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5869A - 이차 전지용 전극판의 제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용 전극판의 제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5869A
KR20020055869A KR1020000085113A KR20000085113A KR20020055869A KR 20020055869 A KR20020055869 A KR 20020055869A KR 1020000085113 A KR1020000085113 A KR 1020000085113A KR 20000085113 A KR20000085113 A KR 20000085113A KR 20020055869 A KR20020055869 A KR 20020055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material
electrode plate
drying
current collector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훈
최원택
Original Assignee
한동훈
얼라이드레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훈, 얼라이드레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동훈
Priority to KR1020000085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5869A/ko
Priority to PCT/KR2001/002302 priority patent/WO2002054510A1/en
Publication of KR20020055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86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4Electrodes for lead-acid accumulators
    • H01M4/16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22Forming of electrodes
    • H01M4/23Drying or preserving electrodes after form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16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impregnation with a solution, dispersion, paste or dry pow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전지용 전극판의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차 전지의 전극판을 형성하기 위하여 집전체에 활물질을 코팅한 후 건조시킬 때,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건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근적외선이 건조시키고자 하는 면의 내부로 침투하여 안에서부터 건조시키므로, 건조가 매우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 전지용 전극판의 제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PLATE FOR A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전체에 활물질을 건식으로 도포하여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및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 등의 휴대형 전화, 휴대형 텔레비젼, MDP(Mini-disc Player),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형 AV(audio-video) 기기, 노트북 컴퓨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휴대형 OA(Office Automation) 기기 등의 휴대형 전자 기기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면서, 이들 기기에 사용되는 이차 전지도 급신장하고 있다.
이차 전지는 사용 후 다시 충전해서 재사용할 수 있는 전지를 나타내며, 니켈 카드뮴(Ni-Cd) 전지, 니켈 수소(Ni-MH) 전지, 리튬 전지와 같은 고성능 이차 전지는 대략 5백회 이상 충방전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도,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카드뮴 전지 및 니켈 수소 전지에 비하여 방전 전압이 높고 충방전 사이클 수명이 길 뿐만 아니라 환경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차세대 전지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은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이들간에 개재되는 전해질 물질로 이루어지며, 양극 물질과 음극 물질을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리튬 이온 전지(Litium Ion Battery: LIB), 리튬 폴리머 전지(Polymar Litium Ion Battery: PLIB) 등으로 나누어진다. 통상, 이들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판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 시트(sheet), 메시(mesh), 필름(film), 호일(foil) 등의 집전체에 양극용 또는 음극용 활물질을 코팅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종래의 건조 시스템은 열풍과 적외선(infrared rays) 또는 원적외선(far infrared rays) 히터를 이용한 대류 건조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건조 시스템은, 건조실 내에 배치되어 있는 코팅재에 적외선 (또는 원적외선)을 조사함과 동시에, 가열된 공기(hot air)를 건조실 내에 공급함으로써 대류 방식에 의해 공기 매질을 가열하여 코팅재에 열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1.5 ㎛∼3 ㎛ 정도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과 3 ㎛∼1 mm 정도의 파장을 갖는 원적외선은 물흡수율이 높기 때문에, 건조실 내의 공기를 가열하게 되어, 대류에 의한 열손실이 커진다. 