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0132A -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0132A
KR20020070132A KR1020020010352A KR20020010352A KR20020070132A KR 20020070132 A KR20020070132 A KR 20020070132A KR 1020020010352 A KR1020020010352 A KR 1020020010352A KR 20020010352 A KR20020010352 A KR 20020010352A KR 20020070132 A KR20020070132 A KR 20020070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fuel cell
reformer
outle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8430B1 (ko
Inventor
우에다데츠야
미야우치신지
나카무라아키나리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0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4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25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in a modular combined reactor/fuel ce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에 따르면, 패키지(2)의 내부는 칸막이 벽(1)에 의해 가스 통로 격실(compartment; 3) 및 비가스(non-gas) 격실(4)로 분할되고, 가연성 가스가 흐르는 구성요소가 가스 통로 격실(3) 내에 위치되며, 가스 통로 격실(3)를 구성하는 패키지(2)의 프레임 부재의 일부에 가스 통로 격실 입구(12a 및 12b), 가스 통로 격실 출구(13) 및 환기팬(14)이 제공되고, 가연성 가스가 흐르지 않는 구성요소가 비가스 격실(4) 내에 위치되며, 비가스 격실(4)의 패키지(2)의 프레임 부재의 일부에 비가스 격실 입구(20)가 제공되어, 송풍기 입구(21)가 비가스 격실(4)의 내부로 개방되게 하고, 공기 출구(22)가 패키지(2)의 내부로 개방되게 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FUEL CELL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킴으로써 전력을 발생하는 연료전지가 패키지 내에 설치되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일본 특개평 5-290868호 및 일본 특개평 4-7526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평 5-290868호 및 일본 특개평 4-75263호의 전체적인 개시내용은 참고로 완전히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다.
도 2는 제 1 종래예로서 일본 특개평 5-290868호에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에서, 참조번호 51은 내부가 칸막이 벽(52)에 의해 전기 장치 격실(53) 및 고온 장치 격실(54)로 분할된 패키지를 나타낸다. 제어부(55)는 전기 장치 격실(53) 내에 설치되는 반면에, 연소팬(56) 및 리포머 출구(57)를 포함하는 리포머(58) 뿐만 아니라 공기 송풍기(59) 및 전지 출구(60)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본체(61)는 고온 장치 격실(54) 내에 설치된다. 참조번호 62는 전기 장치 격실(53)에서 패키지(51)에 제공되는 환기구를 나타내며, 참조번호 63은 전기 장치 격실(53) 및 고온 장치 격실(54)를 통해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배기구를 나타낸다.
이러한 제 1 종래예의 구성에 따르면, 연료전지 본체(61)는 리포머(58)로부터 공급된 수소와 공기 송풍기(59)로부터 공급된 산소를 반응시킴으로써 전력을 발생하고, 여기에서, 연소팬(56) 및 공기 송풍기(59)로부터 공급되는 리포밍 반응을 야기하는 공기가 환기구(62)로부터 전기 장치 격실(53), 배기구(63) 및 고온 장치격실(54)를 통해 흡입된 후, 제어부(55)가 이 순환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리포머(58)에서의 연소 후에 얻어지는 배기 가스는 리포머 출구(57)로부터 패키지(51)의 외부로 배출되고, 연료전지 본체(61)에서의 반응 후에 얻어지는 배기 가스는 전지 출구(60)로부터 패키지(51)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3은 제 2 종래예로서 일본 특개평 4-75263호에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에서, 참조번호 71은 공기흐름관(74)을 통해 서로 결합되는 업스트림 패키지 격실(72) 및 다운스트림 패키지 격실(73)를 포함하는 패키지를 나타낸다. 제어부(75)는 업스트림 패키지 격실(72) 내에 설치되는 반면에, 연소팬(76)을 포함하는 리포머(77) 및 공기 송풍기(78)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본체(79)는 다운스트림 패키지 격실(73) 내에 설치된다. 참조번호 80은 업스트림 패키지 격실(72)에 제공되는 환기팬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81은 다운스트림 패키지 격실(73)에 제공되는 출구를 나타낸다.
