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580A -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용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용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580A
KR20020065580A KR1020027007801A KR20027007801A KR20020065580A KR 20020065580 A KR20020065580 A KR 20020065580A KR 1020027007801 A KR1020027007801 A KR 1020027007801A KR 20027007801 A KR20027007801 A KR 20027007801A KR 20020065580 A KR20020065580 A KR 20020065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wiper system
vehicle body
wind scree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힘 노이바우어
페터 칼히슈미트
요헨 묀히
하이코 슈포나르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claimed from PCT/DE2001/003693 external-priority patent/WO2002034585A1/de
Publication of KR20020065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58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41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 B60S1/0447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non-screw fixation, (e.g. snap-in, bayonnet-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13Modular wiper assembly
    • B60S1/0422Modular wiper assembly having a separate transver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33Attachement of a wiper modular assembly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41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에 있어서 차체에 장착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용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고,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은 미리 제조된 부품 그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품 그룹은 거기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위치는 각각 차체(10)에 상응하게 배치된 고정 위치(연결 위치)에 접착 고정된다.

Description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용 고정 장치 {Fixing device for a windscreen wiper system}
특히 자동차용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이 진동 댐핑 부재를 사용하여 나사 결합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미리 조립된 부품 그룹으로서 자동차에 조립하기 위해 자동차 제조자에게 제공된다. 미리 조립된 부품 그룹은 그의 각 단부에 상응하는 고정 아이가 제공되어 있는 시이트 바아, 및 커플링 로드를 통해 시이트 바아에 지지된 와이퍼 샤프트에 연결된 구동 모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 모터는 그의 편에서 마찬가지로 시이트 바아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 모터에는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아이가 제공된다.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에 배치된 고정 아이를 통해,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이 나사 결합에 의해 차체에 고정된다. 이 경우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조립을 개선하기 위해, 너트 또는 나사가 자동차의 차체에 용접된다. 차체와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고정 포인트 사이에 진동 전달의 댐핑 또는 방지를 위해 댐핑 고무 등과 같은 진동 댐핑 부재가 배치된다. 미리 제조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고정 아이는, 비교적 큰 트라이앵글을 형성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시스템의 강성이 상승된다. 차체에 고정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공지된 고정 방식의 단점은 한편으로는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을 차체에 조립하기 위해 비교적 높은 매뉴얼 비용이 든다는 점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를 위해 필요한 너트, 나사, 받침 플레이트, 댐핑 고무 등과 같은 형태의 높은 재료 비용이 든다는 점이다. 또한 조립시 상응하는 나사 공구(나사 드라이버 및 스패너)를 위한 자유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운전중 발행하는 진동에 의해 나사 결합의 비의도적 분리 또는 이완의 위험이 존재한다. 상기 나사 결합의 이완은 필연적으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기능의 손상을 야기한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제시된 특징을 포함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용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관련 도면에 의해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차체에 장착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X의 세부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Y의 세부도이고,
도 4는 상이한 표면 형태 및 결합 위치에서의 재료 결합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청구항 제 1항에 제시된 특징을 포함한, 차체에 장착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는,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을 차체에 조립하는 비용 및 너트, 나사, 받침 플레이트, 댐핑 고무 등과 같은 조립시 필요한 개별 부품의 수가 상당히 감소되는 장점을 가진다.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위치가 차체에 상응하게 배치된 각 하나의 고정 위치(연결 위치)에 접착 고정됨으로써, 바람직하게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을 차체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나사 결합을 위해 요구되는 필요한 나사 공구용 자유 공간은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추가 장점은, 경화된 접착제가 선행 기술에서 공지된 진동 댐핑 부재의 댐핑 기능을 수행한다는 데있다. 고무 부시 또는 다른 진동 댐핑 부재가 생략됨으로써, 재료 비용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제시된 특징으로부터 발생된다.
