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1102A -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1102A
KR20020071102A KR1020010010997A KR20010010997A KR20020071102A KR 20020071102 A KR20020071102 A KR 20020071102A KR 1020010010997 A KR1020010010997 A KR 1020010010997A KR 20010010997 A KR20010010997 A KR 20010010997A KR 20020071102 A KR20020071102 A KR 20020071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ooling water
electrolyte
tank
electrolytic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훈
Original Assignee
(주)에너펙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너펙텍 filed Critical (주)에너펙텍
Priority to KR1020010010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1102A/ko
Publication of KR20020071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10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25B15/021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of 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25B1/04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producing mixed hydrogen and oxygen gas, e.g. Brown's gas [HHO]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스발생부(100); 냉각부(200); 가스정화부(300); 역화방지부(400); 및 전원부(500)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원부(500)의 전원을 작동시키면 가스발생부(100)의 전해액 순환펌프(130)를 작동시키며, 전해조(110) 내의 전해액의 온도가 소정값 이상이면 냉각팬(240)과 냉각수 순환펌프(260)를 작동시키고, 전해액의 온도가 소정값 이하이면 냉각팬(240)과 냉각수 순환펌프(260)의 작동을 정지시키며, 전해조(110) 내의 전해액의 수위가 소정값보다 낮아지면 냉각수 주입펌프(280)를 작동시켜 냉각수 탱크(250)의 냉각수를 전해액 순환라인(120)으로 공급하며, 역화현상이 발생하여 가스 공급라인(410)의 가스 압력에 변화가 생기면 가스 공급라인(410)의 일부를 차단하여 불꽃이 제2 역화방지탱크(440)와 제1 역화방지탱크(420)를 차례로 거치도록 함과 동시에 공기압축기(460)를 작동시켜 공기를 가스 분배기(470)의 연소 노즐로 배출함으로써 불꽃을 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제어방법에 따르면,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연속적이고도 안정적으로 대량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화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방법{A method for controlling a hydrogen and oxygen generator}
본 발명은 물을 분해하여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발생하여 연소시키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서, 전극판이 설치된 전해조 내에 물(H2O)과 수산화칼륨(KOH)을 7.5 : 2.5로 혼합한 전해액을 수용한 후 전극판에 전류를 인가하면, 전극판의 표면에는 각각 수소가스와 산소가스가 작은 기포의 형태로 생성되기 시작한다. 전극판의 표면에 생성되는 기포는 스스로 전해액의 수면 위로 올라갈 수 있을 정도로 커져야만 전극판의 표면에서 이탈된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기포가 소정의 크기가 될 때까지 전극판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전해액과 접촉해야 할 전극판의 표면적이 이에 부착된 기포의 면적만큼 적어져서 전극판의 표면에서 생성되는 가스의 양이 적게 될 수 밖에 없다.
