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3806A - 차량용 급속전개 아이스체인의 조정 가능한 장착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급속전개 아이스체인의 조정 가능한 장착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3806A
KR20020053806A KR1020027002597A KR20027002597A KR20020053806A KR 20020053806 A KR20020053806 A KR 20020053806A KR 1020027002597 A KR1020027002597 A KR 1020027002597A KR 20027002597 A KR20027002597 A KR 20027002597A KR 20020053806 A KR20020053806 A KR 20020053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mounting
attached
friction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1539B1 (ko
Inventor
존 에이치 주니어 아티킨슨
Original Assignee
존 에이치 주니어 아티킨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에이치 주니어 아티킨슨 filed Critical 존 에이치 주니어 아티킨슨
Publication of KR20020053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1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otherwise than by retarding wheels, e.g. jet action
    • B60T1/14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otherwise than by retarding wheels, e.g. jet action directly on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9/00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9/003Vehicle mounted non-skid chains actuated by centrifugal force

Abstract

차량에 설치할 수 있는 체인 마찰 시스템을 위해 개선된 마운팅 시스템이 제공된다. 빔이나 차축을 가진 차량에 사용하도록 고안된 이 장치는 한 세트의 리프 스프링이나 에어 백 어셈블리에 차축을 고정하는 U볼트 샤클의 나사산이 있는 끝에 부착된다. 차량의 각 측면을 위해 새로운 마운팅 시스템은 U볼트샤클중 나사산이 있는 끝부분에 나사로 고정된 4개의 커플링 너트를 가지고 있다. 한쌍의 바깥쪽 구멍과 하나의 중심 구멍을 가지고 있는 십자형 금속판이 커플링 너트의 각 측면 쌍을 잡고 있다. 따라서 차량의 각 측면은 두개의 십자형 금속판을 이용하고 있다. 각 금속판의 구멍 하나는 십자형 금속판이 U볼트샤클 사이의 간격의 범위를 조정하기 위해 길게 되어 있다. 십자형 금속판을 커플링 너트에 부착하기 위해서 볼트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교차 부분의 마운팅 튜브는 길이에 따라 정렬된 4개의 구멍을 가지고 있는데 처음 두 구멍은 둥글고 튜브의 한쪽 끝에 가까이 있으며 다른 두 구멍은 두개의 십자형 금속판의 중앙 구멍으로 튜브에 볼트와 너트로 조절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길다. 하나의 마운팅 플레이트는 두 구멍으로 이루어진 두 세트를 가지고 있다. 처음 세트의 구멍들은 둥글며 체인 마찰 구성요소에 부착되는데 이용되고 두번째 세트의 구멍들은 길고 마운팅 튜브에 마운팅 플레이트를 조절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마찰 시스템의 마운팅 브라켓은 마운팅 플레이트에 설치되도록 적응되어 왔다. 마운팅 플레이트와 마운팅 튜브의 길어진 구멍들이 X-Y 좌표면에서 마운팅 브라켓의 큰폭의 조정을 가능토록 한것은 높이 평가된다. 그 조정 가능함은 양 옆으로 혹은 앞뒤로의 움직임을 허용하며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의 적절한 배열을 위해 정해진 양의 추축의 움직임을 허용한다. 밴 방향에서 위아래 움직임의 조정을 위해 다양한 두께를 가진 스페이서가 커플링 너트와 십자형 플레이트 사이에 들어갈 것이다. 구성요소의 적절한 조정이 이루어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설치의 제공을 위하여 부품들은 여러가지의 조절 가능한 부품들이 있는 곳에 짧은 용접 구슬을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급속전개 아이스체인의 조정 가능한 장착조립체{Adjustable mounting assembly for a rapidly-deployable ice chain system for wheeled vehicles}
신속히 전개될 수 있는 체인 마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짧은 체인이나 케이블 조각을 타이어 밑에 까는 것으로 약 90년 동안 알려져 왔다. 그런 시스템은 미국의 특허번호 1,045,309 와 독일의 특허번호 266,487에 W. H. Putnam의 미끄럼방지장치로 되어있다. 그동안 수많은 발명가들에 의해 많은 수정과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 다음 리스트는 이 분야에서 대표적인 미국의 특허품들이다.
