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566A - 조립식 옹벽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립식 옹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566A
KR20020062566A KR1020017016503A KR20017016503A KR20020062566A KR 20020062566 A KR20020062566 A KR 20020062566A KR 1020017016503 A KR1020017016503 A KR 1020017016503A KR 20017016503 A KR20017016503 A KR 20017016503A KR 20020062566 A KR20020062566 A KR 20020062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channel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2261B1 (ko
Inventor
보거슨스벤
레이니토마스엘.
투르젠-스람존더블유.
Original Assignee
앵커 월 시스템즈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339,132 external-priority patent/US6416257B1/en
Application filed by 앵커 월 시스템즈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앵커 월 시스템즈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62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2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Hydroponic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Earth Drill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옹벽 시스템(10)용 옹벽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이 옹벽 블럭(12)은 조립식 옹벽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측면(26)과, 조립식 옹벽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면(24)과, 정상면(28)과, 바닥면(30)을 포함한다. 이 옹벽에는 전방벽(36), 후방벽(38) 및 아치형 바닥면(40)에 의해 형성된 채널(16)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 채널은 내측면, 외측면, 정상면, 바닥면 중 하나를 가로 질러 연장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옹벽 시스템{SEGMENTAL RETAINING WALL SYSTEM}
조립식 옹벽은 공통적으로 복수 층의 모듈형 단위체(블럭)로 구성된다. 이들 블럭은 통상 콘크리트로 제조된다. 이들 블럭은 대개 건식 쌓기 되고[모르타르 또는 그라우트(grout)의 사용 없음], 인접한 복수의 블럭 및/또는 층을 서로에 대해 적절하게 배치해서 층에서 층까지의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특징 부분을 종종 가진다. 이들 블럭의 무게는 통상 단위체 당 10 ∼ 150 파운드 범위이다. 조립식 옹벽은 건축 용도 및 용지(用地) 개발 용도로 흔히 사용된다. 이 옹벽은 그 뒤에 있는 토양에 의해 발생하는 높은 부하를 받는다. 이러한 부하는 무엇보다도 토양의 특성, 물의 존재, 온도 및 수축 효과, 지진 부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 부하를 처리하기 위해, 조립식 옹벽 시스템은 복수 층의 블럭 사이를 지나서 이들 블럭의 뒤에 있는 토양 속으로 연장하는 1개층 이상의 토양 보강재로 종종 구성된다. 이 보강재는 통상적으로 지오그리드(geogrid) 또는 지오패브릭(geofabric)의 형태로 되어 있다. 지오그리드는 종종 격자 배열로 구성되고, 폴리머 직물 또는 가공 처리된 플라스틱 박판재(미국 특허 제4,374,79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천공 및 연신되어 있음)로 구성되는 반면에, 보강 직물은 여러가지 직조된, 직조되지 않은 또는 편직된 폴리머 직물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이들 보강 부재는 통상 옹벽 후방으로 연장하여 토양 속으로 들어가 토양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토양을 안정화시키며, 이에 의해 구조적으로 보다 견고한 옹벽에 이르는 보다 안정한 토양 덩어리가 만들어진다. 다른 예로서, 보강 부재는 옹벽에 고정되는 복수의 결속 지원 막대(tie-back rod)를 구비하는데, 이 막대도 토양 속으로 유사하게 후방 연장한다.
수개의 상이한 형태의 보강 부재가 개발되어 왔지만, 옹벽 시스템에서 복수의 대향 블럭에 복수의 보강 부재를 결속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일반적인 제안으로서, 블럭/그리드의 연결이 효율적일수록, 옹벽 시스템에 요구되는 복수 층의 그리드는 더욱 줄어든다. 보강 그리드의 비용은 옹벽 시스템의 비용을 결정하는 부분이 될 수 있으며, 그래서 고도로 효율적인 블럭/그리드 연결이 바람직하다.
대부분의 조립식 옹벽 시스템은 주로 마찰력에 의존하여 인접한 복수 층의 블럭 사이에 보강재를 유지시킨다. 또한, 이들 옹벽 시스템은 블럭/그리드 연결 상태를 다양하게 향상시키는 위치 설정 핀 또는 일체형 위치 설정체/전단 저항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시스템의 일례는 미국 특허 제4,914,876호, 제5,709,062호 및 제5,827,015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시스템은 일반적인 보강재의 전체 인장 강도를 이용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이들 시스템에서 발생될 수 있는블럭/그리드 유지력이 보강재 자체가 견딜 수 있는 인장력 보다 통상 약하기 때문이다.
다른 종류의 옹벽에 비해 조립식 옹벽 시스템이 가지는 많은 장점 가운데 하나는 유연성이다. 이 옹벽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정교한 토대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예컨대 지반의 차별 침하 또는 서리의 퇴적이 일어나는 상황에서도 양호하게 작업될 수 있다. 그렇다손치더라도, 이런 유형의 상황은 주로 그리드에 대한 블럭의 마찰 연결 상태에 의존하는 옹벽 시스템에서 옹벽 전체의 블럭/그리드 연결 편차에 이를 수 있다.
상기 블럭/그리드 연결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 덕분에, 현재 몇가지 종류의 옹벽 시스템이 개발되었고, 이 시스템은 복수의 보강 부재를 복수의 블럭에 기계적으로 연결시킨다. 그러한 종류의 시스템에서는, 갈퀴형 연결구 막대가 인접한 복수의 적층 블럭 사이에 있는 접촉 영역의 중심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이때 상기 연결구 막대의 갈래는 지오그리드에 마련된 긴 구멍을 통과하여 이 지오그리드를 제자리에 유지시킨다.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에 대한 일례는 미국 특허 제5,607,262호(도 1-7), 제5,417,523호 및 제5,540,525호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시스템은 연결구 갈래에 맞물리는 교차 부재가 토양에 의해 그리드에 가해진 인장력에 저항하는 그런 구성으로 사용된 지오그리드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만 단지 효과적일 뿐이다. 현재 그런 그리드의 일부만이 입수 가능하며, 따라서 옹벽 시공자 또는 계약자는 그러한 결속 시스템이 사용되는 경우에 한정된 개수의 보강 부재를 제작하는 제작자로부터 지오그리드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이들 시스템은 그리드 재료에 있는 구멍과 정렬하게 되고 그리드 교차 부재와 접촉하게 되는 갈퀴형 연결구 갈래에 의존한다. 이 연결구 갈래가 그리드 구멍과 정렬되지 못하는 경우, 설치에 따른 문제가 생긴다. 그리드 제작 과정이 변화되면, 이러한 종류의 그리드에 있는 구멍이 완벽하게 규칙적이지 않는 것이 빈번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는, 그리드 층을 가로 질러 일렬 상태의 구멍 모두에 맞물리는 긴 연결구 대신에, 단지 수개의 그리드 구멍에 맞물리기만 하는 짧은 갈퀴형 연결구를 사용하여 해결해 왔었다. 이러한 해결책은 설치상의 문제를 경감시키지만, 옹벽 시스템의 구조에서 그리드의 전체 강도를 이용할 수 없다는 결론에 비추어 보면 연결구의 효율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들 장치는 순수한 마찰 연결구 시스템과 동일한 비판을 받는다.