한편, 전해액의 최적 온도는 45℃ 내지 65℃인데,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가동하면 전해조 내의 전해액이 상기 범위를 넘어 고온으로 된다. 전해액이 고온으로 되어 전해액 중 수산화칼륨(KOH)이 증발되면 수소산소 혼합가스에 불순물이 섞이게 되어 수소산소 혼합가스의 순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서는, 전해액을 냉각시키기 위해 전해액이 수용된 전해조의 내부에 냉각수 파이프를 관통시키거나, 전해조 내에서 증발되는 전해액만을 냉각시키거나, 또는 전해조의 외주연부에 냉각핀을 설치하고 전해조의 아래에 냉각팬을 설치하여 공냉식으로 전해액을 냉각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냉각 방식에서는, 전극판의 표면에 기포가 부착되어 있는 시간이 길어질 수 밖에 없으므로 수소산소 혼합가스의 발생 효율이 저조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는 그 말단에 설치된 연소 노즐에서 연소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의 불꽃이 가스 공급관을 역으로 타고 들어가는 역화현상이 종종 발생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연속적이고도 안정적으로 대량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화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방법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에 사용되는 전해조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전해조를 병렬로 연결하여 도시한 평면도, 및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제어방법은, 전해조(110), 전해액 순환라인(120) 및 전해액 순환펌프(130)를 구비한 가스발생부(100); 열교환기(210), 냉각수 순환라인(220), 라디에이터(230), 냉각팬(240), 냉각수 탱크(250) 및 냉각수 순환펌프(260)를 구비한 냉각부(200); 가스 이송라인(310) 및 가스정화조(320)를 구비한 가스정화부(300); 가스 공급라인(410), 제1 역화방지탱크(420), 제습기(430), 유량조절기(450), 제2 역화방지탱크(440), 공기압축기(460) 및 가스분배기(470)를 구비한 역화방지부(400); 및 극성변환장치(510)를 구비한 전원부(500)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원부(500)의 전원을 작동시키면 가스발생부(100)의 전해액 순환펌프(130)를 작동시키며, 전해조(110) 내의 전해액의 온도가 소정값 이상이면 냉각팬(240)과 냉각수 순환펌프(260)를 작동시키고, 전해액의 온도가 소정값 이하이면 냉각팬(240)과 냉각수 순환펌프(260)의 작동을 정지시키며, 전해조(110) 내의 전해액의 수위가 소정값보다 낮아지면 냉각수 주입펌프(280)를 작동시켜 냉각수 탱크(250)의 냉각수를 전해액 순환라인(120)으로 공급하며, 역화현상이 발생하여 가스 공급라인(410)의 가스 압력에 변화가 생기면 가스 공급라인(410)의 일부를 차단하여 불꽃이 제2 역화방지탱크(440)와 제1 역화방지탱크(420)를 차례로 거치도록 함과 동시에 공기압축기(460)를 작동시켜 공기를 가스 분배기(470)의 연소 노즐로 배출함으로써 불꽃을 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는 가스발생부(100), 냉각부(200), 가스정화부(300), 역화방지부(400), 전원부(500), 제어부(600) 및 표시부(700)로 구성된다.
가스발생부(100)는 전해조(110), 전해액 순환라인(120) 및 전해액 순환펌프(130)를 포함한다.
전해조(110)는, 도 2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케이스(111)로 둘러싸여 있으며, 케이스(111)의 중심에는 전극봉(112)이 직립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전극봉(112)을 중심으로 다수의 원통형 전극판(113)이 설치되어 있다. 전해조(110) 내에는 전해액이 수용된다.
전해조(110)의 케이스(111)과 전극봉(112)에는 전원이 연결된다.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의 작동시 전류가 인가되어 케이스(111)가 음극(-)이 되고 전극봉(112)이 양극(+)이 되면, 케이스(111)와 전극봉(112) 사이의 다수의 전극판(113)에는 전해액에 의해 유도전류가 발생하여 전극판(113)의 각각의 안쪽 원통면이 양극(+)으로 되고 전극판의 각각의 바깥쪽 원통면이 음극(-)으로 된다. 따라서, 전극판(113)의 각각의 안쪽 원통면에서는 산소가스가 발생하고 전극판(113)의 각각의 바깥쪽 원통면에서는 수소가스가 발생한다.
전극판(113)의 하단부 아래의 지점과 전극판(113)의 상단부 위의 지점의 케이스(111)는 전해액 순환라인(120)에 의해 순환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해액 순환라인(120)의 도중에는 전해액 순환펌프(130)가 설치되어 있다.