또한, 적외선 (또는 원적외선)은 파장이 길기 때문에 코팅재의 하부까지 침투하지 못하고 상부 표면을 먼저 건조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표면이 굳어버린 코팅재의 하부에 있는 H2O와 OH-를 외부로 빼어내는 데에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되어, 건조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결국, 이러한 기존의 건조 시스템은, 열효율이 20∼30% 정도에 지나지 않게 되어 많은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고, 건조 효율이 매우 떨어지며 20∼30분 정도의 건조 시간을 요함에 따라 생산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폴리머 계열인 PLIB쪽이 더 심하며, 건조 속도가 0.3 M/분 정도로 느려서 원하는 건조율을 얻기 위해서는 건조실을 60∼100 m 정도로 놓아야 하는 등 양산 시설을 구축하는 데에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PLIB의 경우, 코팅재를 건조실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여, 코팅재의 양방향에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종래의 건조 시스템에서는, 코팅재를 완전히 건조시킬만큼 충분한 길이를 갖는 건조실을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차 전지, 특히 LIB 및 PLIB 전극 제조 시 근적외선을 사용함으로써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고 건조실을 수직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의 제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집전체에 활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을 건조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이 코팅된 상기 집전체에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활물질을 건조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극판 건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이차 전지용 전극판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집전체에 활물질을 코팅하는 수단, 및 상기 활물질이 코팅된 집전체에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활물질을 건조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극판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집전체에 활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을 건조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이 코팅된 상기 집전체에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활물질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판 건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르면, 이차 전지용 전극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집전체에 활물질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활물질이 코팅된 상기 집전체에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활물질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판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르면, 양극용 전극판, 음극용 전극판 및 상기 양극용 전극판과 상기 음극용 전극판간에 개재된 전해질 물질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양극용 전극판 및 상기 음극용 전극판은, 집전체에 활물질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활물질이 코팅된 상기 집전체에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활물질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이차 전지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시스템(100)을 사용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 제조 장치(200)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 시스템(100)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트롤러(5)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4는 집전체(10) 위에 활물질(11)이 코팅되어 있는 코팅재(30)가 가열에 의해 건조되는 원리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의 (a)는 종래의 적외선 (또는 원적외선)과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근적외선을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시스템과 적외선 (또는 원적외선)을 이용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 시스템의 건조 시간과 건조율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조실
3, 3' : 근적외선 히터
4 : 온도 측정기
5 : 콘트롤러
6 : 냉각 장치
7 : 공기 압축기
8, 8' : 공기 분사기
16 : 냉각수 펌프
26 : 냉각수 탱크
30 : 코팅재
100 : 건조 시스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시스템(100)을 사용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 제조 장치(200)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차 전지용 전극판 제조 장치(200)는 활물질 코팅 장치(20, 20'), 건조 시스템(100), 및 릴(reel), 컨베이어 등의 이송 장치(40, 40')를 포함한다.
먼저, 집전체(10)가 이송 장치(40)에 의해 활물질 코팅 장치(20, 20')로 이송되면, 활물질 코팅 장치(20, 20')는 집전체(10)의 양면에 활물질을 코팅한다. 집전체(10)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메시가 사용될 수 있다. 활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LiNiO2, LiCoO2, LiNi1-yCoyO2, LiMn2O4등의 양극용 활물질과 금속 리튬, LiC6등의 음극용 활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건조 시스템(100)은 활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코팅재(30)를 가열하여 활물질을 건조시킴으로써 전극판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전극판은 이송 장치(40')에 의해 후속 처리 시스템으로 이송되고, 이송된 전극판은 후속 처리 시스템의 이차 전지 (도시 생략)에 내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 시스템(100)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이 건조 시스템(100)은 건조실(1), 근적외선(NIR) 히터(3, 3'), 온도 측정기(4), 콘트롤러(5), 냉각 장치(6), 공기 압축기(7) 및 공기 분사기(8, 8')를 포함한다.
건조실(1)은 건조 대상인 코팅재(30)를 길이 방향으로 수용하며, 코팅재(30)가 건조실(1)을 통과하는 동안 완전히 건조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근적외선 히터(3, 3')는 건조실(1) 내의 코팅재(30)를 가열하여, 코팅재(30)의 표면에 있는 활물질을 건조시킨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근적외선 히터(3, 3')는 코팅재(30)의 길이 방향으로 충분한 거리를 두고 좌우로 배열되어 있다. 근적외선 히터(3, 3')는, 건조실(1) 내에 수용된 코팅재(30)의 양측면과 대향하도록 수직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근적외선 램프(12)를 구비한다.