US Pat. No. 1,150,148 for a TRACTION AND ANTISKIDDING DEVICE
US Pat. No. 1,223,070 for an ANTISKIDDING DEVICE FOR VEHICLES
US Pat. No. 1,374,252 for an ANTISKID DEVICE FOR AUTOMOBILES
US Pat. No. 1,381,001 for a NON-SKID DEVICE FOR MOTOR AND OTHER VEHICLE
US Pat. No. 1,975,325 for an ANTISKID CHAIN AND MEANS FOR APPLYING AND
REMOVING SAME
US Pat. No. 2,241,923 for an AUTOMATIC EMERGENCY TRACTION
US Pat. No. 2,264,466 for an ANTISKID DEVICE FOR VEHICLE
US Pat. No. 2,277,036 for an ANTISKID DEVICE
US Pat. No. 2,283,948 for an AUTOMOBILE TRACTION DEVICE
US Pat. No. 2,442,322 for an ANTISKID DEVICE
US Pat. No. 4,299,310 for an ANTISKID DEVICE FOR MOTOR VEHICLES
US Pat. No. 4,800,992 for an ANTISKID DEVICE
US Pat. No. Des. 286,524 for ANTISKID CHAIN UNIT FOR VEHICLE TIRES
그림 1 의 Prior-Art 시스템을 보면 최신의 신속히 전개되는 체인 마찰 시스템 100이 후부 정면도의 전개된 상태에서 나타나 있다. 체인 마찰 시스템 100은 차동장치 102에 결합되어 있는 운전 차축 101에 제거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내외의 로드 휠(103A와 103B 차례로)은 운전 차축101의 보이지 않는 편에 설치되어 있다. 각 로드 휠(103A와 103B)은 고무 타이어에 설치되어 있다(104A와 104B 차례로). 체인 시스템 100은 다수의 체인 106A, 106B, 106C가 부착된 마찰 디스크 105를 포함하고 있다. 체인 106A는 체인시스템 100이 전개된 채로 있을 때 보통 눈이나 빙판이 한겹 덮여 있는 도로 표면 114 아래에 나타나 있다. 마찰 디스크 105는 회전할 수 있도록 축 107에 부착되어 있다. 축 107은 마운팅 브라켓 109에 축으로 고정되어 있는 108번 지지부품에 부착되어 있다. 마운팅 브라켓 109는 리프 스프링 112를 운전차축 101에 고정하고 있는 U볼트 샤클 113에 볼트로 부착되어 있다. 체인 시스템 100은 또한 마운팅 브라켓 109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는 공기 실린더 110을 포함하고 있다. 공기 실린더 110에는 피스톤 111이 있는데 보통 실린더 110안에 있는 상태로 실린더 108의 압력이 주위압력과 같을 때 스프링에 의해 한쪽으로 치우쳐진다. 피스톤 111의 바깥 끝은 지지부품 108에 연결되어 있다. 전개된 상태에서 마찰 디스크 105의 바깥 테두리는 타이어 104A에 대해 피스톤 111이 지지부품 108에 적용된 편향력에 의하여 압력을 받는다. 그 편향력은 스프링에 의한 치우침을 견뎌내고 피스톤 111을 늘어나게 하는 공기 실린더 110내의 공기 압력에 의해 만들어 진다. 타이어 104A가 돌아갈 때 마찰 디스크 105 또한 더 많이 혹은 더 적게 방사상으로 늘어나는 체인 106과 함께 돌아간다. 그러므로 각 체인 106은 타이어 104A의 접지면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 시스템을 안으로 수축시키고 마찰 디스크 105를 타이어 104A의 외벽과의 마찰에서 해제 시키기 위해 실린더 110의 공기 압력이 끊어진다. 그와 동시에 피스톤 111이 실린더 110 안으로 수축되며 지지부품108, 마찰 디스크 105, 체인 106이 올라가게 된다. 수축된 상태에서 체인 106은 도로 표면 114에 접촉하지 않는다.
