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8502A - 거래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거래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8502A
KR20020068502A KR1020027002902A KR20027002902A KR20020068502A KR 20020068502 A KR20020068502 A KR 20020068502A KR 1020027002902 A KR1020027002902 A KR 1020027002902A KR 20027002902 A KR20027002902 A KR 20027002902A KR 20020068502 A KR20020068502 A KR 20020068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transaction
spot
goods
sche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와하라히로시
이와이노리오
사또다꾸야
고바야시다이스께
다께무라진고
야마모또유지
Original Assignee
닛쇼이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쇼이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닛쇼이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8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850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소정기간의 계약에 기초하는 고정거래에 대한 임시 계약에 기초하는 스폿거래의 삽입을 조정할 때,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고정거래 상품의 수송 스케줄에 대하여,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수송조절부 (140) 를 구비한 거래조정장치 (100) 를 구성한다. 이로써, 스폿거래가 갑자기 발생한 경우라도 고정거래 상품의 수송 스케줄에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을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게 되어, 경직화된 계약을 수반하는 상품거래에 있어서 유연한 계약을 수반하는 상품거래를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거래조정장치{TRANSACTION ADJUSTING DEVICE}
천연가스는, 일반적으로 가스전, 유전, 탄전 등의 자연환경에 존재하는 가스로,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고, 기타 에탄, 프로판, 부탄 등의 탄화수소나 이산화탄소, 질소, 황화수소나 기타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도 있는 가연성 가스이다. 액화 천연가스 (Liquefied Natural Gas, 이하, 단순히 「LNG」라 한다) 는 천연가스를 정제하고, 탄화수소 이외의 불순물을 대강 제거한 후, 저온기술에 의하여 약 -160℃ 로 냉각, 액화하고, 체적을 가스상태의 1/600 으로 축소시킨 것이다.
이 LNG 는 체적축소에 의하여 한번에 대량 수송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지며, 또한 다른 화석연료에 비하여 연소시에 탄산가스의 발생이 적고, 또한 황산화물 등 불순물을 거의 함유하지 않으므로, 환경에 주는 악영향이 적은 깨끗한 에너지로서 최근 갑자기 주목받고 있다. 한편, 이 LNG 를 생산하기 위한 플랜트 설비는 복잡한 구조로, 거대한 규모가 되어, 더욱 충분한 안전대책을 세우는 업계윤리에 의하여, 플랜트 건설에는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LNG 를 수송하기 위한 전용선은 수송중에 있어서의 LNG 의 액화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극저온 유지설비 등을 갖출 필요가 있으므로, 수송선 건조에도 역시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LNG 의 생산자나 수송자는 거대한 투자회수를 확실히 행하기 위하여, 전통적으로 장기안정거래를 명확히 규정한 계약을 기본으로 LNG 의 매매계약을 체결해 오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의 LNG 의 구입자로는, 주요 가스회사, 전력회사 및 대기업 제철회사 등이 있는데, 이들 구입자와 LNG 생산자 및 수송자는 「1973 년 LNG 매매계약」을 비롯한 20 년 이상에 걸친 고정된 기간으로 매년 일정한 수량을 계약시점에서 인수위탁하는 장기안정적인 계약을 맺어 오고 있다.
이와 같이, LNG 의 거래에 있어서는, 장기안정적인 계약에 기초하는 고정거래, 즉 「수송 스케줄을 적어도 1년 정도 전부터 확정할 수 있을 정도의 것」, 또는 「사전에 고정거래계약에 기초하여 수년 이상에 걸쳐 거래 수량의 확정이 이루어져, 그것에 기초하여 적어도 1년 정도 전부터 수송 스케줄을 확정할 수 있을 정도의 것」등의 형태가 일반적이며, 임시적인 계약에 기초하는 스폿거래, 즉 「일회적인 매매계약 등에 기초하는 거래」, 또는 「수회로 종료되는 비계속적인 공급계약」등을 실현시키는 LNG 시장 및 LNG 선 용선(傭船)시장은 구성되어 있지 않다.
투자회수면에서 보면, 생산자는 장기계약체결이 리미티드 리코스 파이넌스(limited recourse finance) 조성의 조건이며, 수송자는 장기용선계약의체결로 확실한 투자회수가 가능하므로, Take or Pay (이하, 단순히 「T/P」라 한다), 즉 「인수하라, 혹은 인수하지 않더라도 대가를 지불하라」라는 계약조항을 떠안는 구입자가 가장 큰 상업적 리스크를 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구입자의 리스크를 다른 구입자, 및 다른 구입자로의 이전을 전제로 하는 생산자나 수송자에게 분산시키는 것은 스폿거래의 확대를 도모하기 위한 조건이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즉, 반드시 전체 생산량을 장기계약으로 체결할 필요가 없는 LNG 프로젝트가 출현하면, 및 그에 수반하여 호혜적 관계에 구속되지 않는 수송자가 출현하면, 수량적인 자유도를 가진 스폿거래가 실현될 가능성도 있다고 여겨진다. 스폿거래가 확대되면, LNG 시장에 대하여 이하와 같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즉, 미국에서는 뉴욕 상품거래소 (New York Mercantile Exchange : NYMEX) 에 있어서의 천연가스 가격을 지표로 하여, 네트백 베이스, 즉 「소비국에 있어서의 제품가격에서 경비를 공제하여 역산하는 이론적 가격을 베이스」로, 구입하는 LNG 가격이 결정되는 경향이 있으며, 미국의 천연가스 가격은 완전히 수급(需給)에 달려 있다. 또한, 유럽에 대한 LNG 가격에 대해서는, 중유ㆍ경유ㆍ석탄ㆍ전력 등의 경합 에너지 가격과 연결하는 네트백 방식으로 복수의 공급소스로 이루어지는 파이프라인 (Pipe Line, 이하, 단순히 「P/L」이라 한다) 가스 가격과 경합하고 있으며, 거의 수급이 반영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들에 대하여, P/L 망의 정비가 불충분하며, 안정공급 확보를 위하여 상대적인 장기계약이 절반을 차지하는 아시아에 있어서는, LNG 가격을 경합연료인 석유가격에 연결시키고 있으므로, LNG 의 수급이 반영되는 가격체계로 되어 있지 않다. 한편, LNG 의 신규도입 예정국에서는 독자적인 LNG 가격을 가질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어, 현상황에 있어서도 가격결정에 석탄가격을 연결시키는 케이스, 고정가격을 채용하는 케이스도 볼 수 있다. 구입자의 신용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들 지역에서는 반드시 장기적으로 위탁하지 않는 계약형태를 취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스폿거래의 확대에 따라, 기존 플레이어의 LNG 가격결정 메카니즘이 신규 플레이어를 포함한 시장의 주류에서는 없어질 가능성도 있어, 그 결과로서 LNG 가격이 석유 링크를 벗어나게 될 가능성도 시사되어 있다.