세번째 종류의 연결구 시스템은 단면에서 보았을 때 비교적 대형의 내측 부분 및 이 부분에서 생긴 매우 좁은 구멍을 가진 채널을 사용한다. 그리드에는 그 선행 에지를 따라 비드(bead) 또는 비슷한 확장부가 마련되어 있다. 그 후에, 그리드는 측면으로부터 채널 속으로 나사 결합되며, 그 결과 그리드 층은 좁은 채널 구멍을 통해 밖으로 연장하지만, 비드는 대형의 내측 부분에 포획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연결 수단의 일례는 미국 특허 제5,607,262호의 도 9-10에 도시되어 있다. 비록 이러한 시스템이 차별 침하 문제를 극복하기 했지만, 이 시스템은 현장에 사용되기에 매우 곤란하고, 특수한 그리드 형상에 의존한다.
전술한 세번째 종류의 연결구 시스템에 대한 개량 형태는 비드(bead)가 끼워 맞춰지는 채널이 하부 블럭 및 인접한 상부 블럭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그 결과그리드의 확장식/비드식 단부가 복수의 하부 블럭의 일부 채널에 간단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부 블럭이 배치되면 포획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설치를 단순화한 것이지만, 전술한 효율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했다. 이 시스템의 변형 형태에서는, 지오그리드 소재로 된 패널의 단부가 막대 둘레에 권취되고, 그때 이 단부는 막대의 뽑힘에 저항하기 위해 일체형 정지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끝손질 단위체(facing unit)의 중공 부분에 배치된다. 그때, 권취된 막대는 끝손질 단위체의 다음 끝손질 단위체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되는 대신에, 이 끝손질 단위체의 중공 부분에 있는 막대의 정상에 쏟아 채워진 흙 또는 자갈에 의해 하향으로 압박된다. 이 시스템은 미국 특허 제5,066,169호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의 끝손질 단위체는 매우 복잡하고 제작하기에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치 과정도 어렵고 그리드 소재로 된 매우 좁은 패널의 이용을 요구하고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고속 대량 생산을 촉진시키기 위해 비교적 단순한 형상의 끝손질 블럭을 구비하는 조립식 옹벽 시스템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블럭이 보강재에 매우 효과적인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보강 수단에 대해 더 높은 백분율의 전체 설계 강도가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은 광범위하게 다양한 통상적으로 입수 가능한 지오그리드 및 직물과 함께 이용될 수 있으며, 그리드/블럭 연결구가 심지어 차별 침하 조건에서도 안전하며, 상기 시스템은 현장에서 설치하는 동안 작업하기가 쉽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지반 옹벽(擁壁)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옹벽에 보강 부재를 결속시키는 유지 수단을 구비한 조립식 옹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예시적인 옹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옹벽에 사용된 옹벽 블럭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옹벽 블럭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옹벽 블럭의 정상면에 마련된 채널의 상세도이다.
도 5는 옹벽 블럭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보강 부재 유지 막대에 대한 제1 실시 형태의 단부도이다.
도 7은 옹벽 블럭의 채널에 있는 보강 부재 위에 도 6에 도시된 유지 막대의 삽입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옹벽 블럭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예시적인 옹벽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복수의 인접한 적층 옹벽 블럭 사이에 보강 부재의 유지 상태를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도 10은 보강 부재 유지 막대에 대한 제2 실시 형태의 단부도이다.
도 11은 다른 옹벽 블럭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옹벽 블럭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옹벽 블럭의 정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채널의 상세도이다.
도 14는 도 11-13에 도시된 옹벽 블럭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의 상세도이다.
도 15는 보강 부재 유지 막대에 대한 제3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옹벽 블럭의 채널에 있는 보강 부재 위에 도 15에 도시된 유지 막대의 삽입 상태를 보여주는 도 11-14에 도시된 옹벽 블럭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7은 복수의 인접한 적층 옹벽 블럭 사이에 보강 부재의 유지 상태를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조립식 옹벽 시스템용 옹벽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이 옹벽 블럭은 조립식 옹벽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측면, 조립식 옹벽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면, 이 외측면에서 내측면까지 연장하는 제1 및 제2 측면, 그리고 정상면 및 바닥면을 구비한다. 또한, 이 옹벽 블럭에는 전방벽과, 후방벽과, 아치형 바닥면에 의해 형성된 채널이 형성되어 있다. 이 채널은 상기 내측면, 외측면, 정상면 및 바닥면 중 하나를 가로 질러 연장하고, 이 채널의 후방벽은 내측으로 연장하는 어깨부(shoulder)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옹벽 블럭의 정상면에서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채널의 전방벽은 내측으로 연장하는 어깨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후방벽 어깨부는 아치형 곡선부 및 평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반면에, 전방벽 어깨부는 제1 및 제2 준평면에 의해 형성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블럭은 다른 블럭의 채널과 정합시키기 위해 크기 조정되고 외형을 가진 플랜지를 구비한다. 통상적으로, 이 플랜지는 옹벽 블럭의 바닥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럭의 정상을 가로 질러 배치된 한 층의 보강재(즉, 지오그리드 또는 직물)를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보강재의 일부분이 블럭의 정상에 형성된 채널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채널에 끼워 맞춰지고 나서, 보강재를 블럭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보강재 층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는 유지 막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고려하여 이하의 설명을 읽을 때 자명하게 될 것이다.
이제, 복수의 도면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언급하면, 이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도면 전체에서 대응하는 부분을 표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조립식 옹벽(10)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옹벽(10)은 서로 꼭대기에 적층되어 오름층(14)으로 되는 복수의 옹벽 블럭(12)으로 구성된다. 이들 옹벽 블럭(12)은 이러한 방식으로 적층되는 경우, 토양으로부터 멀리 외측으로 향하는 외측면 또는 장식면(15)과, 토양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는 내측면(17)을 함께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어떤 주어진 벽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표준 옹벽 블럭(12)은 블럭 제작 및 옹벽 축조를 쉽게 할 목적으로 크기 및 형상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각각의 블럭(12)은 통상적으로 이들 블럭(12)이 서로에 대해 꼭대기에 적층되어 옹벽(10)을 형성하는 경우에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럭(12)과 정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각각의 옹벽 블럭(12)은 외측면(24), 대향 내측면(26), 정상면(28), 바닥면(30), 그리고 2개의 대향 측면(32)으로 구성된다. 이 블럭(12)의 외측면(24)은 옹벽(10)의 외측면(15)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 외측면(24)에는 통상적으로 장식 구조 또는 페이싱 수단이 마련되어 있어서 시각적으로 즐겁게 하는 겉면을 생성한다. 또한, 개개의 옹벽 블럭(12)의 외측면(24)은 대략 30:1의 경사 비율로 바닥면(3)에서 정상면(28)까지 내측으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 블럭 외측면(15)의 내향 경사는 전체 옹벽(10)에 미치는 총 내향 경사 효과를 만들며, 이 효과는 관찰자가 관찰한 경우에 옹벽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외향 경사 압력과 반작용한다. 외측면(24)과는 반대로, 옹벽 블럭(12)의 내측면(26)은 직립 또는 수직 방향의 배치 관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옹벽(10)의 내측면(17)이 직립 상태이지만 계단 모양으로 형성된다(도 8).
