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9539A -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9539A
KR20020069539A KR1020010009589A KR20010009589A KR20020069539A KR 20020069539 A KR20020069539 A KR 20020069539A KR 1020010009589 A KR1020010009589 A KR 1020010009589A KR 20010009589 A KR20010009589 A KR 20010009589A KR 20020069539 A KR20020069539 A KR 20020069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brain
group
brain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기
김무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010009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9539A/ko
Publication of KR20020069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53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61K31/355Tocopherols, e.g.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83Diesters of a phosphorus acid with two hydroxy compounds, e.g. phosphatidylinositols
    • A61K31/685Diesters of a phosphorus acid with two hydroxy compounds, e.g. phosphatidylinositols one of the hydroxy compounds having nitrogen atoms, e.g. phosphatidylserine,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보노이드, 아스코르빈산, 토코페롤 및 이들의 배합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항산화제;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세린, 도코사헥사에노인산 및 이들의 배합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뇌세포막 구성지질; GABA 및 은행잎 추출물, 비타민 B군 및 이들의 배합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보조성분을 함유하여 뇌의 외부 또는 내부로부터 계속되는 자극에 의해 죽어가는 뇌세포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 성분이 섭취된 후에 실질적으로 뇌조직에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뇌장벽을 통과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되어 뇌세포가 죽는 주된 원인이라 할 수 있는 활성산소 및 프리라디칼 (free radicals)의 생성을 줄이고 생성된 프리라디칼을 제거하는 한편 손상된 뇌세포의 복구를 위한 뇌세포막 구성성분을 제공함으로써 노화에 따른 뇌기능 감퇴현상을 늦추고 증상을 호전시킨다.

Description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Composition for healthy brain}
본 발명은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주성분으로서 세포막을 프리라디칼 (free radicals)과 같이 반응성이 큰 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항산화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감마아미노부티린산 (GABA, γ-aminobutyric acid), 손상된 세포막 성분을 보충하기 위한 뇌세포막 구성지질, 보조성분으로서 뇌세포의 활성을 높이고 혈류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한 은행잎 추출물 및 비타민 B군을 함유하는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뇌는 신체기관 중 가장 중요한 기관이므로 여러가지 방어벽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 즉, 혈관과 뇌 사이의 장벽, 높은 항산화물질의 농도, 고효율의 신경전달물질 회수장치 등에 의해 자신을 스스로 보호할 수 있는데, 이를 적절히 유지시키고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신경세포의 구성성분과 에너지 공급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신경세포는 한번 죽으면 새로운 세포를 보충하지 않고 남아 있는 세포의 축색돌기를 연장하여 죽은 세포의 자리를 채워서 정보전달회로를 복구하는데, 세포의 죽는 속도가 너무 빠르면 복구 속도가 이를 감당하지 못하게 되어 뇌의 기능이 급속히 떨어지게 된다. 뇌세포는 콜린 (choline)과 같은 필수적인 신경전달물질을 합성하기 위한 전구물질의 공급부족에 의한 세포의 자가소화, 활성산소류 및 과산화물에 대응하는 세포의 항산화기구의 부족에 의한 자가방어기작의 감소, 글루타민산 (glutamic acid)이나 아스파르틴산 (aspartic acid)과 같은 흥분성 신경전달물질 과다에 의한 세포의 과로사, 뇌세포의 항상성 유지를 위해 필요한 에너지 대사의 감소 등 유전적인 원인 외에도 과도한 스트레스 또는 노화의 과정에서 접하게 되는 많은 원인에 의해 뇌세포 사멸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뇌세포 사멸을 유발시키는 여러가지 요인 중에는 특히 현대인들이 자주 접하게 되는 음주, 흡연, 과도한 스트레스, 약물남용, 또는 가스중독, 선천성면역결핍증, 뇌질환 등이 포함된다.
뇌세포 사멸의 주원인은 특히 과다하게 발생되는 활성산소라고 볼 수 있다. 뇌는 신체의 다른 조직들과는 달리 에너지 대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곳이며, 이를 위해 신체의 평균 산소소비량에 비해 9배의 산소를 소모하기 때문에 세포막의 구성성분인 지질이나 단백질의 산화를 촉진시키는 활성산소의 발생량도 그만큼 높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활성산소나 계속적으로 접하게 되는독성물질들이 세포 안밖에서 뇌세포를 공격하기 때문에 정상상태에서도 뇌세포는 죽어가게 된다.
