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4992A - 자동차의 시프트케이블 엔드부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프트케이블 엔드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4992A
KR20020054992A KR1020000084327A KR20000084327A KR20020054992A KR 20020054992 A KR20020054992 A KR 20020054992A KR 1020000084327 A KR1020000084327 A KR 1020000084327A KR 20000084327 A KR20000084327 A KR 20000084327A KR 20020054992 A KR20020054992 A KR 20020054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end
shift cable
coupling protrusion
shif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4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1641B1 (ko
Inventor
정원진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84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641B1/ko
Publication of KR20020054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4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6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프트케이블 엔드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시프트케이블 엔드(10)에는 변속레버(1)의 원형돌기부(1a)가 삽입되는 설치홈(10a)에서부터 일측면까지 개구되는 소정폭의 슬릿(10b)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슬릿(10b)이 형성된 시프트케이블 엔드(10)의 측면에서 슬릿(10b)을 중심으로 한쪽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바깥쪽으로 절곡형성된 제1결합돌기부(10c)가 구비되고, 상기 슬릿(10b)을 중심으로 다른 한쪽면에는 제1결합돌기부(10c)보다 길게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제1결합돌기부(10c)방향으로 이중절곡됨은 물론 소정부위가 직각으로 휘어지도록 절개홈(10e)이 형성되면서 끝단부가 제1결합돌기부(10c)와 시프트케이블 엔드(10)의 측면사이에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된 제2결합돌기부(10d)가 구비되어져, 상기 시프트케이블 엔드(10)로 변속레버(1)의 설치시 조립부품수가 감소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됨은 물론,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상품성이 증진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프트케이블 엔드부 구조{shift cable end part structure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프트케이블 엔드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속레버의 결합시 조립부품이 감소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중량이 감소되면서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된 자동차의 시프트케이블 엔드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장치나 변속기를 조작하는데 사용하는 변속레버(1)의 끝단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크기의 원형돌기부(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원형돌기부(1a)는 부시앗세이(2)와 더불어 변속기케이스(3)안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장착된 시프트케이블 엔드(4)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이탈방지스프링부재(5)에 의해 자유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시프트케이블 엔드(4)에는 변속레버(1)의 조작으로 기어를 변속할 때 사용되는 시프트케이블(6)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변속레버(1)가 결합되는 변속레버하우징(4)의 구조에 대해 도 2를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시프트케이블 엔드(4)에는 부시앗세이(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위쪽으로 개구되는 소정크기의 설치홈(4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설치홈(4a)의 전방과 후방에는 부시앗세이(2)가 설치홈(4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핀형상의 이탈방지스프링부재(5)가 단단히 고정설치되도록 소정형상의 돌기부(4b,4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변속레버(1)의 원형돌기부(1a)는 부시앗세이(2)와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으면서, 상기 원형돌기부(1a)가 부시앗세이(2)의 안쪽에서 자유로운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변속레버(1)의 원형돌기부(1a)에 부시앗세이(2)를 조립한 다음, 상기 원형돌기부(1a)가 조립된 부시앗세이(2)를 시프트케이블 엔드(4)의 설치홈(4a)으로 삽입시킨 후, 상기 이탈방지스프링부재(5)의 중간부위를 시프트케이블엔드(4)의 전방상부면에 형성된 고정돌기(4b)에 끼우고, 상기 이탈방지스프링부재(5)의 양끝단부를 탄성을 이용해 벌리면서 시프트케이블 엔드(4)의 후방상부면에 형성된 고정돌기(4c)에 끼우게 되면, 상기 부시앗세이(2)가 이탈방지스프링부재(5)에 의해 설치홈(4a)의 밖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상기 원형돌기부(1a)가 부시앗세이(2)의 내부에서 자유로운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이용자는 변속레버(10)를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프트케이블 엔드(4)에 의하면, 상기 시프트케이블 엔드(4)의 설치홈(4a)이 금형상의 문제로 인해 원형돌기부(1a)에 맞게 제작되지 못함으로서, 상기 원형돌기부(1a)에는 