신속히 전개되는 체인 마찰 시스템의 부품들이 스프링 샤클에 부착된 마운팅 브라켓은 전형적으로는 바퀴의 크기, 샤클상태, 부유 기하학 차원에서 각 차량에 따라 다르게, 주문에 의해 만들어져야 한다. 1989년 1월 31일 Olle Anderson과 Lennart Carlsson에게 부여된 미국 특허 4,800,992에는 한 독특한 마운팅 시스템이 신속히 전개되는 체인 마찰 시스템을 위해 나타나 있다. 원통형 튜브가 미끌어 지고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조임쇠로 스프링 샤클 볼트에 부착되어 있다. 한쪽 끝에 축으로 부착된 구동 디스크를 가진 지지 부품은 다른 쪽 끝이 마운팅 플레이트에 추축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 마운팅 플레이트는 원통형 튜브의 끝에 용접 되어 있다. 큰 폭의 조정이 이 배열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설치할 때 조임쇠들은 마찰 부품들의 작동 배열이 원통형 튜브의 미끌림과 회전에 의해 이루어 질때까지 느슨하게 유지된다. 이 시스템이 사용자 설치가 최소화된 쉬운 설치를 제공한다고 해도 몇가지 불편한 점이 있다. 첫째로, 원통형 튜브가 자주 회전할 수가 있다. 둘째로, 조정할 수 있는 폭이 이상적이지는 않다. 또한 슬라이딩 축을 따라 방향의 변화 없이 위치를 유지한다 해도 유효한 높이의 조정이 어렵다. 마운팅 플레이트가 원통형 튜브의 축으로부터 중앙에서 떨어져 용접 되었다면 시스템의 높이는 원통형 튜브의 회전에 의해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마운팅 플레이트의 중앙에서 벗어난 설치는 튜브의 축 주위로 회전우력을 증가시킨다. 그 때문에 사용중에 튜브가 회전하는 경향이 증가하는 것이다. 더해서 튜브의 회전에 의한 시스템 높이 조정은 구성요소들의 각도의 방향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신속히 전개되는 체인 마찰 시스템을 위한, 조정하기 쉽고, 각도의 방향변화 없이 세개의 축들에 대해 마찰구성요소들의 조정을 제공하며 상대적으로 작동중에 배열의 변화를 손상시키지 않는 새로운 형식의 마운팅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 발명은 신속히 전개되었다가 신속히 접어 넣을 수 있는 아이스 체인 마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확히는 그러한 체인을 설치할 수 있는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전형적인 최신의 신속히 전개되는 체인 마찰 시스템의 후부 정면도이다.
도 2는 신속히 전개되는 체인 마찰 시스템 조립이 새로운 마운팅 조립을 통해 차축에 연결되어 있는 측면 정면도이다.
도 3은 체인 마찰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마운팅 조립의 같은 크기 분해도이다.
도 4는 그림 2 새로운 마운팅 조립의 상단 평면도이다.
도 5는 그림 2 새로운 마운팅 조립의 측면 분해도이다.
도 6은 신속히 전개되는 체인 마찰 시스템이 차축과 새로운 마운팅 조립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단 평면도이다.
도 7은 새로운 마운팅 조립의 같은 크기의 조립된 도면이다.
이 발명은 차량에 부착될 수 있는 체인 마찰 시스템을 위한 개선된 마운팅 장치이다. 빔이나 운전축을(예: 차동장치와 결합된 것) 가진 차량을 위해 고안된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차축에 리프스프링이나 에어백 어셈블리에 고정하는 U볼트샤클에 부착되어 있다. 만약 U볼트가 차축에 없다면 새로운 U볼트세트가 즉시 설치될 것이고 시스템을 고정하는데 이용될 것이다. 어느쪽이든, U볼트샤클의 노출되고 나사산이 있는 끝에 직접 부착되기 위해 새로운 마운팅 시스템이 고안된다.
