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2105A - 전기로의 2차집진덕트내 더스트 고착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로의 2차집진덕트내 더스트 고착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2105A
KR20020052105A KR1020000081379A KR20000081379A KR20020052105A KR 20020052105 A KR20020052105 A KR 20020052105A KR 1020000081379 A KR1020000081379 A KR 1020000081379A KR 20000081379 A KR20000081379 A KR 20000081379A KR 20020052105 A KR20020052105 A KR 20020052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secondary dust
dust collecting
collecting duct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1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경회
Original Assignee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20000081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2105A/ko
Publication of KR20020052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210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08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heated electrically, with or without any other source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2차집진덕트 내부로 포집되는 더스트를 고착되기 전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더스트의 고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전기로의 2차집진덕트내 더스트 고착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하부가 개방된 2차집진덕트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2차집진덕트 바닥면을 이루는 플랩과, 플랩의 회동축에 설치되는 레버에 힌지결합되고 2차집진덕트 일측에 연결되어 플랩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 및, 플랩에 더스트가 쌓이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구동실린더를 제어작동시키기 위한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2차집진덕트 저면에 쌓이는 더스트를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거부와, 2차집진덕트의 플랩 하부에 설치되는 호퍼와, 호퍼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이송스크류, 호퍼 측선단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제거부에 의해 배출된 더스트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를 포함하는 전기로의 2차집진덕트내 더스트 고착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로의 2차집진덕트내 더스트 고착 방지장치{Device for cleaning dust in duct of electric furnace}
본 발명은 전기로 상부의 2차 집진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진덕트 내부에 더스트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전기로 집진덕트 내의 더스트 고착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로는 전기를 이용하여 금속이나 합금을 가열, 용해하는 노를 말하는 것으로 전기로의 대천정 상부로 수직 연결된 3개의 전극봉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고열의 아크열이 발생되면서 전기로 내의 고철을 용해하게 된다.
이때 고철 용해 작업시 다량의 미세 더스트가 발생하게 되는 데, 이러한 더스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대천정(100)에 설치된 덕트(101)를 통해 배출처리되고, 나머지 더스트는 전기로(102)가 설치되는 인크로즈(110) 상부의 2차 집진덕트(111)를 통해 처리된다.
2차집진덕트(111)는 인크로즈(110) 상부의 모서리부를 따라 연결 설치되는 사각형 부재로 측면에는 다수개의 흡입구(112)가 배열 형성되어 인크로즈(110) 내부의 더스트를 포집하게 된다.
2차집진덕트(111)로 포집된 더스트는 2차집진덕트(111)에 연결되는 배출덕트(113)를 통해 재처리장치로 보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구조의 2차집진덕트는 장시간 사용시 전기로 조업중 발생하는 증발수, 노체 및 염기도 조성용으로 사용되는 생석회의 미세분말, 철입자 등의 상호 고착작용으로 덕트 내부에 더스트가 고착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같이 더스트의 고착화로 인해 집진 효율 저하가 발생하게 되고, 고착된 더스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작업 휴지시간동안 작업자가 집진덕트내로 들어가 치구를 이용하여 고착된 더스트를 탈락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작업시 안전사고가 발생할 소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제거된 더스트 처리시 작업자가 포대를 이용 처리된 더스트덩어리를 직접 처리장까지 운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2차집진덕트 내부로 포집되는 더스트를 고착되기 전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더스트의 고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전기로의 2차집진덕트내 더스트 고착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고착방지장치가 설치된 집진덕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고착 방지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고착방지장치의 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라 집진덕트 내에 더스트가 고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2차집진덕트 11 : 흡입구
20 : 플랩 21 : 회동축
22 : 레버 23 : 구동실린더
24 : 무게추 30 : 누름부재
31 : 누름핀 32 : 케이스
33 : 탄성스프링 34 : 리미트스위치
40 : 호퍼 41 : 이송스크류
42 : 구동모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로의 2차 집진덕트 저면에 설치되어 쌓이는 더스트를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거부, 집진덕트 하부에 설치되어 제거부에 의해 배출된 더스트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고착방지장치가 설치된 집진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고착 방지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고착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2차집진덕트(10)는 전기로가 설치된 인크로즈(110) 상부의 모서리부를 따라 연결 설치되는 사각형 부재로 측면을 따라 흡입구(11)가 배열 형성되어 인크로즈(110) 내부의 더스트를 포집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조의 2차집진덕트(10)에 있어서, 2차집진덕트(10) 저면에 설치되어 저면에 쌓이는 더스트를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거부, 2차집진덕트(10) 하부에 설치되어 제거부에 의해 배출된 더스트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거부는 하부가 개방된 2차집진덕트(10)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2차집진덕트(10) 바닥면을 이루는 플랩(20)과, 플랩(20)이 고정설치된 회동축(21)에 설치되는 레버(22)에 힌지결합되고 2차집진덕트(10) 일측에 연결되어 플랩(20)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23) 및, 플랩(20)에 더스트가 쌓이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구동실린더(23)를 제어작동시키기 위한 감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플랩(20)은 2차집진덕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플랩(20)의 자유단이 서로 맞닿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두 개의 플랩(20)이 각각 회동되면서 2차집진덕트(10) 바닥면을 개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회동축(21)을 기준으로 플랩(20)의 무게를 보상할 수 있도록, 회동축(21)에 설치되어 2차집진덕트(10) 외측으로 돌출되는 무게추(24)가 설치되어 플랩(20)의 폐쇄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 감지수단은 플랩(20)에 더스트가 쌓여 일정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이를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플랩(20)의 회동축에 고정설치되고 2차집진덕트(10) 내측면으로 돌출되는 누름부재(30), 2차집진덕트(10) 내측면에 설치되고 누름부재(30)에 의해 눌러져 온/오프되는 스위치수단을 포함한다.
