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7512A - 무선 통신기기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시스템 및 그통신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기기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시스템 및 그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7512A
KR20020057512A KR1020010000580A KR20010000580A KR20020057512A KR 20020057512 A KR20020057512 A KR 20020057512A KR 1020010000580 A KR1020010000580 A KR 1020010000580A KR 20010000580 A KR20010000580 A KR 20010000580A KR 20020057512 A KR20020057512 A KR 20020057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ority
slave
master
slave devic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8078B1 (ko
Inventor
이태진
장경훈
강현숙
박종헌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010000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078B1/ko
Priority to US09/915,554 priority patent/US7412251B2/en
Priority to EP20010307154 priority patent/EP1221790B1/en
Priority to JP2001272496A priority patent/JP3657214B2/ja
Priority to CNB011406097A priority patent/CN1156996C/zh
Publication of KR20020057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0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04W74/06Scheduled access using p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Bidirectional Digital Transmission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무선 통신기기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방법이 개시된다.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슬레이브 기기는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를 상기 마스터 기기로 송신하며, 마스터 기기는 상기 슬레이브 기기로부터 우선순위를 수신하고, 수신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각각의 슬레이브 기기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할당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기기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방법에 의하면, 슬레이브의 필요에 따라 슬레이브에 적정 전송율이 할당되게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전송율이 할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기기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방법{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the sam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통신기기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슬레이브 기기의 서비스 특성에 따라 슬레이브 기기에 전송율을 가변으로 할당하는 무선 통신기기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는 음성데이터, 비디오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10 내지 100m내의 거리에서 무선으로 최대 1Mbps 속도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기술이다.
블루투스 통신방식에 의해 상호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된 블루투스기기는 인콰이어리(Inquiry), 인콰이어리 스캔(Inquiry Scan), 페이지(Page), 페이지 스캔(Page Scan)과 같은 동작 수행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연결상태를 구성한다. 이 과정에서 그 역할에 따라 마스터 기기와 슬레이브 기기가 정해진다. 하나의 마스터 기기에 대해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기기가 연결상태를 구성하여 형성된 네트웍을 피코넷(piconet)이라 한다.
마스터 기기와 슬레이브 기기는 시분할 방식(TDD; Time Division Duplex)에의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현재 제안된 블루투스 통신방식에 따르면, 피코넷에서 하나의 마스터 기기는 7개의 슬레이브기기들을 액티브 상태로 연결시켜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마스터는 짝수 슬롯에서 슬레이브를 폴링하고, 홀수 슬롯에서는 마스터의 폴링을 받은 슬레이브가 마스터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나, 마스터의 폴링을 받지 않은 슬레이브들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다.
현재 제안된 블루투스 통신방식에서 폴링방법은 각 슬레이브에 공정한 데이터 전송기회를 부여하는 라운드 로빈(round robin) 폴링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마스터는 짝수 슬롯(0, 2, 4, …)에서 1개, 3개 또는 5개의 슬롯을 점유하는 패킷을 폴링하고자 하는 슬레이브로 보낸다. 폴링 패킷은 마스터가 연결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각 슬레이브들에 대하여 설정한 순번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 송신되는 데이터이다.
마스터로부터 폴링을 받은 슬레이브들은 홀수 슬롯에서 1개, 3개 혹은 5개의 슬롯을 점유하는 패킷을 마스터로 보낸다.
현재의 블루투스방식에서는 라운드 로빈 폴링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마스터는 피코넷에 연결되어 있는 슬레이브의 갯수만큼 한번에 하나씩 교대로 폴링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블루투스 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동작을 나타내보인 타이밍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는 먼저 슬레이브1에게 M1 송신슬롯동안 폴링한다.한편, 액티브모드를 수행하는 슬레이브1은 마스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가 자신의 주소를 지정한 데이터인 것을 확인하고 마스터 송신 구간 이후에 할당되는 S1 송신슬롯 구간 동안 마스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마스터는 슬레이브2, 슬레이브3에게 순서대로 소정의 슬롯간격을 두고 폴링한다.
