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701A - 오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701A
KR20020062701A KR1020020003721A KR20020003721A KR20020062701A KR 20020062701 A KR20020062701 A KR 20020062701A KR 1020020003721 A KR1020020003721 A KR 1020020003721A KR 20020003721 A KR20020003721 A KR 20020003721A KR 20020062701 A KR20020062701 A KR 20020062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control panel
sewage
electrode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0645B1 (ko
Inventor
후쿠나가타케시
오다켄지
후쿠모토아키히로
스즈키에이이치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크린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크린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2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6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Abstract

중계 커넥터의 접속을 잊어버렸을 때에, 그것을 검출할 수 있는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 오수처리장치(1)는, 전해조(4), 전극유닛(5), 정전류 전원부 (15), 제어반 및 중계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정전류 전압부(15)는, 정전류 전해를 위한 전류를 전극유닛(5)의 전극으로 공급한다. 제어반(6)은, 오수처리장치 (1)의 외부에 배치되고, 전원부(15)에 접속되어 전기분해를 제어한다. 중계기(9)는 제어반(6)과 전극유닛(5)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을 접속하기 위한 중계 커넥터(18)를 갖고 있다. 중계 커넥터(18)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극유닛(5)의 부하저항은 무한대가 되며, 미리 설정된 부하저항으로부터 결정되는 설정전압보다도 큰 출력전압이 출력된다. 이 출력전압은, 전압 검출부에서 설정전압과 비교되어, 경보램프(17)가 점등된다.

Description

오수처리장치{DEVICE FOR TREATING SEWAGE}
본 발명은 오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수중의 인산을 제거하기 위한 정화조 등의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이러한 종류의 오수처리장치로서는, 오수를 수납하기 위한 오수 수납조와, 오수 수납조에 설치되어 오수 중의 인산을 제거하기 위한 철 이온 또는 알루미늄 이온을 전기분해에 의해 용출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과, 이들 전극에 전해용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과, 이 전원에 접속되어 전기분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과, 이 제어반과 전극을 접속하기 위한 중계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알려져 있다.
이러한 오수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중계기에는 중계 커넥터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중계 커넥터를 이용하여 제어반과 전극을 간단히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오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그것의 설치시나 유지 보수시에 중계 커넥터에 의한 접속을 깜빡 잊어버리고서, 접속이 되어 있지 않은 접속해제 상태에서 설치완료나 유지보수 종료의 판단을 내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원으로부터 전극까지의 하니스가 어떤 원인으로 단선되어 있을 경우, 그것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설치완료나 유지보수 종료의 판단을 내리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중계 커넥터의 접속을 잊어버리거나, 전원으로부터 전극까지의 하니스의 단선이 있었을 때에, 그것을 검출할 수 있는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오수처리장치의 구성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오수처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오수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오수처리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중계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중계 커넥터를 접속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중계 커넥터를 접속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오수처리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어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오수처리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극유닛의 부하저항과 정전류 전원부의 출력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1의 오수처리장치의 전압 검출부에 의한 검출 및 경보램프에 의한 경보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도 1의 오수처리장치가 조립된 정화조의 내부구성을 설명하는 구성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오수처리장치가 조립된 정화조의 내부구조를 설명하는 구성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오수처리장치2:유입구
3:유출구4:전해조(오수 수납조)
5:전극유닛 6:제어반
7:산기장치8:전극유닛 케이블
9:중계기10:산기관
11:블로어 12:급기관
15:정전류 전원부(전원)16:전압 검출부(검출부)
17:경보램프(고지부)18:중계 커넥터
19:나사부재20:단자 케이스
51:오수처리장치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따르면, 오수를 수납하기 위한 오수 수납조와, 이 오수 수납조에 설치되어, 오수 중의 인산을 제거하기 위한 철 이온 또는 알루미늄 이온을 전기분해에 의해 용출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과, 이들 전극에 전해용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과, 이 전원에 접속되어 전기분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과, 이 제어반과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하니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전원은, 정전류를 공급하는 것으로, 추가로, 전극간 전압의 변화에 의해 전원으로부터 전극까지의 하니스의 단선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와, 이 검출부에 의한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그 하니스의 단선을 알리기 위한 고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오수 수납조에는, 적어도 한 쌍의 전해용 전극이 설치되고, 처리해야 하는 오수가 수납된다.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은, 판자나 봉 등의 원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가령 전극 유지체에 유지되어 오수 수납조에 매달린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들 전극은, 전기분해에 의해 물속의 인산분을 제거하기 위한 철 이온 또는 알루미늄 이온을 용출한다.