스위치수단은 2차집진덕트(10) 외측면에 설치되는 스위치케이스(31)와, 스위치케이스(31) 내부에 설치되어 2차집진덕트(10) 측면을 관통하여 누름부재(30)에 의해 눌려지는 누름핀(32), 누름핀(32)과 케이스(31)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33), 누름핀(32) 내측 선단의 이동에 의해 온/오프되는 리미트스위치(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더스트의 중량에 의해 플랩(20)이 처지게 되면 회동축(21)에 설치된 누름부재(30)이 회동되면서 누름부재(30)에 의해 눌려져 있던 누름핀(32)이 판성스프링(33)에 의해 복귀되면서 리미트스위치(34)를 온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이송부는 2차집진덕트(10) 하부 측면을 따라 부착설치되어 플랩(20) 하부에 놓여지는 호퍼(40)와, 호퍼(40)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이송스크류(41), 호퍼(40) 측선단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류(4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호퍼(40)는 인크루져의 각 측면에 설치된 2차집진덕트(10)에 모두 설치되는 데, 각각의 호퍼(40)를 연결하여 최종적으로 일측 호퍼(40) 저부에 설치된 더스트저장탱크로 보낼 수 있도록 각 호퍼(40)가 일정높이로 단차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크루져의 좌측면에 설치되는 호퍼(40)보다후면에 설치되는 호퍼(40)의 깊이가 깊게 되어 이송스크류(41)에 의해 이송된 더스트가 단차져 있는 후면의 호퍼(40) 내부로 낙하되고, 후면의 호퍼(40)보다 우측면에 설치된 호퍼(40)의 깊이가 깊게 되어 이송스크류(41)에 의해 이송된 더스트가 단차져 있는 우측면의 호퍼(40) 내부로 최종 투입되어 더스트저장탱크로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기로 가동에 따라 발생되는 더스트는 2차집진덕트(10)를 통해 배출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더스트가 2차집진덕트(10)의 저면에 쌓이게 된다.
2차집진덕트(10) 저면에 설치된 플랩(20) 위에 더스트가 계속 누적되어 더스트의 중량이 일정량을 초과하게 되면, 회동축(21)에 대해 플랩(20)의 반대측에 설치된 무게추(24)의 중량을 극복하여 플랩(20)이 약간 밑으로 처지게 된다.
플랩(20)이 약간 회동되어 내려감에 따라 플랩(20)이 고정설치된 회동축(21)이 회동하게 되고, 회동축(21)에 설치된 누름부재(30)이 회동축(21)과 같이 회동된다.
따라서 누름부재(30)의 회동에 따라 누름부재(30)에 눌려져 있던 누름핀(32)이 케이스(31) 내부에서 압축되어 있던 판성스프링(33)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밀려나가게 되고, 누름핀(32)이 이동함에 따라 복귀되면서 리미트스위치(34)를 온시키게 된다.
리미트스위치(34)의 온신호에 따라 구동실린더(23)가 작동되어 더스트를 호퍼(40)로 낙하시키고, 이와동시에 구동모터(42)가 작동되어 호퍼(40)로 배출된 더스트를 이송시키게 된다.
즉, 리미트스위치(34) 신호에 따라 구동실린더(23)가 수축작동함으로서 구동실린더(23)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있는 레버(22)가 당겨지게 되고, 레버(22)가 설치된 회동축(21)이 레버(22)와 같이 회동되어 회동축(21)에 설치된 플랩(20)이 아랫방향으로 회동되어 개방되게 된다.
플랩(20)이 개방됨에 따라 플랩(20) 위에 쌓여 있던 더스트가 호퍼(40) 내부로 떨어지게 되고, 더스트가 호퍼(40)로 배출되면 구동실린더(23)는 다시 신장작동되어 개방되어 있는 플랩(20)을 회동시켜 2차집진덕트(10) 하부를 폐쇄시키게 된다.