차량의 각 측면을 위해 새로운 마운팅 시스템은 U볼트샤클중 나사산이 있는 것의 끝부분에 나사로 고정된 4개의 커플링 너트를 가지고 있다. 한쌍의 바깥쪽 구멍과 하나의 중심 구멍을 가지고 있는 십자형 금속판이 커플링 너트의 각 측면 쌍을 잡고 있다. 따라서 차량의 각 측면은 두개의 십자형 금속판을 사용한다. 각 금속판의 구멍 하나는 십자형 금속판이 U볼트샤클 사이의 간격의 범위를 조정하기 위해 길게 되어 있다. 십자형 금속판을 커플링 너트에 부착하기 위해서 볼트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교차 부분의 마운팅 튜브는 길이에 따라 정렬된 4개의 구멍을 가지고 있는데 처음 두 구멍은 둥글고 튜브의 한쪽 끝에 가까이 있으며 다른 두 구멍은 두개의 십자형 금속판의 중앙 구멍으로 튜브에 볼트와 너트로 조절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길다. 하나의 마운팅 플레이트는 두 구멍으로 이루어진 두 세트를 가지고 있다. 처음 세트의 구멍들은 둥글며 체인 마찰 구성요소에 부착되는데 이용되고 두번째 세트의 구멍들은 길며, 마운팅 튜브에 마운팅 플레이트를 조정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그림 1 의 109에 해당하는 마찰 시스템의 마운팅 브라켓은 마운팅 플레이트에 설치되도록 적응되어 왔다. 마운팅 플레이트와 마운팅 튜브의 길어진 구멍들이 XY 좌표면에서 마운팅 브라켓의 큰폭의 조정을 가능토록 한 것은 높이 평가된다. 그 조정 가능함은 양 옆으로 혹은 앞뒤로의 움직임을 허용하며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의 적절한 배열을 위해 정해진 양의 추축의 움직임을 허용한다. 밴 방향에서 위아래 움직임의 조정을 위해 중앙에 홈을 가지고 있는 평와셔나 사각 스페이서 같은 다양한 두께를 가진 스페이서가 커플링 너트와 십자형 플레이트 사이에 들어갈 것이다. 스페이서의 사용은 커플링 너트에 십자형 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더 긴 볼트의 사용을 요구한다.
구성요소의 적절한 조정이 이루어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설치의 제공을 위하여 부품들은 여러가지의 조절 가능한 부품들이 있는 곳에 짧은 용접 구슬을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을 것이다. 후일의 서비스를 위하여 그 구슬들은 부품들을 떼어내기 위해 다듬어져 있을 것이다.
이 발명은 차량에 부착될 수 있는 체인 마찰 시스템을 위한 개선된 마운팅 장치이다. 그림 1과 그림 2를 보면 특별한 마운팅 시스템이 빔이나 차축(101)을(차동장치와 결합되어) 가진 차량을 위해 고안되어 나타나 있다. 차량의 각 측면에서 이 장치가 일반적으로 리프스프링(112)의 세트나 에어백 어셈블리(그림에 없음)에 차축을 고정시키는 U볼트샤클에 부착된다. 만약 U볼트샤클이 차축에 없다면 새로운 U볼트샤클 세트가 즉시 설치될 것이고 시스템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될 것이다. 어느쪽이든, 두 세트의 리프스프링에 연결된 U볼트샤클의 노출되고 나사산이 있는 끝에 직접 부착되기 위해 새로운 마운팅 시스템이 고안된다(그림 1의 112 참조). 각 리프스프링 세트는 빔축이나 빔틀(차축의 상자안)에 한쌍의 U볼트샤클(113)로 연결되며 U볼트샤클은 4개의 표준 너트 115(각 U볼트에 두개)로 고정된 평평한 플레이트 114로 차축이나 축틀아래에 같이 고정되어 있다. 새로운 마운팅 시스템은 U볼트의 노출되고 홈이 파진 끝에 직접 부착될 수 있게 고안되었다.
