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7738A - 볼트 신장체결장치 - Google Patents

볼트 신장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7738A
KR20020057738A KR1020010000740A KR20010000740A KR20020057738A KR 20020057738 A KR20020057738 A KR 20020057738A KR 1020010000740 A KR1020010000740 A KR 1020010000740A KR 20010000740 A KR20010000740 A KR 20010000740A KR 20020057738 A KR20020057738 A KR 20020057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ring
cylinder
hydraulic pressure
upp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0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은
Original Assignee
조성은
주식회사 무진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은, 주식회사 무진기연 filed Critical 조성은
Priority to KR1020010000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7738A/ko
Publication of KR20020057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73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9Use of a hydraulic action

Landscapes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피가 매우 큰 기기를 체결할 때 사용되는 직경이 50mm 이상의 볼트를 채울때 사용하기 위한 볼트 신장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홀(12)(22)과 유압로(11)(21)를 형성하고, 장볼트(40)로 중첩되게 조립되는 상하부실린더(10)(2)내에 상하부링형피스톤(16)(26)을 내장하여 직경이 10mm 정도로 굵은 볼트를 신장시키는 굵은볼트 신장수단을 구성하여 기기 일단이 기기에 나사연결되고 링형너트(105) 나사끼움 된 스터드볼트(102)를 상기 상하부링형 피스톤(16)(26)의 내경에 유입한 상태로 연결하여 상하부링형피스톤(16)(26) 작용으로 스터드볼트(102)를 일시적으로 신장시켜 타성을 갖게 한 다음 링형너트(105)를 조이고 유압을 제거하여 스터드볼트(102)가 원상태로 복귀하는 힘으로 링형너트(105)가 완전하게 조여진 상태로 체결되도록 하며, 또 상부실린더(10)를 분해하여 직경이 50mm정도 가는 볼트를 신장체결할 때 사용하게 되는 가는 볼트신장수단으로 사용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볼트 신장체결장치{Bolt elastic coupling device}
본 발명은 적어도 직경이 50mm 이상의 볼트를 체결할 때 볼트를 강제적으로 신장시켜 너트를 힘 안들이고 조임하기 위한 볼트 신장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느 기계류에 있어서 후렌지 이음이나 기계의 본체에 덮는 헤드등을 체결하기 위하여는 볼트를 사용하게 되는데, 직경이 가느다란 볼트의 경우에는 스패너 또는 복스로 간단히 조임하게 되지만, 일 예를 들면 원자로에 헤드를 밀폐정도가 완전하도록 체결하기 위하여는 통상 직경이 50mm 이상의 스터드볼을 사용하게되며, 너트는 링상의 것으로 주면에 천공된 구멍에 레바나 철봉을 끼워 링상너트를 조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링상너트를 철봉을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강제 조임한다 하더라도 헤드의 완전 밀폐에 못 미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직경이 50mm 이상의 볼트를 일시적으로 신장시켜 링너트를 조임하는 볼트의 신장탄력을 이용하여 별로 힘들이지 아니하고도 밀폐가 완전하게 체결하게 되는 볼트 신장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기재된 목적을 제공하는 볼트 신장체결장치는 상하부로 조립되는 유압 또는 공압용 상하부실린더 내부에 각기 상하부링형피스톤을 내장하여 일단이 기기에 나사결합된 직경이 아주 굵은 100mm 정도의 볼트일 경우 상기 상하부링형피스톤으로 신장시켜 너트를 채운 다음 신장되었던 볼트를 원상으로 복귀시켜 볼트의 탄성에 의하여 링형너트가 완전하게 조임하게 되는 굵은볼트신장수단과, 또 볼트의 직경이 100mm 보다는 작은 50mm 정도일 경우에는 상하부실린더를 분해하여 상부실린더 또는 하부실린더로만 볼트를 신장체결하게 되는 가는볼트신장수단으로 되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사용상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상부실린더. 11,21.......유압로.
12,22..........유압홀. 13,23.......유로
14,24...........드레인홀. 15,25......마개
16..............상부링형피스톤. 20.........하부실린더.
26..............하부링형피톤. 30.........장볼트.
40..............덮개링.
도 1은 본 발명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보면, 부호 10은 상부실린더를 나타낸 것이고, 부호 20은 하부실린더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상하부실린더(10)(20)의 상하조립은 상부실린더(10)의 상면으로부터 하부실린더(20)에 장볼트(30) 다수개로 조립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상하부실린더(10)(20)의 주면 하부에는 각기 내주면과 연통된 유압로(11)(21)와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홀(12)(22)을 일치되게 형성하고 타측에는 유로(13)(23)와 드레인홀(14)(24)을 필요에 따라 한 곳 또는 2곳 이상에 형성하여 드레인홀(14)(24)마다 마개(15)(25)를 밀폐되게 막도록 하고, 또한 상부실린더 (10)의 내경에는 상부링형피스톤(16)을, 하부실린더 (20)의 내경에는 하부링형피스톤(26)을 내장하는데 상부링형피스톤(16)의 하단이 하부링형피스톤(26)의 상면에 접합되도록 하고, 상부실린더(10)의 상면에는 상부링형피스톤(16)의 이탈 방지와 운반을 위하여 아이볼트를 나사결합하는 나사공을 천공한 덮개링(40)을 볼트로 조립하여 직경이 100mm 정도로 굵은 볼트를 체결할 때 사용하기 위한 굵은볼트신장수단을 구성하여서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된 본 발명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원자로(100)의 헤드(101)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스터드볼트(102)의 하단을 원자로(100)에 나사끼움한 후 봉(103)을 끼우기 위한 구멍(104)을 주면에 다수 천공한 링형너트(105)를 상기 스터드볼트(102)에 나사끼움한 다음 링형너트(105)의 외경에 지그(106)를 놓고 이 지그(106)위에 본 발명을 얹어 본 발명위로 돌출된 스터드볼트(102)에 다른 링형너트(107)를 덮개링(40)에 밀착되게 조임한 다음 유압홀(12)(22)로 유압을 공급하게 되면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상하부링형피스톤(16)(26)이 동시에 상승되어 스터드볼트(102)가 탄성을 갖는 상태로 신장되어 나사끼움된 링형너트(105)가 헤드(101)의 후렌지의 상면으로 부터 들뜨게 되어, 이때 링형너트(105)를 봉(103)으로 돌려 들뜬 부분을 없이하고 헤드(101)의 상면에 링형너트(105)를 밀착시킨후 공급되었던 유압을 제거하면 신장되었던 스터드볼트(102)가 원상태로 복귀되는 줄어듬에 따라 링형너트(105)가 강한 압력으로 헤드(101)의 후렌지의 상면에 밀착되어 헤드(101)를 원자로(100)에 거의 완전하게 밀폐시키는 상태로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부실린더(10)(20)를 분해하여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실린더(10)로 되는 직경이 50mm정도로 가는 스터드볼트(108)를 신장체결하는 가는볼트신장수단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사용방법은 상기한 굵은볼트신장수단과 동일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직경이 50mm이상 되는 볼트를 일시적으로 신장시킨 탄성에 의하여 링형너트(105)를 체결하게 되는 것이어서 그 조임력이 매우 강하고 안정성이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작업이 용이하며, 또 상부실린더(10)와 하부실린더(20)를 분해하여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어서, 직경이 굵은볼트는 물론 가는 볼트의 신장작업이 편리하게 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2)

