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7101A - 정류장치 - Google Patents

정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7101A
KR20020067101A KR1020010007470A KR20010007470A KR20020067101A KR 20020067101 A KR20020067101 A KR 20020067101A KR 1020010007470 A KR1020010007470 A KR 1020010007470A KR 20010007470 A KR20010007470 A KR 20010007470A KR 20020067101 A KR20020067101 A KR 20020067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ommutator
coil
stop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나카도시노리
야마모토쿄헤이
다카시마가즈히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10007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7101A/ko
Publication of KR20020067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10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04Commu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06Structural associations of commu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Abstract

정류자편의 훅과 도선과의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된 정류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류장치(20)는 정류자편(22)의 한쪽에 형성된 훅(23)의 근원부에 훅(23)에 계지되는 도선(6),(9)의 압착을 보조하는 단부(24)가 설치되어있다.

Description

정류장치{RECTIFYING DEVICE}
본 발명은 정류자의 정류자편의 한쪽에 형성된 훅에 도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정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0은 종래의 전동기의 요부 정단면도이다.
이 전동기는 원통상의 요크와, 이 요크내에 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4개 고정된 페라이트로 구성된 영구자석과 요크내에 베어링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샤프트(1)와 이 샤프트(1)에 고정된 전기자(2)와, 전기자(2)의 한쪽에 설치된 정류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또, 요크 및 영구자석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전기자(2)는 축선 방향으로 뻗은 다수의 슬로트를 갖는 철심(4)과 동선에 에나멜 피복된 도선인 코일(6)이 슬로트에 권회되어서 구성된 권선(5)을 구비하고 있다. 권선(5)은 코일(6)을 예를들면 10회 턴하고 다음 1슬로트 어긋나게 해서 코일 (6)을 10회 턴하는 것을 반복하는 소위중권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류장치(3)는 샤프트(1)의 단부에 고정되어 주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슬로트수와 같은 수의 정류자편(7) 및 정류자편(7)을 지지한 베이스(16)로된 정류자(8)와 , 이 정류자(8)의 표면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당접되어 있는 동시에 등분간격으로 4개 배치된 브러시와, 동전위이어야 되는 정류자편(7)의 각 훅(10)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 측면에 밀접한 도선인 균압선(9)을 구비하고 있다. 동선에에나멜 피복된 이 균압선(9)에 의해 권선(5)의 회로간에 생기는 유기전압의 차로 생기는 브러시에 흐르는 순환전류가 방지 되어있다.
상기의 전동기에서는 균압선(9)이 훅(10)에 계지해서 측면에 부착된 정류자 (8)에 철심(4)이 고정된 샤프트(1)가 삽입된다. 다음 철심(4)의 슬로트에 코일(6)이 중권방식으로 감겨서 권선(5)이 형성되나, 그 권회 도중 정류자편(7)의 각 훅(10)에 코일(6)이 계지된다. 그 후 각 훅(10)은 균압선(9) 및 코일(6)과 각각 동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1은 훅(10)이 구부려지기 전의 정류장치(3)의 요부단면도, 도 12는 균압선(9) 및 코일(6)이 훅(10)에 계지 되었을 때의 도면, 도 13은 훅(10)이 구부려진 후, 훅(10)이 균압선(9) 및 코일(6)과, 전기적으로 접속 되었을 때의 도면이다. 이 전기적인 접속은 소위 퓨징에 의해 실시된다. 즉 훅(10)에 의해 균압선(9) 및 코일(6)을 압착한 상태에서, 훅(10)에 저전압, 대전류를 흘림으로써 균압선(9) 및 코일(6)의 에나멜피복은 쥴열로 연소되고, 훅(10)이 균압선(9) 및 코일(6)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구성의 중권방식의 전동기에서는 정류자편(7)에 당접하는 브러시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전류를 권선(5)에 공급함으로써 샤프트(1)에 고정된 전기자(2), 균압선(9) 및 정류자(8)는 전자 작용에 의해 샤프트(1)와 함께 회전한다.
상기 구성의 정류장치(3)에서는 훅(10)이 구부려졌을 때, 훅(10)의 근원부만큼 공극부가 크고, 예를들어 근원부에 위치한 선경이 작은 균압선(9)의 압착이 불충분하고 훅(10)과의 전기적 접속이 불안정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으로 정류자편의 훅과 도선과의 전기적인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된 정류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정류장치에서는 정류자편의 한쪽에 형성된 훅의 근원부에 훅에 계지되는 도선이 압착을 보조하는 압착보조수단이 설치 되어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정류장치에서는, 압착보조수단은 단부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정류장치에서는, 압착보조수단은 선단부보다도 얇은 부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정류장치의 요부단면도로, 훅이 구부려지기 전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정류장치의 요부단면도로, 훅에 코일 및 균압선이 계지 되었을 때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정류장치의 요부단면도로, 훅과 코일 및 균압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었을 때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정류장치의 요부단면도로, 훅이 구부려지기 전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정류장치의 요부단면도로, 훅에 코일 및 균압선이 계지 되었을 때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정류장치의 요부단면도로, 훅과 코일 및 균압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었을 때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정류장치의 요부단면도로, 다른 훅 형상을 표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정류장치의 요부단면도로, 훅이 구부려지기 전의 도면.
