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909A -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909A
KR20020062909A KR1020020041457A KR20020041457A KR20020062909A KR 20020062909 A KR20020062909 A KR 20020062909A KR 1020020041457 A KR1020020041457 A KR 1020020041457A KR 20020041457 A KR20020041457 A KR 20020041457A KR 20020062909 A KR20020062909 A KR 20020062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infrared radiation
fragrance
workpiece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화영
Original Assignee
오화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화영 filed Critical 오화영
Priority to KR1020020041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2909A/ko
Publication of KR20020062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90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4Artificial leather

Landscapes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의 발향효과가 충분하고 지속적인 발향효과도 달성되면서 원적외선도 방사되도록 가공된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초기의 발향작용을 위한 수용성 향료와 지속적인 발향작용을 위한 마이크로캡슐화된 향료 및 원적외선 방사원료를 바인더의 첨가하에 혼합하여 가공처리됨으로써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효과가 달성되는 물체가 제공되고, 그 물체로서는 섬유 원단 또는 그 원단에 의해 형상화된 제품을 포함하는 섬유류, 가방 등의 천연 및 인조 피혁류, 문구라든지 마우스패드 등의 합성수지류, 부채라든지 벽지 등의 지류(紙類), 액세서리 등의 금속/비철금속류, 건축자재 등의 목재류, 원예용 흙이나 도자기 등의 토기류, 유리제품 등이 포함된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MATERIAL OBJECT PROCESSED WITH FAR-INFRARED RAYS AND AROMATIC MATERIALS}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기의 자연적인 발향기능과 지속적인 발향기능이 이루어지면서 원적외선도 방사되도록 가공된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식물로부터 추출된 다양한 천연향을 신체의 접촉방법이나 후각을 통한 흡입방법 등에 의해 심신의 건강을 증진시켜 주거나 질병을 예방하는 한편 동양의학이나 서양의학에 접목시킴으로써 질병치료효과를 향상시키는 대체요법의 형태로서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즉, 향기요법)가 주목되는 상황이다.
즉, 천연향을 주재로 제조된 오일을 신체에 직접 접촉시키게 되면 피부의 탄력이 유지되거나 피부알레르기증상 또는 염증 등의 치료에 유리한 효과를 얻게 되고, 그 천연향의 향기가 피부 또는 후각기관을 통해 혈관으로 전달되면 신진대사기능이나 혈액순환기능, 소화기 기능, 기관지 기능 또는 호르몬 기능 등의 다양한 신체시스템에 유효한 영향을 주며 특히 정신적인 불균형으로 인한 문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원적외선 방사체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생체활성화, 탈취 및 살균작용 등의 유리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즉, 원적외선이 수분과 단백질로 이루어진 생체에 적용되면 수분이나 단백질을 이루는 유기화합물 분자운동의 진동파장대가 그 원적외선의 파장대와 동일할 경우 신체는 활성화되고, 그 원적외선이 생체내에 침투되면 자기발열(自己發熱)작용이 일어나 온열효과와 패오효과를 유발하여 모세혈관확장이라든지 혈액순환촉진, 조직활성화, 신진대사촉진, 노폐물 및 유해금속성분의 배출이 촉진된다.
더욱이, 원적외선은 공기를 음이온화하여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의 양이온을 중화시키게 되어 악취를 제거(즉, 탈취)하게 되고, 물분자 파장대에 근사한 원적외선이 조사되면 공명흡수형상으로 물분자가 용존산소를 활성화시켜 음식물을 부패시키는 박테리아의 침투를 억제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시켜 주거나 식물의 성장과 대사활동을 촉진시켜 성장속도를 가속화하게 된다.
따라서, 천연향 및/또는 원적외선 방사체를 생활에 필요한 피가공물에 가공하여 아로마테라피 및/또는 원적외선 효과를 얻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는 상황이다.
