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1220A - 저음대역을 개선한 밀폐형 소형 스피커장치 - Google Patents

저음대역을 개선한 밀폐형 소형 스피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1220A
KR20020061220A KR1020010002158A KR20010002158A KR20020061220A KR 20020061220 A KR20020061220 A KR 20020061220A KR 1020010002158 A KR1020010002158 A KR 1020010002158A KR 20010002158 A KR20010002158 A KR 20010002158A KR 20020061220 A KR20020061220 A KR 20020061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case
sound absorbing
sound
speak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3465B1 (ko
Inventor
이홍로
김중태
Original Assignee
이홍로
김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로, 김중태 filed Critical 이홍로
Priority to KR10-2001-0002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3465B1/ko
Publication of KR20020061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4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3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Abstract

본 발명은 저음대역을 개선한 밀폐형 소형 스피커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피커(1)의 케이스(2) 내부에 환형 흡음부재(10)와 평판형 흡음부재(20)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흡음부재(10,20)는 제1경사부재(31)와 제2경사부재(32)가 소정의 사이각을 갖도록 일측 모서리(35)를 공유하는 흡음유니트(30)가 연속하여 반복형성되고, 상기 흡음유니트(30)는 모서리(35)에 그 길이방향으로 슬릿(36)이 각각 형성된 구조로 되어, 스피커의 후측방으로 출력되는 소리를 흡수하여 케이스내의 압력상승을 막아 저역 주파수대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저음대역을 개선한 밀폐형 소형 스피커장치{ Speaker device improved the reproduction of low frequency band }
본 발명은 스피커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명실을 구비한 소형 밀폐형 스피커케이스의 내부에서 저음주파수 대역의 특성을 보강한 저음대역을 개선한 밀폐형 소형 스피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101)는 전방으로 소리를 전파하게 되며 스피커(101)의 후방에서 스피커(101)로 전달되는 방해음파에 의해 서로 간섭이 이루어지게 되어, 스피커(101)의 후방의 음파를 차단하는 밀폐형 스피커장치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밀폐형 스피커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밀폐형 스피커장치는 케이스(102)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으로 섬유질 흡음재(103)가 부착설치되며, 상기 케이스(102)의 전방으로 스피커(101)가 그 정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고정설치된 구조이다.
종래의 밀폐형 스피커장치는 내부의 공기가 외부와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음파에 의한 간섭은 없으나, 케이스(102)의 내측벽에 반사되는 반향파에 의해 내부압력이 높아져서 스피커(101)의 후면으로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특히, 밀폐형 스피커장치에서는 저음역이 흡수가 안되면 스피커의 작동시 내부 스피커(101) 후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스피커(101)의 최저 공진주파수가 높아지므로 저음이 나오기 어렵고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소형컴퓨터나 소형 하이파이용 스피커 등에서는 대부분 섬유질 재료를 공명식 내벽에 사용한 방식이 대부분인데, 섬유질 흡음재(103)로는 소리의 진동에너지를 소모시키는 흡음 효과를 구현하기 어렵고, 저음역에서 케이스(102)의 진동을 멈추는 정도 이외에는 큰 역할을 하지 못하여 사실상 스피커의 후면에서 밀려오는 저음을 흡수하는 것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섬유질 흡음재(103)를 사용하더라도 저음흡수가 거의 되지 않아 케이스(102)내에 음압이 상승하는 것을 막을 수 없게 되므로 공진주파수가 상승해서 저역 주파수의 재생한계를 낮추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밀폐형 스피커장치를 보강한 저음반사형 스피커장치는 상기 밀폐형 스피커장치의 케이스(102)의 스피커(101) 하부에 덕트를 형성하여, 덕트내의 공진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는 스피커의 전면을 통해 나온 소리와 위상이 동상이 되게 함으로써 저음을 증강시키도록 되어 있으나, 덕트내의 공진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에서는 재생능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명실을 갖춘 스피커케이스 내부에서 측벽에 의해 반사되어 스피커 후면에 가해지는 음압을 감소시킴으로써 최저 공진주파수의 상승을 막아 저음주파수대역의 재생이 용이하게 하는 저음대역을 개선한 밀폐형 소형 스피커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피커의 케이스 내부에 환형 흡음부재와 평판형 흡음부재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흡음부재는 제1경사부재와 제2경사부재가 소정의 사이각을 