이러한 뇌세포의 사멸로 인하여 학습능력, 기억능력, 인지능력 등의 주된 뇌기능은 현저한 감소를 가져오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특히 치매 등의 경우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최근에 사회의 노령화로 인하여 치매환자, 특히 노령인구에서의 치매 발병이 급증하는 추세는 사회문제로 까지 대두되고 있다.
상기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뇌세포는 일단 사멸하면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뇌세포가 사멸하기 전에 미리 뇌세포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활발하게 유지시키면서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원인에 의해 손상을 입었거나 손상받을 우려가 있는 뇌세포를 보호하는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는 항우울제, 항정신성 약제, 항경련제 등의 여러가지 약제가 이용되어 왔으나, 이들은 단지 뇌신경손상으로 인한 증상의 일부를 개선시키기 위한 것으로 아직까지 뇌세포의 사멸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제품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뇌의 이상에 따른 질환의 원인이 점차 밝혀지고 있고, 이에 대해 효과적인 물질들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플라보노이드,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세린, 은행잎 추출물, 감마아미노부티린산 등이 뇌질환의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보고되었다. 또한 레시친과 비타민 B12의 혼합물이나 인삼성분과 DHA, 항산화제 혼합물이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뇌속 농도를 높이고 치매증상 개선에 도움을 보인다는 보고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뇌세포가 사멸하기 전에 미리 이를 예방함으로써 근본적으로 뇌기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예방목적의 제품을 개발하고자 집중적인 노력을 하여 왔으며, 특히 인체에 대한 부작용으로 인한 이차적인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부작용 발생가능성이 거의 없는 성분들을 대상으로 제품을 구성하기 위해 연구를 계속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는 활성산소의 과다한 발생을 막고 활성산소와 과산화물의 합성을 저하시키고, 손상된 또는 손상이 진행중인 뇌세포의 구성성분을 공급하거나 신경세포성장인자의 활성을 도와줌으로써 뇌세포 손실을 줄이는 효과를 가지는 성분들이 서로 상승작용 또는 상호보완작용을 하도록 배합시킴으로써 이하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조성물을 제공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도 1은 시험예 1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랫트를 사용하여 미로실험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미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랫트를 사용하여 목표지점에 도달하는 시간으로서 나타낸 그래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성분인 항산화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및 뇌세포막 구성지질, 및 이들의 효과를 증강시키는 보조성분을 함유하여 뇌의 외부 또는 내부로부터 계속되는 자극에 의해 죽어가는 뇌세포를 보호하기 위한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주성분으로서 뇌세포의 구성성분 및 세포막을 프리라디칼 (free radicals)과 같이 반응성이 큰 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플라보노이드, 토코페롤, 아스코르빈산 및 이들의 배합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항산화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감마아미노부티린산 (GABA), 및 손상된세포막 성분을 보충하기 위한 것으로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세린, 도코사헥사에노인산 (DHA, docasahexaenoic acid) 및 이들의 배합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뇌세포막 구성지질을 함유하고, 보조성분으로서 뇌세포의 활성을 높이고 혈류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한 은행잎 추출물 및 비타민 B군을 함유하는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은 조성물내에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또는 올리고머릭 프로안토사이아니딘), 토코페롤, 아스코르빈산과 같은 항산화물질, 감마아미노부티린산과 같이 세포내에 과다한 프리라디칼의 생성을 억제하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세린, 도코사헥사에노인산 등과 같은 뇌세포막 구성지질, 및 은행잎 추출물, 비타민 B군 등과 같이 에너지 대사를 돕고 뇌로 향하는 혈류를 원활히 하여 주성분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보조성분이 각각의 독특한 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여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얻어지는 효과로부터는 예상할 수 없는 상승적효과를 나타내어 노화의 과정이나 특수한 경우 세포 안밖의 독성물질 공격으로부터 뇌세포를 보호하고 손상된 세포를 복구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으로 간단하게 복용할 수 있는 구조로서, 혼합된 성분들은 복용 후 30분에서 1시간 내에 혈류로 쉽게 흡수될 뿐만 아니라 뇌관문 까지 통과하므로써 각 성분이 자연적으로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된 각 성분의 형태와 조성물에서의 역할은 아래와 같다.
