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5875A -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5875A
KR20000065875A KR1019990012599A KR19990012599A KR20000065875A KR 20000065875 A KR20000065875 A KR 20000065875A KR 1019990012599 A KR1019990012599 A KR 1019990012599A KR 19990012599 A KR19990012599 A KR 19990012599A KR 20000065875 A KR20000065875 A KR 20000065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igh frequency
output
digital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훈
Original Assignee
김용훈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훈,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filed Critical 김용훈
Priority to KR101999001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5875A/ko
Publication of KR20000065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87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에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통화트래픽이 없는 기지국의 중간주파신호( 즉, CDMA 방식에 있어서 pn부호를 포함하는 파일럿 신호)가 샘플링되어 디지털신호로 변환 저장되어 있는 ROM 디스크와 같은 메모리(12); 상기 메모리(12)의 출력 어드레스를 반복 순환적으로 지정하는 어드레스 발생부(13); 상기 출력 어드레스가 지정하는 상기 메모리(12)내의 디지털 신호를 중간주파의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D/A) 변환기(14); 및 상기 D/A 변환기(14)의 출력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Ant.)를 통하여 유사 파이럿 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는 고주파 변조기(1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파이럿 신호를 샘플링하여 유사 파일럿 신호로 재현하고 반복 송출하는 기술로서, 종래의 방해전파를 발생시키는 방식에 비해 낮은 전파 출력 및 간단한 구성으로 특정 지역내에서 이동전화의 착신 및 발신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hibiting call of mobile telephone}
본 발명은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파이럿(Pilot) 신호에 대응하는 유사 파이럿 신호를 특정 지역내에서 발생하고 반복적으로 송신함으로써, 그 특정 지역내에서는 이동전화의 착신 및 발신이 방지되도록 하는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통신방식에 있어서, 송신측에서는 정보를 디지탈화 한 다음 그 디지탈 정보의 신호 주파수보다 수배에서 수십배에 달하는 주파수를 가진 pn 부호를 곱하여 송신하고, 수신측에서는 상기 송신측에서 곱한 동일한 pn 부호를 정확히 동기시켜 수신된 신호와 곱하여 원하는 정보만을 원래대로 복원하게 된다. 따라서, 정보의 정상적인 착·발신을 위해서는 높은 주파수의 RF로 변조하여 송.수신할 때 필요로 하는 동기확보와 더불어 신호의 복조를 위한 pn부호의 동기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며, 그 pn부호의 동기를 위하여 별도의 파이럿 채널을 두고 있다. 상기 파이럿 채널을 통해서는 파이럿 pn부호( 이하, 파이럿 신호라 통칭함 )만이 송신되고, 수신측에서는 파이럿 채널내의 파이럿 신호를 이용하여 pn부호를 동기시키게 되는데, 어떠한 이유로든 상기 pn부호가 동기되지 않으면 이동전화기는 착·발신하지 않게 된다. 또한, CDMA 통신방식이 아닌 타 통신방식( GSM, AMPS 등 ) 에서도, 파이럿 신호가 동기되지 않으면 이동전화기는 착·발신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전화기에서는, 파이럿 신호를 동기한 후, 호출 채널 및 순방향 통화채널을 열어 통화하게 되는데, 현재 이동전화기 보급의 과잉으로 인하여 극장, 공연장, 도서관, 회의장 등의 공공 장소에서 이동전화기의 호출신호가 무분별하게 울려 댐으로써 공공질서를 해치게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방법으로는 개인의 질서 정신에 의존하여 공공장소에서는 각자 소지한 이동전화를 진동모드로 작동하도록 하거나 오프(OFF)시키도록 하는 것 외에 별다른 방법이 없는 실정이며, 또한 방해 전파를 통해 이동전화의 착·발신을 방지할 수 있으나, CDMA 방식은 기본적으로 외부잡음에 강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방해전파에 의해 CDMA 단말기의 착·발신을 방지시키는 것은 대단히 큰 출력의 방해전파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방해전파를 발생시키는 방식에 비해 낮은 전파 출력 및 간단한 구성으로 특정지역내에서 이동전화의 착신 및 발신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기 메모리를 얻기 위한 파일럿신호 녹신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의 구성도,