각 블럭(12)의 정상면(28) 및 바닥면(30)은 서로에 대해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는 않기 때문에, 서로에 대해 정상에 적층되고 나면, 직립 옹벽(10)이 형성된다. 도 2와 도 3에 가장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곡선형 모서리(33)은 정상면(28)과 내측면(26)의 접합부에 형성되어 블럭(12)에 의해 형성된 벽에 고정되는 보강 부재의 마모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정상면(28) 및 바닥면(30)과 유사하게, 대향 측면(32)도 서로에 대해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이 대향 측면(32)은 블럭(12)의 외측면(24)에서 블럭(12)의 내측면(26) 까지 내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경사져 가까스로 어떤 형상의 곡선형 벽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옹벽 블럭(12)에는 내부 구멍(34)이 더 마련되어 있으며, 이 내부 구멍은 블럭(12)을 제조하는 데에 필요한 콘크리트 또는 다른 재료의 양을 감소시키고, 블럭(12)의 중량을 감소시켜 벽 축조를 단순화시킨다. 도면에는 수평의 배치 관계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 구멍(34)은 필요한 경우, 수직의 배치 관계로 배열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이들 구멍(34)은 블럭의 강도를 최대화시키기 위해 크기 조정되지만, 옹벽에 결속 지원 보강 부재(도시 생략)를 접속시키는 공간을 여전히 허용한다. 본 발명의 블럭(12)을 이용하여 축조되는 벽에 특히 적합한 결속 지원 시스템 중 하나는 미국 특허 출원 제09/261,420호에 개시되는 것인데, 이 특허 출원은 1999년 5월 3일에 출원되었고, 인용에 의해 본 개시 내용에 병합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옹벽 블럭(12)은 옹벽(10)에 보강 부재(예, 지오그리드)를 결속하기 위한 유지 수단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유지 수단은 각 블럭(12)에 형성되어 있는 채널(16)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블럭(12)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정상면(28)에 채널(16)이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배치도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채널(16)은 선택적으로 옹벽 블럭(12)의 바닥면(30) 또는 내측면(26)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 채널(16)이 블럭(12)의 내측면(26)에 형성되는 경우, 수평 배치가 바람직하지만 블럭에 수평으로 또는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채널(16)이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정상면(28)에 제공되는 경우, 이 채널(16)은 블럭(12)의 일측면(32)에서 다른 측면까지 블럭(12)을 횡방향으로 가로 질러, 대개의 경우 블럭(12)의 내측면(26)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가장 명료하게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채널(16)은 전방벽(36), 후방벽(38) 및 바닥면(40)에 의해형성된다. 이 전방벽(36)은 옹벽 블럭(12)의 내측면(26)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하는 어깨부(4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 어깨부(42)는 2개의 준평면(43, 4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평면(43)은 블럭의 정상면(28)으로부터 내측으로 약 90°각도로 뻗어 있다. 제2 평면(44)은 제1 평면으로부터 블럭(12)의 외측면(24)을 향하여 경사각으로 뻗어 있다. 예를 들면, 제2 평면(44)은 제1 평면으로부터 약 45°각도로 뻗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사각은 약 20°∼ 약 70°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채널(16)의 후방벽(38)은, 그 전방벽(36)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내측으로 연장하는 어깨부(4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후방벽 어깨부(45)는 준 아치형 에지(46)와 경사 평면부(47)를 형성하기 위해 반경을 그리는 곡선부로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16)의 바닥면(40)도 역시 반경을 그리는 곡선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 곡선부는 약 2 인치(5.08 ㎝)의 곡률 반경을 가진다. 이러한 곡률은 벽을 축조하는 동안 상부층의 블럭(12)의 플랜지(18)를 위한 공간과, 보강 부재가 벽에 고정되는 경우 유지 막대(도 7)를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이 채널(16)은 여기에서는 구체적으로 정해진 구조로 배열되는 것으로서 설명되어 있지만, 이 채널(16)은 다른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는 것도 본 개시 내용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중요한 고려 사항으로서는 채널(16)을 보강 유지 막대(22)(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됨)와 더불어 작업하도록 적절하게 위치 및 배열하여 블럭 붕괴에 대한 기회를 제한하면서 지오그리드와 같은 보강 부재의기계적인 클램핑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추가의 고려 사항은 채널을 인접한 층을 이루는 블럭의 정합 플랜지와 연계하여 작업하도록 위치 및 배열되어 서로에 대해 층을 적절하게 배치하고, 인접한 층을 서로에 대해 배치시키는 경향이 있는 전단력에 저항을 제공하고, 상부 블럭의 인접한 하부 블럭에 대한 전복(顚覆) 회전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복수의 보강 부재를 유지하는 데에 이용되는 특정 시공법, 채널(16)의 배치상태, 필요한 블럭의 층대층의 맞물림 상태의 정도에 따라, 채널(16)의 벽(36, 38)은 어깨부없이 형성되어 블럭 축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인접한 복수 층의 블럭 사이의 고도의 맞물림 상태가 요구되는 경우(구체적으로는, 벽을 축조하는 동안 상부 블럭이 회전 또는 전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전방벽 어깨부(42)는 특히 개개의 블럭(12)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플랜지(18)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 플랜지(18)는 블럭(12)의 바닥면(30)에 형성되고, 채널(16)과 유사하게 블럭(12)의 일측면(32)에서 타측면(32)까지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5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플랜지(18)는 전방면(48), 후방면(50) 및 바닥면(52) 에 의해 형성된다. 전방면(48)과 후방면(50) 양자는 옹벽 블럭(12)의 외측면(24)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하기 때문에, 전체 플랜지(18)는 블럭의 외측면(24)을 향하고 있다. 블럭 채널(16)의 전방벽(36)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평면(43, 44)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플랜지(18)의 전방면(48)은 정합용 제1 및 제2 평면(55, 57)으로 구성되어 있다. 채널(16)에 대하여 동일한 명칭을 가진 표면의 경우, 이들 제1 및 제2 평면(55, 57)이 배열될 때, 이 제1 평면(55)은 블럭으로부터 약 90°의 각도로 뻗어 있는 반면에, 제2 평면(57)은 제1 평면(55)으로부터 경사지게 약 45°의 각도로 뻗어 있다.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옹벽 블럭(12) 사이에 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해, 블럭(12)은 하부 옹벽 블럭(12)의 정상에 배치될 수 있고, 그 결과 플랜지(18)는 채널(16) 속으로 연장한다. 일단 그렇게 배치되면, 상부 옹벽 블럭(12)은 하부 옹벽 블럭(12)을 따라 전방으로 힘을 받을 수 있으며, 그 결과 전방면(48), 그리고 특히 제1 평면(43, 55)과 제2 평면(44, 57)은 서로 접촉한다. 이러한 접촉에 의해 블럭(12)은 전방으로 회전하거나 전복되지 못하고, 또한 벽 구조물에 인가될 수 있는 전단력에 얼마간의 저항이 부여된다.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플랜지의 경우 블럭 본체와의 접합부에서 바닥면(52)까지 약 1.30인치가 되고, 블럭 본체와의 접합부의 평면에서 약 1.48인치의 두께가 된다. 이들 치수는 플랜지에 적절한 강도를 제공한다.
상기 플랜지(18)와 채널(16)의 상대적인 전방 대 후방 배치 관계는 블럭의 인접한 층의 적절한 배치 상태를 만든다. 바람직한 벽 구조에서는, 벽은 약 4도의 경사(batter)를 가진다. 이 경사도는 바람직한 치수의 블럭에 대해 약 1인치(2.54㎝)의 층대층의 계단식 후퇴로 해석된다. 현재, 블럭의 바람직한 치수는 정상면에서 바닥면까지 약 15인치(38.10㎝)이고, 측면에서 측면까지 약 8인치(20.32㎝)이고, 전면에서 후면까지 약 12인치(30.48㎝)이다. 바람직한 중량은 약 75 ∼ 85 파운드이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대체 배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대체 배치 시스템의 예로서는, 미국 특허 제4,914,876호, 제5,257,880호, 제5,607,262호 및 제5,827,015호의 시스템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블럭은 고강도 콘크리트 블럭 믹스로 제조되며, 이 믹스는 허용 가능한 최대 24 시간 냉수 흡수율이 7%이고, 최소 순단면 압축 강도가 약 3500 psi인 추가의 요건과 더불어, 조립식 옹벽 블럭용 ASTM 표준 규격, 즉 ASTM C1372-97을 만족시키거나 능가한다. 이 믹스는 가령 미국 특허 제5,827,015호에 개략적으로 설명되어 있는 공정에 의해 표준 콘크리트 블럭 머신, 페이버(paver) 머신, 또는 콘크리트 제품 머신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특허 문헌은 인용에 의해 여기에 병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블럭의 형상은 상술한 장비로 블럭을 쉽게 제조할 수 있는 그런 형상이다. 이 블럭은 일정한 강철 몰드 부품에 의해 중요한 채널 및 플랜지가 형성되도록 측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블럭이 측면을 기준으로 성형되는 경우 몰드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는 그런 구조로 이루어진다.
