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9194A - 스퍼터링 프로세스를 조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스퍼터링 프로세스를 조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9194A
KR20020069194A KR1020027006719A KR20027006719A KR20020069194A KR 20020069194 A KR20020069194 A KR 20020069194A KR 1020027006719 A KR1020027006719 A KR 1020027006719A KR 20027006719 A KR20027006719 A KR 20027006719A KR 20020069194 A KR20020069194 A KR 20020069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analysis
sputtering
voltage
harm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지스츠카베른트
말코메스닐스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안게반텐 포르슝에.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안게반텐 포르슝에.파우.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안게반텐 포르슝에.파우.
Publication of KR20020069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19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917Plasma diagnostics
    • H01J37/32935Monitoring and controlling tubes by information coming from the object and/or dis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021Reactive sputtering or evaporation
    • C23C14/0036Reactive sputtering
    • C23C14/0042Controlling partial pressure or flow rate of reactive or inert gases with feedback of measur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F 또는 HF 스퍼터링 프로세스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방전 파라미터의 조파 분석이 구현되고 MF 또는 HF 출력 및/또는 반응성 가스 흐름이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조정된다.

Description

스퍼터링 프로세스를 조정하는 방법{METHOD FOR REGULATING SPUTTERING PROCESSES}
플라즈마 스퍼터링은 기판, 특히 세라믹 또는 다른 멀티 구성요소 기능층을 갖는 기판을 코팅하기 위해 달성된 기술이다. 특히 반응성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에서의 스퍼터링은 상 조성 및 바람직한 미세 구조의 바람직한 조합이 고속으로 기판상에 성장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반응성 분위기에서 금속 타겟을 스퍼터링하는 단계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종래 스퍼터링 프로세스에서의 반응성 가스 부분 압력이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없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파라미터 레인지는 고반응성 가스 부분 압력, 및 반응 생성물로 완전히 덮힌 타켓 표면 및 기판상의 화학양론적 층의 한정된 레인지 "화합물 모드" 및 스퍼터링 챔버내의 저반응성 가스 부분 압력, 광범위한 금속 타겟 표면 및 기판상의 금속층의 성장의 "금속 모드"로 분류된다. 이러한 레인지 사이에서, 연속적인 전이는 일반적으로 불가능하고, 불안정한 프로세스 상태가 나타나는데, 이에 대해 아래에 대략 설명하였다. 예를 들어, 반응성 가스 O2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술된 메커니즘은 또한 N2, CHX등에도 적용된다.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의 시작 단계에서, 반응성 가스가 스퍼터링 챔버에 더해진다. 그다음, 경쟁적인 성장 및 에칭 프로세스가 타겟 표면상에서 이루어진다. O2부분 압력이 낮다면, 산화물 피복의 성장 속도는 낮아지고, 그래서 에칭 프로세스가 산화층의 스퍼터링 제거에 의해 우세하게 된다. 따라서, 타겟 표면은 순수하게 금속으로 남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유효한 흡입 용량이 자주 실제로 진공을 위해 사용되는 터보 펌프의 흡입 용량의 배가 되는 효율적인 게터 펌프로서 타겟이 작용하기 때문에 안정하다.
반응성 가스 부분 압력이 증가한다면, 산화층은 다소 고속으로 타겟 표면상에서 성장하게 된다. 낮은 이온 흐름 농도 및 그에 따른 낮은 에칭 속도의 경우에, 성장 과정이 우세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포이즌(poisoned) 타겟 영역"으로 설명되기도 하는 반응생성물로 덮힌 타겟 영역이 생성된다.
이러한 포이즌 타겟 영역은 항상 금속에 비하여 보다 낮은 스퍼터링율을 갖고, 그래서 전체적으로 보다 적은 물질이 스퍼터링된다. 이것은 타겟상에서의 물질 제거의 감소, 타겟 흡입 능력의 저하를 가져오고, 그래서 반응성 가스 부분 압력의 추가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반응성 가스 부분 압력의 증가는 타겟 게터 펌프의 흡입 압력의 감소를 가져오고, 그 결과로서 반응성 가스 부분 압력의 증가가 교대로 나타나기 때문에, 반응성 가스 부분 압력이 임계값을 초과하자마자, 그 결과로서, 자체 증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불안정성은 금속 모드로부터 화합 모드로의 전이의 특성을 나타낸다.
