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323A - 피부 재생 및 피부 주름 생성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피부 재생 및 피부 주름 생성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323A
KR20210034323A KR1020190116129A KR20190116129A KR20210034323A KR 20210034323 A KR20210034323 A KR 20210034323A KR 1020190116129 A KR1020190116129 A KR 1020190116129A KR 20190116129 A KR20190116129 A KR 20190116129A KR 20210034323 A KR20210034323 A KR 20210034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cid
functional food
health functional
vitam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서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메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메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메카
Priority to KR1020190116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4323A/ko
Publication of KR20210034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32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otan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섭취시 피부의 주름 개선 및 주름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 및 주름 생성 억제용 건강기능식품은 소나무 추출물, 아스콜빈산, 비타민 E 및 감마리놀레산이 혼합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소나무 추출물, 아스콜빈산, 비타민 E 및 감마리놀레산을 동시에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섭취시 콜라겐 분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여 콜라겐의 분해를 방지하며 또한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함으로써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 및 주름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인체에 별다른 부작용도 없어 안전하다.

Description

피부 재생 및 피부 주름 생성 억제용 건강기능식품{health foods for skin regeneration and the care of skin wrinkle}
본 발명은 섭취시 피부 재생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는다. 즉, 내적(내인성 노화 또는 자연노화)으로는 신진 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며, 외적(광노화)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태양 광선에 자외선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고 환경 오염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자유 라디칼 및 유해 활성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피부의 주름이 증가될 뿐 아니라 기미, 주근깨, 검버섯이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피부 주름은 피부의 수분 함유량, 콜라겐의 함유량, 외부 환경에 대한 면역 작용 능력 등 여러 가지 요소들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기 중 피부 주름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콜라겐이다.
콜라겐은 피부의 유연성을 주는 섬유 조직으로서 진피 조직의 약 70%를 차지하는 주요 구성 요소이다. 콜라겐 섬유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은 섬유아세포의 과립형질세망 내에서 양 끝에 확장펩타이드(telopeptide)를 가지고 있는 상태로 합성된
뒤, 3중 나선 구조로 조합된 프로콜라겐 형태로 세포 밖으로 분비된다. 이렇게 분비된 프로콜라겐은 특정 효소에 의해 확장펩타이드가 절단되어 트로포콜라겐이 생성되고 이들은 세포외 기질에서 서로 조합되어 콜라겐 섬유로 합성된다.
이러한 콜라겐 섬유의 합성은 피부 노화가 진행되면서 급격히 감소하며, 또한 외부 환경에 의해 콜라겐 섬유가 변형되면서 피부에 주름이 많이 생성되고 깊어지게 된다. 이러한 콜라겐의 분해에는 콜라겐 분해효소인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가 관여한다.
최근 피부 주름 생성 원인 및 개선 방법에 대하여 피부 생리학적 연구가 많이 행하여지고 있으며, 이러한 해결 방안으로 화장료와 같은 외용적 방법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식이 섭취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예컨대, 피부 주름 및 색소 침착 개선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레티놀은 화장료 조성물로 상업화하여 피부 주름 개선에 사용되고 있고, 콜라겐 합성에 필수적인 아스콜빈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주름 개선, 자외선 차단 및 피부 색소 침착 등에 효과적이라는 보고(미국특허 제 4,938,969호, 미국특허 제 4,772,591호, 유럽특허 제 0533667호 등)가 있다.