갖도록 일측 모서리를 공유하는 흡음유니트가 연속하여 반복형성되고, 상기 흡음유니트는 모서리에 그 길이방향으로 슬릿이 각각 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스피커의 후측방으로 출력되는 소리를 흡수하여 케이스내의 압력상승을 막아 저역 주파수대의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밀폐형 스피커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음대역을 개선한 밀폐형 소형 스피커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후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흡음유니트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흡음부재를 통과하는 음파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스피커 2 : 케이스
3 : 스피커콘 4 : 공명실
10 : 환형 흡음부재 20 : 평판형 흡음부재
30 : 흡음유니트 31 : 제1경사부재
32 : 제2경사부재 33 : 안내면
34 : 방사면 35 : 모서리
36 : 슬릿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음대역을 개선한 밀폐형 소형 스피커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후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흡음부재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한 본 발명은, 스피커(1)의 케이스(2) 내부에 환형 흡음부재(10)가 스피커콘(3)의 외주면을 따라 인접하여 고정설치되고, 상기 케이스(2)의 후측벽과 일정간격을 두고 인접하여 평판형 흡음부재(20)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흡음부재(10,20)는 제1경사부재(31)와 제2경사부재(32)가 소정의 사이각을 갖도록 일측 모서리(35)를 공유하는 흡음유니트(30)가 연속하여 반복형성되고, 상기 흡음유니트(30)는 케이스(2)의 측벽을 향해 돌출된 모서리(35)에 그 길이방향으로슬릿(36)이 각각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의 구조로 된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흡음부재(10,20)가 고정설치된 것에 있는 바, 상기 흡음부재(10,20)는 스피커(1)의 후방으로 전파되는 저음을 통과시키고, 그 통과된 저음이 케이스(2)의 측벽에 부딪혀 반사되는 반사음은 차단하여 스피커(1) 후방의 음압상승을 막아 저음대역의 소리가 출력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케이스(2)는 스피커(1)의 후방에 공명실(4)을 갖고 스피커(1)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스피커(1)에 고정설치되어, 스피커(1)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소리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스피커(1)의 측방과 후방 케이스(2)의 내부에서 저음대역이 흡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흡음부재(10,20)는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스피커(1)의 측방과 후방으로 출력되는 저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흡음유니트(30)가 연속하여 반복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음유니트(30)는 상기 흡음부재(10,20)를 이루는 단위부재로, 제1경사부재(31)와 제2경사부재(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경사부재(31)와 제2경사부재(32)는 소정의 사이각을 갖도록 일측 모서리(35)를 공유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제1경사부재(31)와 제2경사부재(32)가 공유하는 모서리(35)에는 슬릿(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경사부재(31)와 제2경사부재(32)는 상기 스피커(1)에서 출력되는 소리 안내하여 통과시키거나 상기 케이스(2)의 측벽에서 반사된 소리를 방사하여 통과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각 경사부재(31,32)는 크기가 동일한 사각평판이고, 각각의 일측 모서리(35)를 서로 공유하여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흡음유니트(30)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경사부재(31,32)는 스피커(1) 쪽으로 노출된 안내면(33)과 상기 케이스(2)의 측벽 쪽으로 노출된 방사면(34)으로 이루어져, 상기 흡음유니트(30)에는 한쌍의 안내면(33)이 서로 소정의 각을 이루며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안내면(33)은 스피커(1)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케이스(2)의 측벽 쪽으로 갈수록 모아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한쌍의 방사면(34)은 상기 안내면(33)의 반대면으로, 상기 케이스(2)의 측벽에서 반사되는 소리가 스피커(1) 쪽으로 갈수록 흩어져 방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릿(36)은 흡음부재(10,20)에서 소리를 통과시키는 통로로, 상기 한쌍의 안내면(33)을 따라 모아진 소리를 케이스(2)의 측벽 쪽으로 내보내고, 상기 케이스(2)의 측벽에서 반사된 소리 중 극히 일부만을 다시 슬릿(36)으로 통과시켜 스피커(1) 쪽으로 내보내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흡음부재를 통과하는 음파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1)에서 출력되는 소리는 상기 흡음부재(10,20)의 각 슬릿(36)을 통해 케이스(2)의 측벽에 부딪혀 반사되고, 그 반사된 소리는 극히 일부만이 슬릿(36)을 통해 다시 스피커(1) 쪽으로 보내진다.