개시된 시스템의 유지 수단은 도 6에 가장 명료하게 도시된, 보강 부재 유지 막대(22)를 더 포함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지 막대(22)는 특히 채널(16) 내에 끼워 맞춰지는 크기 및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지 막대(22)는 복수의 상이한 표면, 즉 정상면(54), 바닥면(56), 전방면(58) 및 후방면(60)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정상면(54)은 실질적으로 평면 형상이지만, 바닥면(56)는 아치 형상이다. 특히, 바닥면(56)은 채널(16)의 바닥면(40)의 윤곽에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전방면(58)과 후방변(60)은 평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전방면(58)은 정상면(54)으로부터 하방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여 채널(16)의 전방벽(36)과 정합하며,후방면(60)은 정상면(54)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하여 후방벽(38)과 유사하게 정합한다. 상기 유지 막대의 바람직한 치수는 가장 두꺼운 지점에서 두께가 약 0.6인치이고, 가장 얇은 지점에서 약 0.18인치이며, 선행 단부에서 후행 단부까지 약 2인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지 막대는 길이가 64인치이지만, 더 짧은 길이도 견고한 반경 곡선부에 요구될 수 있다.
현재, 유지 막대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중실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유지 막대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공 구조를 가진다. 이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지 막대(22′)도 유사하게 정상면(54′), 바닥면(56′), 전방면(58′) 및 후방면(60′)을 포함하지만, 이 유지 막대(22′)의 내부에는 복수의 공동(61)이 있다. 그러한 공동(6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재료의 체적 및 유지 막대(22′)의 중량 양자는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유지 막대(22, 22′)는 폴리머 또는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재료는 우세한 환경에서 장기간의 성능이 적합하게 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현재, 이 유지 막대에 적합한 바람직한 재료는 인텍 플라스틱사(Intek Plastics, Inc)로부터 구매할 수 있는, 리그라인 CPVC(regrind CPVC)이다. 이 재료는 약 80% CPVC, 약 10% weatherable PVC, 약 10% 강성 PVC로 구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바람직한 막대 치수를 얻기 위해, 다음과 같은 특성, 즉 영계수 = 60,000 psi, 엔지니어링 항복 응력 = 2,048,000 psi, 엔지니어링 변형율 = 3.41 ×10-2in/in 을 만족시키거나 능가하는 재료가 선호되고 있다. 이 유지 막대용으로 상이한 치수 또는 재료가 이용되는 경우, 상이한 특성도 적당하게 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바와 같이, 이 유지 막대(22)는 이 유지 막대(22)를 채널(16) 속에 삽입함으로써, 즉 유지 막대(22)를 비틀어서 채널(16) 내부에 하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채널(16)에 있는 보강 부재(20)의 정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채널(16)은 유지 막대(22), 플랜지(18) 및 보강 재료층을 수용하기 위해 치수 조정될 필요가 있다. 현재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0.06 인치의 치수는 보강 재료의 두께로 추정된다. 이 치수는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두꺼운 지오그리드의 치수 정도이다. 상기 채널이 치수 조정되어 상기 치수의 보강 재료를 수용하는 경우, 그때 채널은 광범위한 보강 재료와 함께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유지 막대(22, 22′)가 채널(16) 속으로 올바르게 삽입된 경우, 이들 막대는 채널(16) 내부에 확실하게 유지되고, 다음에 보강 부재(20)를 제위치에 확실하게 유지시킨다. 상기 유지 막대(22, 22′)는 채널의 후방벽(38)을 지탱하고, 또 보강 부재(20)에 인장 부하가 걸리는 경우에 상부에 위치한 블럭의 플랜지(18)의 바닥면(52)에 접촉한다(도 9). 따라서, 그 유지 막대(22, 22′)는 보강 부재(20)가 옹벽(10)으로부터 끌어당겨져 이탈하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장력이 옹벽(10)의 토양측으로부터 보강 부재(20)에 걸리는 경우, 유지 막대(22, 22′)는 채널에서 상측으로 당겨진다. 채널 속으로 삽입된 플랜지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유지 막대는 회전하게 되어 채널(16) 내부에서 상방 및 후방으로 추가 이동하며, 유지 막대(22)와 채널(16)의 후방벽 사이에서 보강 부재(20)를 클램핑시킨다.
이러한 클램핑 시스템에 의해 블럭과 그리드 사이에는 매우 효과적인 연결이이루어진다. 조립식 옹벽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타입의 표준 연결 시험에 있어서, 아래 표의 연결 강도는 TC Mirafi 5XT 지오그리드를 사용하여 달성되었다.
정규 부하(lb/ft) 최대 연결(lb/ft) 사용중 연결(lb/ft)
241 3199 1509
798 3289 1911
1851 3247 2222
2869 2731 2488
3860 2649 2425
NCMA 설계 방법학에 따르면, 상기 Mirafi 5XT 그리드의 장기간 설계 강도는 1084 lb/ft이며, 따라서 현재 클램프 시스템에 의해 발생된 연결 강도가 대단히 효과적이라는 것은 자명하다.
TC Mirafi 10XT 지오그리드(NCMA 장기간 설계 강도, 2602 lb/ft)에 대한 테스팅에 의해 아래 표의 결과가 산출되었다.
정규 부하(lb/ft) 최대 연결(lb/ft) 사용중 연결(lb/ft)
261 3536 2735
908 4438 3016
1837 4548 3322
2910 4128 3320
3874 4493 3634
본 발명의 시스템은 어떠한 개수의 상이한 구성으로 된 조립식 옹벽을 축조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그러한 옹벽(66)에 대한 다른 예를 예시하고 있다. 이 옹벽(66)을 축조하기 위해, 높이 조정 패드(68)가 통상적으로 배치되어 옹벽(66)을 축조할 토대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이 높이 조정 패드(68)는 옹벽 토대를 보호하기 위해 토양 아래에 매립되어 있는 충전되고 파쇄된 돌 층으로 구성된다. 일단 높이 조정 패드(68)가 배치 및 충전되고 나면, 복수의 토대 블럭(70)이 이 패드(68)의 길이를 따라 정렬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토대 블럭(70)은 중실형이고, 그 정상면에 채널(16)이 형성되어 있다. 맞물리게 되는 하부층이 없기 때문에, 토대 블럭(70)에는 보통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 도면에 묘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토대 블럭(70)은 높이가 비교적 낮은데, 예컨대 대부분의 옹벽(66)으로 구성되는 표준 옹벽 블럭(12) 높이의 약 절반 정도이다. 그러한 토대 블럭(70)은 통상적으로 옹벽(66)의 제1 층에 이용되지만, 표준 옹벽 블럭(12)이 필요한 경우에 이 층을 형성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는 것도 주목해야 한다.