전해조(110) 내의 전해액은 전해액 순환펌프(130)에 의해 전극판(113)의 하단부 아래의 위치에서 유출된다. 전해조(110)로부터 유출된 전해액은 전해액 순환라인(120)을 통과한다. 전해액 순환라인(130)을 통과한 전해액은 전해조(110)의 전극판(113)의 상단부 위의 위치에서 유입된다. 전해조(110) 내로 유입된 전해액은 전극판(113)의 표면을 스쳐 흘러가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해액이 전해조(110) 내에서 강제로 순환하게 되면, 전극판(113)의 표면을 스쳐 흘러가는 전해액은, 전극판(113)의 표면에서 생성되어 상승하지 못하고 전극판(113)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작은 크기의 기포를 흔들어 주는 효과를 유발하므로 작은 크기의 기포를 표면에서 이탈시킨다. 따라서, 생성된 기포가 이탈된 전극판(113)의 표면에서는 또다른 기포가 빠르게 생성될 수 있으므로 수소산소 혼합가스의 발생 효율이 종래에 비해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
전극판(113)의 표면에서 생성되어 이탈된 후 상승하여 전해액의 수면 위로 빠져나온 기포, 즉 수소산소 혼합가스는 전해조(110)의 상부에 모여진다.
전해액 순환펌프(130)의 하류에는 후술하는 냉각부(200)의 열교환기(210)가 연결된다.
전해조(110)의 측면에는 케이스(111)를 관통하여 전해액의 온도를 직접 접촉하여 측정하는 온도센서(114)가 설치되며, 전해조(110)의 상면에는 안전밸브(1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해액 순환라인(130)과 후술하는 가스 이송라인(310)에는 전해조 수위센서(131)가 설치된다.
냉각부(200)는 열교환기(210), 냉각수 순환라인(220), 라디에이터(230), 냉각팬(240), 냉각수 탱크(250) 및 냉각수 순환펌프(260)를 포함한다.
열교환기(210)는 전해액 순환펌프(130)의 하류에 설치되며, 전해액 유동부와 냉각수 유동부로 구성되어 있다. 전해조(110)로부터 유출된 고온의 전해액은 열교환기(210)에서 저온의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저온으로 된 다음 전해조(110)로 다시 유입된다. 열교환기(210)의 냉각수 유동부에는 냉각수 순환라인(220)이 순환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열교환기(210)의 하류에는 라디에이터(230)가 설치되어 있으며, 라디에이터(230)에는 냉각팬(240)이 인접하게 설치된다. 라디에이터(230)와 냉각팬(240)은 열교환기(210)에서 전해액과 열교환된 냉각수를 냉각시킨다.
라디에이터(230)의 하류에는 냉각수 탱크(250)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수 탱크(250)에는 급수전(251)이 연결되고 또한 냉각수 탱크 수위센서(252)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수 탱크(250)의 하류에는 냉각수 순환펌프(260)가 설치되며, 냉각수 순환펌프(260)는 냉각수 탱크(250)의 냉각수를 열교환기(210)로 순환시킨다.
냉각수 탱크(250)에는 냉각수 주입라인(270)이 냉각수 순환펌프(260)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냉각수 주입라인(270)은 전해액 순환라인(120)에 연결되며, 냉각수 주입라인(270)의 도중에는 냉각수 주입펌프(280)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정화부(300)는 가스 이송라인(310) 및 가스정화조(320)를 포함한다.
전해조(110)의 상부에는 가스 이송라인(310)이 연결되어 있으며, 전해조(110)의 상부에 모여진 수소산소 혼합가스는 가스 이송라인(310)을 통해 가스정화조(320)로 이송되어 정화된다. 가스 이송라인(310)의 도중에는 압력조정기(311)가 설치되어 전해조(100)로부터 유출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한다.
역화방지부(400)는 가스 공급라인(410), 제1 역화방지탱크(420), 제습기(430), 제2 역화방지탱크(440), 유량조절기(450), 공기압축기(460), 및 가스분배기(470)로 구성된다.
가스정화조(320)에 가스 공급라인(410)이 연결되어 있으며, 가스정화조(320)의 하류에는 내부에 물이 수용된 제1 역화방지탱크(420)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정화부(320)에서 정화된 수소산소 혼합가스는 제1 역화방지탱크(420) 내로 주입된 후 제1 역화방지탱크(420) 내의 물을 기포 형태로 통과하여 수면 위로 상승된다. 가스정화부(320)와 제1 역화방지탱크(420) 사이의 가스 공급라인(410)에는 제1 압력전송기(411a)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역화방지탱크(420)의 상부에는 안전밸브(421)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역화방지탱크(420)의 하류에는 제습기(43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역화방지탱크(420)에서 수분이 함유된 수소산소 혼합가스는 제습기(430)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다.