여기서 플랩(20)이 다시 회동되어 닫혀지게 되면 회동축(21)에 설치된 걸림부재가 걸림핀(32)을 누르게 되고 걸림핀(32)이 케이스(31) 내부로 들어가면서 리미트스위치(34)를 건드려 리미트스위치(34)를 오프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2차집진덕트(10) 하부가 개방되면서 더스트가 2차집진덕트(10) 내부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호퍼(40) 내부로 배출된 더스트는 구동모터(42)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41)를 따라 호퍼(40) 끝단으로 이동되게 된다.
2차집진덕트(10)의 각 호퍼(40)를 통해 이송되는 더스트는 최종적으로 더스트저장탱크와 연결된 호퍼(40)로 이송되고, 이 호퍼(40)에 저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더스트저장탱크로 최종 배출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의 2차집진덕트내 더스트 고착 방지장치에 의하면, 수시로 더스트를 배출처리함으로서 밀폐된 공간내에서 누적,고착된 더스트 처리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처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처리작업시 발생되는 안전사고와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전기로가 설치된 인크로즈 상부의 모서리부를 따라 설치되고 측면에는 더스트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어 인크로즈 내부의 더스트를 포집하는 2차집진덕트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된 2차집진덕트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2차집진덕트 바닥면을 이루는 플랩과, 플랩의 회동축에 설치되는 레버에 힌지결합되고 2차집진덕트 일측에 연결되어 플랩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 및, 플랩에 더스트가 쌓이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구동실린더를 제어작동시키기 위한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2차집진덕트 저면에 쌓이는 더스트를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거부와;
    2차집진덕트의 플랩 하부에 설치되는 호퍼와, 호퍼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이송스크류, 호퍼 측선단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제거부에 의해 배출된 더스트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의 2차집진덕트내 더스트 고착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플랩의 회동축에 고정설치되고 2차집진덕트 내측면으로 돌출되는 누름부재와, 2차집진덕트 외측면에 설치되는 스위치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2차집진덕트 측면을 관통하여 누름부재에 의해 눌려지는 누름핀, 누름핀과 케이스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 누름핀 내측 선단의 이동에 의해 온/오프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의 2차집진덕트내 더스트 고착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가 회동축에 설치되어 2차집진덕트 외측으로 돌출되는 무게추가 더욱 설치되어 플랩의 무게를 보상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의 2차집진덕트내 더스트 고착 방지장치.
KR1020000081379A 2000-12-23 2000-12-23 전기로의 2차집진덕트내 더스트 고착 방지장치 KR20020052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379A KR20020052105A (ko) 2000-12-23 2000-12-23 전기로의 2차집진덕트내 더스트 고착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379A KR20020052105A (ko) 2000-12-23 2000-12-23 전기로의 2차집진덕트내 더스트 고착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105A true KR20020052105A (ko) 2002-07-02

Family

ID=2768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1379A KR20020052105A (ko) 2000-12-23 2000-12-23 전기로의 2차집진덕트내 더스트 고착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21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60293A (zh) * 2023-07-28 2023-08-29 天津金耀盛景玻璃有限公司 一种玻璃质量检测装置及检测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60293A (zh) * 2023-07-28 2023-08-29 天津金耀盛景玻璃有限公司 一种玻璃质量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6660293B (zh) * 2023-07-28 2023-10-27 天津金耀盛景玻璃有限公司 一种玻璃质量检测装置及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08373B (zh) 一种垃圾分类回收机器人
CN108910365B (zh) 垃圾分类回收机器人
US5871162A (en) Paper shredding assembly
CN114308242B (zh) 一种废弃物处理装置
JP4866530B2 (ja) 不純物及び/又はコーティングを熱除去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8894161B (zh) 一种垃圾清扫回收机器人
KR20020052105A (ko) 전기로의 2차집진덕트내 더스트 고착 방지장치
CN205289213U (zh) 废旧滤油器及金属桶的综合环保回收处理系统
CN218107776U (zh) 一种适用于粉剂物料的粉碎筛分设备
JP2002316103A (ja) プラスチック片洗浄装置
KR20210115176A (ko) 종이 세절기
JPH1114797A (ja) 放射性廃棄物破砕分別処理施設
US4201129A (en) Machine for charging furnaces
CN215878302U (zh) 一种铝银浆球磨机出料装置
JP2002120929A (ja) 掻き上げ板式コンベア
JP2894678B2 (ja) 塵芥収集車
JP2654463B2 (ja) 粉体供給装置
CN220310528U (zh) 一种危险固废处置高效扬尘处理设备
CN216704670U (zh) 一种碎渣机防堵塞装置
CN220119387U (zh) 一种垃圾焚烧残渣装袋装置
CN215363116U (zh) 一种垃圾分类回收运输车
CN215248325U (zh) 一种移动式仓顶除尘器
CN210552401U (zh) 一种塑料粉碎机
KR100444289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CN113368980A (zh) 一种节能环保型固态垃圾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