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7510A - 모세관 부재 제조 방법 및 잉크 용기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모세관 부재 제조 방법 및 잉크 용기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7510A
KR20020067510A KR1020027005401A KR20027005401A KR20020067510A KR 20020067510 A KR20020067510 A KR 20020067510A KR 1020027005401 A KR1020027005401 A KR 1020027005401A KR 20027005401 A KR20027005401 A KR 20027005401A KR 20020067510 A KR20020067510 A KR 20020067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fiber
capillary member
capillary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5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7880B1 (ko
Inventor
올센데이비드
퓨제프리케이
존슨데이비드씨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컴퍼니(델라웨어주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430,400 external-priority patent/US6460985B1/en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컴퍼니(델라웨어주법인)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컴퍼니(델라웨어주법인)
Publication of KR20020067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8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9Cartridg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k Jet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를 잉크젯 프린트헤드(24)에 제공하기 위해 잉크 저장소(34)에 사용하기 위한 모세관 부재(40)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3차원 모세관 부재(70)를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잉크젯 저장소(34)의 적어도 하나의 치수에 대응하는 개별 길이로 사출부(70)를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모세관 부재 제조 방법 및 잉크 용기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K RESERVOIR FOR AN INKJET PRINTER}
잉크젯 프린터는 종종 종이와 같은 인쇄 매체를 가로질러 전후로 이동하는 캐리지내에 장착된 잉크젯 프린트헤드를 사용한다. 프린트헤드가 인쇄 매체를 가로질러 이동함에 따라, 제어 시스템은 프린트헤드를 활성화시켜서, 잉크 방울을 인쇄 매체상을 부착 또는 분출시켜서 이미지 및 텍스트를 형성한다. 잉크는 잉크 서플라이에 의해 프린트헤드에 제공되며, 상기 잉크 서플라이는 캐리지에 의해 운반되거나, 캐리지와 함께 이동하지 않도록 인쇄 시스템에 장착된다.
잉크 서플라이가 캐리지와 함께 이동되지 않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 잉크 서플라이는 프린트헤드를 연속적으로 보충하기 위한 도관을 사용하여 프린트헤드와 연속적 유체 연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린트헤드는 프린트헤드를 잉크 서플라이에 접속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충전 스테이션에 근접하게 프린트헤드를 위치시킴으로써 잉크 서플라이와 간헐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잉크 서플라이가 캐리지와 함께 이동되는 경우에 있어서, 잉크 서플라이는 프린트헤드와 일체로 될 수 있는 반면에, 전체 프린트헤드 및 잉크 서플라이는 잉크가 고갈되는 경우에 교체된다. 선택적으로, 잉크 서플라이는 캐리지와 함께 이동될 수 있으며, 프린트헤드로부터 별개로 교체가능하다. 잉크 서플라이가 별개로 교체가능한 경우에 있어서, 잉크 서플라이는 고갈된 경우에 교체되며, 프린트헤드는 프린트헤드 수명 종료시에 교체된다. 잉크 서플라이가 인쇄 시스템내에서 위치되는 것과 무관하게, 잉크 서플라이는 잉크젯 프린트헤드에 잉크의 확실한 서플라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잉크를 잉크젯 프린트헤드에 제공하는 것에 추가하여, 잉크 서플라이는 종종 잉크 서플라이 및 잉크젯 프린트헤드내에 종종 배압이라고 하는 음의 압력을 유지하는 것과 같이 인쇄 시스템내에 추가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음의 압력은 충분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잉크 서플라이와 관련된 헤드 압력을 대기 압력보다 낮은 값으로 유지하여 잉크 서플라이 또는 잉크젯 프린트헤드로부터 잉크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잉크 누설은 종종 흘림이라고 한다. 잉크 서플라이는 잉크젯 프린터가 저장 및 작동 동안에 겪게 되는 광범위한 온도 및 대기압에 걸쳐서 음의 압력 또는 배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전에 이용되어 온 하나의 음의 압력 발생 장치는 모세관력을 발생하는 잉크 흡수 부재와 같은 기공 부재이다. 이러한 잉크 흡수 부재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게 양도되고 1988년 9월 13일에 베이커 등에게 허여된 "개선된 잉크 저장 및 공급 모세관을 구비하는 열 잉크젯 펜 본체 구조"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771,295 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망상 폴리우레탄 폼이다.
저렴한 재료를 이용하고 제조가 비교적 용이하여, 페이지당 인쇄 비용을 감소시키는 잉크 서플라이 비용을 감소시키는 잉크 서플라이의 필요성은 현재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들 잉크 용기는 인쇄 시스템의 전체 사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 비교적 박형의 잉크 서플라이를 제조하는데 부피적으로 효율적이여야 한다. 또한, 이들 잉크 서플라이는 인쇄 시스템의 사이즈가 최적으로 될 수 있도록 상이한 폼 인자로 제조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들 잉크 서플라이는 이들 잉크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잉크젯 인쇄 시스템에 사용되는 잉크와 융화성이 있어야 한다. 잉크가 오염되면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수명을 감소시키며 인쇄 품질을 저하시킨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잉크를 잉크젯 프린트헤드에 제공하기 위해 잉크 저장소에 사용하기 위한 모세관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3차원 모세관 부재를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잉크 저장소의 적어도 하나의 치수에 대응하는 별개 길이로 사출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3차원 모세관 부재는 잉크를 보유하기 위해 잉크 저장소내에 사용하기 위한 화이버의 망상직물이다. 화이버의 망상직물은 접촉점에서 서로 열 융합되어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모세관 저장 부재를 규정한다.화이버의 망상직물내의 적어도 하나의 화이버는 코어 재료와, 이 코어 재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외장 재료를 구비하는 2성분 화이버이다. 코어 재료는 폴리프로필렌이며, 외장 재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다.