또한, 아시아에서 천연가스 수요가 저조한 점이나, 독립 발전 사업자 (Independent Power Producer, 이하, 단순히 「IPP」라 한다) 등의 참가, 전력ㆍ가스업계의 규제완화 등에 의하여, LNG 수요의 전망이 불투명한 점에서, 추후 소비국측은 거래수량을 단기, 소량화해 가는 경향이 있으며, 장기 대량의 LNG 거래를 필요로 하는 대형의 신규 LNG 프로젝트의 가동이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단계에서는 LNG 는 시황(市況)상품(Commodity)화되어 있지 않고, 제 3 자의 개재에 의한 전매 (트레이딩) 의 가능성은 생기지 않고 있다. 그러나, 생산자에 있어서 LNG 생산량이 일정한 데 비하여 수요량이 계절간 및 날씨에 따라 변동하고, 따라서 트레이딩의 여지는 잠재적으로 있다고 할 수 있다. 스폿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IPP 나 신규 LNG 도입국의 참가에 의하여 플레이어의 수가 증가해 가면, 장래에는 생산자와 구입자를 연결짓는 담당자로서 트레이더의 출현이 기대된다.
이상적인 천연가스 및 LNG 의 수급이란, 생산자로서는 다양한 수요 패턴을 갖는 구입자를 조합시키면서 LNG 액화 설비의 LNG 생산능력에 대응한 이븐 딜리버리 (even delivery), 즉 「매월의 일정 생산에 의한 일정 공급」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존 장기계약을 기초로 생산자와 구입자간에 보증되어 있는 딜리버리 패턴을 붕괴시키는 일 없이, 다른 생산자와 구입자, 생산자와 다른 구입자, 내지는 구입자와 다른 구입자를 연결짓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추후 LNG 프로젝트의 비용삭감이나 관계자간의 리스크 분산을 통하여, 파이넌스를 전부 장기계약으로 담보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계약수량을 위탁하지 않고 프로젝트를 가동시키는 계획이 구축되면, 스폿거래의 촉진을 크게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안정공급에 관하여 불확실성이 발생했을 때에도, 이미 시장이 생겨 있으면 거기서부터 조달할 수 있을 가능성도 있어, 스폿거래의 확대를 통한 LNG 시장의 정비는 T/P 를 포함한 장기계약을 보완할 것으로 여겨져, 에너지 안전보장의 관점에서도 의의가 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LNG 시장에 있어서 스폿거래 발전의 필수조건이 되는 여잉생산능력이나 여잉수송능력은 매우 한정적이다. 즉, 전망이 서지 않는 수요에 대해서는 보다 유연성 있는 거래로 대응한다는 구입자의 필요에 부응하는 틀이 충분히 구축되어 있지 않은 정황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가령 새로운 여잉능력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것이 즉시 자유도가 높은 거래의 확대로 연결된다는 기대는 갖기 어렵다.
또한, 본래 LNG 시장에 생산자, 수송자, 구입자 각각이 독립적으로 존재하지않으면 커먼캐리지로서의 수송능력, 즉 「범용성이 있는 수송능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현상황의 CIF (Cost Insurance and Freight term), 즉 「생산자가 적항(積港)에서 양항(揚港)까지의 상품에 대한 운임, 보험료를 부담하는 매매조건」또는 FOB (Free On Board), 즉 「생산자가 상품을 자기 비용과 책임으로 지정된 본선에 적재하고, 상품인도를 완료한 시점으로부터 상품의 소유권, 비용, 위험부담이 구입자에게 이전되는 조건」이라는 LNG 거래 모델에서는 수송자는 생산자나 구입자중 어느 한 쪽에 속해 있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구입자가 스폿거래 발전의 또 다른 필수조건인 가격 인센티브를 추구하려면, 스스로 수송수단을 확보하고 있는 FOB 쪽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T/P 포함의 장기계약이라는 경직적인 계약조항에 기초한 생산자와의 강력한 상대거래관계에 있어서는, 구입자가 가격 인센티브를 작용시키는 것도 쉽지는 않다. 이상의 점에서, LNG 시장에 있어서 스폿거래를 발전시키는 것은 많은 어려움을 수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경직화된 계약을 수반하는 상품거래에 있어서 유연한 계약을 수반하는 상품거래를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는 거래조정장치, 시스템, 방법, 정보기록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정기간의 계약에 기초하는 고정거래에 대한 임시 계약에 기초하는 스폿거래의 삽입을 조정하는 거래조정장치, 시스템, 방법, 정보기록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면 액화천연가스의 고정거래에 사용되고 있는 복수의 수송선에 대하여, 스폿거래에 사용하는 수송선의 삽입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조절할 수 있는 거래조정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된 거래조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거래조정 시스템에 있어서의 거래조정장치의 상세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거래조정 시스템에 의한 거래조정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 는 도 3 에서 설명한 거래조정의 프로세스의 단계 S8 에 있어서의 수송 시뮬레이션 모드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 는 도 4 의 수송 시뮬레이션 모드의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수송 시뮬레이션 모드의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 은 도 4 의 수송 시뮬레이션 모드의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의 제 3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 은 도 4 의 수송 시뮬레이션 모드의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의 제 4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 은 도 4 의 수송 시뮬레이션 모드의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의 제 5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 은 도 4 의 수송 시뮬레이션 모드의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의 제 6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 은 도 4 의 수송 시뮬레이션 모드의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의 제 7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발명의 개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거래조정장치는 소정기간의 계약에 기초하는 고정거래에 대한 임시 계약에 기초하는 스폿거래의 삽입을 조정하는 거래조정장치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고정거래와 관련된 상품의 수송 스케줄에 대하여, 상기 스폿거래와 관련된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수송조절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발명에 의하면, 수송조절부가 고정거래에 있어서의 상품의 수송 스케줄을 상시 관리하고 있으므로, 스폿거래가 갑자기 발생한 경우라도, 고정거래 상품의 수송 스케줄에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을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특히 안정적이라도 경직화된 장기거래에 대하여 효과적이며, 유연성 있는 장기거래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송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송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송조절부가 상기 수송 데이터 저장부로부터의 상기 수송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수송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송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스폿거래의 일방 당사자측으로부터 상기 스폿거래의 타방 당사자에 대하여, 상기 스폿거래와 관련된 조건을 배송하는 거래조건 배송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송조절부가 상기 거래조건 배송부로부터의 상기 스폿거래 조건과 상기 수송 데이터 저장부로부터의 상기 수송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도록 해도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송조절부는 상기 수송 스케줄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며, 그 조절이 불가능할 때는 상기 수송 스케줄을 변경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고, 그 조절이 불가능할때는 일정범위내에서의 다른 수송 스케줄을 변경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고, 그 조절이 불가능할 때는 상기 일정범위를 확대한 범위내에서의 다른 수송 스케줄을 변경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거래상품으로서 액화천연가스를 대상으로 하고, 상기 수송수단으로서 해상 또는 육상에서 운송되는 상기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된 케이스를 사용하고, 이 때 적어도 상기 케이스의 미리 설정되어 있는 운행일수와 실제의 필요최저운행일수에 기초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첨부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또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되어 있다. 또한,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실시될 때에 유용한 형태로서의 것으로, 본 발명이 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거래조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 는 도 1 의 거래조정 시스템에 있어서의 거래조정장치의 상세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 은 도 1 의 거래조정 시스템에 의한 거래조정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거래조정 시스템은 거래상품으로서 LNG 를 대상으로 하며, 수송수단으로서 수송선을 사용하고, 장기거래 등의 소정기간의 계약에 기초하는 고정거래에 대한 임시 계약에 기초하는 스폿거래의 삽입을 조정하는 거래조정 시스템이다.