제습기(430)의 하류에는 제1 수동밸브(412a)가 설치된다. 제1 수동밸브(412a)의 하류의 가스 공급라인(410)에는 제1 분기라인(410a)과 제2 분기라인(410b)에 의해 제2 역화방지탱크(440)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제2 역화방지탱크(440)의 상부에는 안전밸브(441)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분기라인(410a)과 제2 분기라인(410b) 사이의 가스 공급라인(410)에는 제1 솔레노이드밸브(413a)가 설치되고, 제1 분기라인(410a)에는 제2 솔레노이드밸브(413b)가 설치되고, 제2 분기라인(410b)에는 제3 솔레노이드밸브(413c)가 설치되어 있다.
제습기(430)의 하류, 즉, 제1 솔레노이드밸브(413a)의 하류에는 유량조절기(450)가 설치된다. 유량조절기(450)의 바로 전의 가스 공급라인(410)에는 제3 분기라인(410c)이 연결되어 공기압축기(460)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제3 분기라인(410c)의 도중에는 압력조정기(461)가 설치되어 공기압축기(46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적절히 조절한다. 압력조정기(461)의 하류에는 제4 솔레노이드밸브(413d)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조절기(450)의 하류에는 가스분배기(4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유량조절기(450)과 가스분배기(470) 사이의 가스 공급라인(410)에는 제2 압력전송기(411b)와 제2 수동밸브(412b)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 분배기(470)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소 노즐이 설치된다.
역화방지부(400)에서 각 구성요소의 근접 하류에는 역류방지기(414)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부(500)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켜 전해조(110)에 직류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전해조(110)의 케이스(111)에 음극(-) 전류를 공급하고 전해조(110)의 전극봉(112)에 양극(+) 전류를 공급한다. 전원부(500)는 전해조(100)의전극판(113)의 극성을 교대로 바꾸기 위한 극성변환장치(510)를 포함한다.
제어부(600)는 가스발생부(100), 냉각부(200), 가스정화부(300), 역화방지부(400) 및 전원부(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제어부(600)에는, 가스발생부(100)의 온도센서(114), 안전밸브(115), 전해액 순환펌프(130) 및 전해조 수위센서(131); 냉각부(200)의 냉각팬(240), 냉각수 탱크 수위센서(252), 냉각수 순환펌프(260) 및 냉각수 주입펌프(280); 가스정화부(300)의 압력조정기(311); 역화방지부(400)의 제1 압력전송기(411a), 안전밸브(421, 441), 제1 솔레노이드밸브(413a), 제2 솔레노이드밸브(413b), 제3 솔레노이드밸브(413c), 공기압축기(460), 제4 솔레노이드밸브(413d) 및 제2 압력전송기(411b); 전원부(500); 및 표시부(700)가 연결되어 있다.
디지털 액정 모니터인 표시부(700)에는, 전해조(110) 내의 전해액의 온도, 전해조(110) 내의 수위 및 공기압력, 및 전해액 순환펌프(230)의 작동 여부가 표시된다. 또한, 냉각팬(240), 냉각수 순환펌프(260) 및 냉각수 주입펌프(280)의 작동 여부와 냉각수 탱크(250)의 수위도 표시부(700)에 표시된다. 또한, 표시부(700)에는, 제1 및 제2 압력전송기(411a, 411b)에서의 압력이 표시되며, 제1 솔레노이드밸브(413a)를 개방시키고, 제2, 제3 및 제4 솔레노이드밸브(413b, 413c)의 개폐여부가 표시된다. 또한, 전원부(500) 전후의 전류 및 전압도 표시부(700)에 표시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조(110)는 연결관(110a, 110b, 110c)에 의해 다수개가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부(500)에서 전원을 작동시키고 제1 수동밸브(412a)와 제2 수동밸브(412b)를 개방하면, 제어부(600)는 가스발생부(100)의 전해액 순환펌프(130)를 작동시켜 전해조(110)에서 전해액을 순환시킨다. 전해작용이 계속됨에 따라 가스발생부(100)의 전해조(110)에서 발생된 수소산소 혼합가스는 가스정화부(300)의 가스정화조(320)로 유입되어 정화된다. 다음, 제어부(600)는 제1 솔레노이드밸브(413a)를 개방시키고, 제2, 제3 및 제4 솔레노이드밸브(413b, 413c, 413d)를 폐쇄시켜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가스 공급라인(410)을 통해 계속 진행되도록 한다.