그러면, 슬레이브2, 슬레이브3은 마스터로부터 폴링을 받은 순서대로 소정의 슬롯 간격을 두고 S2, S3 송신슬롯 구간 동안 마스터로 데이타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마스터가 폴링을 행하면, 마스터가 각 슬레이브를 폴링하는 횟수가 평균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모든 슬레이브에 동일한 전송율이 할당된다.
그런데, 블루투스 방식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송신할 데이터의 양이 많거나 적게 된다. 따라서, 현재 블루투스방식에서와 같이 서비스의 종류에 상관없이 같은 전송율을 모든 슬레이브에 할당하면 전송효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많은 데이터를 보내야 하는 서비스에 필요 전송율보다 적은 전송율이 할당되거나 반대로 적은 데이터를 보내야 하는 서비스에 필요 전송율보다 많은 전송율이 할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슬레이브가 전송할 데이터의 양에 따라 슬레이브에 적절하게 전송율을 할당할 수 있는 무선 통신기기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블루투스 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동작을 나타내 보인 타이밍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기기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무선통신기기가 슬레이브로 동작되는 경우의 통신과정의 플로우도이다.
도 4는 도 2의 무선통신기기가 마스터로 동작되는 경우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때의 동작 과정의 플로우도이다.
도 5는 도 2의 무선통신기기가 마스터로 동작되는 경우의 폴링과정의 플로우도이다.
도 6은 슬레이브에 할당된 우선 순위에 따라서 마스터가 폴링하는 과정의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슬레이브의 정보의 예이다.
도 8은 도 4의 우선 순위 결정과정과 도 5의 폴링과정을 프로그램 소스코드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30: 무선통신기기 21, 31: 송/수신부
23, 33: 컨트롤러 40, 50: 호스트
32: 메모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기기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기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대상 신호를 송출하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기기와 연결상태를 유지하면서 마스터 기기로 동작시 상기 슬레이브 기기로부터 우선순위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및 상기 수신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상기 슬레이브 기기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슬레이브 기기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통신횟수를 결정하여 상기 슬레이브 기기에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슬레이브 기기로부터 수신한 우선순위를 상기 슬레이브 기기에 할당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수신한 우선순위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할당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할당된 우선순위에 의거한 통신횟수만큼 상기 슬레이브 기기와 각각 통신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한번 통신할 때마다 상기 통신 횟수에서 하나씩 감산한다.
또한,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기기와 마스터 기기가 연결된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기기는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를 상기 마스터 기기로 송신하며, 상기 마스터 기기는 상기 슬레이브 기기로부터 우선순위를 수신하고, 수신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각각의 슬레이브 기기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이제공된다.
또한,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기기와 마스터 기기가 연결된 무선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기기로부터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및 상기 수신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각각의 슬레이브 기기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할당하는 우선순위 할당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기기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블루투스 통신방식에 적용되는 무선통신기기를 통해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블루투스 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기기는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로서 동작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무선통신기기에 대해 마스터로서 동작될 때는 마스터기기로, 슬레이브로 동작될 때는 슬레이브기기로 명칭은 혼용하여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기기를 나타내보인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무선통신기기(20)(30)는 송/수신부(21)(31), 메모리(32) 및 컨트롤러(23)(33)를 구비한다. 여기서 동일 요소에 대해 병기된 참조부호중 20, 21, 23, 40은 슬레이브로 동작되는 무선통신기기 및 그 요소에 대해 부여한 것이고, 참조부호 30, 31, 32, 33 및 50은 마스터로서 동작되는 무선통신기기 및 그 요소에 대해 부여한 것이다.
먼저, 슬레이브로 동작되는 무선통신기기(20)에 대해 설명한다.
송/수신부(21)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신호 예컨대 RF신호를 처리하고, 전송대상 패킷을 외부로 송출한다.
컨트롤러(23)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40)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호스트는 노트북, 핸드폰, 프린터등과 같은 각종 통신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다.
컨트롤러(23)는 호스트(40)로부터 요구된 신호를 처리하고, 송/수신부(21)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컨트롤러(23)는 무선통신기기(20)가 타 무선통신기기와 무선망을 형성할 때, 자신이 전송해야할 데이터의 양을 고려하여 적합한 우선순위를 요청한다.