이러한 제 2 종래예의 구성에 따르면, 연료전지 본체(79)는 리포머(77)로부터 공급되는 수소와 공기 송풍기(78)로부터 공급되는 산소를 반응시킴으로써 전력을 발생한다. 환기팬(80)에 의해 공급되는 외부 공기는 업스트림 패키지 격실(72), 공기흐름관(74) 및 다운스트림 패키지 격실(73)을 통해 흘러 출구(81)로부터 배출된다. 제어부(75)는 그러한 순환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상술한 제 1 종래예에 따르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에서, 원료 가스 및 수소와 같은 가연성 가스가 리포머(58) 또는 연료전지 본체(61)의 외부로 누출하는 경우에, 누출된 가연성 가스는 연소팬(56)에 의해 리포머(58)로 흡입되거나, 공기 송풍기(59)에 의해 연료전지 본체(61)로 흡입되어, 리포머(58)의 내부 또는 연료전지 본체(61)의 내부에서 비정상적인 연소를 초래한다. 또한, 폭발의 가능성이 최악의 경우 완전히 부정될 수 없다.
상술한 제 2 종래예에 따르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에서, 원료 가스 및 수소와 같은 가연성 가스가 리포머(77) 또는 연료전지 본체(79)의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에도, 누출된 가연성 가스가 환기팬(80)에 의해 출구(81)로부터 배출되므로 안전성이 보장된다. 그러나, 환기팬(80)은 패키지의 전체 공간에 있는 공기를 배출하고, 제어부(75)를 냉각시키기 위해 대체로 큰 용량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이 예와 관련된 문제점은 증가된 전력 소비가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의 효율을 저감시킨다는 것이다.
그러한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폭발 또는 비정상적인 연소의 가능성을 없애 안전성을 보장하고, 높은 효율성을 유지하도록 환기에 필요한 전력을 감소시킨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제 1 종래예에 따르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제 2 종래예에 따르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칸막이 벽2 : 패키지
3 : 가스 통로 격실4 : 비가스 격실
5 : 리포머(reformer)6 : 연료전지 본체
8 : 연소팬 입구10 : 버너
11 : 리포머 출구12a : 가스 통로 격실 입구
12b : 가스 통로 격실 입구13 : 가스 통로 격실 출구
14 : 환기팬15 : 제어부
16 : 공기 송풍기19 : 콘덴서
20 : 비가스 격실 입구21 : 송풍기 입구
22 : 공기 출구27 : 가연성 가스 검출기
본원의 제 1 발명은:
칸막이 벽으로 패키지의 내부를 분할함으로써 제공되는 제 1 격실 및 제 2 격실;
상기 제 1 격실 내에 위치되는 리포머;
상기 제 1 격실 내에 위치되는 연료전지 본체;
상기 제 2 격실 내에 위치되어 상기 리포머 및/또는 연료전지 본체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2 격실 내에 위치되어 상기 연료전지 본체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실의 환기 및 상기 제 2 격실의 환기는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이다.
본원의 제 2 발명은:
상기 제 2 격실의 외벽을 구성하는 상기 패키지의 프레임 부재의 소정 부분에 상기 제 2 격실의 입구가 제공되고;
상기 제 2 격실의 상기 입구가 제공되는 상기 소정 부분과 다른 상기 제 2 격실의 상기 외벽을 구성하는 상기 프레임 부재에 상기 연료전지 본체로부터 상기 패키지의 출구로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공기 출구가 제공되며;
상기 공기 송풍기의 입구가 상기 제 2 격실의 내부로 개방되는 제 1 발명에 따르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이다.
본원의 제 3 발명은:
상기 제 1 격실의 외벽을 구성하는 상기 패키지의 프레임 부재의 소정 부분에 상기 제 1 격실의 입구 및 상기 제 1 격실의 출구가 제공되고;
상기 제 1 격실의 상기 출구에 환기팬이 제공되는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따르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이다.
본원의 제 4 발명은:
상기 리포머 및/또는 상기 연료전지 본체는 상기 제 1 격실의 상기 출구 및 상기 제 1 격실의 상기 입구 사이에 위치되는 제 3 발명에 따르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이다.
본원의 제 5 발명은:
상기 리포머에 버너가 제공되고,
상기 소정 부분과 다른 상기 제 1 격실의 외벽을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에 (1) 상기 버너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연소팬의 입구 및 (2) 상기 리포머로부터 상기 연소 가스를 배출하는 상기 리포머의 출구가 제공되는 제 3 발명에 따르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이다.