수소산소 혼합가스는 제1 역화방지탱크(420) 내의 물을 통과한 다음 제습기(430)로 유입되어 수분이 제거된다. 제습기(430)와 제1 솔레노이드밸브(413a)를 통과한 가스는 유량조절기(450)로 유입되어 유량이 조절된 후 가스분배기(470)로 공급되어 연소 노즐에서 연소된다.
한편, 가스발생부(100)의 전해조(110)에서 전해작업을 계속하면, 전해액의 온도가 상승한다. 전해액의 온도가 계속 상승하여, 소정값(예를 들어, 65℃) 이상인 것을 온도센서(114)가 감지하면, 제어부(600)는 냉각팬(240)과 냉각수 순환펌프(260)를 작동시킨다. 냉각팬(240)과 냉각수 순환펌프(260)가 작동되면, 냉각수는 열교환기(210)를 거쳐 라디에이터(230)에서 냉각된 후 열교환기(210)를 통과하여 냉각수 순환라인(220)을 계속적으로 순환한다. 그리고, 전해조(110)에서 온도가 상승된 고온의 전해액도 열교환기(210)를 통과하므로, 전해액을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하강된다.
냉각부(200)가 냉각작업을 계속하여 전해액의 온도가 소정값(예를 들어, 45℃) 이하로 하강하면, 제어부(600)는 냉각팬(240)과 냉각수 순환펌프(260)의 작동을 정지시켜 냉각작업을 중지시킨다.
또한, 전해작업이 계속됨에 따라 전해조(110) 내의 전해액 중에서 물이 미소량씩 증발하게 되어 전해액이 부족하게 된다. 이렇게 전해조(110) 내에 전해액의 수위가 소정값보다 낮아진 것을 전해조 수위센서(131)가 감지하면, 제어부(600)는 냉각수 주입펌프(280)를 작동시켜 냉각수 탱크(250)의 냉각수를 전해액 순환라인(120)으로 공급하여 전해조(110) 내에 전해액을 보충한다.
냉각수 탱크(250)에서 냉각수가 빠져 나가 냉각수 탱크(250)의 수위가 소정값보다 낮아진 것이 냉각수 탱크 수위센서(252)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부(600)는 냉각수 탱크(250)의 수위가 낮아진 것을 표시부(700)에 표시되며 작업자는 급수전(251)을 개방하여 냉각수 탱크(250)에 물을 보충한다.
전해조(110)로부터 유출되는 가스의 압력이 소정값의 범위를 벗어난 것을 가스정화부(300)의 압력조정기(311)가 감지하면, 제어부(600)는 압력조정기(311)를 조절한다. 만약, 전해조(310)로부터 유출되는 가스의 압력이 압력조정기(311)가 조절할 수 있는 범위보다 더 크게 되면, 제어부(600)는 전해조(110)의 안전밸브(115)를 개방하여 전해조(110) 내의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 분배기(470)에는 연소 노즐이 연결되어 연소가 진행되는데, 연소중 불꽃이 가스 공급라인(410)을 역으로 타고 들어가는 역화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역화현상이 발생하여 가스 공급라인(410)의 가스 압력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압력의 변화를 제1 및 제2 압력전송기(411a, 411b)가 감지하면, 제어부(600)는 제1 솔레노이드밸브(413a)를 폐쇄시키고, 제2 및 제3 솔레노이드밸브(413b, 413c)를 개방하여 불꽃이 제2 역화방지탱크(440)와 제1 역화방지탱크(420)를 차례로 거치도록 한다. 따라서, 불꽃은 제2 역화방지탱크(440)와 제1 역화방지탱크(420)의 내부에 있는 물의 수면 위에서 소화된다. 이때, 제1 및 제2 역화방지탱크(420, 440)의 내부에는 소정값보다 큰 압력이 생성되는데, 제어부(600)는 각각의 안전밸브(421, 441)를 개방시켜 내부의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여 탱크를 보호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600)는 제4 솔레노이드밸브(403d)를 개방하고 공기압축기(460)를 작동시켜 공기를 가스 분배기(470)의 연소 노즐로 배출함으로써 불꽃을 소화시킨다.