여기서, 우선순위는 마스터로부터의 폴링횟수에 따른 값으로서, 우선순위가 높으면 폴링횟수도 많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우선순위는 높은 우선순위, 중간 우선순위, 낮은 우선순위가 있다.
이렇게 슬레이브로 동작되는 무선통신기기(20)가 통신하는 과정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슬레이브가 새로운 피코넷에 참여하게 되면(102), 마스터에게 우선순위를 할당해 줄것을 요청한다(104).
슬레이브는 전송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종류를 고려하여 적합한 우선 순위를 마스터에 요청한다. 이때, 많은 데이터를 보내야 하는 서비스일 경우 높은 우선순위를 요청하고, 이와 반대로 적은 데이터를 보내야 하는 서비스일 경우 낮은 우선순위를 요청한다.
그리고, 마스터에 의해 결정된 우선순위를 수신한다(106). 마스터가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무선통신기기가 마스터로 동작하는 것을 설명할 때 상세히 설명한다.
슬레이브는 마스터로부터 폴링패킷을 수신하면(108),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패킷으로 송신한다(110). 슬레이브는 참여해 있던 피코넷을 빠져나오기 전까지 단계(108) 및 단계(110)을 반복한다.
그리고, 슬레이브가 피코넷에서 이탈하면(112), 통신과정을 종료한다.
한편, 마스터기기로 동작되는 무선통신기기(30)에 대해 설명한다.
송/수신부(31)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신호 예컨대 RF신호를 처리하고, 전송대상 패킷을 외부로 송출한다.
메모리(32)는 현재 피코넷에 연결되어 있는 슬레이브 기기에 대하여 각각의 우선순위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32)는 높은 우선순위와 중간 우선순위에 대하여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슬레이브를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슬레이브수, 중간 우선순위를 가진 슬레이브를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슬레이브수(이것을 각각 높은 우선순위 최대값 및 중간 우선순위 최대값이라고 칭한다)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32)는 폴링해야할 슬레이브의 수와 각각의 슬레이브에 대하여 할당된 우선순위와 폴링횟수를 저장하고 있다.
메모리는 모든 슬레이브의 폴링횟수가 0이 된 뒤, 저장되어 있는 슬레이브별 폴링횟수와 폴링해야할 슬레이브의 수는 폴링하기 이전의 초기값으로 갱신된다.
컨트롤러(33)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50)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호스트(50)는 노트북, 핸드폰, 프린터등과 같은 각종 통신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다.
컨트롤러(33)는 호스트(50)로부터 요구된 신호를 처리하고, 송/수신부(31)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컨트롤러(33)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기기와 연결상태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슬레이브가 피코넷에 들어 오면 전체 슬레이브의 수를 들어온 슬레이브의 수만큼 증가시키고, 슬레이브가 피코넷에서 나가면 전체 슬레이브의 수를 나간 슬레이브 수만큼 감소시킨다.
또한, 컨트롤러(33)는 슬레이브가 요청하는 서비스의 우선 순위를 현재 슬레이브들의 우선 순위를 고려해서 결정해주고, 결정된 슬레이브들의 우선순위에 따라 폴링순서 및 횟수를 결정하여 폴링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마스터로 동작되는 무선통신기기(30)가 우선순위를 결정할 때의 동작 과정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새로운 슬레이브 기기가 피코넷에 들어 와서 연결되면(201), 마스터는 슬레이브 기기로부터 원하는 우선순위를 수신한다(202).
마스터는 슬레이브가 어떠한 우선순위를 요청하였는지를 판단한다(203).
슬레이브가 높은 우선순위를 요청한 경우(204), 현재 피코넷에 연결되어 있는 슬레이브중에서 높은 우선순위를 갖고 있는 슬레이브의 수가 피코넷에서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슬레이브를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슬레이브수(즉, 높은 우선순위최대값)보다 작은가를 판단한다(210).
만약, 높은 우선순위를 갖고 있는 슬레이브의 수가 높은 우선순위 최대값 보다 작으면, 높은 우선순위를 요청한 슬레이브에게 높은 우선순위를 할당하기로 결정한다(212).