그러한 천연향의 향료 및/또는 원적외선 방사체(원적외선 방사원료)를 특정의 물체(즉, 피가공물체)에 가공하기 위해서는 향료 및/또는 원적외선 방사원료가 적정한 비율로 혼합된 가공조에 피가공물을 침수시키고나서 건조시키는 방법과, 피가공물의 원재에 혼합하여 해당하는 피가공물을 제조하는 방법, 피가공물의 표피에 향료 및/또는 원적외선 방사원료를 도포(코팅)하는 방법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피가공물에 적용되는 향료 및/또는 원적외선 방사원료는 초기의 자연적인 방사 및 그 지속성이 중요하게 되는 바, 현재의 발향 가공처리에서는 초기의 발향효과는 우수하지만 경시적으로 향기의 발산효과가 점차 감소된다는 점이 문제이고, 향료를 마이크로 캡슐화하여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경우에는 그 지속성은 어느 정도 보장되지만 신체의 접촉시에만 마이크로 캡슐이 파열되면서 향기가 발산되기 때문에 초기의 자연적인 발향효과는 그다지 양호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초기의 자연적인 발향기능을 위한 수용성 향료와 발향기능의 지속성을 위한 마이크로캡슐화된 향료 및 원적외선 방사원료를 바인더에 의해 혼합가공하고나서 피가공물체를 처리함으로써 수용성 향료에 의한 초기의 자연적인 발향 및 마이크로캡슐화된 향료에 의한 발향의 지속성을 충분하게 보장하면서 원적외선 방사원료에 의한 원적외선 효과(예컨대, 생체활성화, 항균 소취 등)도 달성되는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수용성 향료와 마이크로캡슐화된 향료 및 원적외선 방사원료를 혼합함과 더불어 바인더를 첨가하여 형성된 결과물에 의해 가공되어 상기 수용성 향료에 의한 초기의 자연적인 발향기능과 상기 마이크로캡슐화된 향료에 의한 지속적인 발향기능 및 원적외선 방사기능도 갖도록 된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체로서는 섬유 원단이나 그 원단에 의해 제조된 섬유제품을 포함하는 섬유류와; 피혁 원단이나 그 원단에 의해 제조된 피혁제품을 포함하는 천연 및 인조 피혁류; PVC, PP, PE, PS 등의 합성수지원재 또는 그 합성수지원재에 의해 제조된 합성수지제품을 포함하는 합성수지류; 금속/비철금속 원판 또는 그 원판에 의해 제조된 제품을 포함하는 금속/비철금속류, 벽지라든지 탑승권을 포함하는 지류(紙類), 건축자재를 포함하는 목재류, 유리 또는 그 유리를 주재로하는 유리제품류가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에서는 수용성 향료에 의해 초기의 발향기능이 만족할만하게 달성되면서 마이크로캡슐화된 향료에 의해서는 지속성이 유지되고 원적외선 방사원료에 의한 생체활성화라든지 항균 소취 등의 원적외선 방사효과도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물체(피가공물체)에 대한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텐타가공과정)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라 물체(피가공물체)에 대한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나이프코팅가공과정)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라 물체(피가공물체)에 대한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스프레이가공)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라 물체(피가공물체)에 대한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피가공물체의 원료와의 혼합가공)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라 물체(피가공물체)에 대한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침장(Deeping)가공)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0,S20,S30,S40,S50: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처리를 위한 결과물 조성단계,
S12: 텐타가공단계, S14,S54: 탈수단계,
S16,S24,S34,S56: 열풍건조단계, S22: 나이프코팅가공단계,
S32: 분사가공단계.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 가공대상의 물체(즉, 피가공물체)에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기능을 부가하기 위해서는 수용성 향료에 마이크로 캡슐화된 향료를 일정한 비율(예컨대 3:7)로 혼합하고나서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계 바인더와 희석시킨 후, 원적외선 방사원료(예컨대, 천연옥, 맥반석, 숯, 게르마늄, 맥섬석, 옥정수 등)와 혼합하여 그 결과물에 의해 피가공물체를 가공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성 향료는 일예로서 베이스 오일(Base oil) 25%와, 물 70%, W/O타입 친수성 유화제로서의 Tween#20 4%, O/W타입 유화제로서의 Span#80 1%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바, 상기 베이스오일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Span#80의 양도 증가시키면서 유화시키면 바람직하게 되고, 상기 친수성 유화제인 Tween은 항상 다량으로 유지되도록 해서 최종적인 용도가 수계시스템에 적합하도록 해주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향료로서는 초기의 발향기능을 위한 수용성 향료와터치시마다 발향이 이루어져 발향기능의 지속성을 보장하는 마이크로캡슐화된 향료를 아크릴계 바인더 또는 우라탄계 바인더로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혼합 향료로서 형성하게 되며, 그 수용성 향료 및 마이크로캡슐화 향료의 혼합 향료에 원적외선 방사원료를 혼합하여 피가공물체를 가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피가공물로서는 섬유류가 포함되는 바, 그 섬유류에는 일반적인 섬유 원단이나 그 원단으로 제조되는 제품이 포함되고, 그 예로서는 넥타이라든지 와이셔츠, 부직포, 양말, 스타킹, 스카프, 손수건, 침구류, 모자, 방석, 인형, 내의, 조화, 카페트 등이 포함된다.