그러나, 상기의 피부 주름 개선의 유효 성분들은 대부분 화장료 조성물과 같은 피부 외용적 처방으로 사용되어왔으며, 또한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였을 때 그 안전성과 안정성에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효과 역시 충분치 않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콜라겐 분해 효소(콜라게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콜라겐의 분해를 방지하며 또한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섭취시 인체에 안전한 피부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소나무 추출물, 아스콜빈산, 비타민 E 및 감마리놀레산이 혼합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주름 개선 활성은 특유의 작용기전이 있는데, 그 작용기전에 다양한 성분이 적절하게 작용함으로 그 효과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적절한 주름 개선 성분의 조합을 통한 상호 작용으로 인하여 그 효과가 상승하거나 또는 길항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나무 추출물, 아스콜빈산, 비타민 E 및 감마리놀레산은 인체에 안전한 물질로서 4가지 성분을 동시에 섭취 하였을 때, 조합을 통한 상호 작용으로 피부 주름 개선에 대한 상승효과가 뛰어나 강력한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소나무 추출물은 콜라게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피부 구성 단백질인 콜라겐의 분해를 막아줌으로써 피부의 탄력 저하를 억제하며, 또한 강한 항산화력을 가지고 있어 아스콜빈산과 비타민 E를 재생성시켜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아스콜빈산과 비타민 E는 강한 항산화력을 가지고 있으며 광노화의 원인인 자유라디칼과 유해 활성 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피부 노화에 따른 주름 생성을 억제하여 준다. 감마리놀레산은 피부에서 대사작용을 거쳐 13-HODEE(13-Hydroxyoctadecadienoic acid)로 전환되어 ceramides 등을 구성하며, 피부의 과증식을 억제하고 피부 건조를 방지함으로써 피부의 보습을 유지하며 따라서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여 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소나무 추출물, 아스콜빈산, 비타민 E 및 감마리놀레산을 혼합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강력한 주름 개선 상승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 주름 개선 및 주름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식품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작용하는 소나무 추출물, 아스콜빈산, 비타민 E 및 감마리놀레산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소나무 추출물은 소나무속(Pinus)에 속하는 소나무로부터 추출한 것으로써, 다양한 소나무 추출물 중 특히 프랑스산 해송 추출물인 피크노제놀(Pycnogenol)에 관해서는 다양한 논문들이 발표되어 있다. 피크노제놀의 효과로는 순환계 혈관 관련개선 효과(Fitzpatrick 등, 1998), 항산화 효과(Chida 등, 1999; Cossins 등, 1998; Devarj 등, 2002), 피부 흑화 억제 및 염증 억제 효과(Saliou 등, 2001; Ni 등, 2002), 콜라겐 단백질 분해 억제 효과(Grimm 등, 2002) 등에 대하여 발표되어 있다. 소나무 추출물은 식품 원재료 상의 주원료로서, 주성분은 프로안토시아니딘을 비롯한 탄닌과 플라보노이드이며, 고래로부터 사용되어 온, 인체에 무해한 성분이다. 소나무 추출물은 예를 들어, 물 및/또는 에탄올 등의 용매에 냉침 또는 가온
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그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아스콜빈산과 비타민 E는 그 항산화 효과가 매우 뛰어난 비타민으로서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전혀 없는 성분이다. 아스콜빈산과 비타민 E는 미백 소재로써도 알려져 있으며, 특히 아스콜빈산 및 그 유도체 등을 이용한 주름 개선 및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대한민국 공개 특허(KR 2004-0040557)도 있다.
감마리놀레산은 현행 건강기능식품법 상에서 콜레스테롤 개선과 혈행을 촉진하는 기능성을 가진 불포화 지방산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달맞이종자유, 보라지유, 호박씨유, 우엉씨(우방자)유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성분이다. 