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042A - 알코올 분해대사 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코올 분해대사 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042A
KR20020065042A KR1020010005378A KR20010005378A KR20020065042A KR 20020065042 A KR20020065042 A KR 20020065042A KR 1020010005378 A KR1020010005378 A KR 1020010005378A KR 20010005378 A KR20010005378 A KR 20010005378A KR 20020065042 A KR20020065042 A KR 20020065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lcohol
extract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5787B1 (ko
Inventor
이종선
김기준
박덕조
강창수
Original Assignee
(주)네오게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게이트 filed Critical (주)네오게이트
Priority to KR10-2001-0005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787B1/ko
Publication of KR20020065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7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2Cit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Chitin, chitos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1Glucose, Dextr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4Sugar alcohols
    • A23V2250/6418Mannit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알코올 분해대사 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잘게 썰어 건조한 호깨나무를 에틸알코올로 세척한 후 40℃에서 열풍건조하는 단계와, 상기의 호깨나무 100중량부, 갈화 1-5중량부, 오매실 1-5중량부, 느릅나무 1-2중량부, 산오리나무 1-2중량부를 혼합한 후 원료중량의 5-10배 정도되는 생수를 첨가하여 800℃의 압력추출기에서 5시간 가열한 다음 유압기에 넣고 분리추출하는 단계와, 상기의 추출물을 0.2μ의 필터를 통과시켜 여과한 후 40℃이하로 냉각하는 단계와, 상기의 냉각된 추출액에 키토산 1-5중량부를 혼합한 후 감미제, 산미제중 1종 이상을 첨가하는 단계 및 포장단계로 구성되는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생체내 알코올 분해대사를 촉진시켜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낮춰 숙취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보간 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알코올 분해대사 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Drink for acohol metatolism and Manufacture the same}
본 발명은 알코올 분해대사 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호깨나무, 갈화, 오매실, 느릅나무, 산오리나무등의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알코올 분해대사 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다한 알코올 섭취 후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무력감, 두통, 졸림, 메스꺼움, 갈증, 긴장감, 흥분, 창백해짐, 발한 및 심한 입냄새 등이 있다. 상기한 숙취의 원인은 지금까지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대체적으로 알코올의 분해대사과정에서 변형되어 생성되는 아세트알데히드의 체내 잔류가 숙취의 주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상기한 숙취를 제거하기 위한 약학적 시도는 많이 있었으나, 인체 내에서 알코올 분해대사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 숙취 제거제를 제조하지는 못하고 있다.
숙취 제거제로 생약성분을 이용할 수 있는데, 동의보감 등에 개시된 숙취 및 주독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생약으로는 갈화, 지구자, 오리나무, 두릎나무, 상심자, 오미자, 구기자, 연근, 진피, 녹두, 산약 및 약쑥 등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제99-046190호 및 일본 특허 공개번호 제JP4282318호는 호깨나무 용제추출물을 이용한 숙취제거용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숙취제거용 음료가 이뇨작용을 하게 하고 술로 인한 두통, 구토 등의 숙취를 제거해주고 알코올로 인한 구취나 생리적 현상의 구취 및 음식물 섭취후의 구취를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숙취제거용 음료는 호깨나무 추출용액 제조시 열을 가해 장시간 추출하는 관계로 호깨나무 추출용액 고유의 독특한 향미와 색상이 사라지게 된다. 또한 체내에 잔류하는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낮추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며 간보호작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인 생약성분 추출법 및 음료조성물을 제공함으로서 숙취제거에 효과적이며 보간작용을 할 수 있는 알코올 대사 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잘게 썰어 건조한 호깨나무를 에틸알코올로 세척한 후 40℃에서 열풍건조하는 단계와, 상기의 호깨나무 100중량부, 갈화 1-5중량부, 오매실 1-5중량부, 느릅나무 1-2중량부, 산오리나무 1-2중량부를 혼합한 후 원료중량의 5-10배 정도 되는 생수를 첨가하여 800℃의 압력추출기에서5시간 가열한 다음 유압기에 넣고 분리추출하는 단계와, 상기의 추출물을 0.2μ의 필터를 통과시켜 여과한 후 40 ℃이하로 냉각하는 단계와, 상기의 냉각된 추출액에 키토산 1-5중량부를 혼합한 후 감미제, 산미제중 1종 이상을 첨가하는 단계 및 포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분해대사 촉진용 음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알코올 분해대사 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주성분인 호깨나무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호깨나무는 학명이 Hovenia dulcis Thunb인데 한의학 대사전에 간세포 신생 촉진작용 및 혈당, 콜레스테롤 및 혈압 강하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며 술에 취한 것을 치료하는 약재로서 인체에 무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호깨나무 열매의 화학 주성분은 수분이 3.6%, 조단백이 2.2%, 조지방이 1.2%, 자당이 28.8%, 포도당이 26.4%, 과당이 25.2%, 회분이 2.9% 이다.
