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176A -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무선상향 변환기의 다중 주파수할당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무선상향 변환기의 다중 주파수할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176A
KR20000001176A KR1019980021296A KR19980021296A KR20000001176A KR 20000001176 A KR20000001176 A KR 20000001176A KR 1019980021296 A KR1019980021296 A KR 1019980021296A KR 19980021296 A KR19980021296 A KR 19980021296A KR 20000001176 A KR20000001176 A KR 20000001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se station
synthesizers
frequency allocation
outp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1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장호
김희석
정창진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21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1176A/ko
Publication of KR20000001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17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2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하나의 무선 송/수신기를 다중FA로 구성하여 부품 집적도를 높이고 같은 기지국의 래크 형상으로도 큰 FA 용량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입력되는 중간주파수 신호와 로컬 신호를 결합하는 복수개의 합성부와, 복수개 합성부의 출력을 각각 톱니파 필터링하는 복수개의 톱니파필터와, 복수개 톱니파필터의 출력과 복수개의 FA 로컬 신호를 각각 결합하여 각 FA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입력신호를 변환시키는 복수개의 FA 합성부와, 복수개 FA 합성부의 출력을 각 FA별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다중화부와, 다중화부의 출력을 대역필터링하여 무선신호를 출력하는 대역필터로 구성하여, 기지국 FA 증설의 용이함과 각 기지국의 FA 용량이 증대되며, 하나의 Up Converter Card로 다중-FA를 수용함으로써 비용절감 효과가 커지고, 제조기술이 허용하는 한 무한으로 FA를 증설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무선상향 변환기의 다중 주파수할당 장치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무선상향 변환기(RF Up Convert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하나의 무선 송/수신기를 다중 주파수할당(FA, Frequency Allocation)으로 구성하여 부품 집적도를 높이고 같은 기지국의 래크(Rack) 형상으로도 큰 FA 용량을 수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람,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 이동체를 대상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으로, 이에는 개인휴대통신(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시스템,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DCS, Digital Cellular System)과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DTRS, Digital Trunked Radio System) 등이 사용된다.
도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무선상향 변환기의 블록구성도이다.
그래서 TSU(Time Switch Unit)(1)은 UPCA(Up Converter Assembly)(2), RFCA(Radio Frequency Converter Assembly)(3), DNCA(Down Converter Assembly)(4)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UPCA(2)는 SICA(Sector Interface Card Assembly, 섹터 인터페이스 카드)에서 IF(Intermediate Frequency, 중간주파수) 신호를 전송받아 상향 변환시키고, UHF(Ultra High Frequency) 대역으로 DNCA(4)와 송신부(5)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RFCA(3)는 BCP(BTC Control Processor,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SACA(Status Alarm and Control Assembly)와 상태정보를 송/수신하고 TFCA(Time & Frequency Card Assembly)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무선신호(RF, Radio Frequency)를 처리하고 UPCA(2)와 DNCA(4)를 제어한다. 또한 DNCA(4)는 수신부(7)에서 받은 데이터를 ACCA(Analog Common Card Assembly, 아날로그 공통 카드)에 IF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송신부(5)는 TSU(1)의 UPCA(2)에서 UHF 대역으로 전송받은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RFCA(3)에 제어정보와 상태정보를 전송하며, 무선신호 관리부(6)로 무선신호의 관리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무선신호 관리부(6)는 송신부(5)의 RF 신호를 수신부(7)로 전송하며, 수신부(7)는 수신된 데이터를 DNCA(4)로 전송하며, LNA(Low Noise Amplifier, 저잡음 증폭기) 알람을 RFCA(3)로 전송한다.
그래서 UPCA(2), RFCA(3), DNCA(4)가 한 유닛 모듈로 구성되어 있게 된다. DNCA(4)에서 RF 주파수의 수신신호를 4.95MHz 중간주파수로 변환시키고, 디지털 블록으로 입력시킨다. 그리고 UPCA(2)에서는 4.95MHz IF 주파수를 상향 변환시킨 후 증폭기를 거쳐 안테나로 방사하게 된다.