낮은 스퍼터링율 조건의 화합물 모드에서 성장 속도는 낮지만, 반응성 가스가 과도해짐에 따라 화합물 모드에서의 층이 성장하게 되고, 그 결과로서 원치 않는 층 특성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2개의 상태 사이의 비연속적 전이의 안정화는 기술적으로 매우 흥미있는 일이다. 반면, 반응성 가스 부분 압력은 일반적으로 금속 모드에서 너무 낮고, 그래서 흡수성 아화학양론적인 화합물이 성장하게 된다.
그러나, 바람직한 화학양론적인 층은 또한 "전이 모드"로 설명되는 불안정한 전이 레인지에서 프로세스가 정확하게 작동될 때 고속으로 증착될 수 있다. 이러한 비연속적인 전이 상태 "전이 모드"의 안정화는 소스의 다이내믹 동작(behaviour)을 고려하여 기술적인 관심사인 불안정한 동작 포인트를 유지할 수 있는 제어 사이클에 의해 가능하다.
다양한 제어 변수가 전이 모드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당업분야에서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플라즈마 임피던스가 타겟 피복에 상당히 의존되어 있고 반응성 가스 흐름의 방전 출력의 채택에 의해 제어 변수로서 일정하게 유지되는(임피던스 제어) ZnO,SnO2, 또는 SiO2와 같은 물질에 대하여 J. Affinito, R.R. Parsons의 "Mechanisms of voltage controlled, reactive, planar magnetron sputtering ofAl in Ar/N2and Ar/O2atmospheres"에 나타나 있다. 대안으로, 플라즈마 임피던스가 타겟 피복에 단지 경미하게 의존하여 예를 들어 TiO2, Nb2O5에 대하여 임피던스 조정이 되지 않는 산화물 시스템에서, 반응성 가스 부분 압력이 람다 프로브를 통하여 측정되는 제어 변수로서 사용되는 것이 EP 0 795 623 A1(1997년 9월 17일자 공개)에 발표되었다.
"Process stabilisation with reactive high rate sputtering by means of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for industrial production of indium-tin oxide layers and titanium dioxide layers", Chemnitz, 1991에서 J.Strumpfel은 제어 변수로서 플라즈마 방전의 광학 방출을 사용하는 것을 더 가능성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상기 기술분야에서의 상술된 방법의 조합 역시 사용가능하다. 상술된 방법은 모두 원칙적으로 직류 전압 및 MF 동작에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은 모두 절대값을 계산한다. 하지만, 그러한 절대값의 계산은 생산 조건에 있어서 매우 문제가 많다. 왜냐하면, 예를 들어 플라즈마 임피던스는 타겟 부식, 측정 헤드의 오염, 랜덤 층등에 의해 변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이한 동작 모드 사이의 전이를 신뢰성 있게 안정화시킬 수 있는 스퍼터링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 항에 따른 방법 및 청구항 7항에 따른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대해 종속항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은 MF 또는 HF 스퍼터링 프로세스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TiOX층의 반응성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동안의 조파 분석 및 U(qO2) 히스테리시스 커브를 도시하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Nb2O5스퍼터링의 경우에 스퍼터링 챔버내의 전체 압력에 대한 조정가능한 변수의 의존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Nb2O5스퍼터링 동안의 방전 출력에 대한 표준화된 푸리에 계수 u1/U의 의존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6은 Nb2O5스퍼터링 동안 표준화된 푸리어 계수 u1/U의 굴절율 n, 흡수 계수 k 및 증착 속도(deposition rate) r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에는 방전 파라미터의 조파 분석을 통하여 타겟 상태의 플라즈마 진단 및 특성화에 대한 새로운 방법이 나타나 있다. 여기에는 예를 들어 음극 전류 또는 음극 전압과 같은 방전 파라미터의 복소(complex) 푸리에 스펙트럼의 분석이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프로세스 조정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이 생기게 된다. 전류 및 전압의 조파 성분, 기본 주파수 및/또는 고조파에서의 전류 및 전압 사이의 상 변위 또는 캐소드의 전류 및 전압의 푸리에 계수의 비 역시 조정가능한 변수로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별한 장점은 절대값을 정밀하게 측정할 필요없이 타겟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다음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몇가지 예를 설명하였다.