도 4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의 구성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의 구성도,
도 7a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에서 출력신호를 단속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단속 제어부 구성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증폭기 2 : 대역 여파기
3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4 : 제어부
10 :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 12,22a,22b : 메모리
13,23a,23b : 어드레스 발생부 14,25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15,15a,15b,15c,26 : 고주파 변조기 16: 콤바이너
17 : 주파수 제어부 24 : 데이터 선택부
27 : 제어부 30 ; 단속 스위치
31 : 단속 제어부 32 : 동조부
33 : 디코더(Decoder) 34 : 마이콤
35 : 스위치 구동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통화트래픽이 없는 기지국의 중간주파신호가 샘플링되어 디지털신호로 변환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의 출력 어드레스를 반복 순환적으로 지정하는 어드레스 발생수단; 상기 출력 어드레스가 지정하는 상기 저장수단내의 디지탈 신호를 중간주파의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D/A) 변환수단; 및 상기 D/A 변환수단의 출력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유사 파이럿 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는 고주파 변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착·발신 방지 방법은, 통화 트래픽이 없는 부호분할다중접속( CDMA ) 기지국의 출력신호를 녹신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녹신된 신호를 설정된 조건에 따라 반복적으로 송출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상기 통화트래픽이 없는 중간주파신호( 즉, pn코드를 포함하는 파이럿신호 )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상기 중간주파신호를 복원하고 이것을 상기 유사 파이럿 신호로 만들어 반복 송출함으로써, 그 유사 파이럿 신호가 수신되는 특정지역내의 이동전화기가 정상적인 파이럿 신호를 동기하지 못하도록 방해하여 그 이동전화기의 착·발신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의 구성도로서, 통화트래픽이 없는 기지국의 중간주파신호( 즉, CDMA 방식에 있어서 pn부호를 포함하는 파일럿 신호)가 샘플링되어 디지털신호로 변환 저장되어 있는 ROM 디스크와 같은 메모리(12); 상기 메모리(12)의 출력 어드레스를 반복 순환적으로 지정하는 어드레스 발생부(13); 상기 출력 어드레스가 지정하는 상기 메모리(12)내의 디지털 신호를 중간주파의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D/A) 변환기(14); 및 상기 D/A 변환기(14)의 출력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Ant.)를 통하여 유사 파이럿 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는 고주파 변조기(1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특히 상기 고주파 변조기(15)는 특정 영역내에서 인접 기지국의 출력신호의 전계세기보다 상기 유사 파일럿 신호의 송출 전력에 의한 전계 세기가 크도록 설정한다.
도 2는 상기 메모리(12)를 얻기 위한 파일럿신호 녹신장치의 구성도로, 입력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파일럿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 상기 증폭된 파이럿 신호를 대역 통과 여파하는 대역 여파기(2); 상기 여파된 신호를 샘플링하고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ROM과 같은 메모리(12)에 기록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탈(A/D)변환기(3); 및 상기 A/D변환기(3)의 샘플링 클럭 주파수 및 샘플링 기간을 제어하는 제어부(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12)는 착·탈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4)는 상기 샘플링시의 샘플링 클럭주파수가 상기 기지국의 중간주파수의 2배 이상이 되도록 제어하고, 그 샘플링 기간은 pn-시퀀스(pn-sequence)의 1주기 시간( 약 26.67ms )과 동일하게 제어하여, pn-시퀀스의 1주기 시간 동안의 파일럿 신호가 녹신된 상기 메모리(12)를 만듦으로써 그 메모리(12)가 도 1의 장치에 장착되어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때, 전단과 끝단의 신호가 위상 일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메모리(12)를 얻는 방법은, 기지국의 파일럿 신호를 샘플링하여 녹신하는 대신 일종의 간이 기지국 시뮬레이터인 단말기 시험장치로부터 신호를 샘플링할 수도 있으며, 최초 파이럿 신호를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계산에 의해서 생성시킬 수도 있다.
