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2020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2020A
KR20020052020A KR1020000081195A KR20000081195A KR20020052020A KR 20020052020 A KR20020052020 A KR 20020052020A KR 1020000081195 A KR1020000081195 A KR 1020000081195A KR 20000081195 A KR20000081195 A KR 20000081195A KR 20020052020 A KR20020052020 A KR 20020052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signal
signals
analog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1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5297B1 (ko
Inventor
이경한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20000081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5297B1/ko
Publication of KR20020052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2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001Analogue/digital/analogue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집약적 디지털 소자를 이용하여 광대역의 3 FA IF 신호를 처리한 후 채널카드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소자를 이용하여 3 FA의 광대역 범위내 3 FA 아날로그 IF 신호를 멀티 케리어방식으로 처리함으로써, 회로에 적용되는 소자를 집약적으로 구성하여 기지국의 소형화를 가능토록 해줄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생산비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시스템의 안정화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MULTI-CARRIER INTERFACE DEVICE USING DIGITAL CIRCUI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약적 디지털 소자를 이용하여 3 FA(Frequency Assignment; 이하 "FA"라 칭함.)의 광대역 IF(Intermediate Frequence; 이하 "IF"라 칭함.) 신호를 처리하여 채널카드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Digital)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시다시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치는 점차 소형화되며, 아날로그 회로의 신뢰도, 및 가격등의 문제로 인해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회로를 사용하는 구조로 변하고 있다.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는 RF(Radio Frequence) 블록내 다운 컨버터(Down-Converter)로부터 각 FA에 대해 안테나로부터 다이버시티 방식으로 동일한 정보를 가지는 두 SAW(Surface Acoustic Wave Filter) 필터링된 아날로그 IF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 때, 3 FA 멀티 케리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3개의 패스를 통해 FA를 각각 입력받아 각 패스 마다 아날로그 IF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각각의 아날로그 IF 신호를 디지털 IF 신호로 변환시켜 채널카드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는 FA IF 보드에 대해 동일한 두개의 아날로그 IF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 모듈이 이중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때, 각 아날로그 인터페이스 모듈은 안테나로부터 SAW 필터링된 아날로그 IF 신호를 입력받은 후 특정 FA 대역내 IF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BPF(1), 미약한 전압을 일정한 전압으로 증폭시키는 전압 컨트롤 증폭기(2), 일정한 전압으로 증폭된 아날로그 IF 신호를 입력받는 동시에 주파수 발생기(7)로부터 90°천이된 로컬 주파수 또는 천이되지 않은 로컬 주파수를 입력받은 후 I 채널 및 Q 채널의 아날로그 IF 신호를 분리시켜 전송하는 두개의 믹서(3), I 채널 또는 Q 채널의 아날로그 IF 신호를 각각 입력받은 후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두개의 LPF(4), I 채널 또는 Q 채널 아날로그 IF 신호를 입력받은 후 소정의 레벨로 각각 증폭하는 이득 증폭기(5), I 채널 또는 Q 채널 아날로그 IF 신호를 입력받은 후 I 채널 및 Q 채널 디지털 IF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 I 채널 및 Q 채널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90°천이된 로컬 주파수 및 천이되지 않은 로컬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발생기(7), 및 IF 신호의 이득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감쇠된 이득 만큼 보상해주는 AGC(8)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I 채널 및 Q 채널의 디지털 IF 신호를 입력받은 후 디먹스시켜 채널카드로 전송하는 디먹스부(90)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때, 종래 아날로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는 단일 FA IF 보드 3개를 이용해 3 FA의 광대역 범위내 3 FA 아날로그 IF 신호를 3 FA 디지털 IF 신호로 변환하여 각 채널카드로 전송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는 다수개의 아날로그 소자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모듈을 이중화한 FA IF 보드를 이용하여 1 FA 아날로그 IF 신호를 처리하고 또한, 3 FA의 멀티 케리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FA IF 보드를 3개 사용함으로써 회로가 중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각 FA IF 보드내 이중으로 구성된 아날로그 인터페이스 모듈간 발생되는 로컬 주파수에 간섭이 생겨 시스템에 신뢰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각 FA IF 보드간에 로컬 주파수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각 회로에 실드(Shield)를 씌워야됨으로 구현상 어려움이 있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많은 회로가 중복됨으로써 아날로그 소자가 많이 사용되어 회로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생산 비용 또한 증가하며 회로가 많은 장소를 차지하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소자를 이용하여 3 FA 광대역 3 FA 아날로그 IF 신호를 멀티 케리어방식으로 처리함으로써, 회로에 적용되는 소자를 집약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스템의 안정화 및 신뢰성을 강화시켜주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는 다수개의 아날로그 I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디지털 IF 신호로 각각 변환시켜 전송하는 제 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다수개의 아날로그 I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디지털 IF 신호로 각각 변환시켜 전송하는 제 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제 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제 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 각각의 디지털 IF 신호를 입력받아 동기시킴과 동시에 특정 대역만을 필터링한 후 정보신호만을 추출하여 각각 전송하는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 및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로부터 정보신호 각각 병렬로 입력받은 후 시리얼 형태의 정보신호로 재배치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포멧 변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아날로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중 디지털 신호 제어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중 디지털 포멧 변환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기능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 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120 : 제 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200 : 디지털 신호 제어부 210 : 동기 클럭 발생부