즉, 상기 스피커(1)에서 출력된 소리는 대부분이 상기 흡음부재(10,20)의 안내면(33)을 따라 모아져 각 슬릿(36)을 통해 케이스(2)의 측벽 쪽으로 통과되고, 케이스(2)의 측벽에서 반사된 소리는 대부분이 상기 흡음부재(10,20)의 방사면(34)을 따라 안내되어 케이스(2)의 측벽과 흡음부재(10,20)의 사이에서 공전하게 되고 극히 소량만이 다시 슬릿(36)을 통해 스피커(1) 쪽으로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1)에서 출력되는 저음은, 케이스(2)의 측벽에서 반사되는 소리가 상기 흡음부재(10,20)에 흡수되기 때문에, 측벽에서 반사되는 소리에 의해 상쇄되거나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그대로 출력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밀폐형 스피커(1) 케이스(2)의 내부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막아 공진주파수의 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저역 주파수대의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환형 흡음부재(10,20)는 상기 흡음유니트(30)를 환형이 되도록 연속하여 반복형성한 것으로, 스피커콘(3)의 외주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인접하게 고정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환형 흡음부재(10,20)는 이중으로 스피커(1)의 후측방에 설치되어 스피커콘(3)의 외주면에서 연직방향으로 출력되는 소리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평판형 흡음부재(20)는 상기 흡음유니트(30)가 평판형으로 연속하여 반복형성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2)의 측벽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고정설치되어 스피커(1)의 후방으로 출력되는 소리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음대역을 개선한 밀폐형 소형 스피커장치에 의하면, 케이스(2)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케이스(2)내의 압력상승을 막아 저음대역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음대역을 개선한 밀폐형 소형 스피커장치에 의하면, 스피커의 후측방으로 출력되는 소리를 흡수하여 케이스내의 압력상승을 막아 저역 주파수대의 출력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특히 소형 밀폐형 스피커의 저음재생 성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컴퓨터용 소형 스피커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스피커(1)의 후측방에 공명실(4)을 갖도록 케이스(2)가 구비된 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장치는 상기 케이스(2) 내부에 흡음부재(10,20)가 적어도 1개이상 고정설치되고, 상기 흡음부재(10,20)는 복수개의 흡음유니트(30)가 연속하여 반복형성되며, 상기 흡음유니트(30)는 제1경사부재(31)와 제2경사부재(32)가 소정의 사이각을 갖도록 일측 모서리(35)를 공유하여 형성되고, 상기 흡음유니트(30)의 모서리(35)에 그 길이방향으로 슬릿(36)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음대역을 개선한 밀폐형 소형 스피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10,20)는 스피커콘(3)의 외주면을 따라 인접하여 고정설치된 환형 흡음부재(10)와, 상기 케이스(2)의 후측벽과 일정간격을 두고 인접하여 고정설치된 평판형 흡음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음대역을 개선한 밀폐형 소형 스피커장치.
KR10-2001-0002158A 2001-01-15 2001-01-15 저음대역을 개선한 밀폐형 소형 스피커장치 KR100383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158A KR100383465B1 (ko) 2001-01-15 2001-01-15 저음대역을 개선한 밀폐형 소형 스피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158A KR100383465B1 (ko) 2001-01-15 2001-01-15 저음대역을 개선한 밀폐형 소형 스피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220A true KR20020061220A (ko) 2002-07-24
KR100383465B1 KR100383465B1 (ko) 2003-05-12

Family

ID=2769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158A KR100383465B1 (ko) 2001-01-15 2001-01-15 저음대역을 개선한 밀폐형 소형 스피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34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215A (ko) * 2018-08-08 2020-02-18 주식회사 나노메딕스 음파 소화기용 스피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347B1 (ko) * 2009-12-09 2011-01-19 한국기계연구원 이어폰용 흡음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215A (ko) * 2018-08-08 2020-02-18 주식회사 나노메딕스 음파 소화기용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3465B1 (ko) 200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92019A1 (en) Waveguide electroacoustical transducing
US3887031A (en) Dual-range sound absorber
CN107293283B (zh) 一种声学超表面和声波聚焦装置
US6356643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7207413B2 (en) Closed loop embedded audio transmission line technology for loudspeaker enclosures and systems
JP2010085989A (ja) 音響構造体および音響室
KR20180021605A (ko) 파동 전파 속도 조절을 이용한 흡차음 구조물 및 흡차음 구조물의 설계 방법
US20140291065A1 (en) Loudspeaker having external extension
KR100383465B1 (ko) 저음대역을 개선한 밀폐형 소형 스피커장치
JP2769448B2 (ja) 定在波又は特定波の低減装置
KR20010083946A (ko) 비상관성 상(Phase) 발산 음향원을 구비한 확성기
JP2724230B2 (ja) ホーン型スピーカ
JPH0834644B2 (ja) スピーカシステム
JP2003319481A (ja) スピーカエンクロージャ
KR20000000338A (ko) 임피던스 정합 저역흡수기
JP2580383B2 (ja) スピーカシステム
KR960004924Y1 (ko) 소음 · 진동 흡수용 흡음판의 구조
JPH09307985A (ja) スピーカ装置
KR200328974Y1 (ko) 흡음패널
JPH1011070A (ja) 能動騒音制御装置
KR100411705B1 (ko) 흡음체와 그 제조방법
KR20230035798A (ko) 음향 메타재료를 이용한 소음 저감장치
JPS5931095Y2 (ja) 位相反転形スピ−カキヤビネツト
JP2023112626A (ja) ヘルムホルツ吸音器によるスピーカの音質改善の方法及び装置
SU581215A1 (ru) Глушитель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ого шу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