이어, 도 1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통화트래픽이 없는 기지국의 중간주파 신호 즉, CDMA방식에 있어서는 pn부호를 포함한 파이럿 신호를 상기 A/D변환기(3)를 통하여 약 26.67ms동안 샘플링하고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 후, 그 샘플링된 디지탈 파이럿 신호를 상기 메모리(12)에 저장한다. 상기 어드레스 발생부(13)는 순차적으로 증가하고 최종 주소에서는 다시 선주소로 순환하는 메모리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상기 메모리(12)에 인가하고, 이때 상기 어드레스 발생부(13)로부터 인가된 주소에 저장된 상기 메모리(12)의 디지털 파일럿 신호를 구성하는 데이터들은 순차적으로 상기 D/A변환기(14)에 인가된다. 상기 D/A변환기(14)는 그 인가된 디지탈 파일럿 신호를 아날로그 파일럿 신호로 변환하는데, 이 아날로그 파일럿 신호는 상기 통화트래픽이 없는 기지국의 중간주파신호가 복원된 것이지만, 각 위상이 상호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 중간주파의 유사 파일럿 신호로 된다. 상기 D/A변환기(14)로부터 출력된 중간주파의 유사 파일럿 신호는 상기 고주파 변조기(15)에 인가되어 고주파( 셀룰라일 경우 800MHz, PCS일 경우 1.8GHz )의 유사 파일럿 신호로 변조된 후 상기 안테나(Ant.)를 통하여 송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착·발신 방지장치가 설치된 특정지역 내에서는 상기 기지국의 전계의 세기보다 본 발명의 출력 전계의 세기가 더 세도록 함으로써, 상기 특정지역내에 있는 이동전화들은 대기상태에 있을 경우 지속적으로 전계강도가 기지국보다 더 강한 본 발명의 송출 신호( 즉, 유사 파이럿 신호의 pn부호 )를 찾게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이 설치된 특정지역내의 이동전화들은, 특정지역외에서 접속되어 있던 상기 기지국의 파이럿 신호보다 본 발명의 유사 파이럿 신호가 더 강하게 수신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전화들은 본 발명의 이동전화 착·발신 방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유사 파일럿 신호, 즉 pn부호에 자체 동기 클럭을 동조시키게 되고, 이에 동조된 자체 생성 pn 부호로써 수신 신호의 복조를 수행하게 되지만, 상기 이동전화 착·발신 방지장치는 정상 기지국이 아니라 파이럿 신호만을 반복적으로 발생/송신하는 의사 기지국이므로, 상기 복조되는 수신 신호내에는 상기 파일럿 신호 채널외에 그 어떤 채널( 호출, 통화채널 등 ) 정보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호의 착·발신 등에 대한 정보를 얻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특정지역내의 상기 이동전화들은 정상적인 호의 착신 및 발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파일럿 신호의 pn시퀀스는 상호 위상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호 노이즈( noise )로 작용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유사 파일럿 신호에 동조된 이동전화기가 인접 기지국( 상기 유사 파일럿 신호의 pn시퀀스와는 위상이 어긋난 pn 시퀀스를 가짐 )의 정상 송출 신호를 동조하여 채널정보를 획득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만약, 매우 낮은 확률로서 두 pn 시퀀스의 위상이 어느 시점에서 일치하더라도, 일반적으로 기지국은 발진 기준 클럭으로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를 이용한 정교한 클럭을 사용하고, 본 발명은 독립적으로 발진하는 로컬 오실레이터( Local Oscillator )를 사용하여 신호를 독출하고 pn시퀀스를 출력하므로,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착·발신 방지장치의 출력 pn시퀀스의 위상이 인접 기지국의 정교한 pn 시퀀스에 대해 틀어지게 된다. 