1) 항산화성분
뇌에서는 높은 수준의 에너지 대사가 일어나고 이에 따라서 평균적인 신체조직에 비해 9배의 산소가 소요되는 만큼 과량의 활성산소가 발생된다. 정상상태에서는 SOD (superoxide dismutase)나 아스코르빈산, 토코페롤 등 자체의 항산화기구에 의해 활성산소가 제거되므로 활성산소, 과산화물 등의 반응성이 강한 프리라디칼류의 생성과 항산화기구에 의한 제거가 균형을 유지하지만 여기서 넘치는 프리라디칼에 의해 뇌세포는 항상 죽어가며 노화가 진행된다. 특히 노화되거나 뇌기능 장애를 수반하는 질병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SOD와 같은 항산화 효소기구의 활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관찰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프리라디칼의 발생이 계속되는 경우 뇌세포의 사멸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므로 외부로부터 강력한 항산화기구를 공급해 줄 필요가 있다.
플라보노이드 (flavonoids)
플라보노이드는 식물계에 널리 퍼져 있고 특히 폴리페놀 또는 올리고머릭 프로안토사이아니딘 (OPC, oligomeric proanthocyanidins) 등은 아스코르빈산이나 토코페롤의 수십배에 달하는 강력한 항산화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플라보노이드의 공급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녹차추출물, 포도씨, 소나무껍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녹차추출물에는 80%가 폴리페놀이고 카테친 (catethin), 에피갈로카테친 갈레이트 (epigallocatethin gallate, EGCg), 에피카테친 (epicatethin, EC), 에피갈로카테친 (epigallocatethin, EGC), 에피카테친 갈레이트 (epicatethin gallate,ECg) 등이 함유되어 있다. 녹차는 이들 카테친의 작용 때문에 뇌의 활성산소 제거 및 SOD를 활성화하여 뇌의 노화를 예방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카테친과 같은 강력한 항산화력을 가지는 OPCs는 포도씨나 소나무껍질에서 추출한다. 노화에 의한 뇌기능 감소 증상의 개선에 이들 항산화제가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플라보노이드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3-17 중량%, 바람직하게는 5-10 중량%의 비율로 존재한다.
아스코르빈산과 토코페롤
아스코르빈산은 친수성 물질로서 뇌관문을 직접 통과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뇌내부에 혈액농도의 10배를 유지하고 있고 뇌내의 항산화기구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토코페롤은 뇌관문을 통과하는 지용성 항산화제이다. 토코페롤과 아스코르빈산은 같이 작용하여 서로를 재생시키는 등 상승작용을 보인다.
각 물질은 성질의 차이 때문에 항산화력을 발휘하는 작용부위가 다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항산화물의 조성은 아스코르빈산은 수용성, 토코페롤은 지용성, 플로보노이드는 그 경계면에서 서로의 작용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리라디칼에 대응하는 항산화력을 극대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아스코르빈산 및 토코페롤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각각 0-6 중량% 및 0-3 중량%, 바람직하게는 3-6 중량% 및 2-3 중량%의 비율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항산화제로는 플라보노이드, 아스코르빈산 및 그의 유도체, 또는 토코페롤 및 그의 유도체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을 중량기준으로 40-50%/30-40%/15-25%의 비로 혼합시킨 배합물의 형태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감마아미노부티린산 (GABA)
글루타민산, 아스파틴산, 호모시스테인, 시스테인 등 뇌신경 흥분성독물 (excitotoxin)들은 뇌세포의 칼슘채널을 열어 세포를 흥분상태로 지속시키는데 이때 많은 양의 프리라디칼을 만들어서 신경세포를 죽이게 된다. 이러한 독물은 뇌 뿐만 아니라 간, 적혈구 등의 다른 기관에서도 작용하여 여러가지 퇴행성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감마아미노부티린산 (GABA)은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뇌의 신경말단에 존재하는 글루타민산 탈탄산효소 (glutamate decarboxylase)에 의해 글루타민산으로부터 합성된다. GABA는 전체 뇌세포 연결부분의 1/3 가량에서 사용되어 진다. GABA는 흥분성 독물에 반대작용을 하므로써 독물에 의한 프리라디칼의 생성을 저하시키고 뇌세포를 프리라디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치매환자와 같은 뇌질환은 글루타민산과 같은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의 분비가 높은 반면 GABA와 같은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의 농도가 낮아 뇌세포의 죽음이 가속화된다. GABA는 일반적으로 쌀눈을 숙성하여 그 추출물로부터 얻으며 뇌의 혈류를 증가시켜거 산소공급 및 뇌세포 대사기능을 촉진하고 정신안정작용을 하는 것이 밝혀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GABA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 g당, 7 ㎎ (즉 0.7%) 이상의 GABA 농도를 가지는 발효쌀눈 엑기스, 또는 GABA 농도 3%인 젖산균 발효 펩타이드 분말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GABA는 전체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1-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15 중량%의 비율로 존재한다.
