소정 성형 위치에 로터리 캠을 유지하고, 따라서 고 품질 금속제 박판 성형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라, 관입 성형부는 피벗팅 축선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백업부와 접촉하는 로터리 캠의 프레스 측 부분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축선으로부터 관입 성형부의 거리가 광범위하게 변화하는 경우, 관입 성형은 다중-직경 캠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실행될 수 있지만 가공물에 긁힌 자국을 남기지 않고 축선으로부터 거리를 따라 프레스 측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Claims (3)

  1. 금속제 박판 가공물을 위치시키기 위한 지지부를 가진 하반부 다이, 가공물을 성형하기 위해 하반부 다이에 대하여 직선 방향으로 하강하는 상반부 다이로 구성되고, 하반부 다이에 형성된 관입 성형부는 상반부 다이의 하향 괘적의 지지부 안쪽 근처의 에지부에 형성되고, 로터리 캠은 하반부 다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슬라이드 캠은 로터리 캠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대향하며 관입 성형부를 포함하고, 자동 복귀구는 성형 작업 이후에 로터리 캠을 일정 위치로 뒤로 피벗팅하여 가공물을 하반부 다이로부터 빼내게 하기 위해 하반부 다이에 제공되고, 하반부 다이의 지지부상에 위치된 가공물은 로터리 캠의 관입 성형부와 슬라이드 캠의 관입 성형부에 의해 성형되고, 슬라이드 캠은 슬라이딩에 의해 가공물을 성형하고, 상기 자동 복귀구는 성형 작업 이후에 가공물을 하반부 다이로부터 빼내게 하기 위해 로터리 캠을 뒤로 피벗팅하고, 상기 로터리 캠은 돌출하는 지지 축을 포함하는 각각의 두 개의 끝부를 가지고 있고, 지지 축은 로터리 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하반부 다이에 의해 지지되고, 로터리 캠의 축선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수단은 하반부 다이와 로터리 캠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각 성형 다이.
  2. 금속제 박판 가공물을 위치시키기 위한 지지부를 가진 하반부 다이, 가공물을 성형하기 위해 하반부 다이에 대하여 직선 방향으로 하강하는 상반부 다이로 구성되고, 하반부 다이에 형성된 관입 성형부는 상반부 다이의 하향 괘적의 지지부 안쪽 근처의 에지부에 형성되고, 로터리 캠은 하반부 다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슬라이드 캠은 로터리 캠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대향하며 관입 성형부를 포함하고, 자동 복귀구는 성형 작업 이후에 로터리 캠을 일정 위치로 뒤로 피벗팅하여 가공물을 하반부 다이로부터 빼내게 하기 위해 하반부 다이에 제공되고, 하반부 다이의 지지부상에 위치된 가공물은 로터리 캠의 관입 성형부와 슬라이드 캠의 관입 성형부에 의해 성형되고, 슬라이드 캠은 슬라이딩에 의해 가공물을 성형하고, 상기 자동 복귀구는 성형 작업 이후에 가공물을 하반부 다이로부터 빼내게 하기 위해 로터리 캠을 뒤로 피벗팅하고, 상기 로터리 캠은 돌출하는 지지 축을 포함하는 각각의 두 개의 끝부를 가지고 있고, 지지 축은 로터리 캠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하반부 다이에 의해 지지되고, 하반부 다이에 형성된 백업부는 슬라이드 캠을 수용하는 측과 반대측의 로터리 캠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각 성형다이.
  3. 제 2 항에 있어서, 관입 성형부는 피벗팅 축선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백업부와 접촉하는 로터리 캠의 프레스 측 부분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각 성형 다이.
KR1020010027153A 2001-03-05 2001-05-18 부각 성형 다이 KR100667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60153A JP3492640B2 (ja) 2001-03-05 2001-03-05 負角成形型
JP2001-60153 2001-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427A true KR20020071427A (ko) 2002-09-12
KR100667196B1 KR100667196B1 (ko) 2007-01-12