본원의 제 6 발명은:
상기 환기팬의 근처에 가연성 가스를 검출하는 가연성 가스 검출기가 제공되는 제 3 발명에 따르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은 패키지(2)의 내부를 가스 통로 격실(3) 및 비가스 격실(4)로 분할하는 칸막이 벽을 나타낸다. 리포머(5) 및 연료전지 본체(6)와 같은 가연성 가스가 흐르는 구성요소는 가스 통로 격실(3) 내에 배치된다.
리포머(5)에는 원료 가스관(7), 연소팬 입구(8)와 연소팬(9)이 설치된 버너(10) 및 리포머 출구(11)가 제공된다. 가스 통로 격실(3)의 외벽을 구성하는 패키지(2)의 프레임 부재의 소정 부분에는 가스 통로 격실 입구(12a, 12b), 가스 통로 격실 출구(13) 및 환기팬(14)이 제공된다.
제어부(15), 공기 송풍기(16) 및 급수장치(18)에 급수관(17a)을 통하여 연결된 콘덴서(19)는 비가스 격실(4) 내에 배치된다. 가연성 가스는 이 구성요소들을 통해서는 흐르지 않는다.
비가스 격실 입구(20)는 비가스 격실(4)의 외벽을 구성하는 패키지(2)의 프레임 부재의 소정 부분에 제공될 뿐만 아니라 공기 송풍기(16)의 송풍기 입구(21)는 비가스 격실(4)로 개방되며, 콘덴서(19)의 공기 출구(22)는 패키지(2)의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연료전지 본체(6)는 각각 가스 통로 격실(3) 내에서 수소관(23)을 통하여 리포머(5)에 연결되고, 미사용 수소관(24)을 통하여 버너(10)에도 연결된다. 또한, 연료전지 본체(6)는 칸막이 벽(1)을 관통하는 공기관(25) 및 미사용 공기관(26)을 통하여 각각 공기 송풍기(16) 및 콘덴서(19)에 연결된다.
급수장치(18)는 칸막이 벽(1)을 관통하는 급수관(17b)을 통하여 리포머(5)에 연결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 격실은 가스 통로 격실(3)에 대응하고,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 격실은 비가스 격실(4)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 격실의 입구는 비가스 격실 입구(20)에 대응하고,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 격실의 입구는 가스 통로 격실 입구(12a, 12b)에 대응하며,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 격실의 출구는 가스 통로 격실 출구(13)에 대응한다.
이하, 상술한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원료 가스관(7)으로부터 공급된 메탄과 같은 원료 가스는 원료 가스를 수소로 변환되도록 리포밍 반응을 가하는 리포머(5) 내의 버너(10)에 의해 가열되어, 급수관(23)을 통하여 연료전지 본체(6)에 공급된다.
반면에, 공기 송풍기(16)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공기관을 통하여 연료전지 본체(6)에 공급되는데, 여기에서, 공급된 수소 및 공기 내의 산소는 전기를 발생하도록 서로 반응하게 된다.
반응에 이용되지 않은 나머지 수소(미사용 수소)는 미사용 수소관(24)을 통하여 버너(10)에 공급되어, 리포밍 반응을 위한 가열 연료로 이용된다.
반응에 의해 생성된 물 및 증기를 포함하는 미사용 공기는 미사용 공기관(26)을 통하여 콘텐서(19)에 유입되며, 미사용 공기로부터 물을 분리한 후에 공기 출구(22)로부터 배출된다. 콘덴서(19) 내에서 분리된 물은 급수관(17a 및 17b)을 통하여 급수장치(18)로부터 리포머(5)에 공급되어, 리포밍 반응의 재료로 이용된다.
이 일련의 동작들은 제어부(15)에 의해 수행된다. 원료 가스는 메탄올과 같은 액체 연료로 대체될 수 있다.