도 1에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이 차체(10)에 연결되는 것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공지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은 각 단부에 상응하는 고정 위치(16 및 18)가 제공된 시이트 바아(22)로 이루어진다. 시이트 바아(22)에 제 3 고정 위치(20)를 통해 한편으로는 구동 모터(14)가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 3 고정 위치(20)를 통해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이 차체(10)에 고정된다. 구동 모터(14)는 커플링 로드(12)를 통해, 시이트 바아(22)에 지지되면서 윈드 스크린 와이퍼를 작동시키기 위한 와이퍼 샤프트(34)에 연결된다.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이 예비 조립된 이후에, 부품 그룹으로서 상응하는 자동차 내에 조립된다.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의 고정, 특히 자동차의 차체(10)에 고정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라,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의 고정 위치가 차체(10)에 상응하게 배치된 각 하나의 고정 위치(연결 위치)에 접착 고정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접착 고정은 재료 결합이다. 상기 접착 고정의 지속적인 부하 수용 능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특정 부하 방향에 있어서 재료 결합 외에도 추가로 포지티브 결합이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접착 고정에 있어서, 접착층을 통해 무엇보다 압력 부하가 전달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접착 위치의 추진- 및 인장 부하는 상응하는 공간 배치 및 연결부의 추가 포지티브 구조에 의해 광범위하게 방지된다. 도 4에 따른 테이블에서 상이한 표면 형태 및 접착 연결부와 추가 포지티브 결합의 연결 위치가 목록으로 작성되어 있다.
빗금(A)으로 표시된 공작물은 예컨대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을 나타내고, 빗금(C)으로 표시된 공작물은 예컨대 차체(10)를 나타낸다. B는 각 성형물 사이의 접착제를 나타낸다. 열(I 및 II)에서 공작물의 상응하는 상이한 배치가 도시된다.
테이블의 각 행에서 연결부의 상이한 표면 형상, 상이한 형태 및 상이한 공작물의 재료 결합 및 포지티브 결합의 상이한 개수의 연결 위치가 도시된다. 행(1 내지 4)에서 공작물의 상이한 표면 형상이 도시된다. 행 1은 매끄러운 표면 형상, 행 2는 둥근, 에그형, 오목/볼록한 표면 형상, 행 3은 각진 표면 형상 그리고 행 4는 트라이앵글형의 표면 형상을 도시한다. 행(5 내지 11)에는 연결 위치의 상이한형태가 도시된다. 행 5에는 제 1 공작물이 제 2 공작물 내에 매립되는 것이, 행 6에는 핀과 보어의 연결이, 행 7에는 라운딩 연결이, 행 8에는 새들 조인트가, 행 9에는 샤프트와 박판의 연결이, 행 10에는 반구와 컬라트 셸(calotte shell)의 결합이 그리고 행 11에는 볼과 볼 소켓의 결합이 도시된다. 행 12에는 간단한 연결이, 행 13에는 2중 연결이, 행 14에는 3중 연결이 도시된다. 행 15는 다중 연결을 나타내므로 더 이상 도시되지 않는다. 테이블에 도시된 변형예는 각 연결에 상응하여 윈드 스크린 와이퍼(32)와 차체 사이의 고정 위치(16; 18; 20)의 가능한 연결 변형예를 나타낸다.
윈드 스크린 와이퍼(32)와 차체(10) 사이의 제 1 고정 위치(16)는 상응하는 공차 보상이 없는 고정 베어링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한 반면, 제 2 고정 위치(18)는 단축의 공차 보상에 의해, 그리고 제 3 고정 위치(20)는 2축의 균등한 공차 보상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고정 위치(18)와 제 3 고정 위치(20) 사이의 상응하는 공차 보상에 의해, 경우에 따라 발생하는 제조 공차가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 및 차체(10)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베어링으로서 형성된 제 1 고정 위치(16)의 연결 위치는 반구(26)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구는 상응하는 컬라트 셸(24)과 포지티브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10)의 고정 위치는 컬라트 셸(24)로서 그리고 차체(10)의 연결 위치는 반구(26)로서 형성된다. 도 3에 따라, 단축 공차 보상이 제공된 제 2 고정 위치(18)의 연결 위치는 하부로 개방된 측면으로 형성된 U-형 성형물(28)로 이루어지고, 상기 U-형 성형물은 상응하게 형성된 U-형 상대물(30)과 서로 포지티브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의 고정 위치는 하부로 개방된 측면으로 형성된 U-형 성형물(28)로서 형성되고, 차체(10)의 연결 위치는 U-형 상대물(30)로서 형성된다. 2축의, 균등한 공차 보상으로 형성된 제 3 고정 위치의 연결 위치는 각각 평면으로서 형성된다.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과 차체(10) 사이의 개별 고정 위치(16; 18; 20)의 형성 및 설계에 의해, 조립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의 정확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또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과 차체(10) 사이의 개별 고정 위치(16; 18; 20)는 테이블에 도시된 변형예에 상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은 단 2 개의 고정 위치에 의해, 예컨대 차체의 고정 위치(16 ;18)에 의해서만 고정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고정 베어링으로서 형성된 제 1 고정 위치(16)는 그 조립 위치에 관련하여 가장 높은 정확도를 가진다. 상기 정확도는 윈드 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용 상응하는 와이핑 영역의 세팅에 있어서도 중요하며, 상이한 조건하에서도 정확하게 계산된 와이핑 각이 달성될 수 있도록 한다. 