근적외선 램프(12)는 파장이 대략 0.75∼1.5 ㎛ 범위이며 높은 열 밀도(high thermal density)의 물리적 특성을 가진 근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적외선은 통상 열원체를 2,20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는 경우에 방사되기 때문에, 근적외선 램프(12)에는 내구성을 가진 열원체가 사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근적외선 램프(12)에 사용되는 열원체로서는, 예를 들어 텅스텐 코일이 사용될 수 있다. 텅스텐 코일은 온도가 순간적으로 상승한 후 곧바로 하강할 수 있으므로, 근적외선을 안정적으로 방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사 처리 동안에, 텅스텐 코일의 온도 상승 및 하강은 단시간 동안에 일어나므로, 이에 대처하여 근적외선 히터(3, 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빠른 응답 속도를 갖는 콘트롤러(5)가 필요하다. 콘트롤러(5)의 상세한 사항은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온도 측정기(4)는 코팅재(30)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여 콘트롤러(5)에게 제공해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온도 측정기(4)는 코팅재(30)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으면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비접촉식 온도 측정기이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트롤러(5)의 블록도가 예시된다.콘트롤러(5)는 온도 측정기(4)로부터 제공되는 코팅재(30)의 표면 온도에 기초하여, 근적외선 히터(3, 3')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콘트롤러(5)는 온도 설정부(51), 온도 비교부(52) 및 전력 제어부(53)를 포함하고 있다. 상술하면, 온도 설정부(51)는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소정의 기준, 예를 들어 건조 대상의 물질 조성, 원하는 건조율 등에 따라 코팅재(30)의 기준 표면 온도를 설정하여 온도 비교부(52)로 제공한다. 온도 비교부(52)는 온도 측정기(4)로부터 제공되는 코팅재(30)의 표면 온도를 온도 설정부(51)로부터의 기준 표면 온도와 비교한 후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한다. 그 다음, 전력 제어부(53)는 온도 비교부(52)로부터 출력된 비교 결과 신호에 의거하여, 근적외선 히터(3, 3')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코팅재(30)에 제공되는 근적외선의 양과 속도를 제어한다. 이로써, 코팅재(30)의 표면 온도 및 가열 속도가 적당한 수준으로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트롤러(5)는 근적외선 램프(12)의 순간적인 가열 및 냉각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정도의 빠른 응답성을 갖도록 설계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냉각 장치(6)는 냉각수 펌프(16) 및 냉각수 탱크(26)를 포함하여, 근적외선 히터(3, 3')에 냉각수를 제공함으로써, 근적외선 히터(3, 3')가 지나치게 과열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공기 압축기(7)는 압축된 공기를 건조실(1)에 제공하여, 건조실(1) 내의 공기를 적정 수준으로 냉각하고, 건조실(1)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농축 비율을 완화시킴으로써 가스에 의한 폭발 등으로부터 건조 시스템(100)을 보호한다.
공기 분사기(8, 8')는 건조실(1) 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강제적인 흐름을 제공하여, 코팅재(30)에서 발생하는 H2O, OH-의 증발을 가속화시킨다. 공기 분사기(8, 8')로서는 에어 나이프(air knif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시스템(100) 내에 코팅재(30)가 유입되면, 근적외선 히터(3, 3') 내의 근적외선 램프(12)들이 근적외선을 조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근적외선은 코팅재(30)의 표면에서부터 건조시키지 않고 내부로 침투함으로써 코팅재의 안에서부터 건조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건조 방법을 사용하면 종래 기술에 비해 건조가 매우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즉, 근적외선의 강력한 방사 에너지에 의한 열이 코팅재(30) 표면의 내부에 침투하여 H2O와 OH-를 순간적으로 증발시키게 된다. 이 때, 코팅재(30)의 표면은 굳은 상태가 아니므로, H2O와 OH-의 증발을 방해하지 않으며, 이로써 코팅재(30)의 건조가 수초안에 완료될 수 있다. 이러한 근적외선 히터(3, 3')의 동작은 온도 측정기(4) 및 콘트롤러(5)에 의해 계속적으로 감시되며, 이에 의해 코팅재(30)의 표면 온도가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된다. 한편, H2O, OH-의 증발은 공기 분사기(8, 8')에 의해 건조실(1) 내에 형성된 강제적인 공기 흐름(air flow)에 의해 더욱 가속화된다.
