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459B1 -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 - Google Patents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459B1
KR102212459B1 KR1020190034542A KR20190034542A KR102212459B1 KR 102212459 B1 KR102212459 B1 KR 102212459B1 KR 1020190034542 A KR1020190034542 A KR 1020190034542A KR 20190034542 A KR20190034542 A KR 20190034542A KR 102212459 B1 KR102212459 B1 KR 102212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weight
composition
clothing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3814A (ko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김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원 filed Critical 김재원
Priority to KR1020190034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459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30Ink jet prin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준비된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1차 프린트하는 단계 및 1차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은 상기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할때, 실리콘 잉크는 60 내지 65 중량%, 천연 포졸란은 17 내지 20 중량%, 경화제는 3 내지 5 중량%, 희석제는 나머지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1차 건조하는 단계는 1차 프린트가 완료된 의류를 섭씨 160 내지 180도의 온도로 1 내지 2초 동안 건조하는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 {A clothes printing composition having anti-bacterial function and method printing cloth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졸란을 함유하는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섬유 및 의류 염색, 프린트 산업 분야에 있어서도 항균, 탈취 등의 기능성을 겸비한 섬유 및 원단 개발을 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개발에 초점을 두어 현재 항균기능의 재료를 원단에 처리한 항균 원단의 제조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항균기능의 재료로 은이 다양한 적용 분야에 있어서 뛰어난 살균 및 항균 효과를 갖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은은 직물 등에 사용되어 내성균의 우려를 줄이며, 일반 유기계 항균제에 비하여 인체에 독성이 낮으며, 항균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사에 은 입자를 직접 입히는 방법은 은 입자로 인하여 섬유의 굵기를 원하는 대로 제어할 수가없으며, 원단으로 제조할 때 염색 및 표백 등의 공정을 거치면서 은 입자가 유실될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바인더를 이용하여 원단에 직접 접착시키는 방법은 원단의 표면에 바인더가 도포되므로, 바인더에 의해 원단의 촉감이 좋지 못한 것은 물론, 사용이나 세탁 등에 의해 은 입자가 쉽게 분리되므로 장시간 효과를 기대하기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염색과정에서 은 입자를 염료와 함께 처리하는 방법은, 염색공정 후 후처리 단계로 표백 공정과 여러번의 탈수 및 건조 공정을 거치게 되면서 은 입자의 유실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은 입자를 대체할 수 있는 항균성이 높은 재료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며, 항균성이 높으면서도 효과 지속성이 높은 광물을 이용한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7611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포졸란을 함유하는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실리콘 잉크, 천연 포졸란, 경화제 및 희석제를 포함하는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할때, 상기 실리콘 잉크는 60 내지 65 중량%, 상기 천연 포졸란은 17 내지 20 중량%, 상기 경화제는 3 내지 5 중량%, 상기 희석제는 나머지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은 천연 항균물질 또는 천연 탈취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항균물질로 솔잎을 포함한 소나무를 분쇄하여 제조한 소나무 분말을 이용한다.
상기 천연 탈취 물질로 편백 나무 추출물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으로서,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1차 프린트하는 단계; 및 1차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은 상기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할때, 실리콘 잉크는 60 내지 65 중량%, 천연 포졸란은 17 내지 20 중량%, 경화제는 3 내지 5 중량%, 희석제는 나머지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1차 건조하는 단계는 1차 프린트가 완료된 의류를 섭씨 160 내지 180도의 온도로 1 내지 2초 동안 건조한다.
상기 1차 프린트하는 단계는, 의류에 프린트할 모양이 형성된 마스킹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마스킹 플레이트를 프린트할 의류의 상부에 배치한 후, 마스킹 플레이트의 표면에 상기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공급하는 단계; 및 스퀴즈 바(squeeze bar)로 마스킹 플레이트를 가압하면서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마스킹 플레이트에 공급된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의류에 프린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1차 건조하는 단계 이후, 제2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제2 프린트 및 제2 건조하는 단계; 제3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제3 프린트 및 제3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나 원단에 항균 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프린트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하며, 항균 및 탈취효과,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효과가 있는 의류나 원단을 이용할 수 있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의류 프린트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우선, 포졸란 원석을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10).
준비된 포졸란 원석을 분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20).