그러나, 높은 우선순위를 갖고 있는 슬레이브의 수가 높은 우선순위 최대값 보다 크거나 같으면, 중간 우선순위를 갖고 있는 슬레이브의 수가 중간 우선순위 최대값보다 작은지를 다시 판단한다(214). 이 판단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슬레이브가 중간 우선순위를 요청하였으면(206), 현재 피코넷에 연결되어 있는 슬레이브중에서 중간 우선순위를 갖고 있는 슬레이브의 수가 피코넷에서 중간 우선순위를 가진 슬레이브를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슬레이브수(즉, 중간 우선순위 최대값)보다 작은가를 판단한다(214).
만약, 중간 우선순위를 갖고 있는 슬레이브의 수가 중간 우선순위 최대값보다 작으면, 우선순위를 요청한 슬레이브에게 중간 우선순위를 할당하기로 결정한다(216).
그러나, 중간 우선순위를 갖고 있는 슬레이브의 수가 중간 우선순위 최대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그 슬레이브에게 낮은 우선순위를 할당하기로 결정한다(218).
그리고, 슬레이브가 낮은 우선순위를 요청한 경우에도(208), 그 슬레이브에게 낮은 우선순위를 할당하기로 결정한다(218).
이와 같이, 마스터가 슬레이브가 요청한 우선 순위를 그대로 받아 들이지 않고, 우선순위 결정과정을 수행하는 이유는 하나의 피코넷에서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슬레이브수, 중간 우선순위를 가진 슬레이브 수가 지나치게 많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은 마스터로 동작되는 무선통신기기(30)가 피코넷에 연결되어 있는 슬레이브들에게 할당된 우선순위에 따라서 폴링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마스터로 동작되는 무선통신기기(30)가 폴링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마스터는 피코넷에 연결된 슬레이브에게 이미 결정되어 있는 우선순위에 따른 폴링횟수를 할당하고(302), 전체 슬레이브의 수를 체크한다(304). 메모리에 전체 슬레이브의 수와 슬레이브의 폴링횟수를 저장한다(305).
피코넷에 연결된 슬레이브중에서 폴링횟수가 0이 아닌 슬레이브를 각각 차례대로 폴링한다(306).
그리고, 폴링한 슬레이브들은 각각 그 슬레이브의 폴링횟수에서 1을 감산한다(308). 예를 들면, 단계 302에서 폴링횟수로 1을 할당받은 슬레이브는 폴링을 수신하여 단계 308에서 폴링횟수가 하나 감산되면, 결과적으로 그 슬레이브의 폴링횟수는 0이 된다.
마스터는 폴링횟수가 0인 슬레이브가 있는지 판단하여(310), 폴링횟수가 0이 아니면 계속해서 슬레이브를 폴링한다.
만약, 단계 308을 통해 폴링횟수가 0인 슬레이브가 발생하면, 전체 슬레이브수에서 1을 감산하고(312), 전체 슬레이브수가 0이 될때까지 앞의 슬레이브를 폴링하는 단계로 되돌아가 앞의 과정(단계 306 ∼ 단계 312)를 반복한다.
그리고, 전체 슬레이브의 수가 0이 되면(314), 전체 슬레이브의 수와 슬레이브의 폴링횟수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초기값으로 갱신한다(316).
도 6는 슬레이브에 할당된 우선순위에 따라서 마스터가 폴링하는 과정의 타이밍도이다.
마스터는 액티브 모드에서 슬레이브들에 대해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소정의 슬롯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송신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6에서 영문자 M은 마스터가 슬레이브를 폴링하는 슬롯구간으로서, 영문자 M뒤에 송신하고자 하는 슬레이브를 첨자를 붙여서 표시하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S는 슬레이브에서 마스터로 송신하는 슬롯구간을 나타내고, 뒤에 첨자를 붙여서 송신하는 슬레이브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슬레이브의 정보의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슬레이브1, 슬레이브2, 슬레이브3의 우선순위가 각각 높은 우선순위, 중간 우선순위, 낮은 우선순위이고, 우선순위에 따라 할당된 폴링횟수가 각각 3회, 2회, 1회인 것을 알수 있다. 또한, 폴링해야할 슬레이브의 수는 3개인 것을 알 수 있다.