표 1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시스템(100)을 사용하여 코팅재(30)를 건조시킬 때, 건조 속도, 건조면의 표면 온도 및 근적외선 히터(3, 3')에제공되는 전력비 (사용 전력 1,000 W를 100%로 기준함)를 변화시키면서 코팅재(30)의 건조 상태를 관찰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건조 속도 건조면의표면 온도 전력비 결과
0.7 M/min 93℃ 535 건조 양호
1.0 M/min 80℃ 530∼540 건조 양호
1.2 M/min 80℃∼90℃ 530∼540 건조 양호
1.5 M/min 80℃∼90℃ 550 건조 양호
이 실험에서, 근적외선 히터(3, 3')와 코팅재(30)의 양면간의 거리는 각각 60 mm를 유지하고, 근적외선 히터(3, 3')는 각각 1 ㎾×12개의 램프로 구성하여, 양면에 총 24 ㎾를 사용하여 콘트롤러(50)에 의해 건조 속도 및 표면 온도를 조정하여 전력비를 설정하였다. 또한, 40 ㎛ 두께의 알루미늄 메시 집전체(10) 위에 양면을 60 ㎛씩 활물질로 코팅하였다. 참고로, 동일한 조건에서 종래의 적외선 (또는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하는 건조 시스템의 경우, 0.3 M/min의 건조 속도가 얻어졌다.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적외선 (또는 원적외선) 건조에 비해 5배 정도까지 빠르게 건조를 완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활물질과 집전체의 조성 및 건조 조건을 변화시킬 경우에는 그 이상의 속도도 가능해진다.
도 4는 집전체(10) 위에 활물질(11)이 코팅되어 있는 코팅재(30)가 가열에 의해 건조되는 원리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의 (a)는 종래의 적외선 (또는 원적외선)과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서,도면 부호 10은 집전체이고, 11은 활물질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활물질(11)은 솔벤트, 수분, LiCoO2, 탄소, 결합제(binder) 등의 고형물을 포함한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외선 (또는 원적외선)을 사용하는 경우, 이들은 파장이 길기 때문에 코팅재(30)의 하부까지 침투하지 못하고, 상부 표면을 먼저 건조시키게 되며 코팅재(30)의 하부에는 전도에 의해 열이 도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표면이 열에 의해 먼저 굳어진 상태이므로 코팅재(30)의 하부에 있는 H2O와 OH-를 외부로 빼어내는 데에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적외선 (또는 원적외선)을 이용하는 종래의 건조 시스템의 경우, 코팅재(30)를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코팅재(30)를 대략 20∼30분 동안 건조 시스템 내에 유지하거나, 건조 시스템을 30∼50 m 정도의 길이로 제작하여 콘베이어에 의해 코팅재(30)를 통과시켜야 한다.
이에 반해,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적외선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건조 시스템의 경우, 근적외선은 파장이 짧기 때문에 코팅재(30)의 하부까지 침투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표면이 굳어버리기 전에 코팅재(30)의 하부에 있는 H2O와 OH-를 외부로 빼어낼 수 있으며, 아울러 반사열에 의해 건조 작용이 극대화되므로, 대략 5∼10초 내에도 건조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조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대략 5 m 정도의 설비로도 충분히 건조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써 긴 건조 설비에 의해 손실되는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이가지는 열효율, 즉 전기적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바꾸는 효율은 25% 정도인 데 반해, 근적외선이 가지는 열효율은 85% 이상이므로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5는 근적외선을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시스템과 적외선 (또는 원적외선)을 이용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 시스템의 건조 시간에 대한 건조율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100%의 건조율을 얻는 데에,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시스템은 대략 5초 정도 소요되는 데 반해,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 시스템은 대략 1,000초 정도 소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열전도 방식의 적외선 (또는 원적외선) 시스템에 비해 5배 이상의 건조 능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PLIB와 같이 구조적으로 건조하기 힘든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차 전지의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 설비 공간을 종래의 1/10 이내로 줄일 수 있으며, 수직 건조 및 양면 건조 시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75% 이상의 열효율을 가지므로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 아울러, 근적외선 건조 시의 가열은 순간 가열과 순간 냉각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정전 시에 배기 장치가 작동하지 않아도 건조 시에 발생하는 솔벤트가 열을 받지 않아 폭발할 우려가 없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한 다양한 수정례 및 변형례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시스템(100)은 코팅재(30)가 수직 방향으로 유입되고 코팅재(30)의 양면을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양면 수직 건조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코팅재(30)가 수평 방향으로 유입되거나 코팅재(30)의 한 면을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Claims (22)

  1. 집전체에 활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을 건조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이 코팅된 상기 집전체에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활물질을 건조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극판 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이 코팅된 상기 집전체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측정 수단, 및
    상기 표면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전극판 건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은 상기 집전체의 양면에 코팅되며,
    상기 건조 수단은 상기 활물질이 코팅된 상기 집전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전극판 건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근적외선 램프를 구비하며, 상기 근적외선 램프의 열원체는 순간 가열 및 순간 냉각이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는 전극판 건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체의 재료는 텅스텐인 전극판 건조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 수단은 상기 활물질이 코팅된 상기 집전체의 표면과 선정된 거리만큼 떨어져서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전극판 건조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활물질이 코팅된 상기 집전체의 표면 온도를 사전 설정된 기준 표면 온도와 비교하는 온도 비교부, 및
    상기 온도 비교부에서의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건조 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상기 활물질이 코팅된 상기 집전체에 제공되는 근적외선의 양과 속도를 제어하는 전력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극판 건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리튬 이온 전지 및 리튬 폴리머 전지 중의 어느 하나인 전극판 건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수단은,
    상기 활물질이 코팅된 상기 집전체를 수용하는 건조실, 및
    상기 건조실에 압축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 압축 수단
    을 포함하는 전극판 건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 내로 제공되는 공기에 강제적인 흐름을 제공하는 공기 분사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극판 건조 장치.