그림 2, 3, 4, 그리고 5를 참조해볼때, 차체의 각 측면에는 나사산이 있는 커플링 너트가 포함된 새로운 마운팅 시스템 200이 있다. 각각의 커플링 너트는 나사산이 있는 샤프트 또는 볼트의 몸이 잘 맞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커플링 너트 201은 U볼트샤클 113과 나사로 고정된다. 마운팅 시스템 200은 추가로 차체의 각 측면에 두개의 십자형 금속판을 포함한다. 각각의 십자형 금속판 301은 하나의 중앙의 둥근 구멍 303을 가지고 있으며, 두개의 외측 구멍 302A 와302B를 두개의 커플링 너트 201를 고정하기 위해 가지고 있다. 외측 구멍중 하나인 302B는 십자형 금속판 301와 U볼트샤클 113와의 공간 범위의 조정을 위해 길게 되어 있다. 네개의 커플링 볼트304는 U볼트샤클 113에 붙어있는 커플링 너트 201의 노출된 끝쪽에 고정시키기 위해 쓰인다. 튜브 305의 일반적으로 정사각형인 교차 부분에는 4개의 구멍이 그것의 길이에 맞게 나열되어있다. 처음 두개의 구멍들 306A와 306B는 둥글고 튜브 305의 한쪽 끝에 가까이 있다. 다른 두개의 구멍들 307A 와 307B는 십자형 금속판 301의 둥근 중간 구멍과의 적절한 조합을 위해 길게 되어 있다. 부착 볼트 308과 부착 너트 309는 튜브 305와 십자형 금속판 301의 부착에 사용된다. 마운팅 플레이트 310은 두 세트의 구멍 311A와 311B를 포함한다. 311A의 구멍들은 둥글며 마찰 시스템의 부착에 사용된다. 마운팅 볼트 312와 마운팅 너트 313은 위의 용도로 사용된다. 311B의 구멍들은 길고 마운팅 플레이트 310과 마운팅 튜브 305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고정 볼트 314와 고정 너트 315는 마운팅 플레이트 310을 마운팅 튜브 305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마운팅 튜브 305의 경사도 조절을 하는데에 스페이서 316이 사용될 것이다.
그림 2와 6을 참조해볼때, 그림 1의 마운팅 브라켓 109에 대응하는 마찰 시스템 600의 마운팅 브라켓 601은 마운팅 플레이트 310에 부착 되도록 적용되어있다. 마운팅 플레이트 310과 마운팅 튜브 305의 길다란 구멍들은 마운팅 브라켓 601의 x와 y 주축선상의 위치 지정을 가능케 하는데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는 평행, 앞뒤 움직임은 물론, 어느 정도의 부품 정렬의 중추적 움직임도 가능하게 한다. Z-주축선상의 움직임을 위해서는 평와셔와 같은 두께가 다른 스페이서가 연결너트 201과 십자형 금속판 301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스페이서가 사용될 경우, 연결 볼트 304는 더 이상 필요가 없어진다.
그림 7과 8은 좀 더 확실한 마운팅 플레이트 310, 마운팅 튜브 305, 그리고 십자형 금속판 301의 형태를 보여준다.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는 설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일단 확실한 부품 조정을 하고 난뒤, 여러가지 다른 부품들이 부착될 곳에 작은 용접구슬을 적용한다. 용접구슬은 고착 구실에만 사용되며, 볼트와 너트는 튼튼하게 죄어진채로 남아있는다. 후에 서비스를 위해서 용접구슬들은 부품들을 해체하기 위해 떼어내곤 한다.
여기까지는 단지 한가지 형태의 신속히 전개되는 체인 마찰 시스템을 위한 조절가능한 차량 마운팅 장치 만 묘사되었지만, 또 다른 설명과 발명 없이 단순한 기술만으로도 변화,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8)

  1. 두개 이상의 U 볼트(113)로 차량 하단, 차체에 연결된 차축(101)의 휠(103)에 부착된 타이어(104)옆의 설치를 위한, 다음을 포함하는 체인 마찰 시스템
    나사로 부착되도록 U자 볼트(113)의 끝부분에 달려있으며, 시스템을 위한 Z축선상의 위치 조정을 제공하는 적어도 네 개의 연결 너트(201).