제1 층, 즉 토대 층이 토대 블럭(70) 또는 옹벽 블럭(12)과 함께 형성되고 난 후에는, 다음 층의 블럭(12)이 배치될 수 있다. 이 옹벽 블럭(12)은 토대 층의 블럭(70)의 정상에 배치되며, 이때 플랜지(18)는 이것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하부 블럭(70)의 채널(16) 속으로 연장하게 된다. 도 8로부터, 그리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랜지(18)의 전방면(48)은 채널(16)의 전방벽 어깨부(42)와 정합하기 때문에, 각 플랜지(18)는 어깨부(42) 하측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정합 관계는 옹벽 블럭(12)을 하부 블럭(70)의 꼭대기에 배치되시키고, 그 옹벽 블럭(12)이 전방으로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의해 블럭(12)에 일체적인 고정 수단이 제공된다.
제1 정규 옹벽 층이 토대 층의 꼭대기에 형성되고 난 후에, 후충전 토양(S)은 블럭(12) 뒤에 배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부직 여과 직물(72)이 옹벽(66)과 후충전 토양 사이에 설치되어 토양 내부의 물 이동으로 인한 블럭(12) 층 사이에 입자상 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 선택적으로, 자갈 골재 층이 옹벽과 토양 사이에 제공되어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이후에, 추가의 오름 층이 전술한 방식으로배치된다. 다른 구성도 가능하지만, 보강 부재(20)는 통상적으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개 층의 블럭(12) 마다 배치된다. 그러나, 보강 부재(20)는 축조 지점에 대한 특별한 보강 요구에 따라 다소로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보강 부재(20)는 유연한 폴리머 소재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강 부재(20)는 옹벽(66)의 외측면(15)으로부터 채널(16) 속으로 연장하여 옹벽(66)의 내측면(17)을 지나 토양 속으로 뻗어 나가도록 배치된다. 도 9에 가장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강 부재 유지 막대(22)는 채널(16)에 있는 보강 부재(20)의 정상에 배치된다. 다음 층의 블럭(12)이 배치되는 경우, 상부 블럭(12)의 플랜지(18)는 유지 막대(22)가 배치되는 채널(16) 속으로 들어간다.
이러한 방식으로 옹벽(66)의 축조는 원하는 높이가 될 때까지 계속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옹벽 블럭(12)의 계단식 후퇴는 옹벽(66)의 순수한 내향 계단식 후퇴 외관을 만든다. 따라서, 블럭(12)의 구조는 옹벽(66)의 외측면에 대하여 심미적으로 기분좋은 계단식 외관을 만든다. 옹벽 블럭(12)의 전체 높이가 불필요하거나 요구되지 않는 경우, 낮은 옹벽 블럭(74)이 정상 층 또는 나머지 층을 형성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낮은 옹벽 블럭(74)은 중실형이고, 대약 표준 옹벽 블럭(12)의 절반 높이 정도이다. 일단 옹벽(66)이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되고 나면, 덮개 블럭(76)을 사용하여 옹벽(66)을 완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들 덮개 블럭(76)에는 플랜지(18)가 형성될 수 있지만, 더 이상의 축조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부 채널이 형성되어있지 않다. 이 덮개 블럭(76)은 콘크리트 접착제와 함께 제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 블럭(12)의 외측면과 유사한 장식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 일례로서, 덮개 블럭(76)은 그 아래에 있는 블럭(74)에 비해 밖으로 돌출한 구조로 되어 도 8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심미적인 입술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하부면 수집 배수관(78)이 후충전 토양 내부에 설치되어 그 속에 모아진 과잉수(過剩水)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1-17에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다른 옹벽 블럭(100)이 도시되어 있다. 이 블럭(100)은 바람직한 옹벽 블럭(12)과 많은 공통의 특징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 옹벽 블럭(100)에 대한 아래의 설명은 이 블럭(100)의 차이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도 11 및 도 12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옹벽 블럭(100)은 외측면(102), 대향 내측면(104), 정상면(106), 바닥면(108) 및 2개의 대향 측면(110)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블럭(12)의 경우에서와 같이, 이 블럭(100)의 외측면(102)에는 통상적 장식 조직 또는 페이싱이 형성되어 있고, 이 외측면은 바닥면(108)에서 정상면(106)까지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바람직한 블럭(12)과 유사하게, 옹벽(100)의 내측면(104)은 직립 또는 수직 방향의 배치 관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 옹벽 블럭(100)에는 내부 구멍(112)이 더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블럭(12)의 경우와 같이, 상기 옹벽 블럭(100)은 각각 채널(11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채널(114)이 각 블럭(100)의 정상면(106)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배치도 허용될 수 있다. 이 채널은 블럭(100)의 일측면(110)에서 타측면(110)까지 블럭(100)을 가로 질러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13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채널(114)은 전방벽(118), 후방벽(120) 및 채널 바닥면(12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전방벽(118)은 옹벽 블럭(100)의 내측면(104)를 향하여 내측으로 뻗어 있는 어깨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어깨부(124)는 곡선 입술부로서 배열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채널(114)은 제1 준아치형 에지(126)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채널(114)의 후방벽(120)은 전방벽(118)에 대향 배치되어 있고, 내향으로 연장하는 어깨부(12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방벽 어깨부(128)는 채널(114)의 제2 준아치형 에지(130)를 형성하기 위해 곡선 입술부로서 배열되어 있다. 이들 어깨부(124, 128)가 여기에서는 곡선 입술부로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비추어 다른 배치도 가능하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사실, 보강 부재를 유지하는 데에 이용된 특정 시공법, 채널(114)의 배치 상태, 원하는 층대층 고정 정도에 따라서, 벽(118, 120)은 블럭 축조를 단순화하기 위해 그러한 어깨부(124, 128) 없이 형성될 수 있다.
인접한 층에서 고도의 블럭 맞물림이 필요한 경우, 채널(114)은 특히 블럭(100)으로부터 연장하는 플랜지(116)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플랜지(116)는 블럭(100)의 정상면(108)에 형성되어 블럭(100)의 일측면(110)에서 타측면(110)까지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14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플랜지(116)는 전방면(132), 후방면(134), 정상면(136)에 의해 형성된다. 전방면(132)과 후방면(134) 양자는 옹벽 블럭(100)의 외측면(102)를 향해 연장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블럭(100)은 하부 옹벽 블럭(100)의 정상에 배치될 수 있고, 그 결과 플랜지(116)는 채널(114) 속으로 연장한다. 일단 그렇게 배치되고 나면, 블럭(100) 층은 바람직한 블럭(12)을 이루는 층과 유사한 방식으로 전단력에 저항한다.
다른 옹벽 블럭(100)도 옹벽을 형성하는 데에 이용되는 경우, 보강 부재 유지 막대(138)에 대한 제3 실시 형태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지 막대(138)는 도 15에 가장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이한 표면, 즉 정상면(140), 바닥면(142), 제1 직립면(144), 제2 직립면(146), 제1 경사면(148) 및 제2 경사면(150)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정상면(140)과 바닥면(142)은 제1 경사면(148) 및 제2 경사면(150)과 마찬가지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다. 이와 유사하게, 제1 직립면(144)과 제2 직립면(146)은 서로에 대해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결과 제1 직립면(144)은 정상면(140)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직립면(146)은 바닥면(142)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유지 막대(138)는 이러한 배치 관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막대는 도 16에 예시된 방식으로 이 유지 막대(138)를 채널 속으로 삽입함으로써 채널(114)에 있는 보강 부재(20)의 정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유지 막대(138)는 원래 위치에 있는 경우 채널(114)의 전방벽(118)과 후방벽(120) 사이에 밀접하게 끼워 맞춰지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채널(114) 속에 길이 방향 노치(152)가 형성되어, 도 16 및 도 17 양자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지 막대(138)를 하방 삽입하는 동안에 제2 직립면(146)을 수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전술한 설명 및 도면에서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지만,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개량 형태가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이탈하는 일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특정한 블럭 구성이 여기에서 확인되고 있지만, 특히 여기에 설명된 유지 수단은 과거 및 장래의 옹벽 블럭 구조에도 응용될 수 있다.