이 거래조정 시스템은 스폿거래를 행하는 측에서 조작이 이루어지는 클라이언트로서 기능하는 스폿거래측 말단장치 (10) 와, 고정거래에 대한 스폿거래의 삽입의 조정을 행하는 서버로서 기능하는 거래조정장치 (100) 가, 통신회선을 통하여 네트워크 (50) 에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폿거래측이란, 오퍼 (매매계약 신청) 나 비드 (경매에 의한 입찰) 를 행하는 파는 쪽 및 사는 쪽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로서 기능하는 스폿거래측 단말장치 (10) 나 서버로서 기능하는 거래조정장치 (100) 로는, 본체부, 표시부 및 입력부로 이루어지는 소위 컴퓨터 장치를 상정하고 있는데, 특별히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 (50) 에 접속가능하다면 모든 장치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스폿거래측 단말장치 (10) 로서 전화나 텔레비젼 등이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 (50) 로는 인터넷 등의 오픈된 네트워크가 바람직하나, 인트라넷 등의 클로즈된 네트워크여도 된다. 또한, 거래조정장치 (100) 는 고정거래에 대한 스폿거래의 삽입의 조정을 행하는 것인데, 독립적인 스폿거래 또는 스폿거래 이외의 거래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50) 를 사용하지 않는 거래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래조정장치 (100) 는 사용자 등록부 (110),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 (120), 거래조건 배송부 (130), 수송조절부 (140), 수송 데이터 저장부 (150) 및 결제처리부 (160) 를 갖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 등록부 (110) 는 사용자 등록화면 표시부 (111), 사용자 등록 데이터 심사부 (112) 및 사용자 ID 부여부 (113) 를 갖고 있다. 사용자 등록화면 표시부 (111) 는 스폿거래측 단말장치 (10) 의 표시부에 사용자 등록용 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 등록 데이터 심사부 (112) 는 스폿거래측 단말장치 (10) 에서 입력된 LNG 의 파는 쪽 및 사는 쪽이 되는 스폿거래의 참가자의 사용자 등록 데이터를 입력하여 자격심사한다.
사용자 ID 부여부 (113) 는 자격심사를 패스한 참가자에게 사용자 코드 및 패스워드를 부여하고, 그 참가자의 사용자 등록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 (120) 에 기록한다. 이로써, 각 참가자는 부여받은 사용자 코드 및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스폿거래를 행하게 된다. 이 사용자 등록의 세부내용에 따라, 각 참가자에게는 이하와 같은 ID (Identification) 가 계층형, 즉 제 1 계층 : 파는 쪽, 사는 쪽, 트레이더, 제 2 계층 : 소속국, 제 3 계층 : 각 사용자 개별 코드로 분류된다.
거래조건 배송부 (130) 는 거래화면 표시부 (131), 사용자 데이터 대조부 (132), 매매 데이터 배송부 (133) 및 수송조절 데이터 배송부 (134) 를 갖고 있다. 거래화면 표시부 (131) 는 스폿거래측 단말장치 (10) 의 표시부에 스폿거래용 각종 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 데이터 대조부 (132) 는 스폿거래측 단말장치 (10)에서 입력된 스폿거래의 참가자의 사용자 코드 및 패스워드를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 (120) 로부터 판독한 사용자 데이터와 대조한다.
매매 데이터 배송부 (133) 는 스폿거래측 단말장치 (10) 에서 입력된 스폿거래의 참가자의 매매 데이터를 다른 참가자에게 배송하고, 또한 그 매매 데이터에 의하여 스폿거래가 성립되었을 때에 당해 매매 데이터를 수송조절부 (140) 로 송출한다. 수송조절 데이터 배송부 (134) 는 수송조절부 (140) 로부터의 수송조절 데이터를 해당하는 참가자에게 배송한다.
수송조절부 (140) 는 매매 데이터 입력부 (141), 수송 데이터 판독부 (142), 수송 삽입 조절부 (143) 및 수송 데이터 갱신부 (144) 를 갖고 있다. 매매 데이터 입력부 (141) 는 거래조건 배송부 (130) 로부터의 매매 데이터를 입력한다. 수송 데이터 판독부 (142) 는 수송 데이터 저장부 (150) 로부터 소정의 수송 데이터를 판독한다.
수송 삽입 조절부 (143) 는 입력된 매매 데이터와 판독된 수송 데이터에 기초하여, 고정거래 상품의 수송 스케줄에 대하여,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고, 그 수송조절 데이터를 거래조건 배송부 (130) 로 송출한다. 수송 데이터 갱신부 (144) 는 수송 데이터 저장부 (150) 에 저장되어 있는 수송 데이터를 갱신한다.
이 수송 데이터 저장부 (150) 는 수송선 데이터 베이스 (151), 항로 데이터 베이스 (152), 항구 데이터 베이스 (153) 및 계량 데이터 베이스 (154) 를 갖고 있다. 수송선 데이터 베이스 (151) 에는, 예를 들면 수송 스케줄, 수송선의 스펙, 상태, 이력, 선적(船籍), Day Rates 등의 데이터가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다. 수송 스케줄은 프로젝트마다의 선명이나 각 수송선의 계약번호, 항해번호, 적지출항일시, 양지도착일시, 적지항, 양지항, 인수 사용자, 계약의 종류, 항해일수, 리앨로케이션(reallocation), 드라이독 등의 데이터 테이블이다.
스펙은 수송자, 운항자, 승원, 수송용량, 형식, 스피드, BOG (Boil Off Gas) Rates 등의 데이터 테이블이다. 상태는 LNG 선의 LNG 저장부 (탱크) 를 상온에서 액화온도까지 낮추는 시간 등의 쿨다운 요소, 저온유지를 위하여 이항시에 남겨 두는 LNG 의 양 등의 필요 힐 양, 자연증발되는 LNG 를 연료로서 사용 가능한 배인지 아닌지에 따라 변하는 양 등의 필요연료 등의 데이터 테이블이다. 이력은 과거 방문항들의 데이터 테이블이며, 선적은 배의 등록지 등에 관한 데이터 테이블이다.