한 쌍의 전극은 가령, 양쪽 모두 철 전극 또는 알루미늄 전극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한쪽이 철 전극 또는 알루미늄 전극으로 구성되고 다른 한쪽이 불용성 금속전극으로 구성된다. 전자의 경우에는, 원하는 대로 전극의 극성반전을 행함으로써, 전극으로부터의 이온 용출이 저해될 우려가 있는, 전극표면에서의 산화물층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후자의 경우에는, 철 전극 또는 알루미늄 전극을 양극으로 하고, 불용성 금속전극을 음극으로 한다. 불용성 금속전극으로서는, 가령 은이나 백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이 있다.
철 전극 또는 알루미늄 전극으로부터 오수 수납조로 용출된 철 이온 또는 알루미늄 이온은, 물속의 인산(오르토인산)과 반응하여, 불수용성 염, 즉, 불수용성 인화합물(Fe(OH)x(PO4)y또는 Al(OH)x(PO4)y)로 되어 응집 침전한다.
전원은 이들 전극에 전해용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단위시간당 용출 이온량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전류값을 일정하게 하여 전기분해를 행하는, 정전류 전해를 위한 전류를 공급하는 것이다.
제어반은 전기분해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에 접속된다. 하니스는 제어반과 전극 사이에 배치된다.
이 오수처리장치에는 추가로, 검출부와 고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부는 전극간 전압의 변화에 의해 전원으로부터 전극까지의 하니스의 단선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검출부는 정전류 전기분해에 있어서 제어반과 전극의 접속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을 때에 전극간 전압이 변화하는 것, 즉 전극간 전압이 상승하는 것을 이용하여, 그 상승도로부터 상기 하니스의 단선을 검출한다. 또, 고지부는, 이 검출부에 의한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하니스의 단선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오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전원으로부터 전극까지의 하니스의 단선을 검출부에 의해 검출할 수 있고, 그것을 고지부에 의해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따른 오수처리장치는, 고지부가, 시각적 고지부 및 청각적 고지부 중 적어도 일방으로 이루어지고, 제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각적 고지부로서는 가령, 제어반에 설치된 경보램프 등이 사용된다. 또, 청각적 고지부로서는 가령, 제어반에 설치된 경보 부저 등이 사용된다. 시각적 고지부 및 청각적 고지부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좋고, 양자가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고지부가 구비된 오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간단하면서도 저가인 부재로써, 전원으로부터 전극까지의 하니스의 단선을 경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오수를 수납하기 위한 오수 수납조와, 이 오수 수납조에 설치되어 오수중의 인산을 제거하기 위한 철 이온 또는 알루미늄 이온을 전기분해에 의해 용출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과, 이들 전극에 전해용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과, 이 전원에 접속되어 전기분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과, 이 제어반과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접속하기 위한 중계 커넥터를 갖는 중계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전원은, 정전류를 공급하는 것으로, 추가로, 전극간 전압의 변화에 의해 중계 커넥터의 접속해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와, 이 검출부에 의한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중계 커넥터의 접속해제를 알리기 위한 고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중계기는, 제어반과 전극을 접속하기 위한 중계 커넥터를 갖고, 제어반과 전극 사이에 배치된다. 중계 커넥터로서는, 가령 이분할형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오수처리장치에는 또, 검출부와 고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부는, 전극간 전압의 변화에 의해 중계 커넥터의 접속해제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검출부는, 정전류 전기분해에 있어서 제어반과 전극의 접속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을 때에 전극간 전압이 변화하는 것, 즉 전극간 전압이 상승하는 것을 이용하여, 그 상승도로부터 중계 커넥터의 접속해제를 검출한다. 또, 고지부는, 이 검출부에 의한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중계 커넥터의 접속해제를 알리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오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중계 커넥터의 접속을 잊어버린 것을 검출부에 의해 검출할 수 있고, 그 검출결과를 고지부에 의해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오수처리장치는, 고지부가, 시각적 고지부 및 청각적 고지부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제어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각적 고지부 및 청각적 고지부는, 상기와 같은 것이 사용되지만, 각각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좋고, 양자가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좋다.