이 때, 가스 통로 격실 입구(12a, 12b)로부터 외부 공기가 흡입되기 때문에 공기 흐름이 가스 통로 격실(3) 내에서 생성된 후, 환기팬(14)에 의해 가스 통로격실 출구(13)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원료 가스 또는 수소와 같은 가연성 가스가 리포머(5) 또는 연료전지 본체(6)와 같은 가연성 가스가 흐르는 구성요소의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 누출된 가연성 가스는 패키지(2)의 외부로 즉시 배출되므로, 리포머(5) 또는 연료전지 본체(6)로의 가연성 가스의 유입으로 인한 폭발 또는 비정상적인 연소의 위험성은 없다. 또한, 칸막이 벽(1)에 의해 제어부(15)로부터 분리하므로, 제어부(15)에 의해 생성된 스파크로 인한 발화 또는 폭발의 위험성은 없다.
일반적으로, 제어부(15)는 열을 발생하는 구성요소들로 구성되고, 반도체 장치와 같은 구성요소의 내열(heat-resisting) 온도가 낮기 때문에 냉각될 필요가 있다. 송풍기 입구(21)는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비가스 격실(4)로 개방되므로, 공기는 비가스 격실 입구(20)로부터 비가스 격실(4)에 흘러 공기 송풍기(16)로 흡입되기 전에 제어부(15)를 냉각시킨다.
환기팬(14)은 가스 통로 격실(3)만을 환기시켜야 하고, 상술한 냉각 효과 때문에 비가스 격실(4)는 환기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환기에 필요한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의 발생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력 소비도 절감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 실시예를 제 1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근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제 2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에서, 가스 통로 격실 출구(13)에는 환기팬(14)이 제공되며, 가스 통로 격실 입구(12a 및 12b)는 가스 통로 격실 출구(13)로부터 충분히 떨어져서 제공된다. 특히,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통로 격실 입구(12a 및 12b)는 각각 리포머(5)의 아래쪽에 및 연료전지 본체(6)의 측면 위치에서 패키지(2)의 외부 벽에 제공된다. 즉, 리포머(5) 및 연료전지 본체(6)는 가스 통로 격실 출구(13)(본 발명에서는 제 1 격실의 출구에 대응) 및 가스 통로 격실 입구(12a 및 12b)(본 발명에서는 제 1 격실의 입구에 대응) 사이에 위치된다.
복수의 가스 통로 격실 입구(12a, 12b)를 가스 통로 격실 출구(13)로부터 충분히 떨어져서 제공하면, 가스 통로 격실 입구(12a, 12b)로부터 흡입된 외부 공기는 가스 통로 격실(3)를 통해 균일하게 흐르고, 가스 통로 격실 출구(13)에서 환기팬(14)에 의해 배출된다. 따라서, 가연성 가스가 흐르는 격실의 외부로 가연성 가스가 누출될지라도, 누출된 가연성 가스는 패키지(2)의 외부로 더욱 완전히 배출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는 가스 통로 격실의 입구가 2개 제공된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을 설명하였지만, 입구의 수는 반드시 하나 이상일 필요는 없고, 입구의 수는 하나이거나 3개 이상일 수 있다. 간략히 설명하면, 가스 통로 격실의 입구의 수는 외부 공기가 가스 통로 격실(3)를 통해 균일하게 흘러 가스 통로 격실 출구(13)에서 환기팬(14)에 의해 배출되는 한 중요하지 않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르는 제 3 실시예는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3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와 근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 3 실시예에서는 아래의 내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예에서, 리포머(5)의 버너(10)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연소팬 입구(8) 및 연소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리포머 출구(11)는 패키지(2)의 외부로 개방된다.
연소팬 입구(8)를 패키지(2)의 외부로 개방하면, 가연성 가스가 흐르는 구성요소의 외부로 가연성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에도, 누출된 가연성 가스는 연소팬 입구(8)로부터 버너(10)로 흐르지 않는다. 그에 따라, 폭발이나 비정상적인 연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제 4 실시예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4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와 근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 4 실시예에서는 아래의 내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 4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의 설명을 생략한다.