따라서, 극히 짧은 시간 동안은 상기 유사 파일럿 신호에 동기된 이동전화기가 인접 기지국의 출력신호를 정상적으로 동조할 수 있지만, 이 시간이 지나면 pn 시퀀스의 위상이 서로 틀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이동전화기들은 정상신호를 놓치게 되고, 따라서 착·발신 정보를 얻을 수 없게되어 통화가 불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의 구성도로서, 도 1의 상기 이동전화기의 착·발신장치(10)의 각 구성을 복수로 구성되되, 각 메모리(12)는 서로 상이한 pn부호를 갖는 기지국의 파이럿 신호를 저장하고, 각 고주파 변조기(15)는 각각 다른 변조주파수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고주파 변조기(15)의 출력신호들을 결합한 후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송출하는 콤바이너( Combiner )(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도 3의 동작을 설명하면, 통신방식 및 반송파 주파수가 상호 다른 복수의 통신 사업자가 존재할 경우, 상기 복수의 이동전화 착·발신 방지장치(10)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통신사업자의 파이럿 신호들에 각각 대응하는 유사 파이럿 신호들을 발생하고, 그 유사파이럿 신호들을 상기 콤바이너(16)를 통해 결합한 후 상기 안테나(Ant.)를 통하여 송출함으로써, 도 2의 본 발명이 설치된 특정 지역내에서, 통신방식 및 반송파 주파수가 상호 다른 복수의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이동전화기들의 착·발신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외의 각 구성의 기능들은 도 1과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의 구성도로서, 도 1의 상기 이동전화기의 착·발신 방지장치(10)에서, 상기 고주파 변조기(15)를 변조주파수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고주파 변조기(15a,15b)로 구성하고, 상기 각 고주파 변조기(15a,15b)의 출력신호를 결합한 후 상기 안테나(Ant.)를 통하여 송출하는 콤바이너(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도 4의 동작을 설명하면, 통신방식은 일치하고 반송파 주파수가 서로 다른 복수의 통신 사업자가 존재할 경우, 상기 복수의 고주파 변조기(15a,15b)를 통해 상기 복수의 통신 사업자의 반송파 고주파들을 각각 생성함으로써, 상기 반송파 주파수만 다른 복수의 통신 사업자의 파이럿 신호들에 각각 대응하는 유사 파이럿 신호들을 발생하고, 그 유사 파이럿 신호들을 상기 콤바이너(16)를 통해 결합한 후 상기 안테나(Ant.)를 통하여 송출함으로써, 도 3의 본 발명이 설치된 특정 지역내에서, 통신방식은 동일하고 반송파 주파수만 다른 복수의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이동전화기들의 착·발신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외의 각 구성의 기능들은 도 1과 동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의 구성도로서, 도 4의 고주파 변조기들(15a,15b)을 단일의 고주파 가변 변조기(15c)로 구성한 것이며, 상기 고주파 가변 변조기(15c)는 주파수 가변을 위한 신시사이저( Synthesizer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신시사이저의 출력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주파수 제어부(17)가 추가로 구성되며, 도 3의 콤바이너(16)는 배제된다.