Claims (25)

  1. 모듈형 옹벽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측 블럭면과,
    모듈형 옹벽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 블럭면과,
    상기 외측 블럭면으로부터 상기 외측 블럭면까지 연장하는 제1 및 제2 블럭 측면과,
    채널 전방벽, 채널 후방벽 및 채널 바닥면에 의해 형성되는 맞물림 채널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블럭 정상면과,
    맞물림 플랜지를 구비한 블럭 바닥면을 구비하며,
    상기 맞물림 채널은 상기 블럭 정상면을 가로 질러 횡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채널 전방벽은 이의 일부분을 현수하기 위해 상기 내측 블럭면을 향해 연장하는 전방 입술부를 형성하며, 상기 채널 후방벽은 이의 일부분을 현수하기 위해 상기 외측 블럭면을 향해 연장하는 후방 입술부를 형성하며, 상기 전방 및 후방 입술부는 서로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되며, 이들 입술부 사이의 가장 인접한 거리는 상기 맞물림 채널의 목을 형성하며,
    상기 맞물림 플랜지는 상기 블럭 바닥면에서 연장하는 플랜지 전방면, 상기 블럭 바닥면에서 연장하는 플랜지 후방면 및 이들 플랜지 전방면 및 후방면 사이에서 연장하는 플랜지 정상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블럭 플랜지는 상기 맞물림 채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블럭 바닥면을 가로 질러 횡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맞물림 플랜지는 크기, 형상 및 위치가 조정되어 상기 플랜지 정상면이유사한 구성의 블럭의 채널 목을 통해 끼워 맞춰지며, 상기 플랜지 전방면은 이의 일부분을 현수하기 위해 상기 외측 블럭면을 향해 연장하고 크기 및 형상이 조정되어 토양 보강 재료의 층이 상기 플랜지 전방면과 맞물림 채널 전방 입술부 사이에서 중첩되는 경우에 상기 유사한 구성의 블럭의 맞물림 채널의 전방 입술부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맞물리는 일부분을 포함하며, 그 결과 상기 옹벽 블럭이 유사한 구성의 블럭의 정상에서 적층되며, 상기 옹벽 블럭이 상기 유사한 구성의 블럭 상에 적절하게 정렬되어 상기 유사한 구성의 블럭의 플랜지 및 채널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옹벽 블럭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거나 흔들거리는 것을 견디는 것인 조립식 옹벽 시스템용 옹벽 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입술부는 둥글게 되어 상기 맞물림 채널의 제1 준아치형 에지를 형성하는 것인 조립식 옹벽 시스템용 옹벽 블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입술부는 상기 내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하는 것인 조립식 옹벽 시스템용 옹벽 블럭.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입술부는 둥글게 되어 상기 맞물림 채널의 제1 준아치형 에지를 형성하는 것인 조립식 옹벽 시스템용 옹벽 블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채널은 상기 옹벽 블럭의 제1 측면에서 제2 측면까지 연장하는 것인 조립식 옹벽 시스템용 옹벽 블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플랜지의 후방면은 상기 옹벽 블럭의 외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하는 것인 조립식 옹벽 시스템용 옹벽 블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플랜지는 상기 옹벽 블럭의 제1 측면에서 제2 측면까지 연장하는 것인 조립식 옹벽 시스템용 옹벽 블럭.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 정상면과 상기 블럭 바닥면은 서로에 대해 거의 평행한 것인 조립식 옹벽 시스템용 옹벽 블럭.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은 상기 옹벽 블럭의 바닥면에서 정상면가지 내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인 조립식 옹벽 시스템용 옹벽 블럭.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 블럭의 제1 측면에서 제2 측면까지 연장하는 내부 구멍을 더 구비하는 것인 조립식 옹벽 시스템용 옹벽 블럭.
  11. 하나가 다른 하나의 꼭대기에 적층되는 복수층의 콘크리트 옹벽 블럭으로, 각 블럭은 복수의 외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층 중 1개층 이상의 복수의 옹벽 블럭 각각은 하나의 표면을 가로 질러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맞물림 채널을 포함하고, 토양 보강 부재 및 토양 보강 부재 유지 막대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맞물림 채널 각각은 전방벽, 후방벽 및 채널 바닥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맞물림 채널 각각의 전방벽은 상기 맞물림 채널의 후방벽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전방 입술부를 형성하며, 상기 전방 입술부는 인접한 블럭의 맞물림 플랜지에 맞물려서 상기 인접한 블럭을 상기 콘크리트 옹벽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는, 복수층의 콘크리트 옹벽 블럭과,
    상기 옹벽 후방에 있는 토양 속으로 연장하여 토양의 이동을 안정화시키며, 층을 이루는 1개 이상의 블럭의 맞물림 채널 속에 배치되는 일부를 포함하는 토양 보강 부재와,
    상기 보강 부재의 일부분을 유지시키는 맞물림 채널 내에 위치하고, 상기 옹벽이 형성되는 동안에 적어도 1개는 상기 옹벽 내부에 토양 보강 부재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1개 이상의 토양 보강 부재 유지 막대를 포함하는 것인 옹벽 형성용 조립식 블럭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 채널의 후방 벽은 상기 전방벽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후방 입술부를 형성하는 것인 옹벽 형성용 조립식 블럭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보강 부재는 지오그리드(geogrid)인 것인 옹벽 형성용 조립식 블럭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보강 부재는 직물인 것인 옹벽 형성용 조립식 블럭 시스템.
  15. 조립식 옹벽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측면과,
    상기 조립식 옹벽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면과,
    상기 외측면에서 상기 내측면까지 연장하는 제1 및 제2 측면과,
    정상면과 바닥면과,
    전방벽, 후방벽 및 아치형 바닥면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내측면과 외측면과 정상면과 바닥면 중 하나를 가로 질러 연장하는 채널과,
    크기 및 형상이 조정되어 다른 블럭의 채널과 정합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의 후방벽은 내측으로 연장하는 어깨부를 포함하는 것인 조립식 옹벽 시스템용 옹벽 블럭.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옹벽 블럭의 정상면에서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인 조립식 옹벽 시스템용 옹벽 블럭.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은 아치형 곡선부와 평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조립식 옹벽 시스템용 옹벽 블럭.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보강 부재 유지 막대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것인 조립식 옹벽 시스템용 옹벽 블럭.
  19. 제15항에 잇어서, 상기 채널의 전방벽은 내측으로 연장하는 어깨부를 포함하는 것인 조립식 옹벽 시스템용 옹벽 블럭.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 어깨부는 제1 및 제2 준평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조립식 옹벽 시스템용 옹벽 블럭.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준평면은 약 90°의 각도로 상기 정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준평면은 상기 제1 준평면으로부처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것인 조립식 옹벽 시스템용 옹벽 블럭.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준평면은 상기 제1 준평면으로부터 약 45°의 각도로 연장하는 것인 조립식 옹벽 시스템용 옹벽 블럭.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옹벽의 바닥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인 조립식 옹벽 시스템용 옹벽 블럭.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전방면, 후방면 및 바닥면을 구비하는 것인 조립식 옹벽 시스템용 옹벽 블럭.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형상이 아치형인 것인 조립식 옹벽 시스템용 옹벽 블럭.