또한, 제어부(600)는 전원부(500)의 극성변환장치(510)를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시간마다 바꾼다. 따라서, 전해조(110)의 전극판(113)의 극성이 교대로 바꾸어지므로 전극판(113)의 수명이 길어진다.
본 발명은 그 주요 특징을 이루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예와 실시예는 어느 경우에나 제한적인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이상의 상세한 설명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의하면,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연속적이고도 안정적으로 대량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화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해조(110), 전해액 순환라인(120) 및 전해액 순환펌프(130)를 구비한 가스발생부(100); 열교환기(210), 냉각수 순환라인(220), 라디에이터(230), 냉각팬(240), 냉각수 탱크(250) 및 냉각수 순환펌프(260)를 구비한 냉각부(200); 가스 이송라인(310) 및 가스정화조(320)를 구비한 가스정화부(300); 가스 공급라인(410), 제1 역화방지탱크(420), 제습기(430), 유량조절기(450), 제2 역화방지탱크(440), 공기압축기(460) 및 가스분배기(470)를 구비한 역화방지부(400); 및 극성변환장치(510)를 구비한 전원부(500)를 포함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원부(500)의 전원을 작동시키면 가스발생부(100)의 전해액 순환펌프(130)를 작동시키며,
    전해조(110) 내의 전해액의 온도가 소정값 이상이면 냉각팬(240)과 냉각수 순환펌프(260)를 작동시키고, 전해액의 온도가 소정값 이하이면 냉각팬(240)과 냉각수 순환펌프(260)의 작동을 정지시키며,
    전해조(110) 내의 전해액의 수위가 소정값보다 낮아지면 냉각수 주입펌프(280)를 작동시켜 냉각수 탱크(250)의 냉각수를 전해액 순환라인(120)으로 공급하며,
    역화현상이 발생하여 가스 공급라인(410)의 가스 압력에 변화가 생기면 가스 공급라인(410)의 일부를 차단하여 불꽃이 제2 역화방지탱크(440)와 제1 역화방지탱크(420)를 차례로 거치도록 함과 동시에 공기압축기(460)를 작동시켜 공기를 가스 분배기(470)의 연소 노즐로 배출함으로써 불꽃을 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역화현상에 따른 불꽃이 제2 역화방지탱크(440)와 제1 역화방지탱크(420)의 내부에 있는 물의 수면 위에서 소화되면, 탱크 내부의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전원부(500)의 극성변환장치(510)를 주기적으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KR1020010010997A 2001-03-03 2001-03-03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200200711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997A KR20020071102A (ko) 2001-03-03 2001-03-03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997A KR20020071102A (ko) 2001-03-03 2001-03-03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102A true KR20020071102A (ko) 2002-09-12

Family

ID=27696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997A KR20020071102A (ko) 2001-03-03 2001-03-03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110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635B1 (ko) * 2003-05-28 2006-04-17 도요탄소 가부시키가이샤 가스발생장치의 전류제어방법 및 전류제어장치
KR100824827B1 (ko) * 2007-03-02 2008-04-23 손복수 전해조 일체형 전해액탱크를 갖는 워터가스 발생장치
KR101667993B1 (ko) * 2016-06-13 2016-10-24 임성수 역화가 자동 방지되는 대용량 브라운 가스 발생 시스템
CN109915286A (zh) * 2019-04-23 2019-06-21 江苏博润通科技有限公司 车用氢氧发生器抑荡循环储液罐