본 발명은 잉크를 잉크젯 프린터에 제공하기 위한 잉크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잉크 용기로부터의 잉크의 제어된 방출을 유지 및 제공하기 위해 열 접착된 화이버의 망상직물을 이용하는 잉크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잉크 용기를 내장한 잉크젯 프린터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잉크 용기와, 인쇄를 실행하기 위해서 잉크 용기로부터의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개략도,
도 3은 잉크 저장소, 이 저장소내로 삽입하기 위한 융합된 화이버의 망상직물 및 저장소를 폐쇄하기 위한 저장소 커버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잉크 용기의 분해도,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융합된 화이버의 망상직물을 도시하는 도면,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잉크 저장소내로 삽입된 것으로 도 4a에 도시된 융합된 화이버의 망상직물의 4B-4B 선을 따라 취한 확대 사시도,
도 5a는 도 4의 5-5 선을 따라 취한 단일 화이버의 단면도,
도 5b는 교차형 또는 X자형 코어 부분을 가진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화이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6-6 선을 따라 취한 접촉점에서 융합된 한쌍의 화이버의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잉크 서플라이를 충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의 개략도,
도 8은 잉크젯 프린트헤드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잉크 용기의 개략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잉크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의 개략도,
도 10은 모세관 저장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서 절단되기 전의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한 본 발명의 사출형성물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잉크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잉크 용기(12)를 포함하는 것으로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인쇄 시스템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잉크 용기(12)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잉크 용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인쇄 시스템(10)은 프린터 부분(14)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잉크젯 프린트헤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잉크젯 프린트헤드는 잉크를 분출하게 하는 프린터 부분(14)으로부터의 활성화 신호에 응답한다. 잉크젯 프린트헤드는 잉크 용기(12)에 의해 잉크가 보충된다.
잉크젯 프린트헤드는 스캐닝 캐리지(18)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매체에 대해서 이동된다. 선택적으로, 잉크젯 프린트헤드는 고정되며, 인쇄 매체는 프린트헤드를 지나 이동되어 인쇄를 실행한다. 잉크젯 프린터 부분(14)은 인쇄 매체(22)를 수납하기 위한 매체 트레이(20)를 포함한다. 인쇄 매체(22)가 인쇄 존을 통해 단계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캐닝 캐리지는 인쇄 매체(22)에 대해서 프린트헤드를 이동시킨다. 프린터 부분(14)은 프린트헤드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서 인쇄 매체상에 잉크를 부착시킴으로써 인쇄를 실행한다.
도 1에 도시된 인쇄 시스템(10)은 검정색 잉크용 잉크 용기(12)와, 청록색, 자홍색 및 황색을 포함하는 3색 분할된 잉크 용기(12)를 구비하여 4개 착색제로 인쇄가 가능하게 하는 2개의 교체가능한 잉크 용기(12)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고충실도 인쇄와 같은 4가지 잉크 칼라보다 많거나 적은 잉크 칼라를 이용하는 인쇄 시스템과 같은 다른 장치를 사용하는 인쇄 시스템(10)에 적용가능하며, 상기 고충실도 인쇄는 전형적으로 6개 또는 그 이상의 칼라를 이용한다.
도 2는 잉크 서플라이 또는 잉크 용기(12)와, 잉크젯 프린트헤드(24)와, 상기 잉크 용기(12)와 프린트헤드(24)를 유체적으로 상호연결하기 위한 유체 상호연결부(26)를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10)의 개략도이다.
프린트헤드(24)는 하우징(28)과 잉크 분출 부분(30)을 포함한다. 잉크 분출 부분(30)은 잉크를 분출하여 인쇄를 실행하도록 프린터 부분(14)에 의해 할성화 신호에 응답한다. 하우징(28)은 잉크를 분출하기 위한 분출 부분(30)에 의해 이용되는 잉크(32)를 수용하기 위한 작은 잉크 저장소를 규정한다. 잉크젯 프린트헤드(24)가 잉크를 분출하거나 하우징(28)내에 저장된 잉크(32)를 고갈시킬때, 잉크 용기(12)는 프린트헤드(24)를 보충한다. 잉크 서플라이(12)에 수용된 잉크의 체적은 전형적으로 하우징(28)내에 수용된 잉크의 체적보다 상당히 크다. 따라서, 잉크 용기(12)는 프린트헤드(24)를 위한 잉크의 주 서플라이이다.
잉크 용기(12)는 유체 출구(36) 및 공기 입구(37)를 구비하는 저장소(34)를 포함한다. 접촉점에서 열 융합되어 모세관 저장 부재(40)를 규정하는 화이버의 망상직물은 저장소(34)내에 배치된다. 모세관 저장 부재(40)는 잉크젯 인쇄 시스템(10)내에서 몇몇 중요한 기능을 실행한다. 모세관 저장 부재(40)는 잉크 용기(12)를 인쇄 시스템(10)으로부터 삽입 및 제거하는 동안에 저장소(34)로부터의 잉크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잉크를 보유하기에 충분한 모세관현상을 갖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모세관력은 온도 및 압력 변화와 같은 광범위한 환경 조건에 있어서 잉크 저장소(34)로부터의 잉크 누설을 방지하도록 충분히 커야 한다. 모세관은 저장소(34)의 모든 배향 뿐만 아니라 잉크 용기(12)가 취급 동안에 겪게 될 수 있는 충격 및 진동에 대해서 잉크 용기(12)내의 잉크를 유지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일단 잉크 용기(12)가 인쇄 시스템(10)내로 설치되고 유체 상호접속부(26)에 의해서 프린트헤드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면, 모세관 저장 부재(40)는 잉크가 잉크 용기(12)로부터 잉크젯 프린트헤드(24)까지 유동하게 허용해야 한다. 잉크젯 프린트헤드(24)가 분출 부분(30)으로부터 잉크를 분출할 때, 때때로 배압이라고 하는 음의 게이지 압력이 프린트헤드(24)내에 형성된다. 이러한 프린트헤드(24)내의 음의 게이지 압력은 모세관 저장 부재(40)내에 잉크를 보유하는 모세관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해서, 평형에 도달할 때까지 잉크 용기(12)로부터 프린트헤드(24)까지 잉크가 유동할 수 있게 허용해야 한다. 일단 평형에 도달하고 그리고 프린트헤드(24)내의 게이지 압력이 잉크 용기(12)내의 잉크를 보유하는 모세관력과 동등하게 되면, 잉크는 잉크 용기(12)로부터 프린트헤드(24)로 더 이상 유동하지 않는다. 프린트헤드(24)내의 게이지 압력이 잉크 분출 부분(30)으로부터의 잉크 분출 속도에 따라 좌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인쇄 속도 또는 잉크 분출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프린트헤드내의 게이지 압력은 보다 음의 압력으로 되어, 잉크가 보다 높은 속도로 프린트헤드(24)로부터 잉크 용기(12)까지 유동하게 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잉크젯 인쇄 시스템(10)에 있어서, 프린트헤드(24)는 물 10인치와 동일한 최대 배압 또는 물 10인치와 동일한 음의 게이지 압력을 생성한다.