  1. 내부에 형성한 유압로(11)와 연통된 유압홀(12)을 외주면 하방일측에 형성하고 다수의 유로(13)와 연통되고 마개(15)를 막는 드레인홀(14)을 구비한 상부실린더(10)의 내경에 상부링형피스톤(16)을 내장하여서 되는 가는볼트신장수단을 구성하여서되는 볼트 신장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실린더(10)의 하방에 유압로(21)와 유압로(21)와 유압홀(22) 및 유로(23)와 연통되고 마개(25)를 막는 드레인홀(24)을 구비하고 내경에 하부링형프스톤(26)을 내장한 하부실린더(20)를 중첩시켜 장볼트(30)로 상부실린더(10)와 하부실린더(2)를 상하조립하여 굵은볼트신장수단으로 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신장체결장치.
KR1020010000740A 2001-01-06 2001-01-06 볼트 신장체결장치 KR200200577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740A KR20020057738A (ko) 2001-01-06 2001-01-06 볼트 신장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740A KR20020057738A (ko) 2001-01-06 2001-01-06 볼트 신장체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334U Division KR200245216Y1 (ko) 2001-01-06 2001-01-06 볼트 신장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738A true KR20020057738A (ko) 2002-07-12

Family

ID=27690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740A KR20020057738A (ko) 2001-01-06 2001-01-06 볼트 신장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7738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4909A (ja) * 1993-02-05 1994-09-20 Hydra Tight Ltd 張力装置
JPH11300547A (ja) * 1998-04-22 1999-11-02 Toshiba Corp タービンケーシングボルト締付装置
JPH11325040A (ja) * 1998-05-08 1999-11-26 Japan Drive-It Co Ltd ボルト締結装置
KR20010010709A (ko) * 1999-07-22 2001-02-15 이경호 유압식 피스턴 너트
KR200245216Y1 (ko) * 2001-01-06 2001-09-25 주식회사 무진기연 볼트 신장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4909A (ja) * 1993-02-05 1994-09-20 Hydra Tight Ltd 張力装置
JPH11300547A (ja) * 1998-04-22 1999-11-02 Toshiba Corp タービンケーシングボルト締付装置
JPH11325040A (ja) * 1998-05-08 1999-11-26 Japan Drive-It Co Ltd ボルト締結装置
KR20010010709A (ko) * 1999-07-22 2001-02-15 이경호 유압식 피스턴 너트
KR200245216Y1 (ko) * 2001-01-06 2001-09-25 주식회사 무진기연 볼트 신장체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15022A1 (en) Screw Tensioning Device
US5468106A (en) Hydraulic tensioning device
KR100700120B1 (ko) 텐션을 가하는 유압 너트
CN111656025B (zh) 多腔室液压的多定位螺栓张紧器
US4917003A (en) Piston to rod mounting assembly
US4085649A (en) Bolt assembly
US7195439B2 (en) Tightening member
KR20020057738A (ko) 볼트 신장체결장치
JPH11223164A (ja) 樹脂製部材の締結構造
US6685406B2 (en) Perforated nut tensioning system
KR200245216Y1 (ko) 볼트 신장체결장치
KR100915866B1 (ko) 유압식 너트
WO1982000851A1 (en) Tool for pre-tensioning a fastener
KR102237010B1 (ko) 결합 구조가 개선된 유압 제어 밸브 매니폴드
KR200263540Y1 (ko) 유압 실린더 커버 분해조립용 공구
CN217327995U (zh) 一种螺栓紧固装置
JP2000084759A (ja) ナット締結装置および締結方法
KR101688847B1 (ko) 발전용 실린더 헤드의 스터드볼트 신장장치
KR100201235B1 (ko) 금형고정 파지장치
KR200319826Y1 (ko) 유압식 너트
KR200275587Y1 (ko) 중압 천공기용 t형 분기관
CN214945617U (zh) 一种高强度液压螺母
KR200333165Y1 (ko) 배관의 내압시험용 마개장치
US11897102B2 (en) Hydraulic screw tensioner
KR200274978Y1 (ko) 금형고정 파지장치의 갭조정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