    각각 두개의 연결 너트와 같이 설치되는 두개의 십자형 금속판(301)
    두개 이상의 길다란 구멍(307A & 307B)과 두개 이상의 추가 구멍(306A & 306B)을 처음 세트로 각각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구멍은 반대쪽의 짝까지 관통되어 있는 정사각형의 튜브(305)
    각각의 정사각형의 튜브 부품(305)과 십자형 금속판(301)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긴 구멍들(307A & 307B)이 시스템의 x-축선상의 위치 수정을 가능케 하는, 적어도 두개의 나사산이 있는 첫번째 세트의 패스트너(308/309)
    적어도 두개의 긴 구멍으로 이루어진 두번째 세트(311B)와 두개의 추가 구멍으로 이루어진 두번째 세트(311A)를 각각 가지고 있으며, 긴 구멍들이 y-축선상의 위치 수정을 가능하게하는 마운팅 플레이트(310).
    마운팅 플레이트(310)와 두번째 세트의 길다란 구멍들과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두개의 나사산이 있는 패스트너의 두번째 세트(314/315)
    마운팅 브라켓(109)
    마운팅 브라켓(109)과 두번째 세트의 추가 구멍들(311A)에 연결하는 적어도두개의 나사산이 있는 패스트너의 세번째 세트(313/312)
    마운팅 브라켓(109)에 축으로 설치된 지지부품(108)과 회전 가능토록 지지부품(108)위에 설치된 마찰 디스크(105)
    마찰 디스크 주위에 설치된 많은 수의 같은 길이 체인(106)
    편향력을 지지부품(108)에 주고 마운팅 브라켓(109)에 부착되어 있는 도구, 편향력은 지지 부품(108)을 수축된 위치에서 타이어(104A)와 접촉한 마찰 디스크(105) 주위로 밀어냄으로써 휠이 돌때, 마찰 디스크 또한 회전하고, 체인의 구획(106)을 타이어의 밑으로 밀어넣음.
  2. 편향력 제공의 수단으로 공기 실린더(110)를 사용한 클레임 1의 체인 마찰 시스템.
  3. X, Y, Z 축선상의 위치 순환은 스페이서(316)와 커플링 너트(201)의 연합으로도 조정 가능한 클레임 1의 체인 마찰 시스템.
  4. 두개 이상의 U 볼트(113)로 차량 하단, 차체에 연결된 차축(101)의 휠(103)에 부착된 타이어(104)옆의 설치를 위한, 다음을 포함하는 신속히 전개되는 차량 스노우 체인 마찰 시스템
    나사로 부착되도록 U자 볼트(113)의 끝부분에 달려있으며, 시스템을 위한 Z축선상의 위치 조정을 제공하는 적어도 네 개의 연결 너트(201).
    각각 두개의 연결 너트와 같이 설치되는 두개의 십자형 금속판(301).
    두개 이상의 길다란 구멍(307A & 307B)과 두개 이상의 추가 구멍(306A & 306B)을 처음 세트로 각각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구멍은 반대쪽의 짝까지 관통되어 있는 정사각형의 튜브(305)
    각각의 정사각형의 튜브 부품(305)과 십자형 금속판(301)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긴 구멍들(307A & 307B)이 시스템의 x-축선상의 위치 수정을 가능케 하는, 적어도 두개의 나사산이 있는 첫번째 세트의 패스트너(308/309)
    적어도 두개의 긴 구멍(311B)과 두개의 추가 구멍(311A)을 두번째 세트로 각각 가지고 있으며, 길다란 구멍들은 y-축선상의 위치 수정을 가능하게함 마운팅 플레이트(310).