3) 세포막 구성성분
두뇌의 신호전달에 관련된 모든 반응은 신경세포의 막에서 매개되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세포막은 활성산소의 공격에 매우 취약한 고도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된 인지질이 매트릭스를 이루고 있으므로 세포막은 쉽게 손상을 입고 손상이 진행됨에 따라 그 기능이 상실된다.
포스파티딜콜린
콜린은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과 세포막의 주요 구성성분이므로 뇌의 영양에서 가장 중요한 물질중의 하나이다. 치매증에서와 같이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이 부족해 지는 경우 뇌는 세포막의 자기소화에 의해 콜린의 부족분을 메꾸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세포막에서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노화나 뇌세포의 기능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콜린의 추가공급이 필요하다.
콜린의 공급은 콜린클로라이드 형태 보다는 레시친 형태로 하는 것이 흡수효율이나 지속성, 사용편의성 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레시친은 주로 난황이나 대두레시친을 그대로 사용하는데 난황 레시친은 인지질의 70%가 포스파티딜콜린이므로 콜린의 공급원으로서 난황레시친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반면대두레시친은 인지질 또는 아세톤 불용물 중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이 25% 정도로 낮은 상태이기 때문에 에탄올 처리 등의 방법을 거쳐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을 50% 이상으로 높인 대두레시친을 본 조성물의 콜린 공급원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포스파티딜콜린은 전체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6-29 중량%, 바람직하게는 6-10 중량%의 비율로 존재한다.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세린 (PS)은 동물세포의 막의 주요 구성성분 중의 하나이지만 특히 뇌세포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PS는 신경세포의 막에서 작용하는데 막단백질의 활성에 영향을 준다. PS는 신경전달물질들의 수용체나 효소의 활성에 요구되며 가수분해가 된 라이소포스파티딜세린 (LPS, lysophosphatidylserine)은 신경손상 복신호로서 신경성장인자와 상승작용을 한다. PS는 포스파티딜콜린과는 달리 완전분해되지 않고 뇌관문을 쉽게 통과한다.
지금까지 소의 골로부터 추출한 PS가 노화관련 뇌기능 감퇴에서 뇌기능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많은 결과가 보고되었으나, 감염의 위험성 때문에 대두레시친을 포스포리파제 D를 이용하여 PS로 전환시킨 변형레시친을 PS의 공급원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PS용 변형레시친으로 바람직하게는 PS 농도 20%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포스파티딜세린은 전체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0-16 중량%, 바람직하게는 1-10 중량%의 비율로 존재한다.
도코사헥사에노인산 (DHA)
DHA는 뇌세포 지질에 농축되어 있는 성분으로 뇌세포 재생을 위해서 첨가할 뿐 아니라 본 발명의 조성물이 페이스트상으로 다루고 포장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점을 감안하여 DHA를 트리아실글리세롤 형태로 공급하므로서 조성물에 DHA 보강과 캡슐화가 쉬운 액상으로 만드는 두가지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DHA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DHA 함량이 12.5% 내지 40%인 정제어유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DHA 오일은 전체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0-8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중량%의 비율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뇌세포막 구성지질로 바람직하게는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세린 또는 도코사헥사에노인산 (DHA)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을 중량기준으로 35-45%/35-45%/15-25%의 비로 혼합시킨 배합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4) 보조성분 (세포활성 증진성분)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세포활성을 증진시키는 보조성분으로는 은행잎 추출물과 비타민 B군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이 사용된다.
뇌는 신체의 평균에 비해 9배의 에너지 대사가 필요한 장기이고 이를 위해 산소 및 영양소가 충분히 공급되어야 한다. 만약 세포의 에너지 준위가 떨어질 경우 흥분성 아미노산과 같은 독성물질의 독성이 크게 증가되어 보통의 농도에서도 세포를 죽일 수 있을 정도가 되므로 뇌에서는 에너지 대사의 항상성 유지가 중요하다.