마스터는 첫번째 폴링구간(T1)동안 슬레이브1, 슬레이브2, 슬레이브3를 각각 차례대로 폴링한다.
그러면, 슬레이브1, 슬레이브2, 슬레이브3의 폴링횟수는 T1이전에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폴링횟수에서 1을 감산한 값이 되어, 각각 2회, 1회, 0회가 된다.
이때, 슬레이브3의 폴링횟수가 0이 되어, 폴링해야할 슬레이브의 수는 3개에서 1을 감산하여 2개가 된다.
마스터는 두번째 폴링구간(T2)동안 폴링횟수가 0인 슬레이브3을 제외한 슬레이브1, 슬레이브2를 각각 차례대로 폴링한다.
그러면, 슬레이브1, 슬레이브2의 폴링횟수는 T2이전의 폴링횟수에서 1을 감산한 값이 되어, 각각 1회, 0회가 된다.
이번에는 슬레이브2의 폴링횟수가 0이 되어, 폴링해야할 슬레이브의 수는 2개에서 1을 감산하여 1개가 된다.
마스터는 세번째 폴링구간(T3)동안 폴링횟수가 0인 슬레이브2, 슬레이브3을 제외한 슬레이브1만을 폴링한다.
그러면, 슬레이브1의 폴링횟수는 T3이전의 폴링횟수 1에서 1을 감산한 값 0이 되어, 폴링해야할 슬레이브의 수도 1개에서 1을 감산하여 0개가 된다.
그러므로, 마스터가 모든 슬레이브의 폴링횟수가 0이 될 때까지 폴링하고 난뒤에, 각각의 슬레이브별로 폴링횟수를 구해보면, 우선순위가 높은 슬레이브1은 3회, 우선순위가 중간인 슬레이브2는 2회, 우선순위가 낮은 슬레이브3은 1회를 각각 폴링한 것을 알수 있다.
따라서, 우선순위가 높은 슬레이브1이 가장 많은 데이터를 전송하고, 우선순위가 낮은 슬레이브3이 가장 적은 데이터를 전송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마스터는 모든 슬레이브의 폴링횟수가 0이 된 뒤,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슬레이브별 폴링횟수와 폴링해야할 슬레이브의 수를 폴링하기 이전 값으로 초기화한다.
즉, 슬레이브1, 슬레이브2, 슬레이브3의 폴링횟수는 각각 3회, 2회, 1회가 되고, 폴링해야할 슬레이브의 수는 3개가 된다.
도 8은 도 4의 우선순위를 결정과정과 도 5의 폴링과정을 프로그램 소스코드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청구범위로 한정될 것이다.
이러한 무선 통신기기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방법에 의하면, 슬레이브의 필요에 따라 슬레이브에 적정 전송율이 할당되게 함으로써 일률적으로 같은 전송율을 각 슬레이브마다 할당할 때보다 불필요하게 전송율이 할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8)

  1.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기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대상 신호를 송출하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기기와 연결상태를 유지하면서 마스터 기기로 동작시 상기 슬레이브 기기로부터 우선순위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및
    상기 수신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상기 슬레이브 기기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슬레이브 기기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통신횟수를 결정하여 상기 슬레이브 기기에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는 통신횟수와 관련된 값으로서,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통신횟수가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슬레이브 기기로부터 수신한 우선순위를 상기 슬레이브 기기에 할당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수신한 우선순위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할당된 우선순위에 의거한 통신횟수만큼 상기 슬레이브 기기와 각각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한번 통신할 때마다 상기 통신 횟수에서 하나씩 감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연결되어 있는 슬레이브 기기들에 대하여 각각의 통신횟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모든 슬레이브 기기들과 정해진 통신횟수 만큼 통신한 뒤 상기 메모리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기기.
  8.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기기와 마스터 기기가 연결된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기기는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를 상기 마스터 기기로 송신하며,
    상기 마스터 기기는 상기 슬레이브 기기로부터 우선순위를 수신하고, 수신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각각의 슬레이브 기기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기기는 마스터 기기와 새롭게 연결될 때 원하는 우선순위를 상기 마스터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기기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양에 따른 우선순위를 상기 마스터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기기는 슬레이브 기기로부터 수신한 우선순위를 상기 슬레이브 기기에 그대로 할당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수신한 우선순위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기기.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기기는 상기 할당된 우선순위에 의거한 통신횟수만큼 상기 슬레이브 기기와 각각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기기.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기기는 한번 통신할 때마다 상기 통신 횟수에서 하나씩 감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기기.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는 통신횟수와 관련된 값으로서,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통신횟수가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기기.