도 5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주파수 제어부(17)는 상기 고주파 변조기(15c)의 신시사이저에 인가하는 디바이더 카운터( Divider Counter )값을 일정주기로 가변하면서 인가함으로써, 상기 고주파 변조기(15c)는 통신방식은 동일하고 반송파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통신 사업자의 반송파 고주파들을 일정주기로 순환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고주파 변조기(15c)로부터 복수의 통신사업자( 통신방식은 동일하고 반송파 주파수만 다른 복수의 통신 사업자 )의 파일럿 신호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유사 파이럿 신호들이 일정주기로 순환되면서 출력되고, 이 출력신호들이 상기 안테나(Ant.)를 통하여 송출됨으로써, 도 5의 본 발명이 설치된 특정 지역내에서, 통신방식은 동일하고 반송파 주파수만 다른 복수의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이동전화기들의 착·발신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외의 각 구성의 기능들은 도 1과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의 구성도로서, 도 2의 상기 A/D변환기(3)에 의해 서로다른 아날로그 파일럿 신호가 샘플링되고 디지털 신호 변환되고, 그 샘플링된 디지털 파일럿 신호들이 각각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메모리(22a,22b); 상기 각 메모리(22a,22b)의 출력 어드레스를 반복 순환적으로 지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어드레스 발생부(23a,23b); 상기 각 메모리(22a,22b)의 출력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데이터 선택부(24); 상기 데이터 선택부(24)로부터 선택 출력된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D/A) 변환기(25); 상기 D/A 변환기(25)의 출력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유사 파이럿 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되, 상기 고주파 변조 주파수를 가변하는 신시사이저를 포함하여 구성된 고주파 가변 변조기(26); 및 상기 데이터 선택부(24)의 데이터 선택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그 데이터 선택에 대응하도록 상기 고주파 가변 변조기(26)의 신시사이저의 변조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신 방식 및 반송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통신사업자의 각 파일럿 신호( 통화트래픽이 없는 기지국의 중간주파신호 )를 상기 A/D변환기(3)를 통하여 샘플링하고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 후, 그 샘플링된 디지탈 파일럿 신호들을 상기 복수의 메모리(22a,22b)에 각각 저장한다. 상기 각 어드레스 발생부(23a,23b)는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메모리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상기 각 메모리(22a,22b)에 인가하고, 이때 상기 각 메모리(22a,22b)에 저장된 상기 디지탈 파일럿 신호는 순차적으로 상기 데이터 선택부(24)에 인가된다. 상기 제어부(27)는 상기 데이터 선택부(24)에 데이터선택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데이터 선택부(24)는 상기 데이터 선택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각 메모리(22a,22b)로부터 인가된 디지탈 파일럿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선택부(24)로부터 선택 출력된 신호는 상기 D/A변환기(25)에 입력되어 아날로그 파일럿 신호로 변환 출력되는데, 이 아날로그 파일럿 신호는 상기 통화트래픽이 없는 기지국의 중간주파신호로 복원된 것이지만, 상호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 중간주파의 유사 파일럿 신호로 된다. 상기 D/A변환기(25)로부터 출력된 중간주파의 유사 파일럿 신호는 상기 고주파 가변 변조기(26)에 인가되어 고주파의 유사 파일럿 신호로 변조되는데, 이와 같은 변조시 상기 제어부(27)는 상기 데이터 선택부(24)에 인가한 상기 데이터 선택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 선택 제어신호( 즉, 주파수 변환을 위한 디바이더 카운터값 )를 상기 고주파 가변 변조기(26)의 신시사이저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고주파 가변 변조기(26)는 상기 중간주파의 유사파일럿 신호를 상기 데이터 선택부(24)에서 선택된 통신방식에 대응하는 고주파의 유사 파일럿 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한다. 이 출력된 고주파의 유사 파일럿 신호는 상기 안테나(Ant.)를 통하여 송출된다. 따라서, 도 5의 본 발명이 설치된 특정 지역내에서, 단일의 통신사업자, 통신방식 및 반송주파수가 상호 다른 복수의 통신사업자, 통신방식은 동일하고 반송파 주파수만 다른 복수의 통신 사업자, 및 통신방식 및 반송파 주파수가 모두 다른 복수의 통신사업자 등에 대응하는 이동전화기들의 착·발신을 모두 방지할 수 있다. 도 6의 동작 설명에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4 실시예에서 설명된 동작과 중복되는 동일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7a는 도 1 및 도 3 내지 도 6의 각 구성에서, 상기 안테나(Ant.)와 연결되는 최종 출력단에 상기 고주파 유사 파일럿신호의 송출을 단속하는 단속 스위치(30)를 연결하고, 상기 단속 스위치(30)의 단속 동작을 설정되는 시간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단속제어부(31)를 추가 구성한 것이다. 단, 상기 단속스위치(30)의 설치 위치는 도 7a와 같이 최종 출력단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출력신를 차단할 수 있는 곳이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이동전화 착·발신 방지장치의 동작을 시간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설치된 특정지역이 공연장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단속 제어부(31)를 통하여 상기 단속 스위치(30)의 개폐시간을 기 설정함으로써, 공연 중에는 본 발명이 동작하도록 하여 이동전화의 착·발신을 방지하고, 공연이 끝난 후에는 본 발명의 동작을 중지시켜 이동전화의 착·발신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7b와 같이, 상기 단속 제어부(31)내에 무선호출신호를 수신 동조하는 동조부(32), 상기 동조부(32)에서 동조된 무선호출신호를 복조하는 디코더(33), 상기 디코더(33)에 의해 복조된 신호에 의거하여 단속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콤(34), 및 상기 마이콤(34)의 