항로 데이터 베이스 (152) 에는, 예를 들면 항로의 종류, 보험, 사용요금, 규제, 기상조건 등의 데이터가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다. 항로의 종류는 주행거리 등의 데이터 테이블이며, 사용요금은 해협 등의 통과요금 등의 데이터 테이블이며, 규제는 해협 등의 통과 가능시간 등의 데이터 테이블이다. 항구 데이터 베이스 (153) 에는, 예를 들면 상태, 항만규제 (MSA 규제), 환경 레귤레이션, 부대설비, 항만 사용요금 등의 데이터가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다.
상태는 선창(棧橋)의 스펙이나 전망(perspective) 상황 등의 데이터 테이블이며, 항만규제는 야간사용 불가 등의 데이터 테이블이다. 환경 레귤레이션은 밸러스트(ballast)수의 방수규제 등의 데이터 테이블, 부대설비는 연료공급 등의유틸리티 설비 등의 데이터 테이블이다. 계량 데이터 베이스 (154) 에는, 예를 들면 열량계산, 성분분석, 제 3 자 검정기관 등의 데이터가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다.
결제처리부 (160) 는 결제부 (161) 및 결제 데이터 배송부 (162) 를 갖고 있다. 결제부는 수송조절부로부터의 매매 데이터, 가격 데이터, 수송 데이터, 수송조절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결제 데이터를 작성한다. 결제 데이터 배송부 (162) 는 작성된 결제 데이터를 해당하는 참가자에게 배송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을 갖는 거래조정 시스템에 의한 거래조정의 프로세스를 도 3 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LNG 의 파는 쪽 및 사는 쪽이 되는 스폿거래의 각 참가자는 미리 스폿거래측 단말장치 (10) 를 사용하여 사용자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사용자 코드 및 패스워드가 부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LNG 의 스폿거래의 각 참가자는 스폿거래측 단말장치 (10) 의 표시부에 LNG 스폿거래용 HP (Home Page) 를 표시시킨다 (단계 S1). 또한, 이 HP 로의 액세스는 스폿거래의 참가자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HP 로의 참가자로서 사용자 등록을 한 모든 멤버에게 자유이다. 각 참가자는 스폿거래에 참가하는 것이라면 (단계 S2), HP 상에 항상 게시되어 있는 스폿거래에 적용되는 매매계약 표준서식, 수송계약 표준서식에 따른 딜링임에 동의함으로써 (단계 S3), 오퍼ㆍ비드의 화면으로 들어간다 (단계 S4).
다음으로, 각 참가자는 「판매」, 「구매」 각각의 오퍼 입력화면에서 게시포맷에 따라, 시기, 수량, 가격, 인도ㆍ인수조건, 적ㆍ양항, 딜리버리의 타이밍, 수송의 유무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HP 에 부속된 전자게시판에 게시한다. 오퍼 게시를 한 각 참가자는 기명ㆍ무기명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참가자는 게시처 참가자에 대하여 지정 및 당해 지정의 변경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지정은 전술한 3 계층에서의 지정으로 하여, 전체 조건 합치의 참가자에 대해서만 게시가 개방된다.
그리고, 게시가 개방된 참가자만이 오퍼에 대한 비드를 할 수 있으며, 그 참가자는 오퍼 게시에 연동하는 비드 입력화면에서 게시 포맷에 따라, 오퍼로부터의 데비에이션 (deviation ; 일탈, 편차) 을 입력하여 HP 에 부속된 전자게시판에 게시한다. 비드 게시를 한 각 참가자는 기명ㆍ무기명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비드의 게시에 대해서는 해당 비드 게시를 한 참가자와 오퍼 게시를 한 참가자만의 액세스 제한으로 한다 (단계 S5).
이 비드 게시 이후에는, 개별적인 비드 게시를 한 참가자와 오퍼 게시를 한 참가자가 당해 2 자에 대해서만 액세스가 허가되는 게시판상에서 인터랙티브 베이스로 개별교섭을 한다 (단계 S6). 이 개별교섭의 최종 합의조건은 HP 에 게시되는 매매계약 표준서식에 반영되어, 완성된 매매계약으로서, 오퍼 게시를 한 참가자와 비드 게시를 한 참가자의 사용자 코드 및 패스워드의 확인이 요구되고, 이 확인으로 거래 성립이 된다 (단계 S7).
이 거래 성립에 따라, 계약상에서 수송수배의 의무를 지는 참가자에 대하여, 그 참가자의 HP 게시판상의 요청에 기초하여, 이하의 우선순위로 검색한 수송청부(請負)의 기술적 (적항ㆍ양항의 스펙, 계약수량의 수송에 적합한 자격의 검색) 및 상업적 가능성을 가진 수송선 및 그 수성선의 용선 계약자가 이하의 순서로 공급된다.
제 1 우선순위 : 성립된 거래의 적항에서 양항의 항로가, 공하(空荷)항해를 이용할 수 있는 운항중인 수송선
제 2 우선순위 : 성립된 거래의 적항ㆍ양항 쌍방을 포함하는 항로에서 운항중인 수송선
제 3 우선순위 : 성립된 거래의 적항ㆍ양항 중 한쪽을 포함하는 항로에서 운항중인 수송선
제 4 우선순위 : 성립된 거래의 적항ㆍ양항 쌍방을 포함하지 않는 항로에서 운항중인 수송선
제 5 우선순위 : 계선(係船)중인 수송선
상기 각 우선순위내에서는 다시, 당해 수송선이 속하는 선측의 기존의 배선 포지션에 있어서 이미 결정된 하양기일은 유지한 채, 기존의 항로상 일정 및 하적기일을 이동시켜, 필요 여잉 선박(船腹)을 창출하고, 적지의 재고 포지션을 참조추정하여, 적출 가능기일을 추정하는 시뮬레이션 모드에 의한 검색을 실시한다. 이 시뮬레이션 모드에서는 프로젝트마다 분류된 기존 배의 수송 스케줄이 표형식으로 참조 가능하다.
동일 표의 항목에는 기존 배의 계약번호, 항해번호, 적지출항일시, 양지도착일시, 적지항, 양지항, 인수 사용자, 계약의 종류, 항해일수, 기타 항목이 있어,배선의 상황을 일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타 항목으로는, 리앨로케이션, 드라이독 등의 각 항해의 특수사정이 명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모드에는 시스템이 소유하는 세계지도 정보상에서 각 배의 위치가 배선 스케줄로부터 계산되어 도시되도록 되어 있는 위치정보 화면도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위치정보 화면을 보면서 시뮬레이션 모드를 관람할 수 있으므로, 비쥬얼하게 수송의 수배ㆍ검토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통신기능을 갖는 배의 경우에는, GPS 정보에 기초하는 위치정보를 도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짐으로써, 단순히 수요와 공급이 매칭되지 않는 경우에도, 기존의 수송 스케줄 중에서 선박을 이동시켜, 신규 스폿거래용 배선 포지션을 염출(捻出 :「윈도우」의 창출)함으로써 공급 가능의 판단을 내릴 수 있다. 상기 「윈도우」의 창출은 수송ㆍ인도의 매칭이 성립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의 기존의 배선 포지션을 이동시켜 여잉 선박을 찾아내는 모드 (수송 시뮬레이션 모드) 와, 생산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등에 있어서, 기존의 배선 포지션을 이동시켜 여잉 생산능력을 찾아내는 모드 (생산 시뮬레이션 모드) 2 단계에서 행해진다 (단계 S8, S80).