    마운팅 플레이트(310)와 두번째 세트의 길다란 구멍들과 연결하는 두번째 나사산이 있는 패스트너(314/315)
    마운팅 브라켓(109)
    마운팅 브라켓(109)과 두번째 세트의 두개의 추가 구멍들(311A)을 연결하는 두개 이상의 나사산이 있는 패스트너(313/312)의 세번째 세트. 지지 부품(108)를 중추적으로 마운팅 브라켓에 설치하고, 지지 부품에는 마찰 디스크(105)가 설치되며, 마찰 디스크 주위 아래로 부착된 같은 길이의 체인 구획들(106).
  5. 브라켓에 부착된 지지 부품(108)에 편향력을 주는, 공기 실린더가 추가로 포함되어있고, 지지 부품(108)의 수축된 위치에서 마찰 디스크(105) 주위가 차의 타이어에 접촉되는 전개된 위치로 상반된 움직임도 할 수 있게하는 클레임 4의 조절 가능한 장치.
  6. 두개 이상의 U 볼트(113)로 차량 하단, 차체에 연결된 차축(101)의 휠(103)에 부착된 타이어(104)옆의 설치를 위한, 다음을 포함하는 신속히 전개되는 차량 스노우 체인 마찰 시스템:
    나사로 부착되도록 U자 볼트(113)의 끝부분에 달려있으며, 시스템을 위한 Z축선상 위치 조정을 제공하는 적어도 네 개의 연결 너트(201).
    각각 두개의 연결 너트와 같이 설치되는 두개의 십자형 금속판(301).
    십자형 금속판(301)과 처음의 두개 이상의 길다란 구멍들(307A & 307B)을 통해 연결되어 마찰 시스템의 x-주축선상의 위치 지정을 가능케하는 처음 부품(305); 그리고 첫 부품과 두번째의 두개 이상의 길다란 구멍들(311B)을 통해 연결되어 y-주축선상의 위치 지정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신속히 전개되는 차량 스노우 체인 마찰 시스템의 장착 위치 지정을 가능하게 하는 두번째 부품(310).
  7. 클레임 6의 조정 가능한 장착 기관은 신속히 전개되는 차량 스노우 체인 마찰 시스템에서 다음을 포함한다;
    두번째 부품(310)에 부착 가능한 마운팅 브라켓(109);
    지지 부품(108)이 중추적으로 부착된 마운팅 브라켓(109)과 마찰 디스크(105)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지지 부품(108);
    대다수의 같은 체인 구획(106)이 부착된 위의 마찰 디스크 주위;
    마운팅 브라켓(109)에 첨부된 편향력을 지지 부품(108)에 제공하기 위한 도구. 편향력은 지지 부품(108)을 수축된 위치에서 타이어(104A)와 접촉한 마찰 디스크(105) 주위로 밀어냄으로써 휠(103A)이 돌때, 마찰 디스크 또한 회전하고, 체인의 구획(106)을 타이어의 밑으로 밀어넣음.
  8. X, Y, Z 축선상의 위치 순환은 스페이서(316)와 커플링 너트(201)의 연합으로도 조정이 가능한 클레임 5의 조정 가능한 부착 장치.
KR10-2002-7002597A 1999-08-27 2000-08-28 차량용 급속전개 아이스체인의 조정 가능한 장착조립체 KR100501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27699P 1999-08-27 1999-08-27
US60/151,276 1999-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806A true KR20020053806A (ko) 2002-07-05
KR100501539B1 KR100501539B1 (ko) 2005-07-18

Family

ID=2253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597A KR100501539B1 (ko) 1999-08-27 2000-08-28 차량용 급속전개 아이스체인의 조정 가능한 장착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216174A4 (ko)
JP (1) JP2003508295A (ko)
KR (1) KR100501539B1 (ko)
CN (1) CN1268511C (ko)
CA (1) CA2383010A1 (ko)
WO (1) WO20010159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609Y1 (ko) * 2013-08-16 2014-10-07 최태윤 장애인용 자동차 운전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5914B2 (en) 2017-12-20 2020-06-09 Dusawn Holdings LLC Tire chains apparatus
CN111634163A (zh) * 2020-05-27 2020-09-08 秦皇岛市大象轮胎有限公司 一种轮胎防滑链安装装置
CN115157928B (zh) * 2022-09-07 2023-03-21 之江实验室 一种全自动车载防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6487C (ko)
US1045609A (en) 1912-03-01 1912-11-26 William H Putnam Antiskidding device.