포졸란(pozzolan) 광물은 화산회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납석의 일종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백악기시대에 생성된 고아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주요 산지로는 이태리의 바리섬 인근 포죠리 마을에서 발견되어 유래된 광물로서 서기 2세기경 로마시대에 이미 유명한 콜로세움 경기장을 비롯하여 판테온 등의 건축물에 시멘트 대신에 사용되었다. 이러한 건축물들이 오늘날까지 균열 없고 부식 없이 오랜 세월 원형 그대로 보존되고 있는 것은 포졸란이 쓰였기 때문으로 학자들에 의해 밝혀진 바 있다. 그외 분포지역으로는 미국의 파마운티지역, 말레이시아, 및 인도 등 극히 제한된 지역국가에서만 생산되고 있고 특이한 것은 이태리와 한국산 이외는 게르마늄 성분이나 원적외선 방출효과가 전무하다는 사실 또한 특이하며, 아시아권에서는 광활한 중국의 평원 지역마저 동일 광맥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콘크리트 제조시 기본재료에 첨가되어 콘크리트에 특수한 성능을 부여하거나 성질을 개선하기 위한 혼화재료로 사용되었으며, 폐기물 고형화를 위한 무기성 고화재료는 대개 시멘트 반응성을 가지고 있어 적절한 함수율의 무기성슬러지(중금속류 함유된 것)의 고형화에 적합하다. 또한, 시멘트와 친화성이 좋은 포졸란(pozzolan)은 슬러지 함수율 조절과 시멘트 대체 고화보조제로 이용할 수 있고,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다는 장점 등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은 포졸란을 포함한다. 이러한 포졸란은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발생하고, 또한 각종 악취제거, 곰팡이 제거, 냄새제거, 살균, 산소공급 등의 효과가 있다.
포졸란 광물은 인체 건강상 유익한 원적외선 파장을 90% 내지 97%이고, 다른 성분과 혼합되는 경우에는 혼합량에 따라 다소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특성을 지닌 고순도 포졸란 광물은 피로회복, 혈액순환의 촉진, 인체 순환기 계통의 활성화, 미
세혈관의 피부건강, 근육 및 팔다리 등의 피로회복, 공기정화로 인한 두통의 해소, 살균작용, 중금속 중화작용, 정수작용, 공기정화작용, 악취제거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포졸란 광물은 또한 음이온 방출효과가 우수하며, 자연 광물중 매우 높은 수의 음이온을 방출하여 식물 및 인체와 자연 환경에 이르기까지 산소공급효과, 살균, 탈취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포졸란 광물 분말은 살균효과가 높으며, 탈취효과, 곰팡이 사멸, 진드기 기피, 및 진딧물 기피 등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나서, 분쇄된 포졸란을 실리콘 잉크, 희석제 및 경화제와 혼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30).
본 실시예의 경우, 실리콘 잉크 100g, 포졸란 30g, 희석제 20g 및 경화제 7g을 혼합하여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염료는 섬유 인쇄용 잉크로 판매되는 SL-1000 SERIES (제품명, ㈜에이원 제조)를 사용하였다.
희석제는 SL-REDUCER (제품명, ㈜에이원 제조)를 사용하였으며, 경화제는 SL-CATALYST(1000 & 3000)(제품명, ㈜에이원 제조)를 사용하였다.
바람직하게는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할때, 실리콘 잉크는 60 내지 65 중량%, 포졸란은 17 내지 20 중량%, 경화제는 3 내지 5 중량%, 희석제는 나머지 중량%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포졸란을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210).
천연 항균물질을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220). 본 실시예의 경우, 천연 항균물질로 솔잎을 포함한 소나무를 분쇄하여 제조한 소나무 분말을 이용한다. 소나무에는 천연 폴리페놀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강력한 항산화활성뿐만 아니라 항염증, 항균, 항바이러스, 면역증진, 천식개선, 혈액순환촉진, 동맥경화개선, 혈전방지, 운동력증진 등 여러 가지 인체에 대한 생리활성 효능을 지니고 있으므로, 포졸란만으로 구성된 조성물보다 항균기능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서, 분쇄된 포졸란과 천연 항균물질을 실리콘 잉크, 희석제 및 경화제와 혼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230).