또, 상기 피가공물로서는 피혁류가 포함되는 바, 그 피혁류에는 천연 또는 인조 피혁 원단이나 그 원단으로 제조되는 제품이 포함되고, 그 예로서는 자동차 시트라든지 소파, 지갑, 벨트, 가방, 의자 등이 포함된다.
상기 피가공물로서는 합성수시제도 포함되는 바, 그 합성수지제로서는 PVC나 PP, PE, PS의 합성수지원료 또는 그 합성수지원료에 의해 제조되는 예컨대 마우스패드, 신용카드, 신분카드, 책받침, 책갈피, CD케이스, 쇼핑백, 팬시용품, 컴퓨터 키보드 커버, 파일, 신발안창, 조화, 합성수지 건축재, 카페트, 부채 등이 포함된다.
상기 피가공물로서는 지류도 포함되는 바, 그 지류에는 벽지, 연하장 또는 카드, 명함, 책, 공책, 종이박스, 포장용지, 승차권이나 탑승권, 조립식 퍼즐 등이 포함된다.
또, 상기 피가공물로서는 금속/비철금속류도 포함되는 바, 그 금속/비철금속류에는 반지라든지 목걸이, 열쇠, 장식구, 액세서리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가공물로서는 장식용 유리제품이라든지 장식장이나 의자 또는 교육용 완구제품, 책상, 건축자재를 포함하는 목제품과 예컨대 부채를 포함하는 죽제품(竹製品)도 포함되며, 조화를 위한 화분에 담겨지는 흙을 포함하는 원예용 또는 장식용의 토류(土類)제품이라든지 세라믹 또는 도자기류 등도 포함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피가공물체에 대한 원적외선 방사/발향 가공처리과정에서는 우선 가공조내에 수용성 향료와 마이크로캡슐화된 향료를 예컨대 3:7의 비율로 투입함과 더불어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계 바인더를 투입하여 희석시키고나서, 원적외선 방사원료(예컨대, 맥섬석, 숯, 게르마늄, 천연옥, 바람직하게는 연옥정수)를 대략 2∼4중량%의 비율로 첨가하여 그 결과물을 얻게 된다.
여기서, 그 원적외선 방사원료(특히 연옥정수)의 비율은 원적외선의 방사량에 기준하여 적절하게 가감된다.
또, 상기 바인더는 향료와 원적외선 방사원료가 피가공물의 원단(원료) 또는 그 원단(원료)에 기반하는 제품에 적절하게 흡착되도록 작용하게 되는 바, 그 바인더로서는 섬유제품 또는 피혁제품의 내세탁성을 고려하면 아크릴계 바인더가 적절하게 채용되는 반면 촉감을 고려하면 우레탄계 바인더가 바람직하게 된다(단계 S10).
상기 가공조내에서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원료의 혼합에 의한 결과물이 조성되면 그 가공조내에 피가공물체의 원단(원료) 또는 그 원단(원료)으로 제조된 제품을 텐타가공하게 된다(단계 S12).
여기서, 상기 피가공물이 섬유류인 경우에는 섬유 유연제에 의한 추가적인 가공 공정도의 도입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가공이 소정 시간에 걸쳐 이루어지면 탈수/건조가 실시되는 바, 그 건조는 대략 60∼200℃의 열풍으로 실행된다(단계 S14 및 단계 S16).
본 제 1실시예의 가공은 예컨대 섬유류 또는 피혁류, 지류에 적절하게 적용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합성수지류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가공된 피가공물체는 수용성 향료에 의해서는 초기의 발향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반면 마이크로캡슐화된 향료에 의해서는 터치시마다 발향작용이 이루어져 발향기능의 지속성이 보장되게 된다.