아래에, TiOX층의 반응성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에 대한 방전의 전기 파라미터의 관찰 결과를 설명하였다. 이에 따라, 도 1은 TiOX층 시스템의 반응성 평균 주파수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동안 히스테리시스의 조파 분석을 도시한다. 프로세스의 구현은 qAr=60sccm의 일정한 Ar 흐름 및 P/A=7W/cm2의 출력 밀도에 상응하는 P=6kW의 일정 출력에서 이루어진다. 금속 타겟으로부터 시작하여, O2흐름은 qo2의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되었다. 매트릭스의 라인 A-D는 전류 및 전압의 푸리에 계수(uj및 ii), 전압 및 전류 사이의 상 변위(p(ui)-p(ii)) 및 푸리에 계수의 비(ii/ui)를 나타낸다. 열 0-3은 기본파 및 제1 내지 제3 고조파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TiOX층 시스템의 반응성 스퍼터링은 방전 전압 및 타겟 상태 사이에 아무런 단조로운 상관관계(monotonic correlation)가 없기 때문에, 고전적으로 임피던스 조정이 가능하지 않다. 이런 점에서 도 2는 조파 분석에 의해 도 1에서 상기 검토된 프로세스에 대한 U(qo2) 특성 라인을 도시한다.
커브는 도 1에 도시된 기본파(u0)에 실질적으로 상응하고, 동작 상태, 즉 금속 모드 및 산화물 모드 사이의 전이는 qo2= 37sccm 또는 qo2= 16sccm에서 이루어지고, 타겟 상태는 방전 전압에 의해 명백하게 식별될 수 없다.
조파 분석은 도 1내의 점으로 표시된 복수의 값에 대한 명백한 표시를 제공한다. 특히, 제2 고조파의 전압 및 전류의 상 변위의 분석은 TiOX층 프로세서의 안정화에 대해 제공된다(도 1의 매트릭스중 도면 C2). 이 값은 프로세스의 안정화에 대한 제어 변수로서의 낮은 노이즈 및 높은 신호 트래블로 인해 특히 적합하다.
조파 분석의 정보 내용은 복수의 물질 및 프로세스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되고, 그래서 최적 제어 변수가 기술자에게 익숙한 방식으로 각각의 개별적인 경우에서 별개의 검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Nb2O5에 대한 각각의 MF 스퍼터링 프로세스는 타겟 전압의 제1 조파의 측정에 의해 안정화된다. 이것으로 인하여, 기술적 변환은 기준 및 신호 입력부에 타겟 전압이 공급된 단일 위상 로크 인 증폭기로써 이루어졌다. 2F 모드에서의 동작에 의하여, 타겟 전압의 조파 성분은 로크 인 증폭기에 의해 방출되었다. 이러한 조파 성분은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타겟 전압에 표준화되었고, 그래서 제1 접근에서 표준화된 푸리에 계수는 제1 조파 동안 측정되었다. 다음으로, 이러한 제어 변수는 일정한 산소 공급(25sccm) 동안 표준화되었고, 캐소드에서의 전기 출력은 조정가능한 변수로서 가변되었다.
도 3은 스퍼터링 챔버내의 전체 압력에 대한 방전 전압의 의존관계를 도시한다. 감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특성 라인은 아무런 단조로운 상관관계도 갖고 있지 않다. 방전 파라미터 및 층 특성 또는 반응성 부분 압력 사이에 아무런 단조로운 상관관계가 없기 때문에, 반응성 NbOX스퍼터링 프로세스는 임피던스 조정가능하지 않다.
도 4는 전체 압력 u1/U에 대한 상술된 바와 같은 표준화된 푸리에 계수 u1/U의 의존관계를 대조적으로 도시한다. 여기에서, u1은 타겟에서 측정되는 타겟 전압 U(t)의 코스의 제1 조파의 진폭을 나타내고, U는 발생기에 의해 주어진 전압의 평균값이다. 여기에서 표준화된 푸리에 계수 및 전체 전압이 단조로운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제어 변수로써, 연속적으로 변경가능한 반응성 가스 부분 압력으로 전이 모드에서 층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는 방전 출력에 대한 표준화된 푸리에 계수 u1/U의 의존관계의 특성 라인을 도시한다. 특성 라인의 전형적인 S 구조가 검출된다. 비연속적인 전이가 전혀 없고, 그래서 각각의 동작 포인트에서의 방전은 안정화될 수 있다.