KR10-2001-7016503A 1999-06-24 2000-01-27 조립식 옹벽 시스템 KR1005222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39,132 US6416257B1 (en) 1998-03-27 1999-06-24 Segmental retaining wall system
US09/339,132 1999-06-24
US09/487,820 US6318934B1 (en) 1999-06-24 2000-01-18 Segmental retaining wall system
US09/487,820 2000-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566A true KR20020062566A (ko) 2002-07-26
KR100522261B1 KR100522261B1 (ko) 2005-10-19

Family

ID=2699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503A KR100522261B1 (ko) 1999-06-24 2000-01-27 조립식 옹벽 시스템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6318934B1 (ko)
EP (2) EP1788158B1 (ko)
JP (1) JP4676120B2 (ko)
KR (1) KR100522261B1 (ko)
CN (1) CN1155757C (ko)
AT (1) ATE423875T1 (ko)
AU (2) AU764241B2 (ko)
BR (1) BR0011855A (ko)
CA (1) CA2370574C (ko)
CZ (1) CZ303170B6 (ko)
DE (2) DE60041673D1 (ko)
ES (2) ES2318651T3 (ko)
HK (1) HK1047779B (ko)
IL (2) IL147230A0 (ko)
MX (1) MXPA01013378A (ko)
MY (1) MY128211A (ko)
NO (1) NO20016186L (ko)
NZ (1) NZ516498A (ko)
PL (1) PL355836A1 (ko)
PT (2) PT1196662E (ko)
WO (1) WO200100093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125B1 (ko) * 2011-08-25 2013-11-01 (주) 에코월드 경사면을 갖는 옹벽축조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2302181B1 (ko) * 2021-07-07 2021-09-13 신동국 활동 및 전도 방지 기능을 갖는 옹벽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8597B1 (en) * 1998-03-27 2002-01-15 Anchor Wall Systems, Inc. Modular retaining wall system
EP1153173A1 (en) 1999-02-12 2001-11-14 Shaw Technologies Inc. Interlocking segmental retaining wall
US6827527B2 (en) * 1999-12-20 2004-12-07 The New Castle Group, Inc. Wall components and method
US7096635B2 (en) * 2001-03-02 2006-08-29 Rockwood Retaining Walls, Inc. Multiuse block and retaining wall
US6651401B2 (en) * 2001-03-02 2003-11-25 Rockwood Retaining Walls Inc.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wall construction
US6854231B2 (en) * 2001-07-12 2005-02-15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Multi-channel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WO2003062538A2 (en) * 2002-01-18 2003-07-31 Shaw Technologies, Inc. Interlocking and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US6862856B2 (en) 2002-02-08 2005-03-08 Anchor Wall Systems, Inc. Corner block for use in forming a corner of a segmental retaining wall
JP4574350B2 (ja) * 2002-06-24 2010-11-04 ジェネン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Apo−2リガンド/trail変異体とその使用法
US20040062614A1 (en) * 2002-09-30 2004-04-01 Anderson Robert B. Reinforcement connection for pre-cast wall panel
US6679656B1 (en) 2002-12-13 2004-01-20 Redi-Rock International, Llc Connection for geogrid to concrete block earth retaining walls
US6701687B1 (en) * 2003-05-08 2004-03-09 Ridgerock Retaining Walls Inc. Modular wall block with mechanical course connector
US20040265070A1 (en) * 2003-06-27 2004-12-30 Lakdas Nanayakkara Earth retaining and geo-grid wall system
JP3939283B2 (ja) * 2003-10-15 2007-07-04 守人 宇都宮 ブロックおよびブロック連結具
US20050241257A1 (en) * 2004-04-30 2005-11-03 Price Raymond R Asymmetric retaining wall block
CA2558403A1 (en) 2005-09-06 2007-03-06 Rocvale Produits De Beton Inc. Block connector
US20070130841A1 (en) * 2005-12-12 2007-06-14 Bays Richard V Construction module system and method
ATE450672T1 (de) * 2006-01-11 2009-12-15 Festoo Constructs Bausteine mit zusammenpassenden kopplungsmitteln zum bau einer mauer und zugehöriges verfahren
US20080120931A1 (en) * 2006-06-30 2008-05-29 Mark Joslyn Masonry block arrangements; wall units; and, methods
US7959380B2 (en) * 2007-10-11 2011-06-14 Pacific Fence-Crete Ltd. Landscaping system
US20090185870A1 (en) * 2008-01-18 2009-07-23 Shaw Kenneth L Retaining wall block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10019949A2 (en) * 2008-08-15 2010-02-18 Smart Slope, Llc Retaining wall system
US7775747B2 (en) * 2008-11-05 2010-08-17 Allan Block Corporation Multi-component retaining wall block
US20110200390A1 (en) * 2009-12-28 2011-08-18 Rodriguez Joseph E Free Draining Seal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for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 Structures
EP2542724A1 (en) * 2010-03-04 2013-01-09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Retaining wall
US20160067577A1 (en) * 2010-09-17 2016-03-10 Hershel James HOWARD Sports Training System and Method
BR112013007582A2 (pt) * 2010-10-01 2016-08-02 Tetraloc Pty Ltd bloco de construção
CZ303478B6 (cs) 2011-04-04 2012-10-10 Krivinka@Zdenek Modulový systém stavebních prefabrikátu
US9695596B2 (en) 2011-05-02 2017-07-04 Pacific Prebenched Ltd. Natural rock panel, natural rock veneer panel and panel support apparatus
BE1021487B1 (nl) * 2012-10-31 2015-12-02 Scheys Beton Stapelbare betonblok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CN102995657B (zh) * 2012-12-05 2015-04-08 河海大学 一种互嵌式生态砌块挡土墙及其施工方法
US9701046B2 (en) 2013-06-21 2017-07-11 Pavesto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ry cast facing concrete deposition
US10583588B2 (en) 2013-06-21 2020-03-10 Pavestone, LLC Manufactured retaining wall block with improved false joint
USD791346S1 (en) 2015-10-21 2017-07-04 Pavestone, LLC Interlocking paver
CN103352478B (zh) * 2013-07-18 2016-01-06 重庆永固建筑科技发展有限公司 自锁式加筋土挡墙面块及挡墙系统
USD737468S1 (en) 2014-05-07 2015-08-25 Pavestone, LLC Front face of a retaining wall block
CN106414863B (zh) * 2014-06-06 2019-05-28 布拉什精密陶瓷公司 转化器烟气隧道及其耐火部件
CN111188356A (zh) * 2020-02-24 2020-05-22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重力挡土墙及其施工方法
CN111188359A (zh) * 2020-02-24 2020-05-22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挡土墙及其施工方法
US11525233B1 (en) 2020-07-23 2022-12-13 Pmee International, Llc System of engineered post tensioned footing and stem wall foundation blocks
CN112127500A (zh) * 2020-09-08 2020-12-25 重庆大学 一种蒸压加气混凝土曲边墙板-现浇混凝土圈梁、构造柱组合墙
USD1037491S1 (en) 2021-12-14 2024-07-30 Pavestone, LLC Wall block
CN114753522B (zh) * 2022-05-24 2023-08-08 金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滤网结构砌块砌体式充填挡墙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608A (en) * 1904-01-05 Nozzle
US677351A (en) 1901-02-19 1901-07-02 Balthasar Haffner Building-block.