감마리놀레산은 피부의 표피에서 13-HODE(13-Hydroxyoctadecadienoic acid)로 전환된 후 인지질에 병합되어 피부의 과증식을 억제하고 또한 피부 보습 기능을 가질 수 있다는 논문(조윤희, 피부장벽학회, 2003)이 발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주로 화장료 등과 같이 피부에 직접 도포하는 외용제로서 사용되어 왔던 아스콜빈산과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소나무 추출물, 비타민 E 및 감마리놀레산을 혼합하여 식이섭취한 결과, 그 주름 개선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상호간의 강력한 상승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주름 개선 성분의 주름 개선 활성은 특유의 작용기전이 있는데, 이러한 주름 개선 성분은 상호 혼합으로 인하여 그 효과가 상승하거나 또는 길항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소나무 추출물, 아스콜빈산, 비타민 E 및 감마리놀레산은 인체에 안전한 물질로서 4가지 성분을 동시에 섭취 하였을 때 피부 주름 개선에 대한 상승효과가 뛰어나 강력한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식이섭취용 조성물에 있어서, 전술한 4가지 피부 주름 개선 성분은 소나무 추출물 1 내지 45 중량부, 아스콜빈산 18 내지 75 중량부, 비타민 E 4 내지 35 중량부 및 감마리놀레산 2 내지 4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성분의 권장 최소 사용량 이하의 양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호간의 상승 효과에 의한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한편 각 성분의 권장 최대 사용량 이상의 양을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 함량 증가와 정비례하여 주름 개선 효과가 증가
하는 것이 아니며, 또한 원료의 가격이 너무 비싸지기 때문에 상업적으로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공지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 과립, 분말, 캅셀, 음료수와 같은 액상의 용액, 환 등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라 4가지 성분으로 이루어진 복합체의 함량은 제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100중량%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소나무 추출물은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조성물 제조의 일례로써, 소나무추출물, 아스콜빈산, 비타민 E 및 감마리놀레산의 주성분에, 부형제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두유, 밀납(황납), 레시틴 등을 혼합한 후 젤라틴 기제의 피막에 그 혼합물을 주입함으로써 통상의 연질캅셀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여러 제형을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각 성분들은 동일한 효능을 가지는 유도체로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아스콜빈산은 L-아스콜빈산나트륨, L-아스콜빈산스테아레이트, 아스콜빈산칼륨, 아스콜빈산칼슘, 아스콜빈산팔미테이트 등으로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험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 실험예 1] 소나무 추출물의 항산화력 비교
각종 소나무 추출물의 항산화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다양한 소나무 추출물 중에서 국산 소나무추출물, 중국산 소나무 추출물 및 프랑스산 해송 추출물(상표명 피크노제놀)을 구입하였다.
항산화력은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을 이용한 방법을 통하여 라디칼 소거효과를 측정하였다.
DPPH 4mg을 메탄올 100ml에 녹여 DPPH 용액을 만들었다. 추출물 시료를 에탄올에 희석하여 적당한 농도로 만들었다.시료 또는 대조군 1ml와 DPPH 용액 1ml을 잘 섞은 후 37℃에서 30분 정치한 후 516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품으로는 BHT(Butylated Hydroxytoluene)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DPPH 법에 의한 항산화력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하였다.
항산화력(%) = 100 -(시료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상기와 같이 흡광도를 측정하여 결정되어진 항산화력 실험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농도(%) 항산화력(%)

국산 소나무 추출물
0.01 95.1
0.001 56.0
0.0001 5.6

중국산 소나무 추출물
0.01 89.9
0.001 45.0
0.0001 5.1

피크노제놀
0.01 94.8
0.001 61.0
0.0001 8.9

BHT
0.01 82.9
0.001 27.6
0.0001 1.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DPPH법에 의한 라디칼 소거력을 통한 항산화력을 비교한 결과, 각종 소나무 추출물 모두 상당한 항산화력을 나타냈다. 특히 프랑스산 해송추출물인 피크노제놀의 항산화력이 우수하였으므로, 이후 시험에서 피크노제놀을 소나무추출물로 사용하였다.
( 시험예 1)소나무 추출물의 항산화력 비교
소나무 추출물(피크노제놀), 아스콜빈산, 비타민E 및 감마리놀레산을 아래의 표 2에 기재된 함량비(단위:중량%)에 따라 총량이 100mg이 되도록 혼합한 후, 콜라겐 분해 효소인 콜라게나아제의 활성 억제 효과를 실험하였다. 또한 의약품에서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성분으로 사용되는 독시사이클린과 그 효능을 비교하였다. 소나무추출물로는 피크노제놀을 사용하였으며, 감마리놀레산으로는 달맞이종자유(59% 감마리놀레산 함유)를 함량 환산하여 사용하였다.