환기팬(14)의 근처에 가연성 가스 검출기(27)를 제공하는 제 4 실시예에서,가연성 가스가 흐르는 구성요소의 외부로 가연성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에도, 가연성 가스의 누출은 가스 통로 격실(3) 내의 공기가 환기팬(14)으로 완전히 흘러 가스 통로 격실 출구(13)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즉시 검출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방법이 더 높은 레벨의 안전성을 제공하기 위해 취해질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을 강조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르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의 다른 제 1 예는:
칸막이 벽으로 패키지의 내부를 분할함으로써 제공되는 제 1 격실 및 제 2 격실;
상술한 제 1 격실 내에 위치되는 리포머;
상술한 제 1 격실 내에 위치되는 연료전지 본체;
상술한 리포머 및/또는 상술한 제 2 격실 내에 위치되는 상술한 연료전지 본체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술한 제 2 격실 내에 위치되는 상술한 연료전지 본체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술한 제 1 격실의 환기 및 상술한 제 2 격실의 환기가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의 또 다른 제 2 예는 상술한 다른 제 1 예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술한 제 2 격실의 외벽을 구성하는 상술한패키지의 프레임 부재의 소정 부분에 제 2 격실의 입구가 제공되고;
상술한 제 2 격실의 입구가 제공되는 소정 부분과 다른 상술한 제 2 격실의 외벽을 구성하는 상술한 프레임 부재에 상술한 연료전지 본체로부터 상술한 패키지의 외부로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출구가 제공되며;
공기를 송풍하는 상술한 공기 송풍기의 입구가 상술한 제 2 격실의 내부로 개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는 또 다른 제 3 예는 상술한 제 1 격실의 외벽을 구성하는 상술한 패키지의 프레임 부재의 소정 부분에 제 1 격실의 입구 및 제 1 격실의 출구가 제공되고,
상술한 제 1 격실의 출구에 환기팬이 제공되는 상술한 제 1 예 또는 상술한 제 2 예의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르는 또 다른 제 4 예는 상술한 리포머 및/또는 상술한 연료전지 본체가 상술한 제 1 격실의 출구 및 상술한 제 1 격실의 입구 사이에 위치되는 상술한 제 3 예의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르는 또 다른 제 5 예는 상술한 리포머에 버너가 제공되고,
상술한 소정 부분과 다른 상술한 제 1 격실의 외벽을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에 (1) 상술한 버너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연소팬의 입구 및 (2) 상술한 리포머로부터 연소 가스를 배출하는 리포머의 출구가 제공되는 상술한 제 3 예 또는 제 4 예의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또 다른 제 6 예는 상술한 환기팬의 근처에 가연성 가스를 검출하는 가연성 가스 검출기가 제공되는 상술한 제 3, 제 4, 또는 제 5 예의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예의 모든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은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을 갖는 경우에서와 같이, 폭발 또는 비정상적인 연소의 가능성 없이 안전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환기에 필요한 전력을 절감하고 효율성을 높은 레벨로 유지시키는 효과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예컨대, 가연성 가스가 흐르는 구성요소의 외부로 가연성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에도, 누출된 가연성 가스가 패키지의 외부로 즉시 배출되기 때문에, 폭발 또는 비정상적인 연소의 가능성이 제거되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환기에 필요한 용량을 감소시키고, 예컨대,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의 발생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력 소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예컨대, 가연성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에도 버너로 유입되는 가연성 가스의 흐름을 없애 폭발 또는 비정상적인 연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더욱이, 예를 들어,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방법이 가연성 가스의 누출을 검출한 직후에 취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또한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칸막이 벽으로 패키지의 내부를 분할함으로써 제공되는 제 1 격실 및 제 2 격실;
    상기 제 1 격실 내에 위치되는 리포머;
    상기 제 1 격실 내에 위치되는 연료전지 본체;
    상기 제 2 격실 내에 위치되어 상기 리포머 및/또는 연료전지 본체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2 격실 내에 위치되어 상기 연료전지 본체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실의 환기 및 상기 제 2 격실의 환기는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실의 외벽을 구성하는 상기 패키지의 프레임 부재의 소정 부분에 상기 제 2 격실의 입구가 제공되고;
    상기 제 2 격실의 상기 입구가 제공되는 상기 소정 부분과 다른 상기 제 2 격실의 상기 외벽을 구성하는 상기 프레임 부재에 상기 연료전지 본체로부터 상기 패키지의 출구로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공기 출구가 제공되며;
    상기 공기 송풍기의 입구는 상기 제 2 격실의 내부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실의 외벽을 구성하는 상기 패키지의 프레임 부재의 소정 부분에 상기 제 1 격실의 입구 및 상기 제 1 격실의 출구가 제공되고;
    상기 제 1 격실의 상기 출구에 환기팬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머 및/또는 상기 연료전지 본체는 상기 제 1 격실의 상기 출구 및 상기 제 1 격실의 상기 입구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머에 버너가 제공되고,