220 : 디지털 합성부 230 : 디지털 필터
240 : 디지털 이득 제어부 300 : 데이터 포멧 변환부
311 : I 채널 래치부 312 : Q 채널 래치부
321 : I 채널 데이터 레지스터 322 : Q 채널 데이터 레지스터
330 : 병렬/시리얼 신호 변환기 340 : 시리얼 데이터 레지스터
350 : 데이터 동기 정합부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의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 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10), 제 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0),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 및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10)는 광대역의 3 FA 아날로그 IF 신호를 입력받은 후 3 FA 아날로그 IF 신호를 3 FA 디지털 IF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0)는 광대역의 3 FA 아날로그 IF 신호를 입력받은 후 3 FA 아날로그 IF 신호를 3 FA 디지털 IF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110) 및 제 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0)로부터 광대역의 3 FA 디지털 IF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동기시킴과 동시에 특정 대역만을 필터링한 후 정보신호만을 추출하여 각각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 클럭 발생부(210), 디지털 합성부(220), 디지털 필터(230), 및 디지털 이득 제어부(240)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정보신호는 14 비트의 디지털 IF 신호중 필요한 비트에 정보가 있는 상위 4 비트의 정보신호만으로도 복호시 정보신호를 얻어낼 수 있는 신호를 말한다.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내 장착된 동기 클럭 발생부(210)는 광대역의 3 FA 디지털 IF 신호의 동기를 맞추는 클럭 및 I 채널 및 Q 채널로 신호를 분리시켜주는 임펄스를 동시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내 장착된 디지털 합성부(220)는 상기 제 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10) 및 상기 제 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0)로부터 3 FA 디지털 I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임펄스 및 클럭을 입력받아 혼합시켜 3 FA 광대역 범위의 I 채널/Q 채널 3 FA 디지털 IF 신호를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내 장착된 디지털 필터(23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내 장착된 디지털 필터(230)는 상기 디지털 합성부(220)로부터 3 FA 광대역 범위의 I 채널/Q 채널 3 FA 디지털 IF 신호를 입력받은 후 특정 FA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내 장착된 디지털 이득 제어부(24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내 장착된 디지털 이득 제어부(240)는 상기 디지털 필터(230)로부터 특정 FA 대역의 FA 디지털 IF 신호를 입력받은 후 정보신호만을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는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로부터 정보신호를 각각 병렬로 입력받은 후 시리얼 형태의 신호로 재배치하여 채널카드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I 채널 래치부(311), Q 채널 래치부(312), I 채널 데이터 레지스터(321), Q 채널 데이터 레지스터(322), 병렬/시리얼 신호 변환기(330), 시리얼 데이터 레지스터(340), 및 데이터 동기 정합부(3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I 채널 래치부(311)는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로부터 I 채널의 정보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래치시킨 후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I 채널 데이터 레지스터(321)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Q 채널 래치부(312)는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로부터 Q 채널의 정보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래치시킨 후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Q 채널 데이터 레지스터(322)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I 채널 데이터 레지스터(321)는 상기 I 채널 래치부(311)로부터 입력받은 I 채널의 정보신호를 임시 저장한 후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병렬/시리얼 신호 변환기(33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Q 채널 데이터 레지스터(322)는 상기 Q 채널 래치부(312)로부터 입력받은 Q 채널의 정보신호를 임시 저장한 후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병렬/시리얼 신호 변환기(33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병렬/시리얼 신호 변환기(330)는 상기 I/Q 채널 데이터 레지스터(321, 322)로부터 각각 병렬로 입력되는 I 채널/Q 채널 정보신호를 시리얼 디지털 정보신호로 재배치시켜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시리얼 데이터 레지스터(34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시리얼 데이터 레지스터(340)는 상기 병렬/시리얼 신호 변환기(330)로부터 시리얼 디지털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임시 저장한 후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데이터 동기 정합부(350)로 순차적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데이터 동기 정합부(350)는 상기 데이터 레지스터(340)로부터 시리얼 디지털 정보신호를 입력받은 후 동기를 맞춰 채널카드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 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10)는 RF 블록내 다운 컨버터로부터 광대역의 3 FA 아날로그 IF 신호를 입력받은 후 3 FA 디지털 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상기 3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내 장착된 디지털 합성부(220)로 각각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제 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0)는 RF 블록내 다운 컨버터로부터 광대역의 3 FA 아날로그 IF 신호를 입력받은 후 3 FA 디지털 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상기 3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로 각각 전송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10) 및 제 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0)로부터 광대역의 3 FA 디지털 IF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동기시킴과 동시에 특정 FA 대역만을 필터링한 후 정보신호만을 추출하여 각각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로 전송한다.