본 실시예의 경우,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할때, 실리콘 잉크는 57 내지 60 중량%, 포졸란은 17 내지 20 중량%, 천연 항균물질은 3 내지 5 중량%, 경화제는 3 내지 5 중량%, 희석제는 나머지 중량%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포졸란을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10).
천연 항균물질을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20). 본 실시예의 경우, 천연 항균물질로 솔잎을 포함한 소나무를 분쇄하여 제조한 소나무 분말을 이용한다. 소나무에는 천연 폴리페놀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강력한 항산화활성뿐만 아니라 항염증, 항균, 항바이러스, 면역증진, 천식개선, 혈액순환촉진, 동맥경화개선, 혈전방지, 운동력증진 등 여러 가지 인체에 대한 생리활성 효능을 지니고 있으므로, 포졸란만으로 구성된 조성물보다 항균기능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천연 탈취 물질을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30)
본 실시예의 경우, 천연 탈취 물질로 편백 나무 추출물을 이용한다.
편백(Chamaecyparis obtusa)은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 회목, 히노끼 및 노송나무라고도 한다. 일본과 한국 남부에 분포하고, 성분에는 γ-카디넨(cadinene), α-테르피네올(terpineol) 및 보르네올(borneol)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잎과 목재에는 1%의 정유가 함유되어 있다. 편백나무는 강한 항균작용을 하여 피부질환을 개선해주고, 가려움을 진정시켜 주며, 세균이 피부 내에 침투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편백나무는 항원에 대한 항체를 생성시키는 작용을 하여 체내의 면연력을 향상시켜주며, 항알러지 효과 및 살충효과가 우수하여 아토피, 천식 및 비염 등 알러지 질환을 일으키는 집먼지진드기 퇴치를 위한 천연살충제로 많이 이용된다. 또한, 편백나무는 탈취효과가 우수하여 의류, 침구류 등의 섬유 탈취제로 많이 이용된다.
그리고 나서, 분쇄된 포졸란과 천연 항균물질, 천연 탈취 물질을 실리콘 잉크, 희석제 및 경화제와 혼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40).
본 실시예의 경우,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할때, 실리콘 잉크는 55 내지 57 중량%, 포졸란은 17 내지 20 중량%, 천연 항균물질은 3 내지 5 중량%, 천연 탈취 물질 2 내지 3중량%, 경화제는 3 내지 5 중량%, 희석제는 나머지 중량%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을 나타낸 도이며, 도 5는 도 4의 의류 프린트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410). 본 실시예에서는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할때, 실리콘 잉크는 57 내지 60 중량%, 포졸란은 17 내지 20 중량%, 천연 항균물질은 3 내지 5 중량%, 경화제는 3 내지 5 중량%, 희석제는 나머지 중량%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서, 준비된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1차 프린트 과정을 수행한다(S420).
도 5를 참조하여, 1차 프린트 과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의류에 프린트할 모양이 형성된 마스킹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421).
마스킹 플레이트는 프린트될 의류의 상부에 배치되어, 프린트되는 부분만 천공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테프론 재질로 코팅처리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마스킹 플레이트를 프린트할 의류의 상부에 배치한 후, 마스킹 플레이트의 표면에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공급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422).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은 마스킹 플레이트의 표면 일부에 균일하게 공급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마스킹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라인 형태로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공급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스킹 플레이트의 전체 영역에 고르게 공급하거나, 도트(DOT) 형태로 일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공급되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스퀴즈 바(squeeze bar)로 마스킹 플레이트를 가압하면서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마스킹 플레이트에 공급된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이 의류에 흡수시키는 프린트 과정을 수행한다(S423).
본 실시예에서, 스퀴즈 바는 10 내지 15 파운드의 압력을 가한 상태로 마스킹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시킨다.
위의 1차 프린트 과정(S420)을 수행한 후, 1차 건조 과정을 수행한다(S430).
1차 건조 과정은 히터를 이용하여, 1차 프린트가 완료된 의류를 섭씨 160 내지 180도의 온도로 약 1 내지 2초 동안 건조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히터를 의류와 비접촉한 상태로 의류 상부에 섭씨 170도의 온도로 1.5초 정도 유지시켜 건조과정을 수행하였다.