통상적인 동기적-와이퍼 시스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는 하부 플레이트 에지와 자동차의 A-기둥 사이에서 이동된다. 이 때문에, 상기 자동차 측에서는 더 높은 와이핑 각도 정확도가 달성된다. 이러한 이유로, 고정 베어링으로서 형성된 제 1 고정 위치(16)가 운전자 측의 차체(10)에 배치된다. 단축 공차 보장으로 형성된 제 2 고정 위치(18)는 동승자 측 방향의 차체(10)에 배치되는 반면, 2축의 균등한 공차 보상으로 형성된 제 3 고정 위치(20)는 차체(10)의 제 1 고정 위치(16)와 제 2 고정 위치(18) 사이의 대략 중간에 배치된다.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의 강성을 전체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해,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용 고정 위치(16; 18; 20)는 평면으로 볼 때 3각형을 형성하도록 차체(10)에 배치된다. 이 경우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의 강성은 개별 고정 위치(16; 18; 20) 사이에 형성될 트라이앵글형의 크기에 따라 좌우된다. 형성될 트라이앵글형이 클수록,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안정성도 더 커진다.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의 제 1 고정을 위해, 조립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과 차체(10) 사이의 고정 위치(16; 18; 20)의 접착 위치에 스페이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스페이서는 한편으로는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을 특정 위치로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특정 접착제 두께의 달성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스페이서는 접착제의 경화 이후에 제거되지 않도록, 진동 댐핑 재료, 특히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져야 한다. 스페이서가 비진동 댐핑 재료로 이루어지면, 상기 스페이서는 접착제의 경화 이후에 다시 제거된다.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과 차체(10)의 접착 고정을 위해,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과 차체(10)의 각 고정 위치(16; 18; 20) 사이에 고무 탄성의, 폴리우레탄을 기본으로 이루어진 단일 접착제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접착제는 바람직하게 향상된 접근 가능성으로 인해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의 각 고정 위치(16; 18; 20)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위치에 의해 규정된 접착 위치가 제공된다. 접착제가 차체(10)의 고정 위치에, 특히 2축의 균등한 공차 보상에의해 형성된 제 3 고정 위치(20)에 제공될 경우, 접착제는 각 고정 위치(20)의 가능한 이동으로 인해 서로 상응하는 접착 위치에 제공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만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착 위치의 강성은 부정적으로 손상을 입게된다.
접착제는 대략 60℃에서 각 고정 위치(16; 18; 20)에 균일하게 디포짓된다. 이것은 상응하게 형성된 고정 위치의 리세스 내로 분사됨으로써 이루어지거나 또는 평탄하게 형성된 고정 위치에서 트라이앵글형 비드가 제공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처리 온도에서 접착제의 높은 점도에 의해, 접착제가 각 고정 위치(16; 18; 20)에 제공될 수 있고, 이어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은 이송시 임의의 방법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점도는 처리 상태에서 대략 "점액성"이고, 즉 점도는 기술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압력으로 공지된 도우징 장치에서 처리될 수 있지만, 쉽게 드로핑(dropping)또는 스미어링(smearing)되지 않거나 또는 고유 무게 하에서 변형된다(비드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각 고정 위치(16; 18; 20) 및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과 차체(10) 사이의 고정 위치의 디자인 및 크기는 고정 위치에서 나타나는 최대 부하로부터 발생된다. 이 경우 최대 힘은 와이퍼 아암의 블록킹시 상이한 위치로 전달되고, 자동차의 좌표계로부터 고정 좌표계로 회전된다. 따라서 표면에 평행하는 힘과, 거기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은 상이하며, 따라서 추진- 및 인장력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힘에 의해 그리고 접착제가 차체(10)의 제공된 래커링된 표면에 고정됨으로써, 필요한 접착면이 계산된다. 이 경우 2 개의 포인트로 제공된 접착면의 3차원 구조는 무시된다. 그러나 극심한 자동차 부하시 그리고 자동차의 수명동안 고장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응하는 접착면의형성시, 추가로 높은 안전요소가 고려된다. 접착 위치의 형성 및 배치용 추가 포인트는 고정 위치의 페일-세이프(fail-safe)-비율의 보장이다. 이것은,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과 차체(10) 사이의 고정 위치(16; 18; 20)의 접착면 크기는, 고정 위치(16 또는 18 또는 20)의 접착 연결이 경우에 따라 분리될 경우, 다른 고정 위치의 접착 연결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크게 설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와이핑시 발생하는 힘에 의해 제 1 연결 위치가 경우에 따라 분리될 경우, 제 2 연결 위치는 분리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의 분리는 표준 조건하에서 광범위하게 방지된다.