  11. 이차 전지용 전극판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집전체에 활물질을 코팅하는 수단, 및
    상기 활물질이 코팅된 집전체에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활물질을 건조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극판 제조 장치.
  12. 집전체에 활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이차 전지용 전극판을 건조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이 코팅된 상기 집전체에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활물질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판 건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이 코팅된 상기 집전체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근적외선 조사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극판 건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은 상기 집전체의 양면에 코팅되며,
    상기 근적외선 조사는 상기 활물질이 코팅된 상기 집전체의 양측에서 각각 수행되는 전극판 건조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조사는 순간 가열 및 순간 냉각이 가능한 재료로 형성된 열원체에 의해 수행되는 전극판 건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체의 재료는 텅스텐인 전극판 건조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활물질이 코팅된 상기 집전체의 표면 온도를 사전 설정된 기준 표면 온도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단계의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근적외선의 양과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극판 건조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리튬 이온 전지 및 리튬 폴리머 전지 중의 어느 하나인 전극판 건조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는,
    상기 활물질이 코팅된 상기 집전체를 건조실에 수용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실에 압축된 공기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극판 건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 내로 제공되는 공기에 강제적인 흐름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극판 건조 방법.
  21. 이차 전지용 전극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집전체에 활물질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활물질이 코팅된 상기 집전체에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활물질을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극판 제조 방법.
  22. 양극용 전극판, 음극용 전극판 및 상기 양극용 전극판과 상기 음극용 전극판간에 개재된 전해질 물질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양극용 전극판 및 상기 음극용 전극판은,
    집전체에 활물질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활물질이 코팅된 상기 집전체에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활물질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이차 전지.
KR1020000085113A 2000-12-29 2000-12-29 이차 전지용 전극판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020055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113A KR20020055869A (ko) 2000-12-29 2000-12-29 이차 전지용 전극판의 제조 방법 및 장치
PCT/KR2001/002302 WO2002054510A1 (en) 2000-12-29 2001-12-29 Apparatus for drying electrode, system for manufacturing electrode using the apparatus, and method of drying electr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113A KR20020055869A (ko) 2000-12-29 2000-12-29 이차 전지용 전극판의 제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869A true KR20020055869A (ko) 2002-07-10

Family

ID=19703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113A KR20020055869A (ko) 2000-12-29 2000-12-29 이차 전지용 전극판의 제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0055869A (ko)
WO (1) WO200205451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486B1 (ko) * 2001-12-10 2004-07-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KR100759385B1 (ko) * 2006-08-08 2007-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장치
KR20130105432A (ko) * 2012-03-15 2013-09-25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비수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비수 이차 전지 및 건조 장치
KR101415825B1 (ko) * 2012-10-30 2014-07-08 얼라이드레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근적외선을 이용한 박막전지의 열처리장치
KR20220094050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차전지 전극 제조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754B1 (ko) 2012-06-08 2014-07-09 주식회사 메인텍 축전지용 전극판의 숙성/건조 시스템