소나무추출물
(피크노제놀)
아스콜빈산 비타민E 감마리놀레산
시험예1 100 0 0 0
시험예2 0 100 0 0
시험예3 50 50 0 0
시험예4 50 0 50 0
시험예5 0 50 0 50
시험예6 33.3 33.3 33.4 0
시험예7 33.3 0 33.3 33.4
시험예8 0 33.3 33.3 33.4
시험예9 25 25 25 25
시험예10 10 40 10 40
시험예11 40 20 30 10
시험예12 5 50 15 30
[ 실험예 2] 섬유아세포 콜라제나제(MMP-1)에 대한 억제효과
포유동물의 섬유아세포 콜라제나제(MMP-1)에 대한 억제효과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7개의 15ml 에펜도르프(Eppendorf) 튜브에 2%의 적색 콜라젠 기질인 아조콜(Azocoll)용액 100㎕를 각각 첨가한 후 한개의 에펜도르프 튜브는 블랭크(Blank)로 사용하고, 효소의 표준 활성도 곡선을 작성하기 위하여 3개의 튜브에는 칼바이오캠로부터 구입한 콜라게나아제 효소 표준 용액을 각각 10, 100, 200ppm되게 첨가하였다. 나머지 13개의 튜브 각각에는 콜라게나아제 효소 표준 용액 100㎕와 시험예 1 내지 12 및 독시사이클린을 0005%의 농도가 되도록 하여 각각 10㎕ 처리하였다. 완충용액(005M Tris-HCl, 1nM CaCl2, pH 78)을 총반응액이 500㎕ 되도록 첨가하여 37℃ 항온기에서 18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에펜도르프 튜브를 10,000g에서 5분 동안 원심 분리시켜 분해되지 않은 콜라젠은 침전시켰다. 분해된 콜라젠을 함유하는 상등액을 취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활성도 곡선을 작성하고 표준곡선으로부터 효소의 활성 농도를 환산하여 시험예 1 내지 12 및 독시사이클린과 대조군의 효소활성도를 비교평가하였다.
콜라게나아제 효소 억제율은 아래와 같은 식으로 구하였다.
효소 억제율(%) = 100 - (실험군 효소 활성도 / 대조군 효소 활성도 X 100)
결과는 표 3과 같다.
시료 콜라게나이제 효소 억제율(%)
독시사이클린 47
시험예 1 28
시험예 2 27
시험예 3 45
시험예 4 45
시험예 5 46
시험예 6 68
시험예 7 70
시험예 8 68
시험예 9 90
시험예 10 85
시험예 11 86
시험예 12 84
상기 표 3의 결과를 통하여 보면, 소나무추출물(피크노제놀), 아스콜빈산, 비타민E 및 감마리놀레산을 단독 혹은 2 내지 3종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보다 4종 모두를 사용하였을 때 콜라게나아제 효소에 대한 강한 억제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있었다. 즉, 각 성분을 모두 사용하였을 경우 상호간의 상승 효과를 통하여 뛰어난 효소 활성 억제율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의약품인 독시사이클린보다도 매우 높은 효소 억제율을 보였다.
[ 실험예 3] 콜라겐 생합성효과
소나무 추출물(피크노제놀), 아스콜빈산, 비타민E 및 감마리놀레산을 상기의 표 2에 기재된 함량비(단위:중량%)에 따라 총량이 100mg이 되도록 혼합한 후,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 내에서의 콜라겐 생합성 효과를 실험하였다.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를 세포배양용 24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10% FBS조건하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PBS로 2회 세척하였다. 1% FBS를 함유하는 배지에 시험군 1내지 13을 각각 0005%가 되도록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을 종료하였다. 배양 종료후 위의 세포 및 배양액을 각각 1/2씩 나누어 한쪽 분획에만 콜라게나제를 처리한 후 TCA(trichloroacetic acid)로 단백질을 침전시켜 두 분획의 방사활성의 차이로부터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시험군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을 100%로 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콜라겐생성율(%) = 시험군의 콜라겐 생성량 / 대조군의 콜라겐 생성량 X 100
시료 콜라겐 생성율(%)
대조군 100
시험예 1 106
시험예 2 107
시험예 3 115
시험예 4 115
시험예 5 115
시험예 6 134
시험예 7 133
시험예 8 133
시험예 9 176
시험예 10 173
시험예 11 174
시험예 12 174
표 4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소나무추출물(피크노제놀), 아스콜빈산, 비타민E 및 감마리놀레산을 단독 혹은 2 내지 3종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보다 4종 모두를 사용하였을 때 콜라겐 생합성율이 급증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각 성분의 상호간의 상승 효과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4]주름 형성 억제 효과
소나무추출물(피크노제놀), 아스콜빈산, 비타민 E 및 감마리놀레산의 혼합 시료의 주름 형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헤어리스 마우스를 이용하여 주름 형성 억제 실험을 하였다.