이상에 의하여 검색된 수송선 및 그 용선 계약자, 및 시뮬레이션 모드를 통한 수송선 및 관련 수송선단의 스케줄이 당해 거래에 있어서의 수송수배의 의무자 및 수송선의 용선 계약자에게만 HP 의 게시판을 통하여 연락된다 (단계 S9). 그 연락을 받은 용선 계약자는 본 HP 에 게시되어 있는 수송계약 표준서식의 조건으로, 동일하게 게시되어 있는 포맷을 이용하여 수송보수 및 제반 조건을 그 게시판을 통하여 당해 거래에 있어서의 수송수배의 의무자에게 제시한다 (단계 S10).
그 제시를 받은 수송수배의 의무자는 그 용선 계약자와 그 게시판을 통하여 인터랙티브 베이스로 교섭을 하여 수송조건을 확인한다. 그리고, 수송조건이 확정된 후에 (단계 S11), 딜리버리를 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를 이용한 시스템상에서 행하고 (단계 S12), 최종교섭을 한다 (단계 S13). 그리고, 최종조건이 합의에 도달하지 않은 때는 (단계 S14), 단계 S80 으로 되돌아가 다시 수송 시뮬레이션 모드에 의한 배선조정을 하고, 최종조건이 합의에 도달했을 때는 (단계 S14), 마지막으로 결제처리를 한다 (단계 S15).
다음으로, 도 3 에서 설명한 거래조정의 프로세스의 단계 S80 에 있어서의 수송 시뮬레이션 모드, 즉 기존의 수송 스케줄 중에서 배선 포지션을 이동시켜, 여잉 선박을 찾아 신규 스폿거래용 배선 포지션을 염출하는 모드를 도 4 의 플로우차트 및 도 5 ∼ 도 11 의 표시화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검색화면 (20) 을 표시한다. 이 검색화면 (20) 은 전체가 좌우로 2 분할되고, 다시 우측이 상하로 2 분할되어 있으며, 좌측에 메뉴화면 (21) 이 표시되고, 우측 상부에 스폿정보 입력 화면 (22) 이 표시되며, 우측 하부에 배선표 화면 (23) 이 표시되어 있다. 메뉴화면 (21) 에는 LNG 의 마켓동향 버튼 (21a), 프로젝트 등에 있어서의 배선표 표시 버튼 (21b), 단계 (이 예에서는 4 단계) 를 따른 수송조절의 검색이 가능한 스폿정보 입력 버튼 (21c) 이 표시되어 있다.
스폿정보 입력 화면 (22) 에는 스폿정보 입력 버튼 (21c) 의 선택에 의하여 LNG 의 수량 (22a), 시기 (22b), 프로젝트 (22c) 등의 입력 스페이스가 표시되어 있다. 배선표 화면 (23) 에는 배선표 표시 버튼 (21b) 의 선택에 의하여 해당하는 LNG 의 수송선마다의 적항의 일정 (23a), 항해일수 (23b), 양항의 일정 (23c), 구입자 (23d) 등의 수송 스케줄이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검색화면 (20) 을 표시하였으면 스폿정보 입력 화면 (22) 에 필요사항을 입력하여 단계적인 검색을 개시한다 (단계 S81).
여기서, 통상 항해일수에는 일주항해 (적항에서 양향 경유로 적항까지) 에 필요한 일수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것은 목적지까지의 거리, 수송선의 속도를 고려하여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설정된 항해일수가 실제로 필요한 최저 항해일수보다 많게 설정되어 있어, 설정된 항해일수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그 여잉을 이용하여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 즉 추가 수송선을 염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제 1 검색에서는 기존의 고정거래 상품의 수송 스케줄내의 변경을 하지 않고,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 즉 추가 수송선을 염출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검색한다 (단계 S82). 예를 들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존의 고정거래 상품의 수송 스케줄에 대하여, 적항 X 의 일정이 9/4, 양향 Y 의 일정이 9/10 인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을 삽입시키는 경우를 생각해 본다. 이 기존 스케줄에서는 각 수송선 a ∼ g 의 적항 X 와 양항 Y 간의 항해일수는 16일 ∼ 19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의 각 수송선 a ∼ g 의 적항 X 와양항 Y 간의 실제로 필요한 최저 항해일수는 14일이므로, 설정된 항해일수에는 여유가 있다.
그래서, 먼저 기존 스케줄의 첫 수송선 d 를 추가 수송선으로 할당하고, 이후의 수송선 f, e, g, c, a, b, d 를 기존 스케줄의 당초 구입자에게 할당하도록 순서대로 겹치지 않게 비켜 놓아 간다. 다음으로, 기존 스케줄의 각 수송선의 각 항해일수를 줄여 추가 수송선의 항해일수에 적용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하여 아무런 문제도 발생하지 않을 경우, 즉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수송 스케줄이 다시 짜여진 경우에는, 기존의 고정거래 상품의 수송 스케줄내의 변경을 하지 않고,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 즉 추가 수송선을 염출 가능한 것으로 되어, 계약 성립이 된다 (단계 S86).
한편, 제 1 검색에서 추가 수송선의 염출이 불가능할 때는, 제 2 검색에 들어간다. 이 제 2 검색에서는 기존의 고정거래 상품의 수송 스케줄내의 변경, 예를 들면 동일 프로젝트 내에서의 수송 스케줄을 변경한다 (단계 S83). 예를 들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존의 고정거래 상품의 수송 스케줄에 대하여, 적항 X 의 일정이 9/4, 양항 Y 의 일정이 9/10 인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을 삽입시키는 경우를 생각해 본다. 이 도 8 의 기존 스케줄이 도 6 의 기존 스케줄과 다른 점은 수송선 c 의 항해일수가 16일에서 14일로 되어 있는 점이다.
이로 인하여, 기존 스케줄의 첫 수송선 d 을 추가 수송선으로 할당하고, 이후의 수송선 f, e, g, c, a, b, d 를 기존 스케줄의 당초 구입자에게 할당하도록 순서대로 겹치지 않게 비켜 놓고, 또한 기존 스케줄의 각 수송선의 각 항해일수를줄여 추가 수송선의 항해일수에 적용하면,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송선 c 의 적항 X 의 일정을 9/11 에서 9/13, 양항 Y 의 일정을 9/17 에서 9/19 로 변경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 변경의 가능성의 유무는 적항 및 양항의 LNG 탱크의 재고상황 및 선창의 점유상황 등에 의하여 판단되며, 변경 가능하다면 기존의 고정거래 상품의 수송 스케줄내의 변경에 의하여,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 즉 추가 수송선을 염출 가능한 것으로 되어, 계약성립이 된다 (단계 S86).