또한 접착제의 낮은 점성 밀도는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과 차체(10)의 각 고정 위치(16; 18; 20) 사이의 접착제의 미리 정해진 강성의 달성을 위해 중요하다. 이 경우 접착제는 경화 이후에 탄력적이면서 진동을 댐핑시키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접착제는 경화된 접착제가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과 차체(10)를 진동 기술적으로 서로 분리시키는 강도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과 차체(10)의 각 고정 위치(16; 18; 20) 사이에 디포짓됨으로써, 상응하는 댐핑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고정 위치의 각 표면 사이의 접착층은,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의 부품과 차체(10)가 접촉되지 않도록, 따라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으로부터 자동차로 진동이 전달될 수 없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지금까지 사용되었던 고무 부시 등과 같은 탄성 댐핑 부재가 생략된다.
폴리우레탄을 기본으로 이루어진 탄성 접착제는 높은 초기 강성을 가지고, 그의 외피 형성 시간은 20 분 미만이다. 경화 이후에, 접착제는 대략 60쇼어(shore)(A)의 경도를 가진다. 이로 인해 접착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의 위치는 이어지는 조립 라인으로의 이송시, 또한 자동차의 발생하는 진동 및 종축 만큼의 회전시 더 이상 변경되지 않는다. 또한 짧은 외피 형성 시간에 의해, 자동차가 제조 과정에 상응하게 접착제의 경화를 위한 추가 정지 시간없이 재래커링될 수 있다.
접착제의 추가 특성은, 접착제가 물, 기름, 계면 활성제, 알코올, 오존, 염분 및 노화에 대해 내구성을 가진다는 점이다. 내노화성은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과 차체(10) 사이에 형성된 재료 결합의 긴 수명 시간을 보장하는데 있어 필수적이다. 물, 기름, 계면 활성제, 알코올, 오존 및 염분에 대한 접착제의 내구성도 마찬가지로 필요한데, 그 이유는 접착제는 상기 재료에 접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과 차체(10) 사이의 개별 고정 위치(16; 18; 20)의 설계시, 수성 매체가 유출될 수 있으므로 접착제 및 접착제 위치에 대한 영구 콘택을 가지지 않는다는 점이 유의된다. 수성 매체와 접착제의 영구 콘택이 방지됨으로써, 접착제 위치의 손상이 광범위하게 제거되고, 이로 인해 접착 결합의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환경 보호에 대한 요구에 상응하기 위해, 사용된 접착제는 실리콘을 함유하지 않고, 유독 성분이 없으며, 환경 친화적이며 건강에 무해하고 위험 없이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필요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의 교체시, 각 고정 위치(16; 18; 20) 및 자동차(10)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의 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윈드 스크린 와이퍼시스템(32)과 자동차(10)의 고정 위치(16; 18; 20) 사이의 재료 결합이 해체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리는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과 자동차(10)의 각 고정 위치(16; 18; 20) 사이에 안내되는 구부러지는 블레이드를 포함한 진동 블레이드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공구는 접착 고정된 윈드 스크린을 자동차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위해, 각 워크 스테이션에 제공된다.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의 새로운 접착 고정은 미리 분리된 연결 위치의 가장 접착력이 좋은 부분에서 문제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이 차체(10)에 조립되는 것은, 통상적으로 회전 작업대(intermittent assembly line) 또는 조립 라인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응하는 자유도 또는 고정 포인트를 가진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과 자동차(10) 사이의 개별 고정 위치(16; 18; 20)의 설계에 의해, 조립은 1-아암 로봇(one-arm robot)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을 차체(10)에 고정하는 것이 문제없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로봇에 의해 접착제가 한편으로는 문제없이 대략 60℃ 의 상응하는 처리 온도로 가열되어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의 고정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의 사용에 의해,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의 조립동안 사람과 접착제 사이의 접촉이 방지된다. 접착제의 신속한 경화를 위해 추가로 특수 시스템, 예컨대 부스터-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지는 와이퍼 레버의 조립시, 조립은 충분한 경화 시간 이후에, 즉 접착제의 외피 형성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이 자동차에 고정되는 것은, 자동차에 존재하는 모든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프론트-, 후미-, 서치 라이트- 및 거울 유리-와이퍼 시스템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은 그 구조 형태에 상응하여 행정 제어 장치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은 1- 또는 2-아암 시스템으로서 동기적 또는 반대 방향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장점은 무엇보다 간단한 조립, 안전한 고정, 필요한 개별 부품 및 필요한 조립 자유 공간의 감소 및 전체적인 비용의 감소에 있다.