도2는 종래 무선상향 변환기의 주파수할당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95MHz의 신호와 로컬 신호를 결합하는 합성부(11)와; 상기 합성부(11)의 출력에서 톱니파 필터링을 수행하는 톱니파필터(12)와; 상기 톱니파필터(12)의 출력과 FA 로컬 신호를 결합하는 FA 합성부(13)와; 상기 FA 합성부(13)의 출력을 다중화하는 다중화부(14)와; 상기 다중화부의 출력을 대역필터링하여 무선신호(RF)를 출력하는 대역필터(BPF, Band Pass Filter)(15)로 구성되었다.
그래서 종래 이동통신 기지국의 RF Up/Down Converter Card 1개는 1FA를 수용할 수 있으며, 기지국의 1개의 래크(Rack)에 4FA(Transceiver Unit 4개)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무선상향 변환기에서는 FA 증설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FA 증설을 할 경우에는 기지국 래크(Rack)를 하나 더 설치하는 방법을 사용했기 때문에 공간과 비용의 낭비를 초래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하나의 무선 송/수신기를 다중FA로 구성하여 부품 집적도를 높이고 같은 기지국의 래크 형상으로도 큰 FA 용량을 수용하기 위한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무선상향 변환기의 다중 주파수할당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무선상향 변환기의 다중 주파수할당 장치는,
입력되는 중간주파수 신호와 로컬 신호를 결합하는 복수개의 합성부와; 상기 복수개 합성부의 출력을 각각 톱니파 필터링하는 복수개의 톱니파필터와; 상기 복수개 톱니파필터의 출력과 복수개의 FA 로컬 신호를 각각 결합하여 각 FA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입력신호를 변환시키는 복수개의 FA 합성부와; 상기 복수개 FA 합성부의 출력을 각 FA별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다중화부의 출력을 대역필터링하여 무선신호를 출력하는 대역필터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무선상향 변환기의 블록구성도,
도 2는 종래 무선상향 변환기의 주파수할당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무선상향 변환기의 다중 주파수할당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22 : 합성부 24 - 26 : 톱니파 필터
27 - 29 : FA 합성부 30 : 결합부
31 : 대역필터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무선상향 변환기의 다중 주파수할당 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무선상향 변환기의 다중 주파수할당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중간주파수 신호와 로컬 신호를 결합하는 복수개의 합성부(21 - 23)와; 상기 복수개 합성부(21 - 23)의 출력을 각각 톱니파 필터링하는 복수개의 톱니파필터(24 - 26)와; 상기 복수개 톱니파필터(24 - 26)의 출력과 복수개의 FA 로컬 신호를 각각 결합하여 각 FA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입력신호를 변환시키는 복수개의 FA 합성부(27 - 29)와; 상기 복수개 FA 합성부(27 - 29)의 출력을 각 FA별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다중화부(30)와; 상기 다중화부의 출력을 대역필터링하여 무선신호를 출력하는 대역필터(31)로 구성된다.