별도의 부시앗세이(2)가 조립되어 설치홈(4a)에 끼워지게 되고, 이 설치홈(4a)에 끼워진 부시앗세이(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시프트케이블 엔드(4)에는 이탈방지스프링부재(5)가 설치되면서 복수개의 고정돌기(4b,4c)가 형성됨으로 인해, 변속레버(1)의 결합시 부시앗세이(2)와 이탈방지스프링부재(5)등과 같은 불필요한 조립부품들이 소모되어 제조원가가 상승되면서 생산성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시앗세이가 조립되지 않은 변속레버의 원형돌기부가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시프트케이블 엔드의 형상을 변경하여, 상기 변속레버의 결합시 부시앗세이와 이탈방지스프링부재등과 같은 불필요한 조립부품들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조립부품수를 감소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며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상품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시프트케이블 엔드부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변속기를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변속레버의 하단이 상부에서부터 안쪽으로 삽입되어 자유로운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자동차의 시프트케이블 엔드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가 삽입되는 부위에서부터 일측면까지 개구되는 소정폭의 슬릿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슬릿이 형성된 측면에서 슬릿을 중심으로 한쪽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바깥쪽으로 절곡형성된 제1결합돌기부가 구비되고, 다른 한쪽면에는 제1결합돌기부방향으로 이중절곡됨은 물론 소정부위가 직각으로 휘어지면서 끝단부가 제1결합돌기부와 측면사이에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된 제2결합돌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변속기의 조작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시프트케이블 엔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케이블 엔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케이블 엔드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케이블 엔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변속레버 1a - 원형돌기부
10 - 시프트케이블 엔드 10a - 설치홈
10b - 슬릿 10c - 제1결합돌기부
10d - 제2결합돌기부 10e - 절개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케이블 엔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케이블 엔드의 평단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변속장치나 변속기를 조작하는데 사용하는 변속레버(1)의 끝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크기의 원형돌기부(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원형돌기부(1a)는 변속기케이스(3; 도1에 도시됨)안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장착된 시프트케이블 엔드(10)의 안쪽으로 삽입되면서 이탈이 방지되고 자유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시프트케이블 엔드(10)에는 변속레버(1)의 조작으로 기어를 변속할 때 사용되는 시프트케이블(6)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시프트케이블 엔드(10)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돌기부(1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위쪽으로 개구되는 소정크기의 설치홈(1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설치홈(10a)에서부터 일측면까지 개구되는 소정폭의 슬릿(10b)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슬릿(10b)에 의해 시프트케이블 엔드(10)는 양쪽으로 약간 벌어짐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릿(10b)이 형성된 시프트케이블 엔드(10)의 측면에서 슬릿(10b)을 중심으로 한쪽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바깥쪽으로 절곡형성된 제1결합돌기부(10c)가 구비되고, 다른한쪽면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부(10c)보다 길게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제1결합돌기부(10c)방향으로 이중절곡됨은 물론 소정부위가 직각으로 휘어지면서 끝단부가 제1결합돌기부(10c)와 시프트케이블 엔드(10)의 측면사이에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된 제2결합돌기부(10d)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결합돌기부(10d)의 소정부위에는, 상기 제2결합돌기부(10d)가 직각으로 휘어지면서 제1결합돌기부(10c)에 결합될 때 휘어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소정크기의 절개홈(10e)이 안쪽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케이블 엔드(10)에 변속레버(1)가 결합되는 과정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변속레버(1)의 원형돌기부(1a)를 시프트케이블 엔드(10)의 설치홈(10a)으로 밀착시키면서 일정한 외력으로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설치홈(10a)이 슬릿(10b)에 의해 양쪽으로 약간 벌어지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원형돌기부(1a)는설치홈(10a)의 안쪽으로 원활하게 삽입되게 된다.
이후, 상기 변속레버(1)의 원형돌기부(1a)가 설치홈(10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시프트케이블 엔드(10)에 구비된 제1결합돌기부(10c)와 제2결합돌기부(10d)를 서로 체결시켜 주게 된다.