도 9는 균압선이 클래드선 일 때의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정류장치가 내장된 전동기의 요부단면도.
도 11은 종래의 정류장치의 요부단면도로 훅이 구부려지기 전의 도면.
도 12는 종래의 정류장치의 요부단면도이고, 훅에 균압선 및 코일이 계지되었을 때의 도면.
도 13은 종래의 정류장치의 요부단면도로 훅과 코일 및 균압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었을 때의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샤프트2. 전기자4. 철심
5. 권선6. 코일7. 정류자편
9. 균압선16. 베이스20. 정류장치
21. 정류자23, 30, 40, 50 훅
24. 단부(압착보조수단)31, 41 얇은부(압착보조수단)
51. 凹부(압착보조수단)60. 균압선61. 도체
62. 외층, 에나멜피막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하나, 도 10내지 도 13의 동일 또는 상당부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쳐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정류장치(20)의 요부단면도이고, 정류장치(20)는 샤프트(1)의 단부에 고정되어 주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슬로트수와 같은 수의 정류자편(22) 및 정류자편(22)을 지지한 베이스(16)로 된 정류자 (21)와 이 정류자(21)의 표면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당접해 있는 동시에, 등분간격으로 4개 배치된 브러시와 동전위가되어야 할 정류자편(22)의 각 훅(23)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 측면에 밀접한 도선인 균압선(9)을 구비하고 있다.
정류자편(22)의 한쪽에 형성된 훅(23)의 근원부에는 도선인 균압선(9) 및 코일(6)의 압착을 보조하는 압착 보조수단인 단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정류장치(20)에서는 훅(23)이 구부려 졌을 때, 훅(23)의 근원부에는 단부 (2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3에 표시한 바와같이 근원부에서의 공극부가 종래의 것과, 비교해 작고, 그 만큼 균압선(9) 및 코일(6)의 압착 변형이 커지고 퓨징에 의한 훅(23)과 균압선(9) 및 코일(6)과의 전기적 신뢰성이 향상된다.
실시의 형태 2.
도 4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정류장치(20)의 요부단면도이고, 이 정류장치(20)에서는 훅(30)의 근원부에 선단부보다도 얇은 얇은부(31)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실시의 형태 1과 다르다. 입착보조수단인 이 얇은부(31)는 훅 (30)의 두께의 테이퍼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7에 표시한 바와같이 훅(40)에 얇은부(41)를 형성해도 된다.
이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얇은부(31),(41)가 형성됨으로써 훅(30),(40)이 구부려 졌을 때, 훅(30),(40)의 근원부에서는 구부리기 쉬워지고, 도 6에 표시한 바와같이 근원부에서의 공극부가 종래의 것과 비교해서 작고, 그 만큼 균압선(9) 및 코일(6)의 압착 변형이 커지고, 퓨징에 의한 훅(30),(40)과 균압선(9) 및 코일(6)과의 전기적 신뢰성이 향상된다.
실시의 형태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정류장치(20)의 요부단면도이고, 이 정류장치(20)에서는 훅(50)의 근원부에 얇은부인 凹부(51)가 형성 되어있는 점이 실시의 형태 1과 다르다.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凹부(51)가 형성됨으로써 훅(50)이 구부려졌을 때, 훅(50)의 근원부에서는 구부려지기 쉬워지고 근원부에서의 공극부가 종래의 것과 비교해서 작고, 그 만큼 균압선(9)의 압착 변형이 커지고, 퓨징에 의한 훅(50)과 균압선(9) 및 코일(6)과의 전기적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훅(23),(30),(40),(50)은 모두 동으로 구성되고 또 코일(6) 및 균압선(9)은 표면에 에나멜이 피복된 동선인 경우이나, 균압선으로 선경이 작은 동선, 절연피막인 에나멜피복이 형성된 황동선 또는 단동선인 경우에는 특히, 본 발명의 효과가 크다.
즉 동과 비교해서 황동 또는 단동은 경도 및 기계적 강도가 높고, 또 열 및 전기전도도가 낮으므로 퓨징시에 선변형이 작고, 훅과 균압선 및 코일과의 전기적 신뢰성이 저하 하나, 훅의 근원부에 압착보조수단을 형성함으로써, 균압선은 충분히 변형되고 또 황동선 단동선은 전기저항이 큰 만큼 동선과 비교해서 선경이 커지고 훅과 균압선과의 접촉면적이 증대하고, 훅과 균압선과의 전기적인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도 9에 표시한 바와같이 알루미늄으로 된 도체(61)와 이 도체(61)의 외주에 형성된 동으로된 외층(62)과 이 외층(62)의 표면에 형성된 절연피막인 에나멜피막(63)으로 구성된 클래드선을 사용했을 때에는 훅(23),(30),(40),(50)과 외층 (62)이 같은 금속인 동이므로 전식이 생기지 않는다.
또 각 압착보조수단의 가공은 훅의 절식가공시에 동시에 실시 할 수있으므로, 쓸데없이 새로운 공정은 불필요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정류장치에 의하면, 정류자편의 한쪽에 형성된 훅의 근원부에 훅에 계지되는 도선의 압착을 보조하는 압착 보조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정류자편의 훅이 구부려졌을 때 도선은 더욱 압착되고 도선과 훅의 접촉면적이 중대하고 훅과 도선과의 전기적인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정류장치에 의하면 압착보조수단은 단부이고 간단하게 단부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정류장치에 의하면 압착보조수단은 선단부보다도 얇은 부분이고 간단하게 얇은부를 형성할 수가 있다.

