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076B1 - 이동통신시스템의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 및 간섭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의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 및 간섭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076B1
KR100277076B1 KR1019980030281A KR19980030281A KR100277076B1 KR 100277076 B1 KR100277076 B1 KR 100277076B1 KR 1019980030281 A KR1019980030281 A KR 1019980030281A KR 19980030281 A KR19980030281 A KR 19980030281A KR 100277076 B1 KR100277076 B1 KR 100277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noise
generator
frequencies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6177A (ko
Inventor
이상근
안대영
Original Assignee
정용문
한국통신엠닷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문, 한국통신엠닷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용문
Priority to KR1019980030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076B1/ko
Publication of KR19990046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076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단말기와 통신을 하기 위해 발사하는 전파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잡음 전파를 발생하는 전파 간섭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 다수의 주파수 대역을 간섭하기 위해서 다수의 간섭 송신기를 사용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하나의 간섭 송신기로 다수의 주파수 대역의 잡음 전파를 일정 주기로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복수의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콘트롤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부; 잡음을 발생하는 잡음발생부; 및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부의 콘트롤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복수의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잡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잡음와 합성된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주파수 발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의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 및 간섭방법
본 발명은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주파수 도약 방식을 이용한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 및 전파 간섭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파 간섭기란 일정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가입자의 통화가 불가능 하도록 통화 주파수에 효율적으로 전파 간섭을 가하는 기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방식의 이동 전화의 예를 들면, 사업자 별로 허가 받은 주파수 대역(10MHz)을 몇 개의 1.25MHz 주파수 대역(채널)으로 세분(Frequency Assignment, FA)하여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가입자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의 채널의 수를 증가 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가입자들을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목적을 위해서는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의 가입자들에 대하여 통화가 불가능 하도록 간섭 전파를 발생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군사 분계선 부근의 상기 기지국의 전파가 북쪽으로 월경하지 않도록 법령으로 정해진 경우 등이 그것이다.
또한, 상기 기지국의 채널의 수가 많을 때는 효율적인 전파 간섭을 위해서 해당 채널들의 다중 주파수에 해당하는 만큼의 전파 간섭 송신기가 필요하다.
도 1의 종래 기술의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의 블록 다이어그램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기지국에서 3채널(3FA)을 사용하는 경우, 효율적인 전파 간섭을 위해서는 3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전파 간섭 송신기가 필요하다.
이를 도 1를 첨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키패드(10)에서 원하는 복수의 주파수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0)는 상기 키패드(10)의 입력을 받아 제 1, 제 2 및 제 3 송신주파수발생부(100)(200)(300)의 주파수 발생기(110)로 해당 주파수를 발생하도록 하는 명령을 보낸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 1 송신주파수발생부(10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믹서(120)는 잡음 발생기(30)에서 발생되는 잡음을 상기 주파수 발생기(110)에서 발생하는 주파수와 합성한다.
상기 합성된 신호는 제 1 대역통과필터(130)에서 필터링된 다음 고출력증폭기(140) 에서 증폭되어 컴바이너(40)으로 출력된다.
다음 상기 컴바이너(40)에서 상기 제 1 송신주파수발생부(100)의 출력과 제 2 및 제 3 송신주파수발생부(200,300)의 출력을 결합하고, 제 2 대역통과필터(50)를 거쳐서 송신 안테나(60)로 출력된다.