CN114320836A (zh) * 2022-01-20 2022-04-12 抚顺澳丰安全防护装备有限公司 一种氧气充填泵冷却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2780A (ja) * 1994-09-27 1996-04-09 Dalnivast Aktion Opushestva Atokurita Chiipa Praizuvotsuto Izuje Elektron Darielektron 水電解ガス発生装置
KR200196437Y1 (ko) * 2000-03-24 2000-09-15 백광성 산ㆍ수 가스 발생장치
KR200203926Y1 (ko) * 2000-04-03 2000-11-15 주식회사에너펙텍 플랜트에 적용가능한 브라운가스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2780A (ja) * 1994-09-27 1996-04-09 Dalnivast Aktion Opushestva Atokurita Chiipa Praizuvotsuto Izuje Elektron Darielektron 水電解ガス発生装置
KR200196437Y1 (ko) * 2000-03-24 2000-09-15 백광성 산ㆍ수 가스 발생장치
KR200203926Y1 (ko) * 2000-04-03 2000-11-15 주식회사에너펙텍 플랜트에 적용가능한 브라운가스 발생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635B1 (ko) * 2003-05-28 2006-04-17 도요탄소 가부시키가이샤 가스발생장치의 전류제어방법 및 전류제어장치
KR100824827B1 (ko) * 2007-03-02 2008-04-23 손복수 전해조 일체형 전해액탱크를 갖는 워터가스 발생장치
KR101667993B1 (ko) * 2016-06-13 2016-10-24 임성수 역화가 자동 방지되는 대용량 브라운 가스 발생 시스템
CN109915286A (zh) * 2019-04-23 2019-06-21 江苏博润通科技有限公司 车用氢氧发生器抑荡循环储液罐
CN114320836A (zh) * 2022-01-20 2022-04-12 抚顺澳丰安全防护装备有限公司 一种氧气充填泵冷却装置
CN114320836B (zh) * 2022-01-20 2024-03-15 抚顺澳丰安全防护装备有限公司 一种氧气充填泵冷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92319C (en) Water electrolyzing device
KR20080050380A (ko) 전기분해식차아염소산나트륨발생시스템
KR20020071099A (ko)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CN101420040B (zh) 燃料电池系统及其运行方法
EP2762613A1 (en) A fuel system
JP2018135580A (ja) 水電解システム及び水電解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2021085081A (ja) 水電解システム
KR20020071102A (ko)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JP2007313489A (ja) 殺菌用水製造装置
WO2008140257A1 (en) A ratio controlling apparatus of generating oxygen/hydrogen mixed gas
CN101839493A (zh) 利用太阳能电解水发生氢氧并控制燃烧的装置及方法
CN113436767A (zh) 核反应堆一回路氢气控制系统及方法
KR20050047697A (ko)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및 그 전해조
KR20090030555A (ko) 강제순환 수냉 냉각시스템 Brown's Gas 발생장치
KR200317613Y1 (ko) 대용량 브라운가스 발생 및 연소장치
KR100824827B1 (ko) 전해조 일체형 전해액탱크를 갖는 워터가스 발생장치
CN103741161A (zh) 一种保持电解臭氧发生器性能及延长使用寿命的方法
KR100660176B1 (ko) 물 전해 수소 발생장치
KR20010084747A (ko) 수산 가스 발생 장치
JP2009229046A (ja) 水素酸素混合ガス燃焼システムの背圧自動制御逆火防止システム
KR100553391B1 (ko) 수산가스 연소시스템
JP3101713U (ja) 水素と酸素の混合ガス発生装置
KR200203167Y1 (ko) 재생에너지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분리형 물의전기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소장치
JPH1112773A (ja) 水素と酸素を発生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3100571U (ja) 電解槽の電解液温度安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