한편, 제 2 검색에서 추가 수송선의 염출이 불가능할 때에는, 제 3 검색에 들어간다. 이 제 3 검색에서는 일정범위내에서의 다른 고정거래 상품의 수송 스케줄의 변경, 예를 들면 동일 국가의 다른 프로젝트의 수송 스케줄을 변경한다 (단계 S84). 예를 들면,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존의 고정거래 상품의 수송 스케줄에 대하여, 적항 X 의 일정이 9/4, 양항 Y 의 일정이 9/10 인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을 삽입시키는 경우를 생각해 본다. 이 도 10 의 기존 스케줄이 도 8 의 기존 스케줄과 다른 점은 동일 국가의 다른 프로젝트의 수송 스케줄인 수송선 p 가 들어가 있는 점이다.
이로 인하여, 기존 스케줄의 첫 수송선 d 을 추가 수송선으로 할당하고, 이후의 수송선 f, e, g, p, c, a, b, d 를 기존 스케줄의 당초 구입자에게 할당하도록 순서대로 겹치지 않게 비켜 놓고, 또한 기존 스케줄의 각 수송선의 각 항해일수를 줄여 추가 수송선의 항해일수에 적용하면,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송선 g 를 동일 국가의 다른 프로젝트의 수송선 p 로 변경하고, 동일 국가의 다른 프로젝트의 수송선 p 를 수송선 a 로 변경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 변경의 가능성의 유무는 적항 및 양항의 LNG 탱크의 재고상황 및 선창의 점유상황 등에 의하여 판단되며, 변경 가능하다면 일정범위내에서의 다른 고정거래 상품의 수송 스케줄의 변경에 의하여,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 즉 추가 수송선을 염출 가능한 것으로 되어, 계약성립이 된다 (단계 S86).
한편, 제 3 검색에서 추가 수송선의 염출이 불가능할 때에는, 제 4 검색에 들어간다. 이 제 4 검색에서는 일정범위내를 확대한 범위내에서의 다른 고정거래 상품의 수송 스케줄의 변경, 예를 들면 다른 국가의 다른 프로젝트의 수송 스케줄을 변경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대상의 파는 쪽ㆍ사는 쪽 사이에 존재하는 계약 이외의 선박의 여잉, 즉 대상의 사는 쪽이 대상의 파는 쪽 이외와 체결하고 있는 계약의 수송선의 여잉 선박의 이용, 대상의 파는 쪽이 대상의 사는 쪽 이외와 체결하고 있는 계약의 수송선의 여잉 선박의 이용, 또는 대상의 파는 쪽ㆍ사는 쪽 모두 기존 계약상에서 사용하고 있지 않은 수송선의 여잉 선박의 이용을 고려한다 (단계 S85).
이 변경의 가능성의 유무는 수송선의 스펙, 적항 및 양항과 수송선과의 정합성 및 과거의 수입실적 등에 의하여 판단되며, 변경 가능하면 일정범위내를 확대한 범위내에서의 다른 고정거래 상품의 수송 스케줄의 변경에 의하여,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 즉 첨가 수송선을 염출 가능한 것으로 되어, 계약성립이 된다 (단계 S86). 한편, 제 4 검색에서 추가 수송선의 염출이 불가능할 때에는 계약 불성립으로 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의 거래조정 시스템에 의하면, LNG 비즈니스에 있어서의 커뮤니케이션의 EDI 화, 물류 및 결제의 일원관리, 스폿시장의 확립, 나아가서는 총합 에너지의 넷비즈니스화를 추진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의 EDI 화에 의하여, 배선관련을 EDI 화함으로써 재입력 미스를 없앨 수 있으며, 또한 결제업무를 EDI 화함으로써 인보이스를 파는 쪽이 직접 인터넷 경유로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할 수 있으며, 사는 쪽의 기간 시스템에 연결시켜 두번 입력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동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통계자료 등의 각종 정보를 자동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FACSIMILE 나 TELEX 로 행해 온 각 플레이어간의 문서교환을 본 EDI 화 시스템내로 전자정보로서 통합함으로써, 과거의 축적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이용시킬 수 있게 된다.
물류 및 결제의 일원관리에 의하여, LNG 수입업무를 종형통합시키고, 또한 표준화된 동일 시스템을 각국 LNG 수입업무에도 사용하여 횡형통합시킬 수 있다. 또한, LNG 수입업무 및 코디네이션 업무를 동일 시스템에 집약시킴으로써, LNG 수입업무를 정보 시스템화하여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각국별 배선업무를 통일화, 및 상류에서 하류까지의 LNG 에 관한 재고정보를 정보공유하는 LNG 의 SCM (Supply Chain Management)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현재 경직화되어 있는 LNG 거래를 유동화시켜 마켓화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전력회사가 신규 LNG 를 구입하고자 생각한 경우, 현재라면 공급상황, 가격동향 등을 검토하고, 각각 담당상사에 조정을 위탁하여, 파는 쪽과의 교섭을 거쳐 장기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단기적으로 구입한다. 그러나, 동일시스템이 구축된 후에는, A 전력 담당자는 시스템을 관람함으로써 각국 LNG 의 공급상황을 파악하고, 언제 얼만큼의 LNG 가 필요한지를 시스템상에서 타진한다. 각 LNG 생산국의 담당자는 그 오퍼에 대한 베스트 오퍼를 시스템상에서 답변하게 된다.
LNG 의 스폿시장 시스템을 베이스로, 전력의 소매시장을 시스템내에 만들어, 누구나 저가의 전력 판매자로부터 자유롭게 전력구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 때 각 고객의 전력량계의 전력사용량에 관한 데이터를 전력선 경유로 시스템에 접속함으로써, 수집된 데이터를 넷상에서 관리할 수 있어, 계약자는 자동적으로 저가의 전력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거래 상품인 LNG 의 수송에 배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는데, 예를 들면 로리(lorry) 등의 육상에서 운송되는 LNG 가 저장된 케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으며, 그 때는 적어도 케이스의 미리 설정되어 있는 운행일수와 실제의 필요최저 운행일수에 기초하여 LNG 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거래 상품으로서 LNG, 수송수단으로서 수송선이나 로리를 예로 설명하였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기간의 계약에 기초하는 고정거래에 대한 임시 계약에 기초하는 스폿거래의 삽입을 목적으로 하는 거래상품이나 수송수단이면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상 설명한 거래조정기술은 예를 들면, CD-ROM 등의 정보기록매체에 저장하여 실행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유동시킬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하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고정거래에 있어서의 상품의 수송 스케줄을 상시 관리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스폿거래가 갑자기 발생한 경우라도 고정거래 상품의 수송 스케줄에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을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안정적이라도 경직화된 장기거래에 대하여 효과적이며, 유연성 있는 장기거래로 변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고정거래에 있어서의 상품의 수송 스케줄을 상시 관리하여, 스폿거래가 갑자기 발생한 경우라도, 고정거래 상품의 수송 스케줄에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을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으므로, 안정적이라도 경직화된 장기거래를 유연성 있는 장기거래로 변환시킬 수 있다.