즉, 상기 원형돌기부(1a)가 설치홈(10a)에 삽입되고 나면, 상기 시프트케이블 엔드(10)에 구비된 제2결합돌기부(10d)를 제1결합돌기부(10c)방향으로 절곡시켜 주게 되는 바, 상기 제2결합돌기부(10d)에 형성된 절개홈(10e)을 중심으로 제2결합돌기부(10d)를 제1결합돌기부(10c)방향으로 절곡시켜 주게 되면, 상기 제2결합돌기부(10d)가 직각을 이루면서 원활하게 휘어지게 되며, 이때 상기 제2결합돌기부(10d)의 끝단을 제1결합돌기부(10c)와 슬릿(10b)이 형성된 시프트케이블 엔드(10)의 측면사이로 스냅(snap)방식으로 끼워주게 되면, 상기 제2결합돌기부(10d)의 끝단이 제1결합돌기부(10c)와 시프트케이블 엔드(10)의 측면사이에 단단히 끼워져 고정됨으로서, 상기 제1결합돌기부(10c)와 제2결합돌기부(10d)를 서로 체결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결합돌기부(10c)와 제2결합돌기부(10d)를 서로 체결되면, 상기 변속레버(1)의 원형돌기부(1a)는 시프트케이블 엔드(10)의 설치홈(10a)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설치홈(1a)의 밖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게 되며, 또한 상기 설치홈(10a)내에서 자유로운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케이블 엔드(10)를 사용하게 되면 변속레버(1)의 설치시 원형돌기부(1a)를 그대로 설치홈(10a)에 삽입할 수 있게 되므로,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구조와 같이 원형돌기부(1a)에 부시앗세이(2)를 조립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설치홈(4a)에 삽입된 부시앗세이(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스프링부재(5)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변속레버(1)의 설치시 조립부품수가 감소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됨은 물론, 이로인해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상품성이 증진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변속레버의 원형돌기부가 시프트케이블 엔드의 설치홈으로 삽입되면서 시프트케이블 엔드에 구비된 제1결합돌기부와 제2결합돌기부의 체결에 의해 결합되어져, 상기 변속레버의 설치시 조립부품수가 감소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됨은 물론, 이로인해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상품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변속기를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변속레버의 하단이 상부에서부터 안쪽으로 삽입되어 자유로운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자동차의 시프트케이블 엔드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가 삽입되는 부위에서부터 일측면까지 개구되는 소정폭의 슬릿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슬릿이 형성된 측면에서 슬릿을 중심으로 한쪽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바깥쪽으로 절곡형성된 제1결합돌기부가 구비되고, 다른 한쪽면에는 제1결합돌기부방향으로 이중절곡됨은 물론 소정부위가 직각으로 휘어지면서 끝단부가 제1결합돌기부와 측면사이에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된 제2결합돌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프트케이블 엔드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돌기부가 제1결합돌기부보다 길게 돌출형성됨은 물론, 상기 제2결합돌기부의 소정부위에는 제2결합돌기부를 제1결합돌기부쪽으로 휘어지도록 하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프트케이블 엔드부 구조.
KR10-2000-0084327A 2000-12-28 2000-12-28 자동차의 시프트케이블 엔드부 구조 KR100391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327A KR100391641B1 (ko) 2000-12-28 2000-12-28 자동차의 시프트케이블 엔드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327A KR100391641B1 (ko) 2000-12-28 2000-12-28 자동차의 시프트케이블 엔드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992A true KR20020054992A (ko) 2002-07-08
KR100391641B1 KR100391641B1 (ko) 2003-07-12

Family

ID=27687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4327A KR100391641B1 (ko) 2000-12-28 2000-12-28 자동차의 시프트케이블 엔드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6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412B1 (ko) * 2013-03-28 2014-04-08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자동차용 동력 연결 유닛
KR101583968B1 (ko) * 2014-08-18 2016-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프트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동변속기 레버 구조 및 그 탈거 방법
KR20200013526A (ko) * 2018-07-30 2020-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412B1 (ko) * 2013-03-28 2014-04-08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자동차용 동력 연결 유닛
KR101583968B1 (ko) * 2014-08-18 2016-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프트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동변속기 레버 구조 및 그 탈거 방법
KR20200013526A (ko) * 2018-07-30 2020-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1641B1 (ko) 200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4994A (en) Inside door handle unit for automotive vehicle
US5154450A (en) Connector for connecting thin pipe
JP6539634B2 (ja) コネクタ
GB2247989A (en) Push button switch
US5957710A (en) Lif connector
KR100391641B1 (ko) 자동차의 시프트케이블 엔드부 구조
US5225970A (en) Twist-in mounting for electromechanical component
EP1020883B1 (en) Operating device having operating button adapted to slide in housing while being pushed to effect switching operation
US5669487A (en) Key top mounting structure for a vehicular switch
EP1114937B1 (en) A unit for restraining an elongate element, particularly the sheath of a flexible cable
KR100242773B1 (ko)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
US6023032A (en) Shift knob structure with support grooves and hole for receiving tightly conductor wire
GB2304145A (en) Inside door handle unit for automotive vehicle
JP3835321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CN218021136U (zh) 调节结构、空调出风组件以及汽车
JP3506637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427662B1 (ko) 변속 케이블의 소켓 어셈블리
JP2000058192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H1140233A (ja) 雌端子金具
KR100354138B1 (ko) 에어컨 조작스위치와 일체로 형성하는 송풍기 조작스위치
CN213199588U (zh) 多节进阶安装机构
KR100373392B1 (ko) 와이퍼
JP4920240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用結合部材
KR200312137Y1 (ko) 문틀 연결구조
JP3677777B2 (ja) ギア取り付け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