프린트헤드(24)는 온도 및 압력 변화와 같은 환경 변화를 상쇄하기 위해서 조절 장치를 내장할 수 있다. 만일 이들 변화가 상쇄되지 않는다면, 프린트헤드 분출 부분(30)으로부터 제어되지 않은 잉크 누설이 발생될 것이다. 인쇄 시스템(10)의 몇몇 형태에 있어서, 프린트헤드(24)는 조절 장치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모세관 부재(40)가 이용되어 정상 압력 및 온도 편위에 걸쳐서 프린트헤드(24)내의 음의 배압을 유지한다. 모세관 부재(40)의 모세관력은 잉크를 다시 모세관 부재로 끌어당기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의해 프린트헤드(24)내에 약한 음의 배압을 생성한다. 이러한 약한 음의 배압은 압력 변화 및 온도 변화와 같은 대기 조건에서의 변화 동안에 분출 부분(30)으로부터 잉크가 누설 또는 흘리는 것을 방지하는 경향이 있다. 모세관 부재(40)는 프린트헤드(24)내에 충분한 배압 또는 음의 게이지 압력을 제공하여 정상 저장 및 작동 조건 동안에 흘림을 방지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기 별개로 교체가능한 잉크 용기(12) 및 프린트헤드(24)를 도시한 것이다. 잉크 용기(12)는 고갈된 경우 교체되며, 프린트헤드(24)는 수명 종료시에 교체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다른 구성을 가진 잉크젯 인쇄 시스템(10)에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잉크 용기(12) 및 프린트헤드(24)는 단일 인쇄 카트리지내로 일체화될 수 있다. 다음에 잉크 용기(12) 및 프린트헤드(24)를 포함하는 인쇄 카트리지는 카트리지내의 잉크가 고갈된 경우에 교체된다.
도 2에 도시된 잉크 용기(12) 및 프린트헤드(24)는 단일 칼라 잉크를 보유한다. 선택적으로, 잉크 용기(12)는 3개의 별개 챔버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 챔버는 상이한 칼라 잉크를 보유한다. 이러한 경우에, 3개의 프린트헤드(24)는 각 프린트헤드가 잉크 용기(12)내의 상이한 챔버와 유체 연통되게 할 필요가 있다. 잉크 용기(12)와 결합될 뿐만 아니라 프린트헤드를 분할하고, 프린트헤드 또는 분출 부분(30)의 상이한 격실로 별개의 잉크 칼라를 제공하는 보다 많거나 적은 챔버와 같은 다른 구성이 또한 가능하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잉크 용기(12)의 분해도이다. 잉크 용기(12)는 잉크 저장소 부분(34), 모세관 부재(40) 및 잉크 저장소(34)내로 잉크가 유입되게 하는 공기 입구(38)를 구비한 뚜껑(42)을 포함한다. 모세관 부재(40)는 잉크 저장소(34)내에 삽입된다. 저장소(34)는 도 7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며, 뚜껑(42)은 저장소를 밀봉시키기 위해서 잉크 저장소(34)상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기 H, W 및 L로 표시된 각 높이, 폭 및 길이 치수는 모두 1인치 이상이여서 고용량 잉크 용기(12)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모세관 부재(40)는 접촉점에서 열 융합된 화이버의 망상직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이들 화이버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에스터로 형성된 외장과, 가격이 저렴하고 수축률이 낮으며 고강도의 열가소성 폴리머, 바람직하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된 코어 재료를 구비한 2성분 화이버로 형성된다.
화이버의 망상직물은 멜트 블로운 화이버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멜트 블로운 화이버 프로세스에 있어서, 화이버의 망상직물은 외장 폴리머의 멜트 인덱스와 유사한 멜트 인덱스의 코어 재료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멜트 블로운 화이버 프로세스를 이용할시에, 코어 재료의 주요 요구조건은 압출될 때 결정화되거나 또는 멜트 블로운 프로세스 동안에 결정화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나일론 및 나일론 66과 같은 고강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아미드와 같은 다른 고결정성 열가소성 폴리머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저렴한 가격 및 용이한 가공성 때문에 폴리프로필렌이 코어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코어 재료를 사용하면 코어에 강도를 제공하여 다양한 멜트 블로운 기술을 이용하는 미세한 화이버의 제조가 가능하게 한다. 코어 재료는 또한 외장 재료에 접착부를 형성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도 4b는 모세관 부재(40)를 형성하는 화이버의 망상직물의 크게 간략화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4a에 도시된 모세관 부재(40)의 4B-4B 선을 따라 취한 크게 확대도이다. 모세관 부재(40)는 화이버의 망상직물로 제조되며, 각 개별 화이버(46)는 접촉점에서 다른 화이버에 열 접착 또는 열 융합된다. 모세관 부재(40)를 제조하는 화이버(46)의 망상직물은 그 자체에 다시 권취되는 단일 화이버(46)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화이버(46)로 형성될 수 있다. 화이버의 망상직물은 화살표(44)로 표시된 일반적 화이버 배향을 가진 자체지지형 구조체를 형성한다. 화이버(46)의 망상직물에 의해 규정된 자체지지형 구조체는 비틀린 간극 경로를 형성하는 화이버(46) 사이에 공간 또는 갭을 규정한다. 이러한 간극 경로는 모세관 부재(40)내에 잉크를 보유하기 위한 우수한 모세관 특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세관 부재(40)는 멜트 블로운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이에 의해 개별 화이버(46)는 함께 열 접착 또는 용융되어, 화이버의 망상직물을 통해서 다양한 접촉점을 함께 융합된다. 다이를 통해 공급되고 냉각되는 경우에 이러한 화이버의 망상직물은 자체지지형 3차원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경화된다.