더욱이, 도 5에서, 층이 NbOX로부터 생성된 동작 포인트가 기록된다(색칠된 삼각형).
도 6은 도 3의 표시된 동작 포인트에서 생산된 샘플의 광학 상수, 굴절율 n 및 흡수율 k 및 증착율(deposition index) r를 도시한다. 검출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샘플은 약 0. 047의 u1/U 값 위에서 흡수하기 시작한다. 투명층은 도 5의 S-커브의 중앙 브런치의 불안정한 파라미터 레인지내의 a=1.25mm/s의 고증착율에서 u1/U=0.046에 대하여 생성되었다.
0.044 및 0.048에서의 값은 이상치로 보아야 한다.
여기에서, 이러한 경우에서의 조정은 오직 하나의 캐소드상에서 동작되었다는 것과, 그래서 제2 캐소드는 경미하게 상이한 상태를 가질 수 있지만, 조정의 원리 기능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변경되지 않았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요컨대, 처음으로, 소위 전이 레인지내에서 반응성 M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및 HF 또는 MF 스퍼터링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의 유용화가 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전기 파라미터의 조파 분석에 기초하게 된다.

Claims (7)

  1. MF 또는 HF 스퍼터링 프로세스를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전 파라미터의 조파 분석이 구현되고 MF 또는 HF 출력 및/또는 반응성 가스 흐름이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 변수는 상기 분석 결과로부터 계산되고 상기 MF 또는 HF 출력은 조정되어 상기 제어 변수는 그 설정값을 채택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타겟 전류 및/또는 타겟 전압의 복소 푸리에 스펙트럼의 조파 분석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전류 및 상기 타겟 전압 사이의 상 변위의 분석은 기본 주파수 및/또는 고조파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전류 및/또는 타겟 전압의 푸리에 계수의 비의 분석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전압의 제1 조파의 푸리에 계수는 제어 변수로서 결정되고, 상기 푸리에 계수는 상기 타겟 전압으로 표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스퍼터링되는 상기 타겟이 위에 배치된 캐소드 및 스퍼터링 챔버와, 상기 캐소드에서 MF 또는 HF 전압을 생성하는 발생기를 구비하여 MF 또는 HF 스퍼터링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상기 방전 파라미터의 조파 분석을 구현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MF 또는 HF 출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027006719A 1999-11-25 2000-11-02 스퍼터링 프로세스를 조정하는 방법 KR200200691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6733.6 1999-11-25
DE19956733A DE19956733A1 (de) 1999-11-25 1999-11-25 Verfahren zur Regelung von Sputterprozessen
PCT/EP2000/010782 WO2001038597A2 (de) 1999-11-25 2000-11-02 Verfahren zur regelung von sputterprozess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194A true KR20020069194A (ko) 2002-08-29

Family

ID=793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719A KR20020069194A (ko) 1999-11-25 2000-11-02 스퍼터링 프로세스를 조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97128B1 (ko)
EP (1) EP1232293B1 (ko)
JP (1) JP2003516472A (ko)
KR (1) KR20020069194A (ko)
AT (1) ATE240423T1 (ko)
DE (2) DE19956733A1 (ko)
WO (1) WO200103859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9545A1 (en) * 2003-05-26 2007-02-22 Shinmaywa Industr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film formation
DE10359508B4 (de) 2003-12-18 2007-07-1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agnetronsputtern
US8500965B2 (en) * 2004-05-06 2013-08-06 Ppg Industries Ohio, Inc. MSVD coating process
DE102006061324B4 (de) * 2006-06-20 2008-07-2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r Regelung eines reaktiven Hochleistungs-Puls-Magnetronsputterprozesses und Vorrichtung hierzu
JP5256475B2 (ja) * 2011-02-10 2013-08-07 株式会社ユーテック 対向ターゲット式スパッタ装置及び対向ターゲット式スパッタ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884511B (en) * 1987-07-15 1989-03-29 Boc Group Inc Method of plasma enhanced silicon oxide deposition
DE4106513C2 (de) * 1991-03-01 2002-06-13 Unaxis Deutschland Holding Verfahren zur Regelung eines reaktiven Sputterprozesse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ATE144004T1 (de) 1991-04-12 1996-10-15 Balzers Hochvakuum Verfahren und anlage zur beschichtung mindestens eines gegenstandes
FR2699934B1 (fr) 1992-12-30 1995-03-17 Lorraine Inst Nat Polytech Procédé de contrôle de la concentration en métalloïde d'un dépôt réalisés par voie physique en phase vapeur réactive à l'aide d'un plasma froid de pulvérisation.