  15.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기기와 마스터 기기가 연결된 무선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기기로부터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및
    상기 수신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각각의 슬레이브 기기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할당하는 우선순위 할당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할당단계는 상기 슬레이브 기기로부터 수신한 우선순위를 상기 슬레이브 기기에 할당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수신한 우선순위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한 우선순위에 따라서 상기 슬레이브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계는 한번 통신할 때마다 상기 통신 횟수에서 하나씩 감산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
KR20010000580A 2001-01-05 2001-01-05 무선 통신기기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시스템 및 그통신방법 KR100598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00580A KR100598078B1 (ko) 2001-01-05 2001-01-05 무선 통신기기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시스템 및 그통신방법
US09/915,554 US7412251B2 (en) 2001-01-05 2001-07-27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dopting the sam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EP20010307154 EP1221790B1 (en) 2001-01-05 2001-08-22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dopting the sam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JP2001272496A JP3657214B2 (ja) 2001-01-05 2001-09-07 無線通信機器及びこれを適用した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その通信方法
CNB011406097A CN1156996C (zh) 2001-01-05 2001-09-18 无线通信设备、采用该设备的无线通信系统及其通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00580A KR100598078B1 (ko) 2001-01-05 2001-01-05 무선 통신기기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시스템 및 그통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512A true KR20020057512A (ko) 2002-07-11
KR100598078B1 KR100598078B1 (ko) 2006-07-10

Family

ID=19704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00580A KR100598078B1 (ko) 2001-01-05 2001-01-05 무선 통신기기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시스템 및 그통신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12251B2 (ko)
EP (1) EP1221790B1 (ko)
JP (1) JP3657214B2 (ko)
KR (1) KR100598078B1 (ko)
CN (1) CN115699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0839B2 (ja) * 2001-08-30 2005-09-28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04017571A1 (en) * 2002-08-19 2004-02-26 Hong Kong Productivity Council System and device for providing portable wireless telephony services
JP3766056B2 (ja) * 2002-09-30 2006-04-12 株式会社東芝 主通信装置、従属通信装置、通信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KR100938845B1 (ko) 2002-11-05 2010-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무선통신방법
JP4272048B2 (ja) * 2003-12-24 2009-06-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パケット送信制御装置及びパケット送信制御方法
US7974303B2 (en) * 2004-05-14 2011-07-05 Arris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andwidth request opportunities for high priority service flows
JP2008153898A (ja) * 2006-12-15 2008-07-03 Sony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434230B2 (ja) * 2009-04-22 2014-03-05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DE102009041834B4 (de) * 2009-09-18 2013-04-0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Netzwerk
US8693353B2 (en) * 2009-12-28 2014-04-08 Schneider Electric USA, Inc. Intelligent ethernet gateway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serial communication networks
CN102782658B (zh) * 2010-03-05 2015-03-18 三菱电机株式会社 程序跟踪装置
ES2529103T3 (es) * 2010-04-30 2015-02-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n dispositivo para planificación de tráfico de baja prioridad
JP5724066B2 (ja) * 2011-03-18 2015-05-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及び監視装置のプログラム、端末装置及び端末装置のプログラム
US9332587B2 (en) * 2012-08-21 2016-05-03 Blackberry Limited Smart proximity priority pairing
JP6119481B2 (ja) * 2013-07-23 2017-04-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機能実行装置
JP6546372B2 (ja) * 2014-01-27 2019-07-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CN105451336B (zh) * 2014-07-04 2019-02-01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一种分组数据调度方法及装置
CN108769961A (zh) * 2018-04-28 2018-11-06 上海与德科技有限公司 基于蓝牙网络的主节点切换方法、子节点、蓝牙网络
US11099647B2 (en) * 2018-08-05 2021-08-24 Pison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control of responsive devices
US10802598B2 (en) * 2018-08-05 2020-10-13 Pison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control of responsive devices
KR20210031168A (ko) * 2019-09-11 2021-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11199908B2 (en) 2020-01-28 2021-12-14 Pison Technology, Inc. Wrist-worn device-based inputs for an operating system