도 5a는 개별 화이버(46)의 단면을 도시하기 위해서 도 4b의 5A-5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각 개별 화이버(46)는 코어(50) 및 외장(52)을 구비하는 2성분 화이버이다. 화이버(46)의 사이즈와, 외장(52) 및 코어(50)의 상대적인 부분은 도시하기 위해서 크게 확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코어 재료는 전체 화이버 용량의 적어도 30중량% 내지 90중량%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개별 화이버(46)는 평균적으로 직경이 12미크론 또는 그 이하이다.
도 5b는, 도 5b의 화이버(46)가 원형 단면 대신에 교차형 또는 X자형 단면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a에 도시된 화이버(46)와 유사한 다른 화이버(46)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에 도시된 화이버(46)는 둥글지 않거나 교차형 코어(50)와, 이 코어(50) 재료를 완전히 커버하는 외장(52)을 구비한다. 또한, 단지 몇 개의 예로서 세갈래 또는 Y자형 화이버나, H자형 단면 화이버와 같은 다른 단면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둥글지 않은 화이버를 사용하면 섬유성 표면의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화이버(46)의 망상직물의 모세관 압력 및 흡수성은 습윤성 화이버 표면에 직접 비례하여 증가된다. 따라서, 둥글지 않은 화이버를 사용하면 모세관 부재(40)의 모세관 압력 및 흡수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모세관 압력 및 흡수성을 개선하는 다른 방법은 화이버(46)의 직경을 감소시킨다. 일정한 화이버 부피 밀도 또는 중량을 가지면, 보다 적은 화이버(46)를 사용하여도 화이버의 표면적을 개선한다. 유사한 화이버(46)는 보다 균일한 보유성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화이버(46)의 직경을 변경시킬 뿐만 아니라 화이버(46)의 형상을 변경시킴으로써, 인쇄 시스템(10)의 소망하는 모세관 압력이 성취될 수 있다.
도 6은 개별 화이버(46)의 열 용융 또는 열 융합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2개의 개별 화이버 사이의 접촉점에서 6-6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각 개별 화이버(46)는 코어(50) 및 외장(52)을 갖고 있다. 2개의 화이버(46) 사이의 접촉점에서, 외장(52)의 재료는 인접한 화이버(46)의 외장 재료와 함께 용융 또는 융합된다. 개별 화이버의 융합은 접착제 또는 결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뤄진다. 또한, 개별 화이버(46)는 어떠한 유지 수단도 필요없이 함께 유지되며, 이에 의해 자체지지형 구조체를 형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잉크 용기(12)내로 잉크를 충전하는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잉크 용기(12)는 저장소(34)내로 삽입된 모세관 부재(40)를 구비하여 도시되어 있다. 뚜껑(42)은 제거되어 도시되어 있다. 잉크는 잉크(56)의 서플라이를 그 내부에 구비한 잉크 용기(54)에 의해 저장소(34)에 제공된다. 유체 도관(58)은 잉크 서플라이(54)로부터 저장소(34)내로 잉크가 유동하게 한다. 잉크가 저장소내로 유동할 때, 잉크는 이러한 화이버의 망상직물의 모세관현상에 의해 화이버(46)의 망상직물의 화이버(46) 사이의 간극 공간(48)내로 흡인된다. 일단 모세관 부재(40)가 더 이상 잉크를 흡수하지 않으면, 잉크 용기(54)로부터의 잉크 유동이 중지된다. 다음에, 뚜껑(42)이 잉크 저장소(34)상에 위치된다.
잉크 저장소(34)를 충전하는 방법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42)이 없이 성취될지라도, 저장소(34)는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소는 뚜껑(42)이 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로 선택적으로 충전될 수 있으며, 잉크는 잉크 서플라이(54)로부터 공기 벤트를 통해서 뚜껑(42)으로부터 저장소내로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저장소(34)는 반전될 수 있으며, 잉크는 잉크 서플라이(54)로부터 유체 출구(36)를 통해 잉크 저장소(34)내로 충전될 수 있다. 일단 저장소(34)소에서 잉크가 모세관 부재(40)에 의해 흡수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제조시에 잉크 저장소(34)의 최초 충전 동안에 일단 잉크가 배기되면 잉크 용기(12)를 재충전하는 방법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폴리프로필렌 코어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외장을 구비하는 2성분 화이버인 본 발명의 모세관 재료(40)를 이용함으로써 잉크 용기를 충전하는 프로세스를 크게 간략화했다. 본 발명의 모세관 재료(40)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게 양도되고 1988년 9월 13일에 베이커 등에게 허여된 "개선된 잉크 저장 및 공급 모세관을 구비하는 열 잉크젯 펜 본체 구조"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771,295 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열 잉크젯 펜에서 흡수성 재료로서 이전에 사용되었던 폴리에틸렌 보다 친수성이다. 비처리된 상태에서 폴리에틸렌 폼은 큰 잉크 접촉 각도를 가지며, 그에 따라 폼을 습윤시키기 위해서 진공 충전과 같은 고가의 시간 소비 단계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에틸렌 폼을 내장한 잉크 용기를 충전하기가 어렵게 만든다. 폴리에틸렌 폼은 잉크 접촉 각도를 개선 또는 감소시키도록 처리될 수 있지만, 제조 비용 및 복잡성을 증가시키는 이러한 처리는 잉크내로 불순물을 첨가시키는 경향이 있어서 프린트헤드 수명을 감소시키거나 프린트헤드 품질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모세관 부재(40)를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접촉 각도를 갖게 하여 모세관 부재(40)를 처리할 필요없이 잉크가 모세관 부재(40)내로 쉽게 흡수될 수 있게 한다.