은행잎 추출물에 함유된 물질(ginkgolides)은 뇌의 모세혈관을 확장해서 뇌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뇌의 에너지 대사를 증진시킨다. 비타민 B군은 신경조직 형성, 신경전달물질 합성 등에 관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들은 주성분의 활성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하는 보조성분으로서 첨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비타민 B군으로는 비타민 B 컴플렉스이거나 비타민 B1, B3, B5, B6 및 B12가 20-25%/40-45%/20-25%/10-15%/0.1% 이하의 비로 혼합된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은행잎 추출물은 전체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0-1 중량%, 바람직하게는 0.5-0.7 중량%의 비율로 존재하며, 비타민 B군은 전체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0.3-2 중량%, 바람직하게는 0.5-1.7 중량%의 비율로 존재한다.
이들 성분이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인체에 무해하며 페이스트 형태의 조성물을 복용이 용이한 캅셀제 형태로 만들기 위한 제제화 보조제로서 들깨유, 경화유, 밀납 등의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제제화 보조제는 전체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40-60 중량%, 바람직하게는 42-55 중량%의 비율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전체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항산화제는 1-26 중량%, 바람직하게는 10-25 중량%, GABA는 1-20%, 바람직하게는 10-15 중량%, 뇌세포막 구성지질은 6-4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30 중량%, 보조성분은 0.3-3 중량%, 바람직하게는 2-2.5 중량%, 및 제제화 보조제는 40-60 중량%, 바람직하게는 42-55 중량%의 비율로 존재할 수 있다. 이들 성분 비율은 임계적인 의미를 갖지는 않으나, 이들 비율로 배합하였을 때 목적하는 가장 바람직한 효과가 제공되고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균형있는 효과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한 비율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에 전혀 해가 없으므로 그의 일일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여러가지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비율로 배합된 조성물을 바람직하게는 성인이 하루에 100-100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2000 ㎎의 양으로 1회 또는 2회에 나누어 복용함으로써 뇌세포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의 성분들을 지정한 비율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간단히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들 예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의 표 1에 기재된 원료를 기술된 배합비율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혼합하여 젤라틴 캅셀을 제조하였다. 캅셀당 내용물은 377 ㎎으로 하였으며, 이를 성인이 아침 및 저녁에 각 2 캅셀씩 복용하므로써 뇌세포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시험예 1
SD계 랫트 (숫컷) 3주령 (21일령)을 사용하여 다음의 조건에서 시험을 행하였다. 실험구당 개체수는 20마리로 하고 총 7개의 실험구를 준비하였으며, 실험시간 중 사육방법은 각 실험구 간에 환경은 동일하게 하고 급식만 변화를 주었다. 기본사료로는 시판되고 있는 펠렛화된 랫트용 사료를 사용하여 대조군에 투여하였고 여기에 각 실험군 마다의 특수성분을 첨가하여 실험용 사료를 제조하였다. 사료의 제조는 먼저 기본사료를 분말화하여 시험용 물질을 혼합시킨 후 다시 펠렛화하여 각 처리군의 사료로 사용하였다. 사용된 사료의 조성은 표 2에 기재한 바와 같다.
랫트의 사육은 21일령 부터 시작하여 39일령 까지 1단계, 39일령 부터 56일령 까지 2단계로 나누었으며 표 2의 다섯가지 사료를 표 3에서와 같이 대조군 포함 7군으로 사육하였다.
사료의 투여량은 매일 오전 10시에 조절하였는데 21일에서 39일 까지의 1단계에서는 20 g을 40일 째에서 56일 까지의 2단계에서는 40 g을 채워주고 자유로이 섭취토록 하였다. 각 랫트의 사료섭취량은 단게별로 기록하였다.
각 사료로 사육한 랫트의 평균체중변화는 21일령 실험 사육초기에 62-63 g이었고 56일령이 되어서는 200-230 g이었다. 각 군별 랫트의 체중에 대한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미로실험
각 사육구에 대해 56일령에서 63일령 까지 8일간에 걸쳐 미로실험을 수행하였다. 미로실험은 도 1에서와 같이 S를 시작점으로하여 여러 장애를 통과시켜 G를 목표지점으로 하였다. 통로의 폭은 10 ㎝, 높이는 7.5 ㎝의 검정색 아크릴판을 사용하여 만들었으며 천정은 투명한 아크릴로 덮개를 씌웠다.