상기 제 2 및 제 3송신주파수발생부(200,300)는 상기 제 1 송신주파수발생부(100)의 구성과 동일하며 출력되는 주파수만 상이하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종래 기술의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의 경우는 기지국의 채널의 수가 많을 때는 효율적인 전파 간섭을 위해서 해당 채널들의 다중 주파수에 해당하는 만큼의 전파 간섭 송신기를 구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기지국의 채널의 수가 많을 때에도 하나의 전파 간섭 송신기로 효율적인 전파 간섭을 수행할 수 있는 주파수 도약방식을 이용한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의 블록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의 블록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중 주파수 제어 시이퀀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키패드 20;마이크로 프로세스
30;잡음 발생기 50;제 2 대역 통과필터
60;송신 안테나 100;송신주파수발생부
110;주파수 발생기 120;믹서
130;제 1 대역 통과필터 140;고출력 증폭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는, 복수의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콘트롤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부와, 잡음을 발생하는 잡음발생부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부의 콘트롤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복수의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잡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잡음와 합성된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주파수 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키입력부는, 선택한 주파수의 출력주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주파수 발생부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부의 콘트롤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복수의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주파수 발생기와, 상기 주파수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주파수와 상기 잡음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잡음을 합성하는 믹서와, 상기 믹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 방법은, 키입력부에서 복수의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단계와, 잡음발생부에서 잡음을 발생하는 단계와, 송신주파수 발생부에서 상기 선택된 복수의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잡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잡음와 합성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단계는, 선택한 주파수의 출력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는, 단말기의 최초 동기의 최소 소요시간 또는 데이터 프레임 구조의 시간 단위 이하의 시간 동안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는 키패드(10)와, 상기 키패드(10)의 입력을 수신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0)와, 잡음을 발생하는 잡음발생기(3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의 출력 및 잡음발생기(30)의 출력에 따라 주파수를 발생하는 송신주파수 발생부(100)와, 상기 주파수 발생부(100)의 출력을 필터링하는 제 2 대역통과필터(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송신주파수 발생부(100)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0)의 출력에 따라 해당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발생기(110)와, 상기 잡음 발생기(30)에서 발생되는 잡음을 상기 주파수 발생기(110)에서 발생하는 주파수와 합성하는 믹서(120)와, 상기 합성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1 대역통과필터(130)와, 상기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고출력증폭기(140)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중 주파수 제어 시이퀀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기지국에서 3채널(3FA)을 사용하는 경우의 전파 간섭을 위한 3개의 간섭 주파수를 발생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CDMA방식의 이동 전화의 경우,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시간 동기 정보 및 통화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파이롯(Pilot), 싱크(Sync.), 페이징(Paging) 채널을 계속적으로 수신하게 되며, 이 중에서 하나의 채널이라도 수신하지 못하면 통화불능 상태가 지속된다.
또한, 이러한 채널중 파일롯 채널은 최초 동기를 잡기 위하여 수 백msec가 소요되며, 싱크 및 페이징 채널은 20msec 단위의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적어도 한 번 이상은 20msec 동안 전파 수신이 안정된 상태가 유지 되어야 데이터 복원이 이루어져 기지국과 통화를 할 수 있다.
즉, 최초 동기를 위한 최소 시간 또는 20msec 데이터 프레임 단위보다 작은 주기로 전파 간섭을 가한다면 파일럿 채널은 시간 동기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싱크 및 페이징 채널은 계속적으로 상태가 좋은 데이터 프레임을 한 번도 수신하지 못하게 되어 통화 불능 상태가 지속된다.
따라서, 파일럿 채널 최초 동기의 최소 소요시간 및 싱크, 페이징 채널의 데이터 프레임 구조의 시간 단위를 분석하여 100% 시간 동안 전파 간섭을 가하지 않고, 그 이하의 시간 동안만 전파 간섭을 가하여도 단말기가 파일럿 채널 최초 동기 또는 싱크, 페이칭 채널의 프레임 단위 데이터 복원에 계속적으로 실패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해당 기지국에서 3채널(3FA)을 사용하는 경우는 전파 간섭을 위한 3개의 채널의 간섭 주파수를 파일럿 채널 최초 동기의 최소 소요시간 또는 싱크, 페이징 채널의 데이터 프레임 구조의 시간 단위 동안에 순차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효율적인 전파 간섭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키패드(10)로 간섭 주파수를 선택한다. 도 3에서와 같이 간섭 주파수는 채널 1, 채널 2, 채널 3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선택한다.
다음 마이크로 프로세서(20)는 상기 키패드(10)의 입력에 따라 주파수 발생기(110)를 구동하여 채널 1, 채널 2, 채널 3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정해진 시간 내에 순차적으로 발생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해진 시간을 20msec로 하였다.
다음 믹서(100)은 상기 주파수 발생기(110)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채널 1, 채널 2, 채널 3에 해당하는 주파수와 잡음발생기(30)에서 출력되는 잡음을 합성한다.