단속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단속 스위치(30)를 온/오프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구동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선호출회로를 내장함으로써, 상기 단속 스위치(30)의 개폐 동작을 일반전화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일반전화를 통해 상기 무선호출회로로 전화를 걸어서 DTMF 1을 누르면 상기 단속 제어부(31)의 상기 마이콤(34)은 상기 단속스위치(30)가 온(ON)되도록 하는 단속제어신호를 발생하고, DTMF 0을 누르면 상기 단속스위치(30)가 오프(OFF)되도록 하는 단속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며, 상기 스위치 구동부(35)는 상기 단속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단속 스위치(30)를 개·폐 구동시킴으로써, 전화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은 파이럿 신호를 샘플링하여 유사 파일럿 신호로 재현하고 반복 송출하는 기술로서 종래의 방해전파를 발생시키는 방식에 비해 낮은 전파 출력 및 간단한 구성으로 특정지역내에서 이동전화의 착신 및 발신을 방지하며, 통신 방식 및 반송주파수에 관계없이 CDMA 방식 뿐만아니라 GSM, AMPS등의 방식 등에도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고, 통신사업자가 복수개의 FA( Frequency Assignment )를 사용할 경우에도 복수의 FA신호가 합성된 신호를 기준으로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이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갖는 앰프를 통해 증폭하면 되므로, 복수의 FA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간에 따라 본 발명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 전화를 이용한 작동 제어도 가능하므로 특정한 공공장소내에서 이동전화들의 착·발신을 매우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Claims (13)

  1. 기지국의 중간주파신호가 샘플링되어 디지탈신호로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의 출력 어드레스를 반복 순환적으로 지정하는 어드레스 발생수단;
    상기 출력 어드레스가 지정하는 저장수단내의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D/A) 변환수단; 및
    상기 D/A 변환수단의 출력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유사 파이럿 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는 고주파 변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기지국의 중간주파신호는 통화 트래픽이 없는 경우의 파일럿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디지털 신호의 샘플링 기간은 pn-시퀀스(pn-sequence)의 1주기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변조수단의 송출전력은, 특정 지역내에서 인접 기지국의 출력신호의 전계세기보다 상기 송출전력에 의한 전계세기가 크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성수단은 복수개로 구성되되, 복수의 저장수단은 서로 상이한 pn부호를 갖는 기지국의 신호가 저장되어 있고, 복수의 고주파 변조수단은 각기 상이한 변조주파수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고주파 변조수단의 출력신호를 결합한 후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송출하는 콤바이너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변조수단은 변조주파수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고주파 변조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 고주파 변조수단의 출력신호를 결합한 후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송출하는 콤바이너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변조수단은 주파수가변을 위한 신시사이저( Synthesizer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신시사이저의 출력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변조수단의 출력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수단; 및
    상기 단속수단의 단속 동작을 설정되는 시간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단속 제어수단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 제어수단은 무선호출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선호출회로에 수신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단속수단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
  10. 서로 다른 아날로그 파이럿 신호가 샘플링되어 디지탈신호로 각각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저장수단;
    상기 각 저장수단의 출력 어드레스를 반복 순환적으로 지정하는 복수개의 어드레스 발생수단;
    상기 어드레스 지정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복수개의 저장수단의 데이터 중 하나의 저장수단의 데이터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데이터 선택수단;
    상기 데이터 선택수단으로부터 선택 출력된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D/A) 변환수단;
    상기 D/A 변환수단의 출력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유사 파이럿 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되, 상기 고주파 변조 주파수가 가변되는 고주파 가변 변조수단; 및
    상기 데이터 선택수단의 데이터 선택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그 데이터 선택에 대응하도록 상기 고주파 가변 변조수단의 변조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가변 변조수단의 출력 신호를 단속하기 위한 단속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단속수단의 단속 동작을 설정되는 시간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호출회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무선호출회로에 수신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단속수단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장치.