1차 건조 과정을 수행한 후, 2차 프린트 과정(S440) 및 2차 건조 과정(S450)을 수행하며, 그리고 나서, 3차 프린트 과정(S460) 및 3차 건조 과정(S470)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2차 프린트 과정(440) 및 3차 프린트 과정(S460)에서도 마찬가지로 1차 프린트 과정에서 사용한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동일하게 이용하며, 2차 건조 과정(S450) 및 3차 건조 과정(S470)의 조건 역시 1차 건조 과정(S430)의 조건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프린트 과정 및 건조 과정을 3번 반복하여 수행하였으나, 이는 프린트될 의류의 종류, 프린트되는 실리콘 잉크의 두께 등의 조건 변화에 따라 반복 과정의 회수를 변화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의류 프린트용 제1 조성물을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610). 본 실시예에서는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할때, 실리콘 잉크는 57 내지 60 중량%, 포졸란은 17 내지 20 중량%, 천연 항균물질은 3 내지 5 중량%, 경화제는 3 내지 5 중량%, 희석제는 나머지 중량%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서, 준비된 의류 프린트용 제1 조성물을 이용하여 1차 프린트 과정을 수행한다(S620).
위의 1차 프린트 과정(S620)을 수행한 후, 1차 건조 과정을 수행한다(S630). 1차 건조 과정은 히터를 이용하여, 1차 프린트가 완료된 의류를 섭씨 160 내지 180도의 온도로 약 1 내지 2초 동안 건조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의류 프린트용 제2 조성물을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640).
제2 조성물은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할때, 실리콘 잉크는 57 내지 60 중량%, 포졸란은 17 내지 20 중량%, 천연 항균물질은 3 내지 5 중량%, 경화제는 3 내지 5 중량%, 희석제는 나머지 중량%로 이루어지며, 이때 천연 항균물질은 솔잎을 포함한 소나무를 분쇄하여 제조한 소나무 분말을 이용한다.
준비된 의류 프린트용 제2 조성물을 이용하여 2차 프린트 과정을 수행한다(S650).
위의 2차 프린트 과정(S650)을 수행한 후, 2차 건조 과정을 수행한다(S660). 2차 건조 과정은 히터를 이용하여, 2차 프린트가 완료된 의류를 섭씨 160 내지 180도의 온도로 약 1 내지 2초 동안 건조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의류 프린트용 제3 조성물을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670).
제3 조성물은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할때, 실리콘 잉크는 55 내지 57 중량%, 포졸란은 17 내지 20 중량%, 천연 항균물질은 3 내지 5 중량%, 천연 탈취 물질 2 내지 3중량%, 경화제는 3 내지 5 중량%, 희석제는 나머지 중량%로 이루어지며, 이때 천연 항균물질은 솔잎을 포함한 소나무를 분쇄하여 제조한 소나무 분말을 이용하며, 천연 탈취 물질로는 편백 나무 추출물을 이용한다.
준비된 의류 프린트용 제3 조성물을 이용하여 3차 프린트 과정을 수행한다(S680).
위의 3차 프린트 과정(S680)을 수행한 후, 3차 건조 과정을 수행한다(S690). 3차 건조 과정은 히터를 이용하여, 3차 프린트가 완료된 의류를 섭씨 160 내지 180도의 온도로 약 1 내지 2초 동안 건조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은 실리콘 잉크, 천연 포졸란, 경화제 및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할때, 상기 실리콘 잉크는 60 내지 65 중량%, 상기 천연 포졸란은 17 내지 20 중량%, 상기 경화제는 3 내지 5 중량%, 상기 희석제는 나머지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은 소나무 분말 또는 편백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
  4.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에 있어서,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1차 프린트하는 단계; 및
    1차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은 상기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할때, 실리콘 잉크는 60 내지 65 중량%, 천연 포졸란은 17 내지 20 중량%, 경화제는 3 내지 5 중량%, 희석제는 나머지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1차 건조하는 단계는 1차 프린트가 완료된 의류를 섭씨 160 내지 180도의 온도로 1 내지 2초 동안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1차 프린트하는 단계는,
    의류에 프린트할 모양이 형성된 마스킹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마스킹 플레이트를 프린트할 의류의 상부에 배치한 후, 마스킹 플레이트의 표면에 상기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공급하는 단계; 및
    스퀴즈 바(squeeze bar)로 마스킹 플레이트를 가압하면서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마스킹 플레이트에 공급된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의류에 프린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1차 건조하는 단계 이후,
    제2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제2 프린트 및 제2 건조하는 단계;