미로학습 첫날 랫트를 한번만 옳은 길을 가도록 손으로 유도한 후, 실험을 실시하였다. 한번 지나간 자리는 냄새를 없애기 위해 알코올이 묻은 솜으로 미로를 닦아 내고 말린 후 다음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 결과는 S에서 G 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기록하였다. 5분 이상 걸리는 것은 일률적으로 5분으로 처리하였으며 통계학적 처리는 t-검정법으로 하였다. 미로시험의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 (2군)은 랫트의 목표지점 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대조군 (1군)에 비해 유의차 있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성물의 투여시기에서 사육 전반부 18일간만 조성물이 포함된 사료를 투여한 3군과 후반 17일간만 투여한 4군을 비교할 때 어릴 때 조성물을 섭취하는 것이 뇌발달에 더 효과적임을 알수 있다. 또한 전체 성분 (2군) 및 각각의 성분군을 투여한 5, 6, 7군을 비교한 결과 항산화성분 (5군)과 세포막 구성분 (6군)을 투여한 경우 대조군 (1군)에 비해 유의차를 볼 수 있었으며 전체의 성분을 조합하여 투여한 경우 각 성분의 상승효과가 있음을 볼 수 있다.
시험예 2
위스터계 랫트 (숫컷) 10주령 (70일령)을 사용하여 다음의 조건에서 시험을 행하였다. 실험구당 개체수는 20마리로 하고 총 6개 실험구를 준비하였으며 실험시간 중 사육방법은 각 실험구 간에 환경은 동일하게 하고 급식만 변화를 주었다. 기본사료로는 펠렛화된 랫트용 사료를 사용하여 대조군에 투여하였고 여기에 각 실험군 마다의 특성분을 첨가하여 실험용 사료를 제조하였다. 랫트의 사육방법 및 사료조성은 미로실험과 동일하게 하였다. 사료의 투여량은 40 g 씩으로 하고 자유로이 먹도록 하였다.
기억장애를 일으키기 위해 인산염으로 완충된 생리식염수에 20 nM/㎕의 농도로 녹인 이보테인산 (ibotenic acid, Sigma, USA)을 사용하였다. 랫트를 마취시켜 고정시킨 후, 마이크로시린지로 뇌의 중격 (中隔)부에 이보테인산 용액 1.0 ㎕를 주입하였다.
랫트의 학습 및 기억력 실험을 위해 수미로장치를 이용하였다. 사용한 수미로장치는 직경이 130 ㎝, 높이 45 ㎝의 수조에 25 ㎝의 깊이로 물을 넣은 후 수면 1 ㎝의 깊이에 가로, 세로 10 ㎝의 피난처를 만들었다. 물의 온도는 21℃로 유지시켰으며 수조의 표면에는 스타이로폼 입자를 띄워서 랫트가 피난처를 볼 수없게 하였다. 그러나 물속에 들어간 랫트는 방향을 알아볼 수 있도록 투명한 수조의 놓는 위치, 실험자, 전등 등의 배열을 실험 끝까지 일정하게 하였다.
학습훈련은 랫트를 수조에 넣고 랫트가 피난처를 찾아가는 것을 1회로 하여 10분 이상의 간격을 두고 4회 씩 실시하였다.
기억력 실험은 수미로장치에서 피난처를 제거한 후 랫트를 집어넣고 입수 후 60초 동안 원래의 피난처가 있던 자리에 랫트가 얼마동안 머무르는지를 측정한다.
10주령의 위스터계 랫트를 표 2의 조성을 가지는 사료를 40 g 씩 충분히 투여하여 표 4의 계획대로 실험하였다. 실험군 중 1군은 완충생리식염수만, 나머지 군은 이보테인산 용액을 주사한 후 표 4의 사료 종류를 2주간 투여하였고, 14일 째 및 15일 째 수미로학습을 거친 후 16일 째 피난처를 치우고 기억력 실험을 행하였다.