US11157086B2 (en) 2020-01-28 2021-10-26 Pison Technology, Inc. Determining a geographical location based on human gestures
TWI757217B (zh) * 2021-07-23 2022-03-0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多點網路系統與網路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8349A (ja) 1983-07-27 1985-02-13 Toshiba Corp 通信制御方式
CA1263721A (en) 1985-10-18 1989-12-05 Owen Lloyd Nelson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transfer of small digital message blocks and large digital message blocks
JPH0748739B2 (ja) 1988-12-09 1995-05-24 富士通株式会社 多重アクセス制御方法および該方法を実施する多重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
GB9304638D0 (en) * 1993-03-06 1993-04-21 Ncr Int Inc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power saving function
US5583866A (en) * 1994-12-05 1996-12-10 Motorola, Inc. Method for delivering broadcast packets in a frequency hopping local area network
US5844900A (en) * 1996-09-23 1998-12-01 Proxi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a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KR20010014200A (ko) 1997-06-27 2001-02-26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공유 매체 네트워크에서 시간 민감성의 애플리케이션들에대해 낮은 액세스 지연을 제공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
JPH1168808A (ja) 1997-08-26 1999-03-09 Yazaki Corp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管理方式
JP3864545B2 (ja) 1998-03-17 2007-01-10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通信局及び制御局
US6359901B1 (en) * 1998-09-02 2002-03-19 General Dynamics Decision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ynchronous adaptive protocol layer tuning
JP4324751B2 (ja) * 1999-07-07 2009-09-0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チャンネル選択方法および無線ネットワーク装置
US6411815B1 (en) * 1999-09-28 2002-06-25 Motorola,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rbitrating service requests
US6683886B1 (en) * 1999-10-19 2004-01-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luetooth communication unit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bluetooth communications method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US6940831B1 (en) * 1999-11-29 2005-09-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0555664B1 (ko) * 2001-01-08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기기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시스템 및 그통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57214B2 (ja) 2005-06-08
US20020090968A1 (en) 2002-07-11
KR100598078B1 (ko) 2006-07-10
CN1156996C (zh) 2004-07-07
EP1221790A3 (en) 2003-08-20
US7412251B2 (en) 2008-08-12
EP1221790A2 (en) 2002-07-10
JP2002217912A (ja) 2002-08-02
CN1363999A (zh) 2002-08-14
EP1221790B1 (en)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8078B1 (ko) 무선 통신기기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시스템 및 그통신방법
US6975613B1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communication sessions in an ad-hoc network
US69280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and contention resolution in ad-hoc communication systems
US690722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the same
KR100489154B1 (ko) 동적 스펙트럼 할당 방법, 통신 방법 및 트랜시버 장치
KR100514190B1 (ko) 무선 랜망에서 무선 아이피 단말에 대한 에이피의 무선채널 운용방법
EP1367783A1 (en) Request including class-of-device identifier for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for bluetooth access point connections
US7324226B2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communications network
JP382887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無線通信方法
WO2006078584A2 (en) Method for polling in a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KR20040089273A (ko) 블루투스 시스템에서 7개 이상의 단말과의 효과적인통신방법 및 장치
WO1999031823A1 (fr) Procede d'attribution d'un canal radio pour une radiocommunication
US7085284B1 (en) Prioritization scheme for CSMA/CA
JP2004504770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処理量の増加方法
US7623496B2 (en) Managing bandwidth in network supporting variable bit rate
US736653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the same
KR100629484B1 (ko) 스캐터넷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EP0495600A1 (en) Polling method in a radio data packet communication system
JP444104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8554139B2 (en) Transmissio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reducing radio resource overhead
WO2001033739A1 (en) Prioritization scheme for csma/ca
WO2002089416A2 (en) Collision avoidance in communication networks
CN117336887A (zh) 在无线设备中使用确认信号增强共存的系统、方法和设备
WO1999009685A2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JP2001285299A (ja) Tdd無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