그와 더불어, 원적외선 방사원료도 바인더에 의해 피가공물체에 흡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생체활성화라든지 항균 소취 등의 원적외선 방사작용도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피가공물체에 대한 원적외선 방사/발향 가공처리과정에서는 상기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원료혼합조내에서 수용성 향료와 마이크로캡슐화된 향료,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계 바인더 및 원적외선 방사원료를 혼합하여 결과물을 조성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나이프코팅(Knife coating)장치에 그 결과물을 공급하면서 피가공물체(예컨대, 섬유류, 지류, 합성수지류, 피혁류의 원단)가 그 나이프코팅장치를 통과하도록 하여 그 피가공물에 그 혼합조성물이 나이프코팅방식으로 도포처리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나서, 그 가공처리가 이루어진 피가공물은 열풍건조기에 의해 대략 60∼200℃로 건조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제 2실시예에서도 상기한 제 1실시예와 유사하게 수용성 향료에 의해서는 초기의 발향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반면 마이크로캡슐화된 향료에 의해서는 터치시마다 발향작용이 이루어져 지속성이 상당히 보장됨과 더불어, 원적외선 방사원료도 바인더에 의해 피가공물에 흡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그 원적외선 방사작용도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나이프코팅가공은 피가공물체를 로울러를 통과하도록 하면서 상기 결과물이 피가공물체에 도포되도록 하는 로울러가공처리의 적용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피가공물에 대한 원적외선 방사/발향 가공처리과정에서는 상기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원료혼합조내에서 수용성 향료와 마이크로캡슐화된 향료,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계 바인더 및 원적외선 방사원료를 혼합하여 결과물을 얻게 된다(단계 S30).
그리고나서, 상기 결과물을 분무장치에 공급하여 피가공물체의 원단 또는 그 원단에 의해 제조된 제품에 분사하여 코팅되도록 하게 되고(단계 S32), 그 단계 S32의 실행 후에는 상기 피가공물체를 열풍건조기에 의해 열풍건조하게 된다(단계 S34).
따라서, 본 제 3실시예의 경우에도 피가공물에서는 초기의 발향 및 터치시의 발향기능이 연속적으로 보장되면서 원적외선 방사효과도 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피가공물체에 대한 원적외선 방사/발향 가공처리과정에서는 상기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원료혼합조내에서 수용성 향료와 마이크로캡슐화된 향료,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계 바인더 및 원적외선 방사원료를 피가공물의 원료에 혼합하여 그 결과물을 얻게 된다(단계 S40).
그리고, 그 결과물을 피가공물체의 제조를 위한 원료에 배합(단계 S42)하여 피가공물체를 제조하게 된다(단계 S44)
즉, 상기 피가공물체가 섬유류인 경우에는 그 섬유의 원단을 직조하는 원사에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향료와 마이크로캡슐화된 향료,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계 바인더 및 원적외선 방사원료를 가공하고나서 그 섬유 원사에 의해 섬유제품의 직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또, 상기 피가공물이 합성수지류인 경우 그 합성수지원료에 상기한 수용성 향료와 마이크로캡슐화된 향료,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계 바인더 및 원적외선 방사원료를 적용하여 예컨대 컴퓨터 키보드 커버(키스킨)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피가공물에 대한 원적외선 방사/발향 가공처리과정에서는 상기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원료혼합조내에서 수용성 향료와 마이크로캡슐화된 향료,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계 바인더 및 원적외선 방사원료를 혼합하여 그 결과물을 얻게 된다(단계 S52).
그 후, 상기 결과물에 피가공물체의 원단(또는 원재)이나 그 원단(또는 원재)에 의해 제조된 제품을 침잠시키고나서 그 피가공물을 탈수 및 열풍건조하게 된다(단계 S54 및 단계 S56).
따라서, 본 제 5실시예의 경우에도 피가공물체에서도 초기의 발향 및 터치시의 발향 기능이 보장되면서 원적외선 방사 효과도 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적용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초기적인 발향기능을 위한 수용성 향료는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피가공물체로서도 상기에 열거된 예로 한정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에 의하면 상기 물체(즉, 피가공물체)에 수용성 향료와 마이크로캡슐화된 향료 및 원적외선 방사원료를 바인더에 의해 혼합하여 가공함으로써 초기적인 발향기능을 충분하게 달성하면서 마이크로캡슐화된 향료에 의한 발향 지속성이 보장됨과 더불어 원적외선 방사기능도 만족할만하게 달성된다.