이러한 고지부가 구비된 오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간단하고 저가인 부재로써 이루어지며, 중계 커넥터의 접속 잊음을 알릴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2가지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오수처리장치 (1)는, 오수 수납조로서의 전해조(4)와, 다수의 전극유닛(5)과, 전원으로서의 정전류 전원부(15)와, 제어반(6)과, 중계기(9)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해조(4)에는, 유입구(2)에서 유입된 오수가 수납된다. 각각의 전극유닛(5)은, 한 쌍의 전극과, 이들 전극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전극 유지체로 이루어진다.
정전류 전원부(15)는, 단위시간당 용출 이온량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전류값을 일정하게 하여 전기분해를 행하는 정전류 전해를 위한 전극유닛(5)의 전극으로 공급한다. 제어반(6)은 오수처리장치(1)의 외부, 가령 오수처리장치(1)가 조립된 정화조의 바로 근방의 건물 벽 등에 배치되고, 전원부(15)에 접속되어 전기분해를 제어한다. 중계기(9)는 제어반(6)과 전극유닛(5)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을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중계 커넥터를 갖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중계 커넥터(18)는, 나사부재(19)로 고정된 단자케이스(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부 수커넥터(18a)와 상부 암커넥터(18b)로 이루어지는 2분할형의 것이다. 하부 커넥터(18a)에는, 접속의 로크 및 그 해제를 행하기 위한 커플링너트(18c)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중계 커넥터(18)의 접속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커넥터(18a)와 상부 커넥터(18b)를 서로 마주 보게 배치하고, 양자를 끼워맞춘 다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커넥터(18a)의 커플링너트(18c)를 상부 커넥터(18b)쪽으로 직선 화살표와 같이 눌러 붙인 뒤, 커플링너트(18c)를 곡선 화살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로크시킨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오수처리장치(1)에는, 전기분해중인 전극의 표면을 산기에 의해 세정하여 전극의 부동태화를 방지하기 위한 산기장치(7)가 설치되어 있다.
즉, 산기장치(7)는 전해조(4)에 있어서 전극유닛(5)의 하방에 배치된 산기관 (10)과, 전해조(4)의 외부에 배치된 공기 공급용 블로어(11)와, 블로어(11)와 산기관(10)을 접속하는 급기관(1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3은, 전해조(4)에서 전해를 받은 오수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나타내고, 8은, 전극유닛(5)과 중계기(9)를 접속하기 위한 전극유닛 케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전극은, 모두 철제(鐵製)이며, 전기분해에 의해, 물속의 인산분을 제거하기 위한 철 이온을 용출한다. 전극에서 전기조(4)로 용출된 철 이온은, 물속의 인산(오르토인산)과 반응하여, 불수용성의 염, 즉, 불수용성 인화합물(Fe(OH)x(PO4)y)이 되어 응집 침전한다.
도 2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반(6)에는, 검출부로서의 전압 검출부(16)와, 시각적 고지부로서의 경보램프(17)가 설치되어 있다.