Claims (25)

  1.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이 미리 제조된 부품 그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품 그룹은 거기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위치를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에 있어서 차체에 장착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용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위치가 상기 차체(10)에 상응하게 배치된 각 하나의 고정 위치(연결 위치)에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고정 위치(16)는 상기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과 차체(10) 사이에서 상응하는 공차 보상 없이 고정 베어링으로서 형성되고,
    제 2 고정 위치(18)는 단축의 공차 보상에 의해 형성되고,
    제 3 고정 위치(20)는 2축의 균등한 공차 보상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고정 베어링으로서 형성된 상기 제 1 고정 위치(16)는 상응하는 컬라트 셸(24)과 서로 포지티브하게 결합된 반구(26)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 상기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의 고정 위치는 컬라트 셸(24)로서 형성되고,
    상기 차체(10)의 연결 위치는 반구(26)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축의 공차 보상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 2 고정 위치(18)는 하부로 개방된 측면으로 형성된 U-형 성형물(28)로 이루어지고, 상기 U-형 성형물은 상응하게 형성된 U-형 상대물(30)과 서로 포지티브하게 결합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의 고정 위치는 하부로 개방된 측면으로 형성된 U-형 성형물(28)로서 형성되고,
    상기 차체(10)의 연결 위치는 U-형 상대물(30)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축의 균등한 공차 보상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 3 고정 위치(20)는 각각 하나의 평면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베어링으로서 형성된 상기 제 1 고정 위치(16)는 차체(10)에서 운전자측 와이퍼 아암의 와이퍼 샤프트(34) 근처에 배치되고,
    단축의 공차 보상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 2 고정 위치(18)는 차체(10)에서 가급적 동승자 측 와이퍼 아암의 와이퍼 샤프트(34) 근처에 배치되고,
    2축의 균등한 공차 보상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 3 고정 위치(20)는 차체(10)에서 가급적 차체 현가 장치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10)에 장착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용 고정 위치(16; 18; 20)는 평면으로 볼 때 가급적 큰 파워 트라이앵글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접착제 두께의 달성을 위해, 상기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과 차체(10)의 각 고정 위치(16; 18; 2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가 진동 댐핑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접착제의 경화 이후에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7항에 있어서,
    높은 점도를 가진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상기 스페이서가 필요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과 차체(10)의 각 고정 위치(16; 18; 20) 사이에 제공된 접착제는 고무 탄성의, 폴리우레탄을 기본으로 이루어진 단일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상기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의 각 고정 위치(16; 18; 20)에 바람직하게 디포짓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처리 상태의 처리 온도에서 높은 점도를 가지고, 상기 접착제의 외피 형성 시간은 20분 미만이며, 높은 초기 강성을 가지고 그리고 경화 이후에대략 60 쇼어(A)의 경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물-, 기름-, 계면 활성제-, 알코올-, 오존-. 염분- 및 노화에 대해 내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경화된 이후에 탄력적으로 그리고 진동 댐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실리콘을 함유하지 않고, 환경 친화적이며 건강에 무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과 차체(10)가 진동 기술적으로 서로 분리되는 강도로, 상기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과 차체(10)의 각 고정 위치(16; 18; 20) 사이에 디포짓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결합적 접착 연결이 상기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과 차체(10)의 각 고정 위치(16; 18; 20) 사이에서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0.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결합적 접착 연결이 구부러지는 블레이드를 포함한 진동 블레이드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1. 제 1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블레이드에 의해 분리된 접착 연결부에 새로운 접착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2. 제 1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층은 상기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의 부품이 차체(10)에 접촉되지 않도록 고정 위치의 각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3. 