중국 중초약(25(6),306∼308, 1994)에 의하면 MAD(제 2, 3가 알데히드) 함량 및 SOD(과산화물 분해효소) 활성 실험에서 40% 농도의 호깨나무 열탕 추출물은 내열기능이 대조구에 비해 97.43%, 내한기능이 119.6%, 수영시간이 199.67% 높게 나타나 항지질 과산화 효과 및 항노쇠 효과가 있음이 판명되었으며 호깨나무의 이러한 효능을 나타내는 약효 성분은 페리올리린으로 밝혀졌다.(중국 중초약 25(3), 161, 1994)
본 발명에서는 부재료로서 갈화, 오매실, 느릅나무, 산오리나무, 키토산 등을 사용한다. 갈화는 주독을 풀고 간을 보호해주는 효능이 있는데 갈화에 함유된 로비닌, 이소플라본 등의 성분은 알콜의 분해대사를 촉진하여 숙취제거 및 간기능 보호작용으로 그 약리적 기능이 널리 알려져 있다. 오매실은 구연산, 사과산, 주석산, 호박산등의 유기산과 카테킨산, 피크린산, 칼슘, 펙틴, 탄닌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피로회복, 정신안정, 해독 및 살균작용에 효과과 있다. 느릅나무는 위하수, 위궤양, 십이지장궤양에 효과가 있으며 산오리나무는 간염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키토산에는 단백질, 탄산칼슘, 키틴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상기의 호깨나무, 느릅나무, 산오리나무 등의 물질들은 화학구조에 메틸기(-CH3)가 각각 3개씩 있어 이 물질이 우리 몸 속에서 화학 반응하여 메틸기를 인체외부로 발산시키기 때문에 지방간(脂肪肝) 해소에 특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알코올 분해대사 촉진용 음료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깨나무를 썰어서 에틸알코올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40℃에서 열풍 건조하여 사용한다. 호깨나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갈화 1-5중량부, 오매실 1-5중량부, 느릅나무 1-2중량부, 산오리나무 1-2중량부의 부재료와 혼합하여 원료중량의 5-10배의 생수를 넣고 압력추출기에서 800℃에서 5시간 가열한다.
압력추출기에서 가열한 원료를 유압기에 넣고 성분을 분리 추출한 후 추출물을 기공입자 0.2μ의 필터를 통과시켜 여과한다. 상기의 여과액을 40℃이하로 냉각한 후 키토산 1-5중량부를 첨가한다.
또한 꿀, 포도당, 만니톨 및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감미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맛을 위해 산미제로서 구연산, 사과산, 안식향산나트륨 또는 벤조익산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으며, 효과 증진을 목적으로 필수 미네랄인 칼슘, 인삼, 녹용, 우황, 니코틴산아미드 또는 각종 필수 아미노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잘게 썰어 건조한 호깨나무 100㎏에 갈화 1㎏, 오매실 1㎏, 느릅나무 2㎏, 산오리나무 2㎏을 넣고 생수 800ℓ를 부어 800℃의 압력추출기에서 5시간 가열한 후 유압기에서 분리 추출한다. 추출물을 0.2μ의 필터로 여과한 다음 여과액을 40℃이하로 냉각하여 꿀 5㎏, 키토산 1㎏을 첨가한 후 냉장보관한다.