Claims (22)

  1. 소정기간의 계약에 기초하는 고정거래에 대한 임시 계약에 기초하는 스폿거래의 삽입을 조정하는 거래조정장치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고정거래와 관련된 상품의 수송 스케줄에 대하여, 상기 스폿거래와 관련된 상품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수송조절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조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송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송조절부가 상기 수송 데이터 저장부로부터의 상기 수송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조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송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스폿거래의 일방 당사자측으로부터 상기 스폿거래의 타방 당사자에 대하여, 상기 스폿거래와 관련된 조건을 배송하는 거래조건 배송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송조절부가 상기 거래조건 배송부로부터의 상기 스폿거래 조건과 상기 수송 데이터 저장부로부터의 상기 수송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조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조절부는 상기 수송 스케줄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며, 그 조절이 불가능할 때는 상기 수송 스케줄을 변경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고, 그 조절이 불가능할 때는 일정범위내에서의 다른 수송 스케줄을 변경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고, 그 조절이 불가능할 때는 상기 일정범위를 확대한 범위내에서의 다른 수송 스케줄을 변경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조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상품이 액화천연가스이며, 상기 수송은 해상 또는 육상에서 운송되는 상기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된 케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조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케이스의 미리 설정되어 있는 운행일수와 실제의 최저 필요운행일수에 기초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거래조정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거래조정장치; 및
    통신회선에 의하여 상기 거래조정장치와 접속된 상기 스폿거래의 참가자의단말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폿거래는 상기 스폿거래의 참가자가 조작하는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거래조정장치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조정 시스템.
  8. 소정기간의 계약에 기초하는 고정거래에 대하여 임시 계약에 기초하는 스폿거래를 삽입할 때의 거래조정방법으로서,
    미리 상기 고정거래와 관련된 상품의 수송 스케줄을 설정해 두는 동시에, 수송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폿거래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수송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및
    판독한 상기 수송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고정거래와 관련된 상품의 수송 스케줄에 대하여, 상기 스폿거래와 관련된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조정방법.
  9. 소정기간의 계약에 기초하는 고정거래에 대하여 임시 계약에 기초하는 스폿거래를 삽입할 때의 거래조정방법으로서,
    미리 상기 고정거래와 관련된 상품의 수송 스케줄을 설정해 두는 동시에, 수송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폿거래의 일방 당사자측으로부터 상기 스폿거래의 타방 당사자에 대하여, 상기 스폿거래와 관련된 조건을 배송하는 단계;
    배송한 상기 스폿거래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스폿거래가 성립한 경우, 상기 수송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스폿거래 조건을 판독하는 단계; 및
    판독한 상기 수송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스폿거래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고정거래 상품의 수송 스케줄에 대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조정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의 조절은,
    상기 수송 스케줄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제 1 단계; 그 조절이 불가능할 때는 상기 수송 스케줄을 변경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제 2 단계; 그 조절이 불가능할 때는 일정범위내에서의 다른 수송 스케줄을 변경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제 3 단계; 및 그 조절이 불가능할 때는 상기 일정범위를 확대한 범위내에서의 다른 수송 스케줄을 변경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제 4 단계를 순서대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조정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상품이 액화천연가스이며, 상기 수송은 해상 또는 육상에서 운송되는 상기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된 케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조정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케이스의 미리 설정되어 있는 운행일수와실제의 최저 필요운행일수에 기초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거래조정방법.
  13. 소정기간의 계약에 기초하는 고정거래에 대하여 임시 계약에 기초하는 스폿거래를 삽입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정보기록매체로서,
    상기 스폿거래가 발생하였을 때, 미리 저장되어 있는 수송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및
    판독한 상기 수송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고정거래와 관련된 상품의 수송 스케줄에 대하여, 상기 스폿거래와 관련된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14. 소정기간의 계약에 기초하는 고정거래에 대하여 임시 계약에 기초하는 스폿거래를 삽입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정보기록매체로서,
    상기 스폿거래의 일방 당사자측으로부터 상기 스폿거래의 타방 당사자에 대하여, 상기 스폿거래와 관련된 조건을 배송하는 단계;
    배송한 상기 스폿거래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스폿거래가 성립한 경우, 미리 저장되어 있는 수송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스폿거래 조건을 판독하는 단계; 및
    판독한 상기 수송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스폿거래 조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고정거래와 관련된 상품의 수송 스케줄에 대하여, 상기 스폿거래와 관련된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의 조절 단계는,
    상기 수송 스케줄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제 1 단계; 그 조절이 불가능할 때는 상기 수송 스케줄을 변경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제 2 단계; 그 조절이 불가능할 때는 일정범위내에서의 다른 수송 스케줄을 변경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제 3 단계; 그 조절이 불가능할 때는 상기 일정범위를 확대한 범위내에서의 다른 수송 스케줄을 변경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제 4 단계를 순서대로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상품이 액화천연가스이며, 상기 수송은 해상 또는 육상에서 운송되는 상기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된 케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케이스의 미리 설정되어 있는 운행일수와 실제의 최저 필요운행일수에 기초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정보기록매체.
  18. 소정기간의 계약에 기초하는 고정거래에 대하여 임시 계약에 기초하는 스폿거래를 삽입하는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스폿거래가 발생하였을 때, 미리 저장되어 있는 수송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는 수단; 및
    판독한 상기 수송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고정거래와 관련된 상품의 수송 스케줄에 대하여, 상기 스폿거래와 관련된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수단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제품.
  19. 소정기간의 계약에 기초하는 고정거래에 대하여 임시 계약에 기초하는 스폿거래를 삽입하는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스폿거래의 일방 당사자측으로부터 상기 스폿거래의 타방 당사자에 대하여, 상기 스폿거래와 관련된 조건을 배송하는 수단;
    배송한 상기 스폿거래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스폿거래가 성립한 경우, 미리 저장되어 있는 수송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스폿거래 조건을 판독하는 수단; 및
    판독한 상기 수송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스폿거래 조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고정거래와 관련된 상품의 수송 스케줄에 대하여, 상기 스폿거래와 관련된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수단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제품.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의 조절 수단은,
    상기 수송 스케줄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제 1 수단; 그 조절이 불가능할 때는 상기 수송 스케줄을 변경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제 2 수단; 그 조절이 불가능할 때는 일정범위내에서의 다른 수송 스케줄을 변경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제 3 수단; 및 그 조절이 불가능할 때는 상기 일정범위를 확대한 범위내에서의 다른 수송 스케줄을 변경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제 4 수단을 순서대로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제품.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상품이 액화천연가스이며, 상기 수송은 해상 또는 육상에서 운송되는 상기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된 케이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제품.
  22. 제 2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케이스의 미리 설정되어 있는 운행일수와 실제의 최저 필요운행일수에 기초하여 상기 스폿거래 상품의 수송의 삽입을 조절하는 프로그램 제품.