Claims (3)

  1. 전기자가 고정된 샤프트에 고정되는 베이스 및 이 베이스의 외주면에 주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정류자편을 포함하는 정류자와, 이 정류자의 표면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당접하고 있는 브러시를 구비한 정류장치로서, 상기 정류자편의 한쪽에 형성된 훅의 근원부에는 훅에 계지되는 도선의 압착을 보조하는 압착보조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정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압착보조수단은 단부인 정류장치.
  3. 제 1항 에 있어서, 압착보조수단은 선단부보다도 얇은 부분인 정류장치.
KR1020010007470A 2001-02-15 2001-02-15 정류장치 KR20020067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470A KR20020067101A (ko) 2001-02-15 2001-02-15 정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470A KR20020067101A (ko) 2001-02-15 2001-02-15 정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101A true KR20020067101A (ko) 2002-08-22

Family

ID=37488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470A KR20020067101A (ko) 2001-02-15 2001-02-15 정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7101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6140A (en) * 1977-10-03 1982-04-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ctric motor having a hook-shaped commutator
KR930005746Y1 (ko) * 1990-12-11 1993-08-27 주식회사 금성사 마이콤 옵션장치
JPH0622507A (ja) * 1992-06-30 1994-01-28 Asmo Co Ltd 回転電機の回転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950004935U (ko) * 1993-07-03 1995-02-18 정류자모터의 정류자편 구조
JPH10257736A (ja) * 1997-03-13 199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整流子電動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6140A (en) * 1977-10-03 1982-04-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ctric motor having a hook-shaped commutator
KR930005746Y1 (ko) * 1990-12-11 1993-08-27 주식회사 금성사 마이콤 옵션장치
JPH0622507A (ja) * 1992-06-30 1994-01-28 Asmo Co Ltd 回転電機の回転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950004935U (ko) * 1993-07-03 1995-02-18 정류자모터의 정류자편 구조
JPH10257736A (ja) * 1997-03-13 199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整流子電動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06561A1 (en) Motor connecting member and motor device
US11081927B2 (en) Busbar assembly for an electric motor
JP2007181303A (ja) モータ
US6043581A (en) Dynamo-electric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US20140306562A1 (en) Motor connecting member and motor device
CN110798001A (zh) 电动机
JP3559178B2 (ja) 回転電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102118A (ja) 固定子を生産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これに対応する固定子
JP2004194367A (ja) 回転電機及び配線用部材
JP4914618B2 (ja) ステータ
US6949859B2 (en) Commutator assembly for motor
CN107342160A (zh) 电磁感应器及电磁感应器的制造方法
US20020047464A1 (en) Rotor having printed wiring commutator member and flat motor having the rotor
JP3256688B2 (ja) 整流装置
KR20020067101A (ko) 정류장치
JPH09139238A (ja) 電線接続方法
JP3550755B2 (ja) 磁石式発電機の固定子
JP2009038939A (ja) 回転電機の分割コアステータ
KR100424873B1 (ko) 정류장치
JP4220834B2 (ja) 整流装置
JP4361095B2 (ja) ヒューズエレメント用絶縁中間コイルを備えるコイル状可溶導体
WO2021049391A1 (ja) モータのステータ構造、モータ及び移動体
JP2003169458A (ja) 回転電機の均圧線配線構造
KR100407631B1 (ko) 회전전기
CN111740557B (zh) 用于制造构件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1010

Effective date: 2005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