6주령의 헤어리스 마우스를 10마리씩 시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헤어리스 마우스에 태양광 자극기를 이용하여 2MED로 1주일에 3일 10주간 조사하여 주름을 형성시켰다. 식이는 일반 헤어리스 마우스 사료를 자유롭게 섭취하게 하였으며,대조군 시료 및 시험군 시료는 죤대를 이용하여 자외선 조사일부터10 주간 강제 투여하였으며, 자외선 조사 당일에는 자외선 조사 30분 전에 강제 투여하였다. 주름 형성 억제 정도의 판단은 먼저 시료 처리 부위를 육안과 사진촬영을 통해 육안판정하였고 판정기준은 시험군 시료 처리군을 대조군 시료 처리군(0점)과 비교하여 억제없음(0점), 약간의 억제(1점), 중등도의 억제(2점), 상당한 억제(3점)의 4단계로 동물수를 판정하여 표5에 나타내었다. 시험군 시료는 실험예1내지 2의 결과 및 건강기능식품법에서 허용하는 원료의 일일 섭취량을 바탕으로 하여 소나무추출물(피크노제놀), 아스콜빈산, 비타민 E 및 감마리놀레산을 각각 60mg/kg, 600mg/kg, 70mg/kg 및 240mg/kg 으로 배합 조제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물을 사용하였다.
실험군 주름 생성 억제 (마리)
0점 1점 2점 3점
시험군 0 1 1 8
대조군 10 0 0 0
표5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소나무추출물(피크노제놀), 아스콜빈산, 비타민 E 및 감마리놀레산을 섭취한 시험군에 의한 헤어리스 마우스에서의 주름생성 억제는 80% 이상에서 중등도 이상의 주름 생성 억제 효과를 보여 주름생성 억제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실험예 5] 주름 개선 효과
소나무추출물(피크노제놀), 아스콜빈산, 비타민 E 및 감마리놀레산의 혼합 시료의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헤어리스 마우스를 이용하여 주름 개선 효과 실험을 하였다.
6주령의 헤어리스 마우스를 10마리씩 시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헤어리스 마우스에 태양광 자극기를 이용하여 2MED로 1주일에 3일 10주간 조사하여 주름을 형성시켰다. 식이는 일반 헤어리스 마우스 사료를 자유롭게 섭취하게 하였으며, 대조군 시료 및 시험군 시료는 죤대를 이용하여 6 주간 강제 투여하였다. 주름 개선 정도의 판단은 먼저 시료 처리 부위를 육안과 사진촬영을 통해 육안판정하였고 판정기준은 시험군 처리군 및 대조군을 시료 처리전과 비교하여 개선없음(0점), 약간의 개선(1점), 중등도의 개선(2점), 상당한 개선(3점)의 4단계로 동물수를 판정하여 표6에 나타내었다. 시험군 시료는 실험예1 내지 2의 결과 및 건강기능식품법에서 허용하는 원료의 일일 섭취량을 바탕으로 하여 소나무추출물(피크노제놀), 아스콜빈산, 비타민 E 및 감마리놀레산을 각각 60mg/kg, 600mg/kg, 70mg/kg 및 240mg/kg 으로 배합 조제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물을 사용하였다.