    상기 소정 부분과 다른 상기 제 1 격실의 외벽을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에 (1) 상기 버너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연소팬의 입구 및 (2) 상기 리포머로부터 상기 연소 가스를 배출하는 상기 리포머의 출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팬의 근처에 가연성 가스를 검출하는 가연성 가스 검출기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
KR1020020010352A 2001-02-27 2002-02-27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 KR100818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51793 2001-02-27
JPJP-P-2001-00051793 2001-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132A true KR20020070132A (ko) 2002-09-05
KR100818430B1 KR100818430B1 (ko) 2008-04-01

Family

ID=18912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352A KR100818430B1 (ko) 2001-02-27 2002-02-27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11901B2 (ko)
EP (1) EP1235292A3 (ko)
JP (1) JP4024554B2 (ko)
KR (1) KR100818430B1 (ko)
CN (1) CN1272867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472B1 (ko) * 2006-09-25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료전지의 공기 예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2732B2 (ja) * 2002-11-22 2008-1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移動体、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5108718A (ja) * 2003-09-30 2005-04-21 Toshiba Corp 燃料電池および燃料電池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5108716A (ja) * 2003-09-30 2005-04-21 Toshiba Corp 燃料電池
CN100511799C (zh) * 2003-10-01 2009-07-0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燃料电池发电系统
JP4661063B2 (ja) * 2004-03-11 2011-03-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燃料電池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6073264A (ja) * 2004-08-31 2006-03-16 Toshiba Fuel Cell Power Systems Corp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及び温水生成方法
JP4830528B2 (ja) * 2006-02-16 2011-12-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水素生成器及びこれを有する燃料電池システム
US20080156549A1 (en) * 2006-06-26 2008-07-03 Leboe David A Ventilation for fuel cell power unit
US20080026263A1 (en) * 2006-06-28 2008-01-31 Leboe David A Startup circuit for electronics in a hazardous environment
CN101501400B (zh) * 2006-08-22 2011-08-1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燃烧装置、燃料处理装置及燃料电池发电系统
US20080075991A1 (en) * 2006-09-25 2008-03-27 Laven Arne Monitoring and control of fuel cell purge to emit non-flammable exhaust streams
ATE515073T1 (de) 2007-03-22 2011-07-15 Honda Motor Co Ltd Brennstoffzellensystem
JP4337905B2 (ja) 2007-04-18 2009-09-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に搭載された電気機器の冷却装置
CN101689666B (zh) * 2007-07-04 2012-10-3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发电系统
US20090116332A1 (en) * 2007-11-02 2009-05-07 Hsi-Ming Shu Multi-functional fuel mixing tank
CN101889365B (zh) * 2007-12-05 2013-10-1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燃料电池发电系统
JP2009266610A (ja) * 2008-04-25 2009-11-12 Aisin Seiki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
WO2010014585A1 (en) 2008-07-28 2010-02-04 Blanchette Rockefeller Neurosciences Institute Pkc-activating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JP2010062133A (ja) * 2008-08-07 2010-03-18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
JP5431018B2 (ja) * 2008-08-07 2014-03-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EP2556552B1 (en) 2010-04-09 2019-03-1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ystem having high-temperature fuel cells
US9478813B2 (en) 2010-12-13 2016-10-2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WO2012091029A1 (ja) * 2010-12-28 2014-06-05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WO2012114646A1 (ja) * 2011-02-24 2012-08-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5427917B2 (ja) * 2012-05-24 2014-0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5427916B2 (ja) * 2012-05-24 2014-0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CN102881936B (zh) * 2012-09-28 2014-12-17 引峰新能源科技(上海)有限公司 紧凑安全型燃料电池系统