이하, 하기에서는 상술한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의 세부 동작과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내 장착된 동기 클럭 발생부(210)는 광대역의 3 FA 디지털 IF 신호를 동기시키는 클럭을 공급하는 동시에 I 채널 및 Q 채널로 신호를 분리시켜주는 임펄스를 동시에 공급한다.
이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내 장착된 디지털 합성부(220)는 상기 제 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10) 및 상기 제 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0)로부터 3 FA 디지털 I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임펄스 및 클럭을 입력받아 혼합시켜상기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내 장착된 디지털 필터(23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내 장착된 디지털 필터(230)는 상기 디지털 합성부(220)로부터 3 FA 디지털 IF 신호를 입력받은 후 특정 FA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내 장착된 디지털 이득 제어부(240)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내 장착된 디지털 이득 제어부(240)는 상기 디지털 필터(230)로부터 특정 대역의 디지털 IF 신호를 입력받은 후 정보신호만을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는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로부터 정보신호를 각각 병렬로 입력받은 후 시리얼 형태의 신호로 재배치하여 채널카드로 전송한다.
이하, 하기에서는 상술한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의 세부 동작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I 채널 래치부(311)는 상기 3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로부터 I 채널의 정보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래치시킨 후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I 채널 데이터 레지스터(321)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Q 채널 래치부(312)는 상기 3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200)로부터 Q 채널의 정보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래치시킨 후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Q 채널 데이터 레지스터(322)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I 채널 데이터 레지스터(321)는 상기 I 채널 래치부(311)로부터 입력받은 디지털 정보신호를 임시 저장한 후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병렬/시리얼 신호 변환기(330)로 순차적 전송을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Q 채널 데이터 레지스터(322)는 상기 Q 채널 래치부(312)로부터 입력받은 디지털 정보신호를 임시 저장한 후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병렬/시리얼 신호 변환기(330)로 순차적 전송을 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병렬/시리얼 신호 변환기(330)는 상기 I/Q 채널 데이터 레지스터(321, 322)로부터 각각 병렬로 입력되는 정보신호를 시리얼 디지털 정보신호로 재배치시켜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시리얼 데이터 레지스터(34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시리얼 데이터 레지스터(340)는 상기 병렬/시리얼 신호 변환기(330)로부터 시리얼 디지털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임시 저장한 후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데이터 동기 정합부(350)로 순차적 전송을 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300)내 장착된 데이터 동기 정합부(350)는 상기 데이터 레지스터(340)로부터 시리얼 디지털 정보신호를 입력받은 후 동기를 맞춰 채널카드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하면, 디지털 소자를 이용하여 3 FA의 광대역 IF 신호를 멀티 케리어방식으로 처리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화 및 신뢰성을 강화시켜줄 뿐만 아니라, 회로에 적용되는 소자를 집약적으로 구성함으로 인해 소형 기지국 장비를 생산할 뿐만 아니나 경제적으로도 생산비를 줄일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다수개의 아날로그 I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디지털 IF 신호로 각각 변환시켜 전송하는 제 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다수개의 아날로그 IF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디지털 IF 신호로 각각 변환시켜 전송하는 제 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제 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제 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 각각의 디지털 IF 신호를 입력받아 동기시킴과 동시에 특정 대역만을 필터링한 후 정보신호만을 추출하여 각각 전송하는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 및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로부터 정보신호 각각 병렬로 입력받은 후 시리얼 형태의 정보신호로 재배치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포멧 변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는, 디지털 IF 신호의 동기를 맞추는 클럭 및 I 채널 및 Q 채널 신호로 분리시켜 주는 임펄스를 동시에 공급하는 동기 클럭 발생부;
    상기 다수개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 디지털 IF 신호를 입력받음과동시에 임펄스 및 클럭을 입력받아 혼합시켜 출력하는 디지털 합성부;
    상기 디지털 합성부로부터 디지털 IF 신호를 입력받은 후 특정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전송하는 디지털 필터; 및