전압 검출부(16)는 전극간 전압의 변화에 의해 중계 커넥터(18)의 접속해제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전압 검출부(16)는 정전류 전기분해에 있어서 제어반(6)과 전극유닛(5)의 접속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을 때에 전극간 전압이 변화하는 것, 즉 전극간 전압이 상승하는 것을 이용하여, 그 상승도로써 중계 커넥터(18)의 접속해제를 검출한다.
경보램프(17)는 LED로 이루어지고, 전압 검출부(16)에 의한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중계 커넥터의 접속해제를 알린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21은 전원램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반(6)은, 정전류 전원방식의 전기분해를 제어하는 것이기 때문에, 중계 커넥터(18)가 상기와 같이 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즉 전극유닛 케이블(8)이 중계기(9)에 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도 8에 나타낸바와 같이, 전극유닛(5)의 부하저항은 R1(Ω)이 되고, 정전류 전원부(15)의 출력전압(V1)은 약 10V가 된다.
중계 커넥터(18)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전원유닛 케이블(8)이 중계기(9)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전극유닛(5)의 부하저항은 무한대가 되고, 미리 설정된 부하저항(R2(Ω))으로부터 결정되는 설정전압(15V)보다도 큰 출력저압(V1)이 출력된다. 이 출력전압(V1)은, 전압 검출부(16)에서 설정전압(15V)과 비교되어, 경보램프(17)가 점등된다.
이상의 전압 검출부(16)에 의한 검출 및 경보램프(17)에 의한 경보 플로우차트를 도 9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오수처리장치(1)에 있어서는, 전극유닛 케이블(8)의 중계 커넥터 (18)의 접속 잊음이 있었을 때에, 경보램프(17)의 점등에 의해 이상(異常)을 알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오수처리장치(1)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화조에 조립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정화조의 내부는, 처리해야 할 오수가 유입되는 좌측단의 유입관 측에서부터, 오수처리를 끝낸 물이 외부로 방류되는 우측단의 방류관 측에 걸쳐, 오수정화처리의 공정순서에 따라 복수의 정화조 구획 형성된 조(槽)구조로 되어 있다.
A는, 유입관 측의 가장 앞부분에 구획 형성된 유입잡물 제거조이다. 이 유입잡물 제거조(A)에서는, 오수 속에 혼입(混入)되어 있는 유입잡물을 침전분리시켜 제거한다.
B는, 유입잡물 제거조(A)에 인접하여 구획 형성된 혐기여상조이다. 이 혐기여상조(B)에서는, 혐기여상에 혐기성 미생물을 서식시킴으로써 혐기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C는, 혐기여상조(B)에 인접하여 구획 형성된 생물여과조이다. 이 생물여과조(C)에는 호기성 미생물의 여상인 초기여상이 설치되어 있어, 그 호기여상에 호기성 미생물을 서식시킴으로써 호기처리 및 여과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D는, 생물여과조(C)에 인접하여 구획 형성된 처리수조이다. 이 처리수조(D)에서는, 생물여과조(C)에서 호기처리 되고, 여과되어 유입되어온 처리수를 정치(靜置) 저장한다.
E는, 생물여과조(D)의 상부에 구획 형성된 소독조이다. 이 소독조(E)는 통상, 처리수조(D)에서 처리된 후의 맑아진 윗물을 소독처리하여, 방류관으로부터 외부로 방류하도록 되어 있다.
처리수조(D)로부터 유입잡물 제거조(A)의 상방에 걸쳐서, 처리수중의 물을 상시 반송하기 위한 순환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순환로에는, 처리수조(D)로부터의 물의 흐름 순으로, 분수계량 장치(F), 반송관(G) 및 오수처리장치(1)가 설치되어 있다. 오수처리장치(1)의 유출구(3)에서 유출되는 물은, 유입잡물 제거조(A)로 흘러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오수처리장치(51)도,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화조에 조립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이러한 오수처리장치(51)는, 오수 수납조로서의 생물여과조(C)와, 다수의 전극유닛(5)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원으로서의 정전류 전원부(15)와, 제어반(6)과, 중계기(9)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반(6)에는, 검출부로서의 전압 검출부(16)와, 시각적 고지부로서의 경보램프(17)가 설치되어 있다.