JP5751235B2 (ja) * 2012-10-19 2015-07-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6011478B2 (ja) * 2013-07-02 2016-10-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用電極板の製造装置及び電池用電極板の製造方法
CN115842085A (zh) * 2022-08-17 2023-03-2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极极片的制造方法及制造系统、电池单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6259A (ja) * 1986-09-29 1988-04-16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ニツケル・カドミウム電池用陰極板製造方法
JPH0773873A (ja) * 1993-09-06 1995-03-17 Toshiba Battery Co Ltd ニッケル水素二次電池用ペースト式負極の製造方法
JPH11339783A (ja) * 1998-04-22 1999-12-10 Mitsubishi Chemical Corp 赤外線照射を利用した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JP2000133255A (ja) * 1998-10-23 2000-05-12 Toshiba Battery Co Ltd 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及びアルカリ二次電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2463A (en) * 1987-09-14 1989-03-17 Toshiba Battery Drying method for positive electrode black for cell
JPH0963576A (ja) * 1995-08-21 1997-03-07 Toshiba Battery Co Ltd 乾燥装置および乾燥方法
JPH10199514A (ja) * 1997-01-16 1998-07-31 Toshiba Battery Co Ltd 電池用電極ペーストの乾燥試験装置
JPH10326631A (ja) * 1997-05-27 1998-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電池正極体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6259A (ja) * 1986-09-29 1988-04-16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ニツケル・カドミウム電池用陰極板製造方法
JPH0773873A (ja) * 1993-09-06 1995-03-17 Toshiba Battery Co Ltd ニッケル水素二次電池用ペースト式負極の製造方法
JPH11339783A (ja) * 1998-04-22 1999-12-10 Mitsubishi Chemical Corp 赤外線照射を利用した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JP2000133255A (ja) * 1998-10-23 2000-05-12 Toshiba Battery Co Ltd 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及びアルカリ二次電池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486B1 (ko) * 2001-12-10 2004-07-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KR100759385B1 (ko) * 2006-08-08 2007-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장치
KR20130105432A (ko) * 2012-03-15 2013-09-25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비수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비수 이차 전지 및 건조 장치
KR101415825B1 (ko) * 2012-10-30 2014-07-08 얼라이드레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근적외선을 이용한 박막전지의 열처리장치
KR20220094050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차전지 전극 제조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54510A1 (en) 200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90131B (zh) 纯内阻电池加热系统
KR101126769B1 (ko) 다수의 3상 전원 램프를 포함하는 램프 히터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제조용 건조 장치
Kim et al. Effect of gamma ray irradiation on therm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polyethylene separator for Li ion batteries
KR102027616B1 (ko) 리튬 이온 배터리 물질의 마이크로파 건조
Xiang et al. A lithium‐ion pump based on piezoelectric effect for improved rechargeability of lithium metal anode
KR20020055869A (ko) 이차 전지용 전극판의 제조 방법 및 장치
CN111477971A (zh) 一种电芯整形方法
US202200523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ell
CN108493483A (zh) 一种固态电解质膜电芯层结构界面处理方法、锂电芯结构
JP2001176502A (ja) 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CN110148706B (zh) 电池极片及其制备方法、电芯和电池
US116008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thermal gradient during electrode pyrolysis
CN112534615A (zh) 制造圆柱形电池的方法以及用于执行该方法的干燥设备
CN113113599B (zh) 一种氮掺杂自支撑纳米纤维膜的制备方法及应用
KR20160037763A (ko) 전극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
CN113066971A (zh) 一种富锂锰基正极材料的气相包覆方法
KR20160037673A (ko) 전극슬러리 건조기, 전극슬러리 건조방법, 이에 의해 건조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0659863B1 (ko) 이차 전지의 전극 형성 방법
KR20190115880A (ko) 리튬금속카본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720269A (zh) 一种钠离子电池大层间距石墨负极材料制备方法
CN109411723B (zh) 一种石墨烯/石墨锂离子电池负极材料的制备方法
JPH0773873A (ja) ニッケル水素二次電池用ペースト式負極の製造方法
CN108922990B (zh) 一种动力电池电芯快速干燥的方法
CN108574114B (zh) 一种固态电解质薄膜的热处理方法及锂电芯结构
CN108598562B (zh) 一种固态电解质薄膜的热处理方法及锂电芯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