각 처리를 거친 실험군의 수미로실험 결과 피난처의 구역에서 머무는 시간은 표 4와 같다. 표 4에 기재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항산화성분이나 뇌세포막 구성지질 성분 만을 단독으로도 배합한 사료를 투여한 실험군 (4-5군)에서 대조군 (2군)에 비해서는 기억력이 어느 정도 향상되었으나 그 정도가 극히 미미하고, 본 발명의 조성물이 투여된 실험군 (3군)에서는 대조군 (2군)이나 다른 사료를 투여한 실험군 (4-6군)에 비해 기억력이 현저히 향상되었다.
상기한 실험결과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은 학습능력의 향상에 기여하고 뇌세포의 파괴요인으로부터 뇌세포를 보호하여 기억력을 유지시키는데 효과적인 작용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용가능한 천연추출물 및 변형물 만을 배합시킴으로써 인체에 전혀 부작용이 없고 무해한 제품으로서 과도한 스트레스나 노화 등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에 의한 뇌세포의 손상으로부터 뇌를 보호하는데 효과적인 건강식품으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플라보노이드, 아스코르빈산, 토코페롤 및 이들의 배합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항산화제;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세린, 도코사헥사에노인산 및 이들의 배합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뇌세포막 구성지질; GABA; 및 은행잎 추출물, 비타민 B군 및 이들의 배합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보조성분을 함유하는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항산화제 1-26 중량%, GABA는 1-20%, 뇌세포막 구성지질 6-40 중량%, 및 보조성분 0.3-3 중량%가 혼합되어 있는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전체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항산화제 10-25 중량%, GABA 10-15 중량%, 뇌세포막 구성지질 10-30 중량%, 및 보조성분 2-2.5 중량%가 혼합되어 있는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항산화제로 플라보노이드, 아스코르빈산 및 그의 유도체, 또는 토코페롤 및 그의 유도체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을 중량기준으로 40-50%/30-40%/15-25%의 비로 혼합시킨 배합물의 형태로 사용한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플라보노이드가 카테친류 및 올리고머릭 프로안토사이아니딘류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유래 항산화제인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뇌세포막 구성지질로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세린 또는 도코사헥사에노인산 (DHA)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을 중량기준으로 35-45%/35-45%/15-25%의 비로 혼합시킨 배합물의 형태로 사용한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포스파티딜콜린으로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이 40% 이상인 난황레시친 또는 대두레시친을 사용하는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포스파티딜세린으로 포스파티딜세린의 함량이 20% 이상인 변형 대두레시친 또는 동식물 추출물을 사용하는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
  9. 제 6 항에 있어서, DHA로서 DHA 함량이 12% 이상인 정제어유 또는 미생물유를 사용하는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GABA로서 GABA 함량이 0.7% 이상의 발효쌀눈 엑기스 또는GABA 함량이 3%인 젖산균 발효 펩타이드 분말을 사용하는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비타민 B군이 비타민 B 컴플렉스이거나 비타민 B1, B3, B5, B6 및 B12가 20-25%/40-45%/20-25%/10-15%/0.1% 이하의 비로 혼합된 형태인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제제화 보조제로서 들깨유, 경화유 및 밀납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배합시켜 캅셀제 형태로 제형화한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20010009589A 2001-02-26 2001-02-26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020069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589A KR20020069539A (ko) 2001-02-26 2001-02-26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589A KR20020069539A (ko) 2001-02-26 2001-02-26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539A true KR20020069539A (ko) 2002-09-05

Family

ID=27695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589A KR20020069539A (ko) 2001-02-26 2001-02-26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95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4291A1 (en) * 2003-11-07 2005-05-19 Natural F & P Corp. Grape seed extract having neuronal cell-protecting activity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or prepenting and treating degenerative brain disease
EP1559430A1 (en) * 2004-01-29 2005-08-03 INDENA S.p.A. Use of ginkgo complexes for the enhancement of cognitive functions and the alleviation of mental fatigu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3323A (en) * 1987-01-14 1991-08-27 Indena S.P.A. Complex compounds of bioflavonoids with phospholipids, their preparation and use, and pharmaceutical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H04169525A (ja) * 1990-11-01 1992-06-17 Nissei Marine Kogyo Kk 血清脂質改善機能を有する組成物
JPH04169524A (ja) * 1990-11-01 1992-06-17 Nissei Marine Kogyo Kk 血清脂質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
JPH1180009A (ja) * 1997-09-12 1999-03-23 Seiwa Yakuhin Kk 脳機能の改善剤および低下予防剤