CH686747A5 (de) 1993-04-01 1996-06-14 Balzers Hochvakuum Optisches Schichtmaterial.
DE19537212A1 (de) 1994-10-06 1996-04-11 Leybold Ag Vorrichtung zum Beschichten von Substraten im Vakuum
US5576629A (en) * 1994-10-24 1996-11-19 Fourth State Technology, Inc. Plasma monitoring and control method and system
DE19506515C1 (de) * 1995-02-24 1996-03-07 Fraunhofer Ges Forschung Verfahren zur reaktiven Beschichtung
DE19605932A1 (de) * 1996-02-17 1997-08-21 Leybold Systems Gmbh Verfahren zum Ablagern einer optisch transparenten und elektrisch leitenden Schicht auf einem Substrat aus durchscheinendem Werkstoff
DE19609970A1 (de) * 1996-03-14 1997-09-18 Leybold Systems Gmbh Vorrichtung zum Aufbringen dünner Schichten auf ein Substrat
US5770922A (en) 1996-07-22 1998-06-23 Eni Technologies, Inc. Baseband V-I probe
JP2001516963A (ja) * 1997-09-17 2001-10-02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ガスプラズマ処理を監視しかつ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DE19800758C2 (de) * 1998-01-12 2000-08-31 Fraunhofer Ges Forschung Verfahren zum Beschichten von Folie aus Nickel oder einer Nickellegierung und beschichtete Folie aus Nickel oder einer Nickellegie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16472A (ja) 2003-05-13
EP1232293A2 (de) 2002-08-21
ATE240423T1 (de) 2003-05-15
DE19956733A1 (de) 2001-06-28
WO2001038597A3 (de) 2001-10-25
EP1232293B1 (de) 2003-05-14
WO2001038597A2 (de) 2001-05-31
US6797128B1 (en) 2004-09-28
DE50002220D1 (de)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66615B2 (ja) 反応性スパッタリング方法及び装置
JP3417575B2 (ja) 物体上に膜を形成した物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61066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ctive sputtering employing two control loops
Aiempanakit et al. Hysteresis and process stability in reactive high power impulse magnetron sputtering of metal oxides
US6537428B1 (en) Stable high rate reactive sputtering
JP5162618B2 (ja) 多層膜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前記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US2010028259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reactive-high-power pulsed magnetron sputter process and corresponding device
US6511584B1 (en) Configuration for coating a substrate by means of a sputtering device
KR20200071144A (ko) 유전성 화학양론적 필름의 고속 반응성 스퍼터링
JPH0578836A (ja) 反応性スパツタリング工程の調整法および調整装置
KR20020069194A (ko) 스퍼터링 프로세스를 조정하는 방법
US4526802A (en) Film deposition equipment
US20040074769A1 (en) Thin film forming apparatus and thin film forming method
US20020070106A1 (en) Interference layer system
JP5697829B2 (ja) 多層膜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前記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Billard et al. Stable and unstable conditions of the sputtering mode by modulating at low frequency the current of a magnetron discharge
JPH1112720A (ja) チタン酸化物の成膜方法
Woelfel et al. The Multipole Resonance Probe-based controller: a technology to investigate plasma-based deposition
Perry et al. An investigation of the pulse characteristics on deposition rate of reactively sputtered titanium dioxide films synthesised with a low-frequency modulation of the discharge current
McNally et al. Ion Beam Assisted Deposition Of Optical Thin Films-Recent Results
RU2039846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ленок в плазме
Wen et al. Controlling synthesis of Ti–O/Ti–N gradient films by PIII
Schiller et al. The effect of target-substrate coupling on reactive direct current magnetron sputtering
Rabotkin et al. Process stabilization during reactive high power impulse magnetron sputtering of Ce/Gd target
US20040099525A1 (en) Method of forming oxide thin films using negative sputter ion beam 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