도 8은 작동시의 잉크젯 인쇄 시스템(10)을 도시한 것이다. 잉크 용기(12)가 잉크젯 인쇄 시스템(10)내에 적절하게 설치되면, 잉크 용기(12)와 잉크젯 프린트헤드(24) 사이에 유체 도관(26)에 의해서 유체 커플링이 설정된다. 잉크를 분출하기 위해서 방울 분출 부분(30)의 선택적인 활성화는 잉크젯 프린트헤드(24)내의 음의 게이지 압력을 생성한다. 이러한 음의 게이지 압력은 모세관 저장 부재(40)내의 화이버(46) 사이의 간극 공간에 보유된 잉크를 흡인한다. 잉크 용기(12)에 의해 잉크젯 프린트헤드(24)로 제공된 잉크는 잉크젯 프린트헤드(24)를 보충한다. 잉크가 유체 출구(36)를 통해 저장소를 빠져나갈 때, 공기가 벤트 구멍(38)을 통해 들어가서 잉크 체적을 대체하고, 저장소(34)를 빠져나가며, 이에 의해 저장소(34)내의 음의 압력 또는 음의 게이지 압력의 형성이 방지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잉크 서플라이(12)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의 개략도이다. 프로세스는 화이버 형성 장치(60)에 의해서 하나 이상의 화이버의 형성으로 개시된다. 다음에, 화이버는 잉크 저장소(34)내에 삽입된 모세관 부재(40)를 형성하는데 이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화이버 형성 장치(60)는 코어 재료 및 외장 재료를 구비하는 2성분 화이버를 형성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코어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코어이며, 외장은 바람직하게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인 폴리에스터 외장이다. 화이버 형성 장치(60)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코어 형성 재료(62)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2성분 화이버를 형성하기 위해서 외장 형성 재료(64)로 싸여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화이버 형성 장치(60)는 화이버를 가늘게 하는 고속 공기 스트림내로 사출된 2성분 화이버를 멜트 블로잉하기 위한 장치이다. 화이버(46)는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이송 장치(66)상에 위치된다. 개별 화이버(46)는 다소 확대되었지만, 화살표(44)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송 방향을 따라서 일반적인 화이버 배향을 가질 것이다.
2차원에서 다소 랜덤한 배향을 가진 화이버(46)의 웨브는 수축되어, 도 10에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부(70)를 형성하는 형성 다이(68)내로 삽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형성 다이(68)는 개별 화이버(46)를 가열하고, 이 화이버를 소망하는 사출 형상으로 형성하는 고온 공기 또는 스팀 다이이다. 도 10에 도시된 사출부는 각기 "h" 및 "w"로 표시된 높이 및 폭을 가진 장방형 형성이다. 사출부(70)는 잉크 저장소(34)내로 삽입되기에 적당한 형상을 갖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잉크 저장소(34)는 사출가능한 모든 형상으로 형성될 것이다. 형성 다이(68)는 개별 화이버(46)를 가열하여서, 개별 화이버가 접촉점에서 서로 열 접착되거나 용융 접착된다.
다음에, 사출부(70)는 화이버의 접착을 제한하도록 냉각 장치(72)에 의해 냉각되며, 이에 의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분한 간극 공간(48)이 확보되게 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 장치(72)는 물 또는 공기와 같은 냉각제를 분무한다.
다음에, 냉각된 사출부(70)는 별개의 길이로 사출부를 절단하는 절단 장치(76)로 공급된다. 절단 장치는 사출부(70)를 절단하기 위한 톱, 블레이드 또는 몇몇 종래의 절단 장치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ℓ"로 절단된 사출부는 대응하는 길이 치수를 가진 잉크 저장소(34)내에 끼워맞춰지기에 적합하다. 사출부(70)를 잉크 저장소(34)에 끼워맞추는 것은 일반적으로 모세관 부재(40)의 압축이 모세관 부재(40)내에 모세관 구배를 제공하는데 바람직한 것에 따라 좌우된다. 따라서, 사출부(70)는 압축이 필요하다면 모세관 저장소(34)의 길이보다 약간 크게 절단되거나, 압축이 필요하지 않다면 모세관 저장소(34)의 길이와 동일하게 또는 이보다 약간 적게 절단될 것이다.
절단 사출부는 잉크 저장소(34)에 대해서 적당한 사이즈로 절단되는 경우의 모세관 부재(40)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에, 모세관 부재(40)는 삽입 장치(78)를 이용하는 잉크 저장소(34)내로 삽입된다. 다음에, 잉크 저장소(34)는 도 7에 대해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기술을 이용하여 잉크로 충전된다.
형성 다이(68)에 의해 형성되는 사출부(70)는 잉크 보유를 위한 균일한 보이드 및 공간을 형성하는 균일하게 분산된 화이버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화이버는 사출부(70)의 중앙으로부터 외측까지 약간 증가되는 밀도 구배를 가진 사출 방향을 따라 배향될 수 있다. 이러한 증가된 밀도 구배는 잉크를 중앙으로부터 당기고 사출부(70)의 외측 주변에 잉크를 집중시키는 경향이 있다. 사출부 또는 모세관 부재(40)내의 이러한 증가되는 밀도 구배는 하기의 라플라스 수학식에 의해 모델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γ는 잉크의 비중량이며, Pc는 모세관 압력이며, Twp는 화이버의 전체 습윤된 주변이며, θ는 개별 화이버에 대한 잉크 접촉 각도이며, Ao는 개방 단면적이다. 개방 단면적은 수학식 2에 의해 면적과 관련이 있다.
여기에서 E는 모세관 부재(40)의 공극률이다. 공극률은 수학식 3에 의해 화이버의 질량과 화이버의 전체 체적과 관련이 있다.
화이버의 질량은 모세관 부재(40)의 전체 질량을 나타내며, 화이버의 밀도는 화이버 재료 자체의 밀도, 즉 사용된 모든 폴리머의 유효 조합 단위 밀도이며, 전체 체적은 전체 모세관 부재(40)의 체적이다. 또한, 공극률은 수학식 4에 의해 화이버의 밀도와 부피의 밀도와 관련이 있다. 수학식 4는 수학식 3의 분자 및 분모를 모세관 부재(40)의 전체 체적으로 나눔으로써 유도된다.