전압 검출부(16)는, 전극간 전압의 변화에 따라 정전류 전원부(15)로부터 전극유닛(5)까지의 하니스의 단선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전압 검출부(16)는, 정전류 전기분해에 있어서 제어반(6)과 전극유닛(5)과의 접속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을 때에 전극간 전압이 변화하는 것, 즉 전극간 전압이 상승하는 것을 이용하여, 그 상승도로써 상기 하니스의 단선을 검출한다. 또, 경보램프(17)는, 전압 검출부(16)에 의한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하니스의 단선을 알린다.
이와 같이, 오수처리장치(51)에 있어서는, 정전류 전원부(15)로부터 전극유닛(5)까지의 전극유닛 케이블(8)에 단선이 있었을 때에, 경보램프(17)의 점등에 의해 이상을 알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1에 관한 오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오수를 수납하기 위한 오수 수납조와, 이 오수 수납조에 설치되어, 오수중의 인산을 제거하기 위한 철 이온 또는 알루미늄 이온을 전기분해에 의해 용출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과, 이들 전극에 전해용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과, 이 전원에 접속되어 전기분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과, 이 제어반과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하니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전원은, 정전류를 공급하는 것으로, 추가로, 전극간 전압의 변화에 따라 전원으로부터 전극까지의 하니스의 단선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와, 이 검출부에 의한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하니스의 단선을 알리기 위한 고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전압에서 전극까지의 하니스의 단선을 검출부에 의해 검출할 수 있으며, 그 검출결과를 고지부에 의해 알릴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오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고지부가, 시각적 고지부 및 청각적 고지부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져 있고, 제어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저가인 부재로써, 전원으로부터 전극까지의 하니스의 단선을 경보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오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오수를 수납하기 위한 오수 수납조와, 이 오수 수납조에 설치되어, 오수중의 인산을 제거하기 위한 철 이온 또는 알루미늄 이온을 전기분해에 의해 용출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과, 이들 전극에 전해용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과, 이 전원에 접속되어 전기분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과, 이 제어반과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접속하기 중계 커넥터를 갖는 중계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전원은, 정전류를 공급하는 것으로, 추가로, 전극간 전압의 변화에 따라서 중계 커넥터의 접속해제를 검출하기 위한 고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중계 커넥터의 접속 잊음을 검출부에 의해 검출할 수 있고, 그 검출결과를 고지부에 의해 알릴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오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고지부가, 시각적 고지부 및 청각적 고지부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제어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저가인 부재로써, 중계 커넥터의 접속해제를 경보할 수 있다.

Claims (4)

  1. 오수를 수납하기 위한 오수 수납조와, 이 오수 수납조에 설치되어 오수중의 인산을 제거하기 위한 철 이온 또는 알루미늄 이온을 전기분해에 의해 용출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과, 이들 전극에 전해용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과, 이 전원에 접속되어 전기분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과, 이 제어반과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하니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전원은, 정전류를 공급하는 것으로, 추가로, 전극간 전압의 변화에 의해 전원으로부터 전극까지의 하니스의 단선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와, 이 검출부에 의한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그 하니스의 단선을 알리기 위한 고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고지부는, 시각적 고지부 및 청각적 고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제어반에 설치되어 있는 오수처리장치.
  3. 오수를 수납하기 위한 오수 수납조와, 이 오수 수납조에 설치되어 오수중의 인산을 제거하기 위한 철 이온 또는 알루미늄 이온을 전기분해에 의해 용출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과, 이들 전극에 전해용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과, 이 전원에 접속되어 전기분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과, 이 제어반과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접속하기 위한 중계 커넥터를 갖는 중계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전원은, 정전류를 공급하는 것으로, 추가로, 전극간 전압의 변화에 의해 중계 커넥터의 접속해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와, 이 검출부에 의한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중계 커넥터의 접속해제를 알리기 위한 고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고지부는, 시각적 고지부 및 청각적 고지부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제어반에 설치되어 있는 오수처리장치.