<실시예 2>
잘게 썰어 건조한 호깨나무 100㎏에 갈화 2㎏, 오매실 2㎏, 느릅나무 1㎏, 산오리나무 1㎏ 넣고 생수 800ℓ를 부어 800℃의 압력추출기에서 5시간 가열한 후 유압기에서 분리 추출한다. 추출물을 0.2μ의 필터로 여과한 다음 여과액을 40℃이하로 냉각한다. 여과액에 꿀 5㎏, 키토산 1㎏을 첨가한 후 캔 포장하여 100℃에 서 3분간 살균한 다음 0∼5℃에서 냉장 저장한다.
<실험예 1>
실시예 1의 음료 60ml에 알코올 도수 95%의 에틸알코올 5ml을 혼합한 후 시간경과에 따른 알코올 도수를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의 결과로부터 4시간 후에 알코올이 100% 제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시 간 1 시간 2 시간 3 시간 4 시간
알코올 제거효율 60% 88% 93% 100%
<실험예 2>
실시예 1-2의 음료에 대한 간기능 회복 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임상시험 대상자 수와 연령별 분포는 20대 남성10명, 30대 남성 10명, 40대 남성 10명이다. 실시예 1-2의 음료를 130mL 복용한 후 알코올 도수 23%의 소주 한병( 360mL)을 복용한 다음 채혈하여 GOT와 GPT를 측정한다. 또한 음료를 복용하지 않고 알코올 도수 23%의 소주 한병(360mL)을 복용한 다음 채혈하여 GOT와 GPT를 측정한다. 3번 측정하여 평균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으며 표 2의 결과로부터 간기능회복등의 숙취 효율이 월등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숙취시 나타나는 눈의 충혈도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복용유무\ 시간 GOT GPT
미복용 복용 미복용 복용
2시간 96 59 128 38
3시간 86 50 114 31
4시간 74 43 102 24
<실험예 3>
실시예 1-2의 음료에 대한 실수요자의 기호도를 알아 보기 위해 맛, 부작용 및 체내에 흡수된 알코올을 분해할 수 있는 건강 음료성에 대하여 20대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임상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부작용 건강 음료성
양호 (94명) 없음 (100명) 양호 (98명)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알코올 분해대사 촉진음료는 생체내 알코올 분해대사를 촉진시켜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낮춤으로써 알코올 섭취에 따르는 숙취제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생약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바, 보간 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알코올성 지방간을 분해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음료, 인스턴트차, 과립, 시럽형 및 그 밖의 제형으로 제품화할 수 있다.

Claims (3)

  1. 잘게 썰어 건조한 호깨나무를 에틸알코올로 세척한 후 40℃에서 열풍건조하는 단계와, 상기의 호깨나무 100중량부, 갈화 1-5중량부, 오매실 1-5중량부, 느릅나무 1-2중량부, 산오리나무 1-2중량부를 혼합한 후 원료중량의 5-10배 정도 되는 생수를 첨가하여 800℃의 압력추출기에서 5시간 가열한 다음 유압기에 넣고 분리추출하는 단계와, 상기의 추출물을 0.2μ의 필터를 통과시켜 여과한 후 40 ℃이하로 냉각하는 단계와, 상기의 냉각된 추출액에 키토산 1-5중량부를 혼합한 후 감미제, 산미제중 1종 이상을 첨가하는 단계 및 포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분해대사 촉진용 음료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제로는 꿀, 포도당, 만니톨 및 아미노산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배합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분해대사 촉진용 음료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미제로는 구연산, 사과산, 안식향산나트륨 및 벤조익산나트륨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배합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분해대사 촉진용 음료 제조방법.