WO2001003696A1 (en) * 1999-07-14 2001-01-18 Laxdale Limited Pharmaceutical and nutritional compositions containing essential fatty acids and homocysteine-lowering age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3323A (en) * 1987-01-14 1991-08-27 Indena S.P.A. Complex compounds of bioflavonoids with phospholipids, their preparation and use, and pharmaceutical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H04169525A (ja) * 1990-11-01 1992-06-17 Nissei Marine Kogyo Kk 血清脂質改善機能を有する組成物
JPH04169524A (ja) * 1990-11-01 1992-06-17 Nissei Marine Kogyo Kk 血清脂質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
JPH1180009A (ja) * 1997-09-12 1999-03-23 Seiwa Yakuhin Kk 脳機能の改善剤および低下予防剤
WO2001003696A1 (en) * 1999-07-14 2001-01-18 Laxdale Limited Pharmaceutical and nutritional compositions containing essential fatty acids and homocysteine-lowering agent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4291A1 (en) * 2003-11-07 2005-05-19 Natural F & P Corp. Grape seed extract having neuronal cell-protecting activity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or prepenting and treating degenerative brain disease
EP1559430A1 (en) * 2004-01-29 2005-08-03 INDENA S.p.A. Use of ginkgo complexes for the enhancement of cognitive functions and the alleviation of mental fatigue
WO2005074956A1 (en) * 2004-01-29 2005-08-18 Indena S.P.A. Use of a ginkgo complexes for the enhancement of cognitive functions and the alleviation of mental fatigue
AU2005210091B2 (en) * 2004-01-29 2010-06-03 Indena S.P.A. Use of a Ginkgo complexes for the enhancement of cognitive functions and the alleviation of mental fatigue
KR101249633B1 (ko) * 2004-01-29 2013-04-02 인데나 에스피아 인식기능의 증진과 정신적 피로의 경감을 위한 징코 착체의용도
KR101249667B1 (ko) * 2004-01-29 2013-04-02 인데나 에스피아 인식기능의 증진과 정신적 피로의 경감을 위한 징코 착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6450B2 (en) Anti-glyc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US7887847B2 (en) Nutritional supplement for treatment of ocular diseases
US20060024385A1 (en) Metabolic capacity enhanc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e in a mammal
JP7462868B2 (ja) 乳酸菌生産物質含有組成物、エクオール生成方法および乳酸菌生産物質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9523127A (ja) 黄斑変性の進行を阻害して健康な視力を増進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KR101517095B1 (ko)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치주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ES2308550T3 (es) Formulacion para administracion oral que ejerce un efecto reconstituyente sobre el sistema cardiovascular.
DE10321725A1 (de) Enzymhaltige Zusammensetzungen, daraus hergestellte diätetische Lebensmittel und Arzneimittel und ihre Verwendung für medizinische Zwecke
Rohdewald Update on the clinical pharmacology of Pycnogenol (R)
KR20110119305A (ko)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젤리, 홍삼, 구기자, 글루메이트 (탈지미강, 미베아) 및 애플 에센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US20040254095A1 (en) Supplement for trea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AU763995B2 (en) Treatment of dyspepsia
Harris et al.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Melatonin-Loaded, Calcium Oxide Nanoparticle-Based Neem and Clove Extract: An In Vitro Study
KR20020069539A (ko)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
WO2002030412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tryptamines, carotenoids and tocotrienols having synergistic antioxidant
HU227182B1 (en) Lecitin-ascorbic acid combination
CN107427417A (zh) 叶绿素组合物
KR100749957B1 (ko) 퀘세틴과 비타민 c 함유 항산화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기능성 식품
KR102554206B1 (ko) 구강 항산화 증진을 통한 반려동물 치석 제거, 구취 개선, 잇몸 보호에 도움을 주는 카탈라아제 함유 반려동물 구강 건강 증진용 조성물
KR100810958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 조성물
TW202408560A (zh) 一種組合物用於治療眼睛疾病之醫藥品用途
KR20220029836A (ko) 식이 유황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
KR20200110263A (ko) 식이 유황을 포함하여 면역 증진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건강 기능 식품
WO2019121711A1 (fr) Combinaison de vigne rouge, cassis, vitamines c et e pour la prevention et le traitement des insuffisances veineuses chroniques
KR20210034323A (ko) 피부 재생 및 피부 주름 생성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