US748603A (en) 1903-01-10 1904-01-05 Frank B Henry Building-block.
US1130324A (en) * 1913-08-22 1915-03-02 Robert C D Owen Building-block for wall constructions.
US1162409A (en) 1915-03-04 1915-11-30 Allen C Shimer Cement-block construction.
ATE15393T1 (de) * 1981-06-11 1985-09-15 West Yorkshire Metropolitan Co Bewehrte erdbauwerke und verkleidungselemente dafuer.
US4448571A (en) 1981-11-30 1984-05-15 Eckels Robert Y Panel system for slope protection
CA1182295A (en) * 1982-08-16 1985-02-12 Angelo Risi Retaining wall system
US4815897A (en) * 1982-08-16 1989-03-28 Rothbury Investments Limited Retaining wall system
US4530622A (en) * 1982-12-23 1985-07-23 P.L.G. Research Limited Retaining fill in a geotechnical structure
US4601148A (en) * 1983-06-24 1986-07-22 Angelo Risi Module for walls and free standing structure
US4914876A (en) * 1986-09-15 1990-04-10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Retaining wall with flexible mechanical soil stabilizing sheet
US4824293A (en) * 1987-04-06 1989-04-25 Brown Richard L Retaining wall structure
US5294216A (en) * 1989-09-28 1994-03-15 Anchor Wall Systems, Inc. Composite masonry block
CA2017578C (en) * 1990-05-25 1997-12-23 Angelo Risi Embankment reinforcing structures
US5044834A (en) * 1990-07-26 1991-09-03 Graystone Block Co., Inc.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nd blocks therefor
US5257880A (en) * 1990-07-26 1993-11-02 Graystone Block Co.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nd blocks therefor
US5066169A (en) * 1991-02-19 1991-11-19 Gavin Norman W Retaining wall system
CA2045953C (en) * 1991-06-28 1995-12-19 Angelo Risi Connector for use in combination with blocks for wall structures or the like
JPH0641993A (ja) * 1992-07-27 1994-02-15 Matsuo Kensetsu Kk もたれ擁壁
US5343672A (en) * 1992-12-01 1994-09-06 Scherer Ltd R P Method for manufacturing freeze dried dosages in a multilaminate blister pack
US5624211A (en) * 1993-03-31 1997-04-29 Societe Civile Des Brevets Henri C. Vidal Modular block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nd components
USD350611S (en) * 1993-08-18 1994-09-13 Scales John M Retaining wall block
JP2928903B2 (ja) * 1993-09-27 1999-08-03 日特建設株式会社 盛土用土留壁
US5417523A (en) * 1993-10-29 1995-05-23 Scales; John Connector and method for engaging soil-reinforcing grid and earth retaining wall
US5522682A (en) * 1994-03-02 1996-06-04 The Tensar Corporation Modular wall block system and grid connection device for use therewith
US5595460A (en) * 1994-06-06 1997-01-21 The Tensar Corporation Modular block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US5540525A (en) * 1994-06-06 1996-07-30 The Tensar Corporation Modular block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JPH08105068A (ja) * 1994-07-25 1996-04-23 Toshihide Ozaki 可逆性を有した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US5580191A (en) * 1995-02-07 1996-12-03 The Tensar Corporation Marine wall
US5568998A (en) * 1995-02-14 1996-10-29 The Tensar Corporation Precast wall panel and grid connection device
CA2145344C (en) * 1995-03-23 2001-01-16 Angelo Risi Retaining wall block
US5568999A (en) * 1995-04-03 1996-10-29 The Tensar Corporation Retaining wall block system
US5697735A (en) * 1995-06-05 1997-12-16 The Tensar Corporation Cut wall confinement cell
US5673530A (en) * 1996-01-25 1997-10-07 The Tensar Corporation Modular block retaining wall system
US5619835A (en) * 1996-01-25 1997-04-15 The Tensar Corporation Modular block retaining wall system
WO1998006907A1 (en) 1996-08-09 1998-02-19 Derrick Ian Peter Price Soil reinforcement
JPH10183625A (ja) * 1996-12-25 1998-07-1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合成樹脂発泡体ブロック及びそれを連結する連結部材
US5921715A (en) * 1997-04-30 1999-07-13 Anchor Wall Systems, Inc. Retaining wall and method
US5865006A (en) * 1997-06-02 1999-02-02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Retaining wall block and wall construction
US5899040A (en) 1997-09-08 1999-05-04 Cerrato; Dominic Flexible interlocking wall system
US6679656B1 (en) * 2002-12-13 2004-01-20 Redi-Rock International, Llc Connection for geogrid to concrete block earth retaining walls
ITBS20050059A1 (it) * 2005-05-20 2006-11-21 Cementifera Di Vezzoli Geom Michele & C Sistema di ancoraggio di un'opera muraria in blocchi di calcestruzz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125B1 (ko) * 2011-08-25 2013-11-01 (주) 에코월드 경사면을 갖는 옹벽축조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2302181B1 (ko) * 2021-07-07 2021-09-13 신동국 활동 및 전도 방지 기능을 갖는 옹벽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016186D0 (no) 2001-12-18
AU2003259600A1 (en) 2003-11-20
HK1047779A1 (en) 2003-03-07
EP1788158A1 (en) 2007-05-23
US6318934B1 (en) 2001-11-20
ES2318651T3 (es) 2009-05-01
ES2279755T3 (es) 2007-09-01
CA2370574C (en) 2007-05-29
CZ20014554A3 (cs) 2002-08-14
ATE423875T1 (de) 2009-03-15
IL147230A0 (en) 2002-08-14
DE60041673D1 (de) 2009-04-09
EP1196662A4 (en) 2003-01-08
PL355836A1 (en) 2004-05-17
JP2003504535A (ja) 2003-02-04
HK1047779B (zh) 2004-12-10
EP1196662B1 (en) 2007-01-10
JP4676120B2 (ja) 2011-04-27
CA2370574A1 (en) 2001-01-04
BR0011855A (pt) 2002-03-05
KR100522261B1 (ko) 2005-10-19
DE60032901T2 (de) 2007-10-25
CN1155757C (zh) 2004-06-30
CN1360656A (zh) 2002-07-24
NO20016186L (no) 2002-02-20
AU764241B2 (en) 2003-08-14
WO2001000932A1 (en) 2001-01-04
AU2742000A (en) 2001-01-31
EP1196662A1 (en) 2002-04-17
NZ516498A (en) 2003-08-29
IL147230A (en) 2006-04-10
PT1196662E (pt) 2007-04-30
MXPA01013378A (es) 2002-07-02
EP1788158B1 (en) 2009-02-25
DE60032901D1 (de) 2007-02-22
PT1788158E (pt) 2009-03-24
MY128211A (en) 2007-01-31
CZ303170B6 (cs)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2261B1 (ko) 조립식 옹벽 시스템
US6758636B2 (en) Segmental retaining wall system
USRE39922E1 (en) Segmental retaining wall system
US5865006A (en) Retaining wall block and wall construction
US8684635B2 (en) Precast wall system
US6338597B1 (en) Modular retaining wall system
US20110243669A1 (en) Retaining wall block system
JP2002500300A (ja) 機械的に安定化される土構造のための安定化要素及び機械的に安定化される土構造
JP2007530833A (ja) 補強土擁壁システム及び構築方法
US6862856B2 (en) Corner block for use in forming a corner of a segmental retaining wall
CA2758248C (en) Precast wall system
CA2583502C (en) Segmental retaining wall system
MXPA97000311A (en) Block panel system insured with 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