KR10-2001-0005378A 2001-02-05 2001-02-05 알코올 분해대사 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395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378A KR100395787B1 (ko) 2001-02-05 2001-02-05 알코올 분해대사 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378A KR100395787B1 (ko) 2001-02-05 2001-02-05 알코올 분해대사 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042A true KR20020065042A (ko) 2002-08-13
KR100395787B1 KR100395787B1 (ko) 2003-08-25

Family

ID=27693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378A KR100395787B1 (ko) 2001-02-05 2001-02-05 알코올 분해대사 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7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824A (ko) * 2001-10-06 2001-11-24 서동주 느릅을 함유한 기능성 주류의 제조방법
KR20020092562A (ko) * 2001-06-04 2002-12-12 정풍한방제약주식회사 기능성 다류,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67079A (ko) * 2002-02-06 2003-08-14 김윤근 급속 숙취 해소음료 제조방법
KR20040034761A (ko) * 2002-10-15 2004-04-29 (주)바이오지노피아 기능성 강장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813A (ko) * 2002-04-23 2002-05-15 송종상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KR20040021927A (ko) * 2002-09-06 2004-03-11 차재영 호깨나무와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 보조식품프로헤파-알지의 개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871A (ko) * 1999-02-08 1999-05-25 장철수 숙취해소용음료및그제조방법
KR100345798B1 (ko) * 1999-08-17 2002-07-24 현 용 이 지구자나무, 오리나무, 칡 혼합물을 이용한 숙취 해소 기능성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0050333A (ko) * 1999-09-03 2001-06-15 박길래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한방생액제의 음료와 그 제조방법
KR20000063528A (ko) * 2000-07-20 2000-11-06 조석형 저분자 키토산을 함유한 주류 및 음료
KR20020048212A (ko) * 2000-12-16 2002-06-22 김용기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562A (ko) * 2001-06-04 2002-12-12 정풍한방제약주식회사 기능성 다류,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10103824A (ko) * 2001-10-06 2001-11-24 서동주 느릅을 함유한 기능성 주류의 제조방법
KR20030067079A (ko) * 2002-02-06 2003-08-14 김윤근 급속 숙취 해소음료 제조방법
KR20040034761A (ko) * 2002-10-15 2004-04-29 (주)바이오지노피아 기능성 강장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5787B1 (ko) 200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17698B (zh) 一种冬季调和养生酒及其制备方法
JP4589212B2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含有食品及びその製造法
CN103462133A (zh) 一种果糖刺梨汁饮料及其生产方法
KR100395787B1 (ko) 알코올 분해대사 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140325B1 (ko) 인진쑥, 헛개열매, 오리나무, 감초, 갈근 및 구기자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48212A (ko)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6418098A (zh) 一种槟榔椰子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1946939B (zh) 一种桔梗青梅饮料的制作方法
KR20040073651A (ko) 울금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음료및 차의 제조방법
KR100617500B1 (ko) 생약 재료로부터 한방음료 농축물을 제조하는 방법
WO2000064286A1 (en) Method of extracting from hovenia dulcis thunb, using method thereof and food containing extract
CN108925807A (zh) 一种降糖降压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770489A (zh) 一种具有抗氧化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813338B1 (ko) 미나리를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용 음료의 제조방법
CN107969696A (zh) 一种柚子醒酒膏
KR100512449B1 (ko) 차의 제조방법
CN106465778A (zh) 一种鱼腥草绿茶速溶茶的生产方法
KR20210115691A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에 좋은 식품
KR102341886B1 (ko) 벌나무 추출물 및 오리나무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CN109938149A (zh) 一种醒酒糖
KR102428525B1 (ko) 은행잎추출물, 홍삼농축액 및 해안소나무껍질추출물을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KR101204761B1 (ko) 한방 국화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국화차의 제조방법
KR101069855B1 (ko) 미나리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105781A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건강보조식품
CN1121398A (zh) 胖大海凉茶饮品和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