US1150148A (en) 1912-10-03 1915-08-17 William H Putnam Traction and antiskidding device.
US1223070A (en) 1916-09-18 1917-04-17 William H Putnam Antiskidding device for vehicles.
GB159605A (en) 1919-12-01 1921-03-01 Edmund Haselden Bramal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non-skid devices for motor and other vehicles
US1374252A (en) 1919-12-19 1921-04-12 Thorne Antiskid device for automobiles, &c.
US1975325A (en) 1933-10-20 1934-10-02 Guido Lisella Antiskid chain and means for applying and removing same
US2241923A (en) 1940-02-02 1941-05-13 Herbert N Ridgway Automatic emergency traction device for automobiles
US2264466A (en) 1940-12-23 1941-12-02 Carleton A Weisel Antiskid device for vehicles
US2277036A (en) 1941-03-10 1942-03-24 Francis P Chaussee Antiskid device
US4091809A (en) * 1976-10-18 1978-05-30 Philips Roxane, Inc. Partially transparent eyeshield
SE447811B (sv) * 1985-03-01 1986-12-15 Onspot Ab Slirskydd
DE3509061A1 (de) * 1985-03-14 1986-09-18 Gerd Schulz Fahrzeug- und Container-Technik, 2100 Hamburg Halter fuer eine gleitschutzvorrichtung eines fahrzeugrades
SE459961C (sv) * 1988-02-09 1990-10-25 Goeran Toernebaeck Anordning vid slirskyd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609Y1 (ko) * 2013-08-16 2014-10-07 최태윤 장애인용 자동차 운전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08295A (ja) 2003-03-04
WO2001015947A1 (en) 2001-03-08
CA2383010A1 (en) 2001-03-08
EP1216174A1 (en) 2002-06-26
CN1374911A (zh) 2002-10-16
KR100501539B1 (ko) 2005-07-18
CN1268511C (zh) 2006-08-09
EP1216174A4 (en) 200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6051A (en) Easily activated and deactivated traction device for vehicles
US20100170603A1 (en) Easily mountable and removable universally adjustable traction apparatus for vehicle tires
US6217125B1 (en) Safety wheel assembly
US3848842A (en) Impingement shield
US5087103A (en) Auxiliary wheel to be paired temporarily with a vehicle wheel and traveling device thus obtained
US6536501B1 (en) Tire changing and bead breaker apparatus
KR20020053806A (ko) 차량용 급속전개 아이스체인의 조정 가능한 장착조립체
KR101316844B1 (ko) 자동차용 험로탈출장치
MXPA02002597A (es) Eje de vehiculo.
US5716106A (en) Traction enhancing device
CA2143027C (en) Grader fenders
US6651783B1 (en) Adjustable mounting assembly for a rapidly-deployable ice chain system for wheeled vehicles
US6279950B1 (en) Axle crutch
US5601158A (en) Wheel blocking system
US3777798A (en) Safety wheel
US4067592A (en) Anti-jacknife apparatus
US3658158A (en) Anti-skid device for motor vehicles
US5582662A (en) Vehicle wheel anti-slip device
US3596924A (en) Vehicle stabilizer
CA2247999A1 (en) Lift jack for wheeled vehicle
US2461758A (en) Tire-protecting skid
US6062348A (en) Rapidly-deployable vehicle snow chain system having individually-replaceable interlocking chain attachment plates
CA2461648C (en) Tire changing and bead breaker apparatus
JPH06156215A (ja) トレーラーなどの車両用補助ブレーキ
KR0183072B1 (ko) 자동차의 차고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