KR10-2002-0003721A 2001-01-23 2002-01-22 오수처리장치 KR100420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14501 2001-01-23
JP2001014501A JP4520053B2 (ja) 2001-01-23 2001-01-23 汚水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701A true KR20020062701A (ko) 2002-07-29
KR100420645B1 KR100420645B1 (ko) 2004-03-02

Family

ID=1888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721A KR100420645B1 (ko) 2001-01-23 2002-01-22 오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20053B2 (ko)
KR (1) KR100420645B1 (ko)
CN (1) CN1157340C (ko)
TW (1) TWI2419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024B1 (ko) 2005-06-18 2007-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 발생 장치의 그 제어 방법
CN102616989B (zh) * 2012-03-26 2013-08-14 江苏商达水务有限公司 一种新型农村生活污水处理系统控制装置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1052A (ja) * 1996-02-06 1997-08-15 Fuji Xerox Co Ltd ケーブルの断線検知装置
JPH1040479A (ja) * 1996-07-26 1998-02-13 Moriyama Kogyo Kk 警告装置
JP3954683B2 (ja) * 1997-03-18 2007-08-08 三洋電機株式会社 汚水処理装置
JP3802185B2 (ja) * 1997-03-18 2006-07-26 三洋電機株式会社 汚水処理装置
JPH11254537A (ja) * 1998-03-09 1999-09-21 Kubota Corp 電気融着の異常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4014278B2 (ja) * 1998-03-09 2007-11-28 三洋電機株式会社 リン酸イオン含有排水の処理方法
JP4026920B2 (ja) * 1998-03-13 2007-12-26 三洋電機株式会社 汚水処理装置
JP2000176456A (ja) * 1998-12-16 2000-06-27 Sanyo Electric Co Ltd リン酸イオン含有水の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2000301154A (ja) * 1999-04-19 2000-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浄化装置
KR100372554B1 (ko) * 1999-07-13 2003-03-07 황재석 정전류형 전기 분해법에 의한 오,폐수 처리와 분뇨 및 축산분뇨의 고도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340C (zh) 2004-07-14
KR100420645B1 (ko) 2004-03-02
TWI241984B (en) 2005-10-21
CN1367139A (zh) 2002-09-04
JP4520053B2 (ja) 2010-08-04
JP2002210471A (ja) 200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1515B1 (ko) 오수처리장치
KR100253757B1 (ko) 오수 처리장치
KR100420645B1 (ko) 오수처리장치
KR100445522B1 (ko) 오수처리장치의 설치방법
KR100404947B1 (ko) 오수처리장치 및 응집침전장치
KR100400817B1 (ko) 배수처리장치
KR100293311B1 (ko) 오수처리장치
JP3883645B2 (ja) 脱リン処理装置
JP3895860B2 (ja) 汚水処理装置
JP3796032B2 (ja) 汚水処理装置
JP3802185B2 (ja) 汚水処理装置
JP2000015266A (ja) 汚水処理装置
JP3948823B2 (ja) 汚水処理装置
JP4026920B2 (ja) 汚水処理装置
JP3802184B2 (ja) 汚水処理装置
JPH11267682A (ja) リン酸イオン含有排水の処理装置
JP2002159987A (ja) 汚水処理装置
JP2002153880A (ja) リン除去装置
KR100445271B1 (ko) 오수처리조
JPH10258284A (ja) 汚水処理装置
JP2004136209A (ja) 電解式リン酸イオン含有水処理装置
JP2002254093A (ja) 汚水処理装置
JPH10328673A (ja) 脱リン処理装置
JPH10328671A (ja) 脱リン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