    상기 디지털 필터로부터 특정 대역의 디지털 IF 신호를 입력받은 후 그 IF 신호중 정보신호만을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로 전송하는 디지털 이득 제어부로 각각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포멧 변환부는, 상기 다수개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로부터 소정 레벨 단위의 I 채널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래치시킨 후 전송하는 I 채널 래치부;
    상기 다수개의 소정 레벨 단위의 신호 제어부로부터 소정 레벨 단위의 Q 채널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래치시킨 후 전송하는 Q 채널 래치부;
    상기 I 채널 래치부로부터 소정 레벨 단위의 I 채널 정보신호를 입력받은 후 임시 저장하였다가 전송하는 I 채널 데이터 레지스터;
    상기 Q 채널 래치부로부터 소정 레벨 단위의 Q 채널 정보신호를 입력받은 후 임시 저장하였다가 전송하는 Q 채널 데이터 레지스터;
    상기 I/Q 채널 데이터 레지스터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소정 레벨 단위의 병렬 정보신호를 시리얼 디지털 정보신호로 재배치시켜 전송하는 병렬/시리얼 신호 변환기;
    상기 병렬/시리얼 신호 변환기로부터 시리얼 디지털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임시 저장한 후 전송하는 시리얼 데이터 레지스터; 및
    상기 데이터 레지스터로부터 시리얼 디지털 정보신호를 입력받은 후 동기를 맞춰 전송하는 데이터 동기 정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000081195A 2000-12-23 2000-12-2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인터페이스 장치 KR100355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195A KR100355297B1 (ko) 2000-12-23 2000-12-2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195A KR100355297B1 (ko) 2000-12-23 2000-12-2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020A true KR20020052020A (ko) 2002-07-02
KR100355297B1 KR100355297B1 (ko) 2002-10-12

Family

ID=27685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1195A KR100355297B1 (ko) 2000-12-23 2000-12-2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52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491A (ko) * 2000-03-16 2001-10-18 전경환 네트워크를 이용한 일정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28757B1 (ko) * 2001-08-31 2004-04-30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기지국의 수신용 디지털 라디오 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491A (ko) * 2000-03-16 2001-10-18 전경환 네트워크를 이용한 일정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28757B1 (ko) * 2001-08-31 2004-04-30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기지국의 수신용 디지털 라디오 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5297B1 (ko) 200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246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modulated radio frequency signal by converting the radio frequency signal to a very low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JP5608939B2 (ja) 受信機、送信機、フィードバックデバイス、送受信機および信号処理方法
US71622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direct conversion multi-carrier processor
US6351461B1 (en)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terminal apparatus
WO1998008300A9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modulated radio frequency signal
US5432779A (en) Time division multiplex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EP1764926A2 (en) Analog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with
EP0762661A2 (en) Channelized multi-carrier signal processor
CN101116272A (zh) 通信装置
US6201970B1 (en) Communication method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KR100313748B1 (ko) 주파수 변환기 및 주파수 변환기를 사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EP1792410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data interface
JP2003244019A (ja) 無線通信機
JP3382217B2 (ja) Cdma方式の移動通信基地局システムの無線周波数受信装置
JP3326133B2 (ja) 無線装置及び方法
KR10035529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소자를 이용한 멀티 케리어인터페이스 장치
US11929767B2 (en) Method for transferring signals via transmission interface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JP3384455B2 (ja) 時分割多重受信装置
JPH05252074A (ja) 送受信装置
KR101030979B1 (ko) 기지국용 주파수 변환 장치
KR101382795B1 (ko) Rfid 송수신 장치
KR20010009103A (ko)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채널라이징 장치 및 그 방법
KR100204265B1 (ko) 코드분할다원접속 디지탈 셀룰라 이동통신용 고주파 지연장치
KR20000001176A (ko)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무선상향 변환기의 다중 주파수할당 장치
KR20020090513A (ko) 싱글 사이드 밴드 믹서를 이용한 모듈형 주파수 상향변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