다음 상기 믹서(12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 1 대역통과필터(130)를 통과하여 1.25MHz로 대역 필터링 된 다음, 고출력증폭기(140)에서 증폭된다.
다음 상기 고출력증폭기(140)에서 증폭된 신호는 다시 제 2 대역통과필터(50)에서 1.25MHz로 대역 필터링 된 다음, 송신 안테나(60)에서 전파를 발사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과 동작에 의한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는 상기와 같은 기지국의 채널의 수가 많을 때의 효율적인 전파 간섭을 위해서 해당 채널들의 다중 주파수에 해당하는 만큼의 전파 간섭 송신기를 구성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CDMA방식 시스템을 기준으로 설명했지만 다른 방식의 시스템에서도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에 따르면, 다수의 전파 간섭 송신기를 하나로 줄일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구성이 단순해져서 장비의 신뢰성이 높아지며, 설치 비용 및 설치의 간편성 등이 향상된다.
또한, 송신 출력 컴바이너가 불필요 하므로 송신 출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콘트롤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부;
    잡음을 발생하는 잡음발생부; 및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부의 콘트롤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복수의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잡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잡음와 합성된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주파수 발생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선택한 주파수의 출력주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주파수 발생부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부의 콘트롤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복수의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주파수 발생기와, 상기 주파수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주파수와 상기 잡음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잡음을 합성하는 믹서와, 상기 믹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
  4.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파 간섭방법에 있어서,
    키입력부에서 복수의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잡음발생부에서 잡음을 발생하는 단계; 및
    송신주파수 발생부에서 상기 선택된 복수의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잡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잡음와 합성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는, 선택한 주파수의 출력주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는,
    단말기의 최초 동기의 최소 소요시간 또는 데이터 프레임 구조의 시간 단위 이하의 시간 동안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방법.
KR1019980030281A 1998-07-28 1998-07-28 이동통신시스템의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 및 간섭방법 KR100277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281A KR100277076B1 (ko) 1998-07-28 1998-07-28 이동통신시스템의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 및 간섭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281A KR100277076B1 (ko) 1998-07-28 1998-07-28 이동통신시스템의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 및 간섭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177A KR19990046177A (ko) 1999-07-05
KR100277076B1 true KR100277076B1 (ko) 2001-01-15

Family

ID=65892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281A KR100277076B1 (ko) 1998-07-28 1998-07-28 이동통신시스템의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 및 간섭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0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213B1 (ko) * 2008-01-18 2011-06-03 시스레인 주식회사 주파수 호핑 방식을 이용한 신호 차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177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6647B1 (ko) 주파수 호핑 티디엠에이(tdma) 무선 통신시스템의 기지국
US5148447A (en) Control device in transceiver
JP3094221B2 (ja) コード分割多重方式基地局用の周期型ビーコン信号発生装置
EP0533435A1 (en) Radio telephone apparatus with frequency divider used during emission and stopped during reception
JPH05327580A (ja) 移動局装置
US7079817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that meets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KR100277076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 및 간섭방법
US6259722B1 (en) Method and system for table implemented frequency selection in a frequency hopping cordless telephone system
EP1738480B1 (en) Device for use in a frequency hopping system
US5715520A (en) Frequency offset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 transceiver
US20020019217A1 (en) Transmitter using frequency hopping for mobile communications systems
JPH029240A (ja) 通信方式
JPH04257126A (ja) 送受信装置
KR100257504B1 (ko) 다중섹터화된 기지국용 주기형 비콘신호 발생장치
KR100312822B1 (ko) 통화공간의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rf 지연장치
WO2003036830A1 (en) Low noise transmitter architecture using foldover selective band filtering and method thereof
KR10031793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드선택장치를 구비한 중계기
KR200165261Y1 (ko) 에프에이변환핸드오프셀시스템
KR20030097319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변파 중계기
KR100703888B1 (ko) 무선단말기 기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22382B1 (ko) 동일 fa를 이용한 cdma용 광대역 중계 장치 및 방법
KR20000001176A (ko) 이동통신용 기지국의 무선상향 변환기의 다중 주파수할당 장치
KR20000065875A (ko)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661556B1 (ko) 알에프 가변 필터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수신감도개선장치
JP3048930B2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