    제3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제3 프린트 및 제3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성물은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할때, 실리콘 잉크는 57 내지 60 중량%, 천연 포졸란은 17 내지 20 중량%, 천연 항균물질은 3 내지 5 중량%, 경화제는 3 내지 5 중량%, 희석제는 나머지 중량%로 이루어지며, 이때 천연 항균물질은 솔잎을 포함한 소나무를 분쇄하여 제조한 소나무 분말을 이용하며,
    상기 제3 조성물은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할때, 실리콘 잉크는 55 내지 57 중량%, 천연 포졸란은 17 내지 20 중량%, 천연 항균물질은 3 내지 5 중량%, 천연 탈취 물질 2 내지 3중량%, 경화제는 3 내지 5 중량%, 희석제는 나머지 중량%로 이루어지며, 이때 천연 항균물질은 솔잎을 포함한 소나무를 분쇄하여 제조한 소나무 분말을 이용하며, 천연 탈취 물질로는 편백 나무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을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
KR1020190034542A 2019-03-26 2019-03-26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 KR102212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542A KR102212459B1 (ko) 2019-03-26 2019-03-26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542A KR102212459B1 (ko) 2019-03-26 2019-03-26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814A KR20200113814A (ko) 2020-10-07
KR102212459B1 true KR102212459B1 (ko) 2021-02-05

Family

ID=72883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542A KR102212459B1 (ko) 2019-03-26 2019-03-26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4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2757A (ja) 2004-10-26 2006-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シリコーン樹脂塗膜の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4735B2 (ja) * 1992-12-04 1997-09-17 日東電工株式会社 ラベル基材、インク及びラベル
KR20010045214A (ko) * 1999-11-03 2001-06-05 이영신 광호변성 의류 코팅재
KR100514976B1 (ko) * 2002-07-08 2005-09-14 박영자 천연 포졸란을 포함하는 섬유제품
KR100876111B1 (ko) 2007-06-11 2008-12-2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은입자가 코팅된 항균 섬유의 제조방법
KR20140088983A (ko) * 2012-12-31 2014-07-14 한국전력공사 다기능 도료 조성물 및 이의 도장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2757A (ja) 2004-10-26 2006-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シリコーン樹脂塗膜の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814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ilagavathi et al. Microencapsulation of herbal extracts for microbial resistance in healthcare textiles
CN104499273A (zh) 一种丝袜驱蚊防螨整理剂及其丝袜生产工艺
CN102418267A (zh) 一种中药抗菌整理剂
JP2003253559A (ja) 抗菌性を有する繊維構造物
CN106592200A (zh) 一种柔软抗皱面料的加工方法
KR102212459B1 (ko) 항균 기능을 갖는 의류 프린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의류 프린트 방법
KR101879651B1 (ko) 편백 분말을 함유한 기능성 한지사의 제조방법
CN108866742A (zh) 一种抗菌防辐射纺织面料
CN105342042A (zh) 一种抗菌羊毛针织面料
CN103276591A (zh) 一种抗过敏芳香型羊毛衫的制备方法
KR101037791B1 (ko) 은 나노 분말이 도포된 흡수성과 속건성이 향상된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988741A (zh) 一种棉质衬衫的香薰免烫处理方法
CN101283839A (zh) 防臭袜的制备方法
CN111286977A (zh) 一种生物植物抗菌衣物柔顺剂
CN105442330A (zh) 一种含肉桂油微胶囊的护理剂及其制备方法
CN108842441A (zh) 一种去除布料异味的方法
Mistry et al. Antibacterial treatment on cotton fabric from Aloe vera
KR101496898B1 (ko) 피부자극이 없는 친환경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N106811348A (zh) 一种驱蚊抑菌专用肥皂
JP3189464U (ja) 柿渋染め被服及び寝装・寝具
CN101831796A (zh) 一种释放负离子六环石针织面料
KR101347778B1 (ko) 숯이 함유된 내의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내의용 원단으로 제조된 내의
US3899616A (en) Fungistatic fabric treatment
Kant et al. Need for eco-friendly finished textiles
KR102108812B1 (ko) 피톤치드 캡슐 부착률이 향상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유아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