실험군 주름 개선 (마리)
0점 1점 2점 3점
시험군 0 1 2 7
대조군 9 1 0 0
표6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소나무추출물(피크노제놀), 아스콜빈산, 비타민 E 및 감마리놀레산을 섭취한 시험군은 헤어리스 마우스의 광에 의해 생성된 주름에 대해 80% 이상에서 중등도 이상의 주름 개선 효과를 보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제조예 1]
이상의 소나무추출물, 아스콜빈산, 비타민 E 및 감마리놀레산을 주성분으로 하여 아래의 표 7과 같은 함량으로 연질 캡슐을 제조하였다. 소나무추출물은 프랑스산 해송 추출물인 피크노제놀을 사용하였으며, 비타민 E는 D-α-토코페롤이 70중
량% 함유된 비타민 E 오일을 사용하였으며, 감마리놀레산은 감마리놀레산이 59중량% 함유된 달맞이꽃 종자유를 사용하였다.
부형제로는 대두유, 밀납(황납) 및 레시틴을 사용하였다.
원료명 함량(mg) 함량비(%)
혼합 내용물
(총량: 360mg)
소나무추출물 (피크노제놀) 15.001 4.167
아스콜빈산 150.001 41.667
비타민 E (70중량% 함유) 25.002 6.945
달맞이꽃종자유
(감마리놀레산59% 함유)
100.001 27.778
대두유 51.995 14.443
밀납(황납) 14.400 4.000
레시틴 3.600 1.000
연질캅셀 기제
(총량: 185mg)
젤라틴 185 68.850
글리세린 21.862
마나톨 7070 8.197
에틸바닐린 0.164
이산화티타늄 0.344
식용색소 청색1호 0.004
식용색소 청색3호 0.028
식용색소 적색40호 0.551
표 7에서와 같이 혼합 내용물을 혼합하여 교반기에서 잘 섞이도록 한 후 연질 캅셀 기제에 주입하여 연질 캅셀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제조예는 본 피부 주름 개선 및 주름 생성 억제용 건강 기능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통상의 제조예로써 본 발명의 제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

  1. 소나무 추출물, 아스콜빈산, 비타민 E 및 감마리놀레산이 혼합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주름 생성 억제용 건강기능 식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는 소나무 추출물 1 내지 45 중량부, 아스콜빈산 18 내지 75 중량부, 비타민 E 4 내지 35 중량부 및 감마리놀레산 2 내지 4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주름 생성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의 함량은 건강기능식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1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주름 생성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나무 추출물은 프랑스산 해송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주름 생성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과립, 분말, 캅셀, 액상의 용액 및 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주름 생성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90116129A 2019-09-20 2019-09-20 피부 재생 및 피부 주름 생성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KR202100343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129A KR20210034323A (ko) 2019-09-20 2019-09-20 피부 재생 및 피부 주름 생성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129A KR20210034323A (ko) 2019-09-20 2019-09-20 피부 재생 및 피부 주름 생성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323A true KR20210034323A (ko) 2021-03-30

Family

ID=75265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129A KR20210034323A (ko) 2019-09-20 2019-09-20 피부 재생 및 피부 주름 생성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43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8500B1 (en) Compositions suitable for treating cutaneous signs of aging
RU2271213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экстракты из растений и морских животных
KR20090080153A (ko)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4100911B2 (ja) グルタミン酸デカルボキシラーゼ活性化剤
CN112535652A (zh) 一种光感赋活原液及其制备方法
KR102086687B1 (ko)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노란색 화장료 조성물
KR101066676B1 (ko) 경구용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1787074B1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2056919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KR20150143375A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EP1560561A1 (en) METHOD FOR PROTECTION OF SKIN AGAINST SUN-INDUCED DAMAGE BY ORAL ADMINISTRATION OF AN EXTRACT OF EMBLICA OFFICINALIS (syn. PHYLLANTHUS EMBLICA)
KR102189415B1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00121352A (ko) 피부노화 예방 및 미용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그리고 피부노화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KR101558184B1 (ko) 적포도잎 추출물, 베리 혼합물 및 셀레늄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91444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450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6981B1 (ko) 납떼기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H11240817A (ja) 美容パック
EP3991801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containing plant extracts
KR100563673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주름 생성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KR20210034323A (ko) 피부 재생 및 피부 주름 생성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CN108542829A (zh) 一种植物保湿防晒霜及其制备方法
KR20160014321A (ko) 호두 및 밤의 복합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피부의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9603B1 (ko) 미백용 또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00319122A (ja) 細胞増殖促進化粧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