제 1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과 차체(10) 사이의 개별 고정 위치(16; 18; 20)의 접착면 크기는, 상기 고정 위치(16 또는 18 또는 20)의 접착 연결이 경우에 따라 분리될 경우 다른 고정 위치의 접착 연결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크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4. 제 1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과 차체(10) 사이의 고정 위치(16; 18; 20)는 접착층의 인장- 및 추진 부하가 방지되도록 형성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5. 제 1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32)이 프론트- 및/또는 후미- 및/또는 서치 라이트- 및/또는 거울 유리-와이퍼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KR1020027007801A 2000-10-23 2001-09-26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용 고정 장치 KR200200655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52497.4 2000-10-23
DE10052497 2000-10-23
DE10062617A DE10062617A1 (de) 2000-10-23 2000-12-15 Befestigung für eine Scheibenwischeranlage
DE10062617.3 2000-12-15
PCT/DE2001/003693 WO2002034585A1 (de) 2000-10-23 2001-09-26 Befestigung für eine scheibenwischeranl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580A true KR20020065580A (ko) 2002-08-13

Family

ID=7660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801A KR20020065580A (ko) 2000-10-23 2001-09-26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용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0065580A (ko)
DE (1) DE100626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6111A1 (de) 2002-08-07 2004-02-2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Verbinden von Bauteilen, insbesondere von Scheibenwischeranlagen, mit Karosserieteilen eines Kraftfahrzeuges
DE10301900A1 (de) 2003-01-17 2004-07-29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328982A1 (de) * 2003-06-27 2005-01-13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4005067A1 (de) 2004-02-02 2005-08-18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4016914A1 (de) 2004-04-06 2005-10-20 Bosch Gmbh Robert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4016810A1 (de) 2004-04-06 2005-10-27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JP4890895B2 (ja) * 2006-03-14 2012-03-07 株式会社ミツバ ワイパ装置
DE102008033831B4 (de) 2008-07-19 2017-07-06 Volkswagen Ag Befestigungsanordnung für eine Scheibenwischvorrichtung an einem Fahrzeug
DE102008041342A1 (de) * 2008-08-19 2010-02-25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ervorrichtung
DE102010039575A1 (de) 2010-08-20 2012-02-23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erantrieb
DE102010042366A1 (de) * 2010-10-13 2012-04-19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224630A1 (de) * 2015-12-08 2017-06-08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062617A1 (de) 200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4722B2 (en) Fixing device for a windscreen wiper system
KR20020065580A (ko) 윈드 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용 고정 장치
US5609329A (en) Vibration damping attachment of a drive unit for windshield wipers
CN100420593C (zh) 汽车后视镜用支撑臂及其制造方法
CA2347729A1 (en) Point fitting for insulating glass panes
JPH01303336A (ja) 弾性変形関節装置
CN107235076B (zh) 汽车转向节及转向节定位夹紧装置
JPS60501514A (ja) 複合材料のスプリングに対する部材の固定
KR100689645B1 (ko) 와이퍼 시스템의 구동 샤프트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US7699327B2 (en) Wheel suspension
JPH11311280A (ja) 防振装置
CN113352349B (zh) 二自由度正交腱传动关节模块
US4971285A (en) Elastic support for a decorative or protective trim part
KR20020093571A (ko) 자동차 외부 미러
WO2004002788A2 (en) Prestressed wiper arm
US20050211497A1 (en) Drive unit suspension structure, mainly for rear engine bus
JPH0123015Y2 (ko)
JPH11117982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のコイルスプリング取付構造
KR20050092458A (ko) 섀시 요소의 위치설정을 위한 조립 공구 및 상응하는조종장치
US5975760A (en) Central bearing for a motor vehicle rear axle
JPH1053035A (ja)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CN210589583U (zh) 一种用于加工雨刮器连接臂的夹具
JPH0739697Y2 (ja) プロペラシャフトのブラケット取付構造
KR100682839B1 (ko) 자동차용 와이퍼
CN2298363Y (zh) 防松螺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