그래서 각 FA에 맞는 로컬 신호를 입력시킴으로써 1FA, 2FA, 3FA, ...... 등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동통신 기지국의 RF Up Conversion 회로는 정보를 가지고 있는 4.95MHz의 중간 주파수를 입력으로 받아 UHF 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FA 합성부(Mixer)(27 - 29)에서는 각 FA에 해당하는 로컬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해당 주파수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장치에서 FA를 증설하기 위해서는 Up Converter Card를 늘려야 하지만, 시스템 구성상 제한된 공간에서의 증설은 불가능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여러 Main Path에서 신호 처리를 거친 후 결합시켜, 하나의 포트로 출력시킬 수 있게 구현된다. 각 경로는 다른 FA(1FA, 2FA, 3FA, ...)로 동작되며, 이는 각 FA에 해당하는 로컬 신호를 입력시킴으로 각 FA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FA를 늘리는 것은 회로 제작에 있어 현재의 제작 기술과 전파의 IMD(Inter Modulation Distortion, 변조간 왜곡) 특성 등에 따라 제한되지만, 제작 기술은 더욱 발전될 것이며 FA 증설 수의 제한은 해결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하나의 무선 송/수신기를 다중FA로 구성하여 부품 집적도를 높이고 같은 기지국의 래크 형상으로도 큰 FA 용량을 수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무선상향 변환기의 다중 주파수할당 장치는 기지국 FA 증설의 용이함과 각 기지국의 FA 용량이 증대되며, 하나의 Up Converter Card로 다중-FA를 수용함으로써 비용절감 효과가 커지며, 제조기술이 허용하는 한 무한으로 FA를 증설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입력되는 중간주파수 신호와 로컬 신호를 결합하는 복수개의 합성부와;
    상기 복수개 합성부의 출력을 각각 톱니파 필터링하는 복수개의 톱니파필터와;
    상기 복수개 톱니파필터의 출력과 복수개의 FA 로컬 신호를 각각 결합하여 각 FA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입력신호를 변환시키는 복수개의 FA 합성부와;
    상기 복수개 FA 합성부의 출력을 각 FA별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다중화부의 출력을 대역필터링하여 무선신호를 출력하는 대역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무선상향 변환기의 다중 주파수할당 장치.
KR1019980021296A 1998-06-09 1998-06-09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무선상향 변환기의 다중 주파수할당 장치 KR20000001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1296A KR20000001176A (ko) 1998-06-09 1998-06-09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무선상향 변환기의 다중 주파수할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1296A KR20000001176A (ko) 1998-06-09 1998-06-09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무선상향 변환기의 다중 주파수할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176A true KR20000001176A (ko) 2000-01-15

Family

ID=1953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1296A KR20000001176A (ko) 1998-06-09 1998-06-09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무선상향 변환기의 다중 주파수할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11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7593A1 (en) * 2003-05-29 2004-12-09 Utstarcom Korea Limite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modulation distortion in a cdma2000 system
KR100696335B1 (ko) * 1999-09-13 2007-03-21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코드 분할 다중 방식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무선주파수 송신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335B1 (ko) * 1999-09-13 2007-03-21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코드 분할 다중 방식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무선주파수 송신장치
WO2004107593A1 (en) * 2003-05-29 2004-12-09 Utstarcom Korea Limite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modulation distortion in a cdma2000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6245B2 (en)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586333B2 (ja) 無線通信装置
EP0829970B1 (en) Dual mode transceiver for TDMA and FDD modes
KR100602969B1 (ko) 연속모드 송수신기를 구비한 다중 모드 이동 통신 디바이스 및 그 방법
JPH09200070A (ja) 受信回路
CN115664451A (zh) 射频前端电路、设备终端及芯片
CN101018061A (zh) 一种抑制带内杂散的方法及发射机
JP3094221B2 (ja) コード分割多重方式基地局用の周期型ビーコン信号発生装置
JPH11331026A (ja) 二重帯域移動電話ハンドセット
US5974302A (en) Dual band cellular/PCS transceiver
US7079817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that meets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CN103916158B (zh) 动态选择滤波路径的方法和通信设备
US6064665A (en) System and method for single to two-band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base station conversion
CN116346159B (zh) 一种通信终端的射频通路复用系统
KR20000001176A (ko)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무선상향 변환기의 다중 주파수할당 장치
JP3384723B2 (ja) デュアルバンド無線通信装置
US66312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 selection from a frequency synthesizer data
US20030058891A1 (en) Low noise transmitter architecture using foldover selective band filtering and method thereof
KR100400926B1 (ko)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수신장치
US20020058476A1 (en) Apparatus,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pstream and downstream signals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wireless backhaul
CN1077579A (zh) 用于收发信机中的频率偏移方法和设备
CN112886983B (zh) 通信收发机和终端设备
EP1061661A2 (en) Dual band cellular transceiver architecture
KR100277076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 및 간섭방법
CN115811326A (zh) 射频前端电路、电子设备及芯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