Family

ID=18919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153A KR100667196B1 (ko) 2001-03-05 2001-05-18 부각 성형 다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26797B2 (ko)
EP (1) EP1238722B1 (ko)
JP (1) JP3492640B2 (ko)
KR (1) KR100667196B1 (ko)
CN (1) CN1373015A (ko)
BR (1) BR0103096A (ko)
CA (1) CA2345941C (ko)
DE (1) DE60114983T2 (ko)
TW (1) TW5120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2109A (ja) * 2002-07-12 2004-02-12 Umix Co Ltd 負角成形型の回転カム移動装置
US7258030B2 (en) * 2003-01-21 2007-08-21 Syron Engineering & Manufacturing, Llc Failsafe element for rotary cam unit used in a flanged die
US7523634B2 (en) * 2004-08-24 2009-04-28 Helical Cam, Llc. Forming die having filler cam assembly
JP2006116558A (ja) * 2004-10-20 2006-05-11 Your Business:Kk 金属板のプレス成形装置
FR2876929B1 (fr) * 2004-10-27 2008-05-16 Renault Sas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iece metallique a tres haute limite elastique, notamment en acier, et piece correspondante
US8171821B2 (en) 2006-09-28 2012-05-08 Helical Cam, Llc Corner cam assembly
JP5210365B2 (ja) 2010-09-17 2013-06-12 株式会社ユアビジネス プレス成形用金型
DE102010051790A1 (de) * 2010-11-18 2012-05-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bkantvorrichtung mit Rotationswerkzeug
US8789402B2 (en) 2010-12-02 2014-07-29 Norgren Automation Solutions, Llc Bending die with radial cam unit
DE102012203571C5 (de) * 2012-03-07 2016-07-28 Lisa Dräxlmaier GmbH Verfahren zum plastischen Umformen mehrerer elektrisch leitender Schichten eines Flachleiters zu einer mehrdimensionalen Kontur sowie Vorrichtungen für dieses Verfahren
FR2991908B1 (fr) * 2012-06-19 2014-06-1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esse d’emboutissage a contre-forme rotative cooperant avec des blocs de guidage
FR3008910B1 (fr) * 2013-07-23 2016-01-0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Outillage de presse pour le tombage et le renvoi en une seule operation d'un meme bord d'une piece de tolerie
CN109794546A (zh) * 2019-01-04 2019-05-24 安徽汇精模具研发科技有限公司 冲压件挤压成型装置
CN111421056A (zh) * 2020-03-12 2020-07-17 露笑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八字形钣金件一次冲压成型模具
CN113798385A (zh) * 2021-08-02 2021-12-17 广州敏实汽车零部件有限公司 汽车门框中柱内板实现连续自动化生产的冲压工艺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5500A (en) * 1981-01-30 1982-12-28 Chesley F. Carlson Company Web bending fixture
US4434644A (en) * 1982-01-13 1984-03-06 Ready Tools, Inc. Rotary bending and forming devices
JPH08276218A (ja) * 1995-04-04 1996-10-22 Mazda Motor Corp 板材の成形装置
US5784916A (en) * 1997-02-05 1998-07-28 Umix Co., Ltd. Thin sheet forming die assembly including a lower die having plural parallel rotating cylindrical members
US5746082A (en) * 1997-02-05 1998-05-05 Umix Co., Ltd. Thin sheet forming die assembly including lower die cylindrical member having varied diameters
JPH11226672A (ja) * 1998-02-13 1999-08-24 Toyota Motor Corp プレス用金型
JPH11285740A (ja) * 1998-04-01 1999-10-19 Toyota Motor Corp 回転カム軸受構造
US6038908A (en) * 1998-12-08 2000-03-21 Yourbusiness Co., Ltd. Bending die having rotary die
JP3051735B1 (ja) * 1999-04-15 2000-06-12 ユミックス株式会社 負角成形型とその加圧装置
JP3370628B2 (ja) * 1999-11-15 2003-01-27 ユミックス株式会社 負角成形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14983T2 (de) 2006-08-03
JP3492640B2 (ja) 2004-02-03
DE60114983D1 (de) 2005-12-22
US6526797B2 (en) 2003-03-04
EP1238722B1 (en) 2005-11-16
US20020124619A1 (en) 2002-09-12
KR100667196B1 (ko) 2007-01-12
BR0103096A (pt) 2002-12-10
TW512082B (en) 2002-12-01
CA2345941A1 (en) 2002-09-05
JP2002263752A (ja) 2002-09-17
EP1238722A3 (en) 2003-09-10
EP1238722A2 (en) 2002-09-11
CA2345941C (en) 2008-07-08
CN1373015A (zh) 2002-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71426A (ko) 부각 성형 다이
KR100667196B1 (ko) 부각 성형 다이
JP3370628B2 (ja) 負角成形型
US5746082A (en) Thin sheet forming die assembly including lower die cylindrical member having varied diameters
US20020095968A1 (en) Press die
KR20030095164A (ko) 회전체용 회전구동장치
JP3492642B2 (ja) 負角成形型の回転カム移動装置
KR20070102917A (ko) 베어링 구조 및 상기 베어링 구조를 가지는 프레스 성형장치
KR20020071428A (ko) 부각 성형 다이의 로터리 캠 구동 장치
JP2004042109A (ja) 負角成形型の回転カム移動装置
JP3861578B2 (ja) プレス金型装置
JPH08276218A (ja) 板材の成形装置
JP3351142B2 (ja) プレス型装置
JPS6317634Y2 (ko)
JPS60166122A (ja) 薄板の成形方法とその成形型
JP2531034B2 (ja) 薄板の成形金型
JP2866630B2 (ja) 薄板の成形型
JPH06344030A (ja) 薄板の成形方法とその成形型
JP2545176B2 (ja) パンチングマシンの成形用金型
KR100242672B1 (ko) 박판의 성형방법과 그것의 성형형
JPH10192982A (ja) 薄板の成形型
JP2003334615A (ja) 寄曲加工用金型および副パッドの支持方法
JPH0679352A (ja) コの字型プレス曲げ装置
KR100468533B1 (ko) 박판의성형형
JPH069700Y2 (ja) ベンド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