  13. 통화 트래픽이 없는 부호분할다중접속( CDMA ) 기지국의 출력신호를 녹신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녹신된 신호를 설정된 조건에 따라 반복적으로 송출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전화 착·발신 방지 방법.
KR1019990012599A 1999-04-09 1999-04-09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000065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599A KR20000065875A (ko) 1999-04-09 1999-04-09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599A KR20000065875A (ko) 1999-04-09 1999-04-09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875A true KR20000065875A (ko) 2000-11-15

Family

ID=19579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599A KR20000065875A (ko) 1999-04-09 1999-04-09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58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180A (ko) * 1999-09-29 2001-04-06 김호영 주파수 도약 방식을 적용한 씨디엠에이 이동통신 시스템의
US6987978B2 (en) 2002-07-09 2006-01-17 Hitachi, Ltd. Wireless communication restriction device, repeater and base station
KR100797792B1 (ko) 2006-09-08 2008-01-28 (주)비티앤콤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방해전파 세팅이 가능한 휴대폰 통화차단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180A (ko) * 1999-09-29 2001-04-06 김호영 주파수 도약 방식을 적용한 씨디엠에이 이동통신 시스템의
US6987978B2 (en) 2002-07-09 2006-01-17 Hitachi, Ltd. Wireless communication restriction device, repeater and base station
KR100797792B1 (ko) 2006-09-08 2008-01-28 (주)비티앤콤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방해전파 세팅이 가능한 휴대폰 통화차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21755C1 (ru) Усилитель мощности, объединенный с контроллером амплитудной модуляции и контроллером фазовой модуляции
US6567653B1 (en) Dual-mode communications transmitter
US6130897A (en)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D/TDD dual mode radio and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D dual band system
US5625889A (en) RF sniffer module and method with a self-test circuit
US7123891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llowing a soft handoff procedure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NZ202041A (en) Tdm multichannel duplex radio system
JP2003501847A (ja) 改良型無線トランシーバ及び信号変換方法
JP2003518801A (ja) 2つの送受信器を備える移動局及びそのような移動局を用いて実行される周波数間方法
US68738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eriodic beacon signals for use in CDMA base station
GB2365638A (en) Radio set and frequency converting method therefor
US7079817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that meets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EP0529767B1 (en) Digital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00065875A (ko) 이동전화의 착·발신 방지 장치 및 방법
US6278722B1 (en) Architecture for a digital portable telephone
EP12384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ulsed cable telephony
US20030153327A1 (en) Cellula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hannel capture method
KR100667151B1 (ko) 직접변환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초협대역 단말 시스템 및그의 다중대역 송수신 장치
GB2313505A (en) Digital and analog modulator
JP3758326B2 (ja) 符号分割多元接続方式の携帯電話装置
KR100277076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다중 주파수 전파 간섭기 및 간섭방법
EP1061661A2 (en) Dual band cellular transceiver architecture
US6556545B1 (en) Frequency generation for CDMA terminal with slotted receive mode
JPH05252074A (ja) 送受信装置
JPH07111482A (ja) 自動周波数制御装置
US6175724B1 (en) Band switchable injection oscillator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