Claims (8)

  1. 수용성 향료와 마이크로캡슐화된 향료 및 원적외선 방사원료를 혼합함과 더불어 바인더를 첨가하여 발향 및 원적외선 방사가 이루어지도록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대상의 물체로서는 섬유원단과 그 원단에 의해 제조된 섬유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대상의 물체로서는 천연 및 인조피혁 원단과 그 원단에 의해 제조된 피혁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대상의 물체로서는 합성수지원료와 그 원료에 의해 제조된 합성수지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대상의 물체로서는 지류(紙類)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대상의 물체로서는 금속/비철금속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대상의 물체로서는 흙과 세라믹 또는 그 혼합물을 주재로 하는 토류인 것을 특징으로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로서는 목재와 유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
KR1020020041457A 2002-07-16 2002-07-16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 KR20020062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457A KR20020062909A (ko) 2002-07-16 2002-07-16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457A KR20020062909A (ko) 2002-07-16 2002-07-16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909A true KR20020062909A (ko) 2002-07-31

Family

ID=2772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457A KR20020062909A (ko) 2002-07-16 2002-07-16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29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224A (ko) * 2002-09-09 2002-11-29 서창민 방향성 기능을 가진 건축,토목 구조물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5746A (ko) * 1990-02-26 1991-09-30 하기주 내구성이 우수한 방향(芳香) 섬유의 제조방법
KR19990024069A (ko) * 1998-11-28 1999-03-25 이낙천 기능성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00031854A (ko) * 1998-11-10 2000-06-05 전병민 기능성 직물의 제조방법
KR20000051540A (ko) * 1999-01-22 2000-08-16 정형수 액상의 항균제를 내의용 원단에 부착시키는 방법
KR20020056779A (ko) * 2000-12-29 2002-07-10 이원목, 김창복 향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향기나는 원단 및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5746A (ko) * 1990-02-26 1991-09-30 하기주 내구성이 우수한 방향(芳香) 섬유의 제조방법
KR20000031854A (ko) * 1998-11-10 2000-06-05 전병민 기능성 직물의 제조방법
KR19990024069A (ko) * 1998-11-28 1999-03-25 이낙천 기능성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00051540A (ko) * 1999-01-22 2000-08-16 정형수 액상의 항균제를 내의용 원단에 부착시키는 방법
KR20020056779A (ko) * 2000-12-29 2002-07-10 이원목, 김창복 향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향기나는 원단 및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224A (ko) * 2002-09-09 2002-11-29 서창민 방향성 기능을 가진 건축,토목 구조물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st et al. A critical review of aroma therapeutic applications for textiles
KR101366599B1 (ko) 편백나무 수피와 잎 추출물이 포함된 다 기능성 한지 섬유의 제조방법
KR101331072B1 (ko) 솔잎과 편백나무 추출 피톤치드의 복합 자연 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KR20020062909A (ko) 원적외선 방사 및 발향 처리된 물체
KR101331073B1 (ko) 쑥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Samanta et al. Specialty chemical finishes for sustainable luxurious textiles
KR101443127B1 (ko)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JP2004360157A (ja) 超極細繊維のマイクロファイバーを用いた機能性布製品
JP2007510817A (ja) 硫黄で処置した布地及び履物製品
JPH02104731A (ja) 遠赤外線放射繊維糸
KR100732174B1 (ko) 바이오 소재로 코팅이 된 벽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하여제조된 벽지
JPH10131057A (ja) 繊維製品とその製造方法
JP3189464U (ja) 柿渋染め被服及び寝装・寝具
KR102459187B1 (ko) 아스코르브산이 함침된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법에 의해 아스코르브산이 함유된 직물지
KR20060002359A (ko) 천연원료 혼합물
KR102058695B1 (ko) 게르마늄 이온이 함유된 섬유원단으로 제작된 물품 및 게르마늄 이온이 함유된 물품
KR102212459B1 (ko)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
KR100442013B1 (ko) 옥정수에 의한 섬유가공방법
KR20020059050A (ko) 항균소취능 및 삼림욕 기능성을 갖는 도포직물의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방향성 도포직물
KR100388311B1 (ko) 향을 발산하는 실크인쇄용 잉크 를 이용한 섬유인쇄방법
KR100392249B1 (ko) 수용성 수지코팅액을 이용한 향료가 혼합된 코팅제제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코팅제제를 코팅하는 방법
KR200289407Y1 (ko) 음이온방출조성물을 코팅한 원단
KR20030094663A (ko) 음이온방출조성물 및 그를 코팅한 원단
KR200231215Y1 (ko) 방향코팅층을 형성한 침대 매트리스용 시트
JPH04112822A (ja) シート状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保健衛生機能を有する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