JP6313139B2 (ja) * 2014-06-30 2018-04-1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7132B2 (ja) * 1987-07-24 1995-08-16 富士電機株式会社 燃料電池発電装置
JPH01320775A (ja) * 1988-06-22 1989-12-26 Tokyo Gas Co Ltd 燃料電池ユニット
JPH0475263A (ja) * 1990-07-18 1992-03-10 Fuji Electric Co Ltd パッケージ型燃料電池発電装置
JPH05290868A (ja) * 1992-04-09 1993-11-05 Fuji Electric Co Ltd パッケ−ジ型燃料電池発電装置の換気構造
JP3138118B2 (ja) * 1993-06-15 2001-02-26 大阪瓦斯株式会社 パッケージ型燃料電池発電装置
JPH0831436A (ja) * 1994-07-13 1996-02-02 Toshiba Corp パッケージ型燃料電池発電プラント
JPH09199152A (ja) * 1996-01-19 1997-07-31 Toshiba Corp パッケージ型燃料電池発電プラントの換気方法
US5980726A (en) * 1998-05-05 1999-11-09 Proton Energy Systems Hydrogen electrochemical system environment
US6682841B1 (en) * 2000-04-19 2004-01-27 Delphi Technologies, Inc. Thermal management for a vehicle mounted fuel cell system
US6783882B2 (en) * 2001-02-14 2004-08-31 Ball Aerospace & Technologie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enance of fuel cell cathode air quality with breathable hydrophobic membrane air filter
US6532792B2 (en) * 2001-07-26 2003-03-18 Avista Laboratories, Inc. Method of compensating a MOS gas sensor, method of manufacturing a MOS gas sensor, MOS gas sensor, and fuel cell system
US20060289088A1 (en) * 2005-06-28 2006-12-28 General Electric Company Titanium treatment to minimize fretting
KR100519411B1 (ko) * 2005-06-28 2005-10-06 주식회사 케이엠지 미끄럼방지제
AT502144A1 (de) * 2005-06-28 2007-01-15 Dsm Fine Chem Austri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chreinem, halogenfreien o-phthalaldehyd
JP2007009719A (ja) * 2005-06-28 2007-01-18 Sanyo Electric Co Ltd ベーンポンプ装置
JP2007009500A (ja) * 2005-06-30 2007-01-18 Nissei Ltd パズル循環式駐車設備の運転方法
JP4129960B2 (ja) * 2005-07-01 2008-08-06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ステー
JP2007008903A (ja) * 2005-07-04 2007-01-18 Idemitsu Kosan Co Ltd アルカン類又はシクロアルカン類の酸化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472B1 (ko) * 2006-09-25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료전지의 공기 예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11901B2 (en) 2006-03-14
CN1372344A (zh) 2002-10-02
US20020127446A1 (en) 2002-09-12
EP1235292A2 (en) 2002-08-28
EP1235292A3 (en) 2005-07-20
KR100818430B1 (ko) 2008-04-01
JP4024554B2 (ja) 2007-12-19
CN1272867C (zh) 2006-08-30
JP2002329515A (ja) 200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430B1 (ko)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
JP4537313B2 (ja) 燃料電池装置
WO2008023729A1 (en) Combustion apparatus, fuel treatment device, and fuel cell power generating system
WO2012081220A1 (ja) 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JP5914862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7340753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WO2012081204A1 (ja) 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JP2007207441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3138118B2 (ja) パッケージ型燃料電池発電装置
EP3336945B1 (en) Fuel cell system
JP2001176762A (ja) 半導体製造機器の換気方法及び換気設備
JPH09199152A (ja) パッケージ型燃料電池発電プラントの換気方法
JP2007048704A (ja) 燃料電池装置
WO2012081207A1 (ja) 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JP4015839B2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US7556875B2 (en) Fuel cell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ing an off-gas heating heat exchanger used to heat anode stream off-gas containing hydrogen
JP2005085642A (ja) 定置用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5229121B2 (ja) 燃料電池装置
JP6304601B2 (ja) 燃料電池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WO2013153789A1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JP2010062004A (ja) 燃料電池発電装置及び燃料電池発電装置の冷却方法
JP2016143624A (ja) 燃料電池発電装置
EP3240077A1 (en) Fuel cell system
JP2006114377A (ja) 燃料電池発電装置の換気装置
JP2008258024A (ja) パッケージ型燃料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