수학식 4에서 부피의 밀도는 전체 모세관 저장 부재(40)의 밀도, 즉 모세관 저장 부재(40)의 체적으로 나눈 모세관 저장 부재(40)의 질량 또는 단위 체적당 질량을 나타낸다.
모세관 압력은 모세관 저장 부재(40)내의 잉크상에서 작용하는 흡인력이다. 수학식 1로부터, 개방 단면적이 감소할 때, 모세관 압력이 증가되며 잉크는 보다 큰 흡인 영역으로 이동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모세관 저장 부재(40)내에 밀도 구배를 형성하면 모세관 부재(40)의 중심보다 주변쪽으로 보다 큰 섬유 밀도를 생성한다. 이러한 보다 큰 섬유 밀도는 주변쪽으로 단면적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잉크는 모세관 저장 부재(40)의 내측으로부터 모세관 저장 부재(40)의 외측 또는 주변쪽으로 끌어당기는 경향이 있다. 모세관 저장 부재(40)의 주변에 유체 출구(36)를 위치시킴으로써 잉크가 보다 적은 모세관 압력을 가진 내부 위치로부터 유체 출구(36)가 위치되는 주변 근처의 보다 높은 모세관 압력의 영역까지 끌어당긴다. 따라서, 잉크 저장소(34)는 모세관 저장 부재(40)의 내부 위치에 잉크를 잔류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화이버 밀도 구배는 모세관 저장 부재(40)를 압축시킴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압축은 압축된 영에서 개방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그에 따라 영역내의 모세관 압력을 증가시켜서 영역을 잉크로 우선적으로 충전하게 한다. 유체 출구 근처의 모세관 저장 부재(40)를 국부적으로 압축하는 것은 유체 출구(36)쪽으로 잉크를 끌어당기는 경향이 있는 모세관현상을 증가시킨다. 개별 화이버(46)로 형성된 모세관 저장 부재(40)를 사용하는 이점은 개별 화이버(46)의 직경을 간단히 변경시킴으로써 공극률에 상당한 영향을 주지 않고 모세관 압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수학식 1 및 수학식 4를 참조하면, 화이버 직경을 감소시키고 단위 체적당 화이버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화이버의 전체 습윤된 주변이 증가되며, 그에 따라 모세관 압력이 증가되지만, 부피의 밀도 및 공극률은 변화되지 않는다. 반대로, 그 모세관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폴리우레탄을 펠팅시키는 것은 단위 체적당 고체 재료의 양을 증가시키고, 부피의 밀도를 증가시키고, 공극률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 저장소(34)는 구배 기하학적 형태 또는테이퍼를 갖도록 형성되어, 개구부의 주변이 잉크 저장소의 바닥 부분의 주변보다 크게 되게 한다. 유체 출구(36)는 잉크 저장소(34)의 바닥에 형성된다. 다음에, 모세관 저장 부재(40)는 잉크 저장소(34)의 개구부내로 끼워맞춰지도록 형성되며, 삽입 동안에 잉크 용기의 바닥의 측면을 향해 압축된다. 잉크 저장소(34)의 바닥에서의 간섭의 정도는 국부적 압축의 정도를 결정한다. 잉크 저장소(34)의 바닥에 인접한 모세관 저장 부재(40)의 이러한 압축은 증가된 모세관현상을 생성하여, 잉크가 유체 출구(34)로부터 유동할 때에 잉크 저장소(34)의 바닥쪽으로 잉크를 끌어당기는 경향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잉크 용기(12)를 제조하는 전체적인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잉크 저장소(34)는 단계(80)로 표시된 바와 같이 길이, 폭 및 높이 치수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길이, 폭 및 높이 치수는 잉크젯 인쇄 시스템(10)에 대해서 적당하도록 선택된다. 화이버는 단계(8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모세관 저장 부재(40)에 사용하도록 형성된다. 이들 화이버는 단계(84)로 표시된 바와 같이 폭 및 높이 치수를 가진 장방형 사출부를 형성하도록 함께 융합된다. 사출부(70)내의 화이버는 접촉점에서 함께 열 용융되거나 열 융합된다. 사출부(70)는 단계(86)에 표시된 바와 같이 냉각되어 자체지지형 구조체를 형성한다. 사출부(70)는 단계(88)에 표시된 바와 같이 길이 치수로 절단된다. 절단 사출부(70)는 단계(9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잉크 저장소(34)내로 삽입된다. 마지막으로, 잉크 저장소(34)는 단계(9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잉크로 충전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모세관 저장 부재(49)로서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몇몇 이전에 사용되는 기술을 이용하는 몇몇 중요한 이점을 갖고 있다. 사출된 열 융합된 화이버를 사용함으로써 폴리우레탄 폼의 경우보다 잉크 저장소(34)내로 삽입하기가 보다 용이하다. 폴리머 화이버 재료는 대부분의 폼보다 낮은 마찰계수를 갖고 있으며, 그에 따라 자동화 기구를 이용하여 재료를 취급하기가 보다 용이하다. 폼과 같은 고마찰계수 재료는 장방형 용기내로 삽입 또는 충전하기가 어려운데, 그 이유는 폼이 용기 벽에 접촉할 때에 코너 및 에지가 말려들어가서 코너를 충전하는데 실패한다. 폼으로 코너를 충전하는데 실패하면 이들 코너에 잉크를 잔류시키며, 이에 의해 잉크 사용 효율을 감소시킨다. 반대로, 폴리머 화이버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잉크 저장소(34)의 코너를 용이하고 완전하게 충전하도록 활주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폴리머 화이버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삽입 작동이 매우 보다 간략하게 되게 하고, 그에 따라 대량 생산에 매우 적당하다.