KR1020027002902A 2000-07-06 2001-05-11 거래조정장치 KR200200685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10706A JP2002024496A (ja) 2000-07-06 2000-07-06 取引調整装置、システム、方法、情報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製品
JPJP-P-2000-00210706 2000-07-06
PCT/JP2001/003966 WO2002005156A1 (fr) 2000-07-06 2001-05-11 Dispositif d'ajustement des opér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502A true KR20020068502A (ko) 2002-08-27

Family

ID=1870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902A KR20020068502A (ko) 2000-07-06 2001-05-11 거래조정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87328B2 (ko)
EP (1) EP1223528A4 (ko)
JP (1) JP2002024496A (ko)
KR (1) KR20020068502A (ko)
CN (1) CN1388940A (ko)
AU (1) AU2001256713A1 (ko)
WO (1) WO20020051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7572B2 (en) * 2000-07-28 2010-06-29 Waypoint Global Ii, Inc. Method and system for supply chain product and process development collaboration
US7711629B2 (en) * 2003-03-25 2010-05-04 Future Freight Corporation Freight fulfillment and trading platform
JP4078275B2 (ja) * 2003-09-26 2008-04-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発電用燃料価格の決定支援方法および装置
JP4498878B2 (ja) * 2004-10-14 2010-07-0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原料船配船計画装置及び原料船配船計画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8077676A (ja) * 2007-11-12 2008-04-03 Equos Research Co Ltd 旅行保険受付装置
US8374898B2 (en) * 2008-09-05 2013-02-12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Bulk material ship routing and inventory management schedule optimization
JP5569199B2 (ja) * 2010-07-07 2014-08-13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配船計画作成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788932A4 (en) * 2011-12-09 2015-07-29 Exxonmobil Upstream Res Co METHOD FOR GENERATING AN OPTIMIZED VESSEL SCHEME FOR THE DISPOSAL OF LIQUEFIED GAS
WO2013085688A1 (en) * 2011-12-09 2013-06-13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Method for generating a liquefied natural gas supply chain design
EP2788929A4 (en) 2011-12-09 2015-07-22 Exxonmobil Upstream Res Co METHOD FOR DEVELOPING A LONG-TERM STRATEGY FOR THE ALLOCA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SUPPLY
US9127945B2 (en) * 2012-04-04 2015-09-08 Trimble Navigation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cargo transaction
WO2015171286A1 (en) 2014-05-07 2015-11-12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Method of generating an optimized ship schedule to deliver liquefied natural gas
US11663546B2 (en) 2020-04-22 2023-05-30 Aspentech Corporation Automated evaluation of refinery and petrochemical feedstocks using a combination of historical market prices, machine learning, and algebraic planning model information
CN112132383A (zh) * 2020-08-07 2020-12-25 张军 Lng罐箱燃料供应交易方法、交易系统以及存储介质
WO2022049762A1 (ja) * 2020-09-07 2022-03-10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9801B2 (ja) * 1990-08-23 1998-08-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生産計画作成方法
US5265006A (en) * 1990-12-14 1993-11-23 Andersen Consulting Demand scheduled partial carrier load planning system for the transportation industry
JP2816294B2 (ja) * 1993-02-05 1998-10-27 正 山本 ダイナミック型物流自動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方法
JP2938321B2 (ja) * 1993-08-27 1999-08-2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データ 交通流管理システム
JP3247274B2 (ja) * 1995-02-28 2002-01-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輸送経路探索装置
JPH08272402A (ja) * 1995-03-29 1996-10-18 Kawasaki Steel Corp 原料輸送配船計画用推論装置
JPH09244706A (ja) * 1996-03-07 1997-09-19 Hitachi Ltd 計画修正方法及び装置
JP3270705B2 (ja) * 1997-03-14 2002-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配送計画システム
JPH1153680A (ja) * 1997-08-06 1999-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輸送計画作成装置
JP4012622B2 (ja) * 1998-04-08 2007-11-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タグを用いた貨物情報管理方法および貨物管理システム
MXPA02008486A (es) * 2000-02-29 2002-12-13 United Parcel Service Inc Sistema y metodo para entrega de vehiculos y similares.
US7139721B2 (en) * 2000-05-10 2006-11-21 Borders Louis H Scheduling delivery of products via the internet
US7346530B2 (en) * 2001-01-31 2008-03-18 Dell Products L.P. Flexible ordering of inventory from material sources according to material requirements for manufacturing operations
US6701299B2 (en) * 2001-03-16 2004-03-02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Real-time delivery feasibility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US7379905B2 (en) * 2001-05-01 2008-05-27 Dell Products L.P. Automated data warehouse for demand fulfill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88940A (zh) 2003-01-01
EP1223528A4 (en) 2002-11-06
US7587328B2 (en) 2009-09-08
JP2002024496A (ja) 2002-01-25
WO2002005156A1 (fr) 2002-01-17
US20020138293A1 (en) 2002-09-26
AU2001256713A1 (en) 2002-01-21
EP1223528A1 (en) 2002-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ng et al. Maritime logistics: A guide to contemporary shipping and port management
Halvorsen-Weare et al. Routing and scheduling in a liquefied natural gas shipping problem with inventory and berth constraints
Kavussanos et al.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shipping finance: theory and practice
KR20020068502A (ko) 거래조정장치
Engelen et al. Using system dynamics in maritime economics: an endogenous decision model for shipowners in the dry bulk sector
Tompkins et al. The supply chain handbook
Fulwood Asian LNG trading hubs: myth or reality
Tesfay Environmentally friendly cost efficient and effective sea transport outsourcing strategy: The case of Statoil
Weems et al. Overview of issues common to structuring, negotiating and documenting LNG projects
Stukalina Professional English for students of Logistics
Papaleonidas et al. An innovative decision support tool for liquefied natural gas supply chain planning
Klingman et al. The challenges and success factors in implementing an integrated products planning system for Citgo
Lyridis et al.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tanker shipping companies
Andreadis Modelling the liquefied natural gas supply chain through business process techniques
Faisal et al. Utilizing LNG as a Cheap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Source (Regasification) in West Java
Back Direct Shipments to China from European Suppliers
Katerna Educational and methodical complex of discipline" Information systems and technologies for the management of external economic activity""
Kolisnichenko Automation of logistics company’s business processes
Melnyk Organization of sale of logistics operator services
Sujana Analysis of SCM of Omera Petroleum Limited: the future leader of LPG industry
Wang Equity research-Hapag-Lloyd, AG
Laitinen Impacts of company reorganization to ongoing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implementation
Christos et al. An Innovative Tool for the Feasibility Evaluation of LNG Supply Chains with the Use of Simulation Techniques. Case Study on Small Scale LNG Supply Chains for Insular Regions.
Bugana Profitability assessment of import from China
Suistio Developing a Business Model for biogas liquefaction plant business. Case Wärtsilä 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