또한, 모세관 저장 부재(40)에 사용하기 위한 폴리에스터 화이버 재료는 취급하기가 보다 용이한데, 그 이유는 이러한 재료가 절단되어 잉크 저장소(34)내로 삽입되는 바아 적층체라고 하는 길다란 사출부의 형태로 분배되기 때문이다. 또한, 모세관 저장 부재(40)로서 폴리에스터 화이버를 사용하는 것은 보다 광범위한 잉크 용기 사이즈 및 형상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잉크 저장소(34)의 형상은 유사한 모든 사출가능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화이버 저장 부재(40)는 2인치 또는 그 이상의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반대로, 모세관 저장 부재(40)로서 폼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보다 높은 모세관 압력을 성취하기 위해 펠팅 처리가 요구된다. 펠팅 작동은 폼을 평평하게 하여 기공이 보다 작게 하는 경향이 있다. 펠팅 프로세스는 1인치보다 작은 폼 두께로 제한되는 경향이 있는데, 그 이유는 1인치 이상의 두께를 관통하는데 필요한 열 및 압력은 폼을 부수는 경향이 있어서, 모세관 저장 부재(40)로서 더 이상 적당하지 않게 한다.
잉크 용기(12)는 바람직하게 폴리프로필렌 코어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외장으로 구성되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의 2성분 화이버(46)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개별 화이버는 접촉점에서 열 접착되어 양호한 모세관 특성을 가진 자유 직립 구조체를 형성한다. 화이버(46)의 재료는 잉크젯 잉크에 본래 친수성인 것으로 선택된다. 특정 화이버(46)의 재료는 잉크젯 잉크의 표면 장력보다 큰 표면 에너지를 갖도록 선택된다. 본래 친수성인 모세관 저장 부재(40)를 사용함으로써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덜 친수성인 재료에 종종 이용되는 특정 진공 충전 기술이 필요없이 저장소(34)의 보다 신속한 잉크 충전이 이뤄지게 한다. 덜 친수성인 재료는 종종 습윤성 또는 친수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잉크에 표면활성제를 첨가해야 할 필요가 있거나 모세관 저장 부재의 처리가 요구된다. 표면활성제는 그 최적 조성물로부터 잉크 조성물을 변경시키는 경향이 있다.
또한, 모세관 저장 부재(40)용으로 선택된 화이버(46)의 재료는 이러한 적용에서 종종 이용되는 다른 재료보다 잉크젯 잉크에 덜 반응한다. 잉크 조성물이 모세관 저장 부재에 반응하는 경우에, 폼내로 최초에 주입된 잉크는 프린트헤드(24)를 보충하기 위해 폼으로부터 제거된 잉크와 상이하다. 이러한 잉크로의 오염은 프린트헤드 수명을 감소시키고 인쇄 품질을 보다 떨어트리는 경향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모세관 저장 부재는 폼 형태 저장소보다 낮은 제조 비용의 사출 폴리머를 이용한다. 또한, 이들 사출 폴리머는 보다 환경 친화적이며, 이전에 이용된 폼 형태 저장 부재보다 제조하는데 에너지를 덜 소비한다.

Claims (15)

  1. 잉크를 잉크젯 프린트헤드(24)에 제공하기 위해 잉크 저장소(34)에 사용하기 위한 모세관 부재(40)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3차원 모세관 부재 사출부(70)를 사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출부(70)를 잉크 저장소(34)중 적어도 하나의 치수에 적합한 개별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세관 부재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길이, 폭 및 높이 치수를 가진 잉크 저장소(34)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3차원 모세관 부재 사출부(70)는 상기 잉크 저장소(34)의 폭 및 높이 치수와 동일한 제 1 및 제 2 치수를 가지며, 상기 사출부 길이는 잉크 저장소(34)의 길이 치수에 적합한
    모세관 부재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 부재(40)가 접촉점에서 그 자체에 접착되어 자체지지형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화이버(46)에 의해 규정되는
    모세관 부재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모세관 부재 사출부(70)를 사출하기 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화이버(46)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화이버(46)는 접촉점에서 그 자체에 열 융합되어 냉각되는 경우 자체지지형 구조체를 형성하는
    모세관 부재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 부재(40)를 상기 잉크 저장소(34)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세관 부재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 부재(40)가 그 내부로 잉크를 흡인하도록 잉크를 상기 잉크 저장소(34)내로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세관 부재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저장소(34)가 상부 및 바닥을 가지며, 상기 바닥은 유체 출구(36)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3차원 모세관 부재(40)는 화이버 배향을 가진 화이버(46)의 망상직물로 형성되며, 유체 출구(36)에 직교하는 화이버 배향을 갖도록 3차원 모세관 부재를 잉크 저장소(34)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세관 부재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모세관 부재(40)를 사출하기 전에, 2성분 화이버(46)의 망상직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 화이버는 외장(52) 재료에 의해 둘러싸인 코어(50) 재료를 구비하며, 상기 화이버(46)의 망상직물은 화이버 배향축(44)을 구비하며, 또한 접촉점에서 서로 개별 화이버를 융합하기 위해 2성분 화이버(46)의 망상직물을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세관 부재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사출부 형상에 부합하도록 가열된 2성분 화이버(46)의 망상직물로 형성된 3차원 모세관 부재(40)를 사출한 후에, 상호연통되는 간극 공간(48)을 구비한 자체지지형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3차원 모세관 부재(40)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세관 부재 제조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모세관 부재(40)는 잉크를 보유하도록 잉크 저장소(34)내에 사용하기 위한 화이버(46)의 망상직물이며, 상기 화이버(46)의 망상직물은 잉크를 저장하기 위해 모세관 저장 부재(40)를 규정하도록 접촉점에서 서로 열 융합되며, 화이버(46)의 망상직물중 적어도 하나의 화이버는 코어(50) 재료와, 상기 코어(50) 재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외장(52) 재료를 가진 2성분 화이버이며, 상기 코어(50) 재료는 폴리프로필렌이며, 상기 외장(52) 재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모세관 부재 제조 방법.
  11. 잉크젯 프린트헤드(24)에 잉크를 제공하기 위한 잉크 용기(12)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접촉점에서 서로 열 융합된 화이버(46)의 망상직물을 형성하여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모세관 저장 부재(4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화이버(46)의 망상직물을 잉크 저장소(34)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잉크를 상기 저장소(34)내로 충전하는 단계로서, 잉크는 상기 화이버(46)의 망상직물내의 간극 공간내로 흡인되는, 상기 충전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 용기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버(46)의 망상직물 형성 단계가,
    외장(52) 재료에 의해 둘러싸인 코어(50) 재료를 구비하는 2성분 화이버(46)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2성분 화이버(46)를 상기 화이버(46)의 망상직물내로 모으는 단계와,
    상기 2성분 화이버(46)를 접촉점에서 융합하도록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2성분 화이버(46)를 냉각시켜서 자체지지형 3차원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 용기 제조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버(46)의 망상직물이 코어(50) 재료와 이 코어(50) 재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외장(52) 재료를 구비하는 2성분 화이버인 적어도 하나의 화이버(46)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50) 재료는 폴리프로필렌이며, 상기 외장(52) 재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잉크 용기 제조 방법.
  14. 잉크젯 프린트헤드(24)에 잉크를 제공하기 위한 잉크 용기(12)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길이, 폭 및 높이 치수를 가진 잉크 저장소(34)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잉크 저장소(34)는 높이 치수를 따라서 잉크 저장소(34)로부터 잉크가 유동하게 하는 유체 출구(36)를 구비하는, 상기 잉크 저장소 형성 단계와,
    사출부 길이 치수에 직교하는 사출부 폭 및 높이 치수를 가진 모세관 부재(40)를 사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사출부 폭은 잉크 저장소(34)의 폭 치수에 적합한, 상기 사출 단계와,
    상기 잉크 저장소(34)의 길이 치수에 적합한 개별 길이로 사출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 용기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절단 사출된 모세관 재료(70)를 유체 출구(36)에 직교하는 사출부 길이 치수를 가진 잉크 저장소(34)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잉크 용기 제조 방법.
KR1020027005401A 1999-10-29 2000-10-27 모세관 부재 제조 방법 및 잉크 용기 제조 방법 KR1007478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30,400 1999-10-29
US09/430,400 US6460985B1 (en) 1999-10-29 1999-10-29 Ink reservoir for an inkjet printer
US43487199A 1999-11-04 1999-11-04
US09/434,871 1999-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510A true KR20020067510A (ko) 2002-08-22
KR100747880B1 KR100747880B1 (ko) 2007-08-08

Family

ID=27028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5401A KR100747880B1 (ko) 1999-10-29 2000-10-27 모세관 부재 제조 방법 및 잉크 용기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224080B1 (ko)
JP (1) JP2003512956A (ko)
KR (1) KR100747880B1 (ko)
CN (1) CN1294019C (ko)
AU (1) AU1103901A (ko)
DE (1) DE60008777T2 (ko)
TW (1) TW501983B (ko)
WO (1) WO20010324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2200B2 (en) * 2002-01-08 2006-04-04 Amad Tayebi Method of making adhesive-free bonded porous thermoplastic nibs for markers and highlighter applications
US7111930B2 (en) * 2004-03-25 2006-09-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supply having a fluid absorbing material
US20060216491A1 (en) * 2005-03-22 2006-09-28 Ward Bennett C Bonded structures formed form multicomponent fibers having elastomeric components for use as ink reservoirs
CN101398273B (zh) * 2007-09-29 2010-12-08 超众科技股份有限公司 条状交织式毛细结构及其制造方法
RU2699443C2 (ru) * 2015-05-28 2019-09-05 Сикпа Холдинг Са Резервуар для чернил с системой обратного давления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7002A (en) * 1979-03-05 1981-05-12 Eastman Kodak Company Melt blowing process
US4771295B1 (en) 1986-07-01 1995-08-01 Hewlett Packard Co Thermal ink jet pen body construction having improved ink storage and feed capability
US5607766A (en) * 1993-03-30 1997-03-04 American Filtrona Corporati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sheath/thermoplastic polymer core bicomponent fibers, method of making same and products formed therefrom
JP3309571B2 (ja) * 1994-05-31 2002-07-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1025998B1 (en) * 1994-07-06 2004-10-06 Canon Kabushiki Kaisha Ink container, ink jet head having ink container, ink jet apparatus having ink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ink container
JP3227388B2 (ja) * 1995-08-02 2001-11-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吸収体、該インク吸収体を用いたインクタンク、該インクタンクと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とを一体化した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インクタンクの製造方法、及び該インクタンクに用いられる繊維塊
JP3475986B2 (ja) * 1995-11-29 2003-12-10 王子製紙株式会社 液体吸収体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24080B1 (en) 2004-03-03
WO2001032430A1 (en) 2001-05-10
KR100747880B1 (ko) 2007-08-08
CN1294019C (zh) 2007-01-10
DE60008777T2 (de) 2005-01-27
AU1103901A (en) 2001-05-14
JP2003512956A (ja) 2003-04-08
CN1411411A (zh) 2003-04-16
EP1224080A1 (en) 2002-07-24
DE60008777D1 (de) 2004-04-08
TW501983B (en) 200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974B1 (ko) 잉크 저장용기, 원색 잉크 저장장치, 및 잉크 공급 방법
US5657065A (en) Porous medium for ink delivery systems
KR0156614B1 (ko) 잉크 용기, 잉크 용기를 갖는 잉크 제트 헤드, 잉크 용기를 갖는 잉크 제트 장치 및 잉크 용기 제조 방법
US20020001023A1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ing recording unit with ink cartridge having ink inducing element
JPH0679882A (ja) インク噴射プリントヘッド用インク容器
JP2017081083A (ja) 液体吐出装置、ヘッド及び液体充填方法
JP2003025605A (ja) 液体収納容器および液体供給システム
KR100747880B1 (ko) 모세관 부재 제조 방법 및 잉크 용기 제조 방법
US8480217B2 (en) Ink jet cartridge having an ink container comprising two porous materials
US64023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filling an ink container
US7722173B2 (en) Fluid container having a fluid absorbing material
US20070139491A1 (en) Fluid storage container
JP3434497B2 (ja) インク容器にインクを補充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H06328710A (ja) 交換型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7478901B1 (en) Container having fluidically segregated compartments
US20050151805A1 (en) Porous substrate for ink delivery systems
JP2007245569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物流時の保管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JP2003011381A (ja) インクタンク、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A2272157A1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ing recording unit with ink cartridge having ink inducing element
JP2007245570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物流時の保管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