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1600A -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1600A
KR20020051600A KR1020000080996A KR20000080996A KR20020051600A KR 20020051600 A KR20020051600 A KR 20020051600A KR 1020000080996 A KR1020000080996 A KR 1020000080996A KR 20000080996 A KR20000080996 A KR 20000080996A KR 20020051600 A KR20020051600 A KR 20020051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oice
sub
unit
code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6844B1 (ko
Inventor
박찬원
이종형
황대환
성호상
Original Assignee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오길록
Priority to KR10-2000-0080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844B1/ko
Publication of KR20020051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8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OHO(Small office and Home office) network용 인터넷 폰 시스템의 구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의 네트워크 지연시간과 대역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CODEC을 지원하고, 효율적인 버퍼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발명에 비하여 더 향상된 기능으로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고, SOHO용 라우터나 xDSL 외장형 모뎀 등의 장비의 일부분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System for internet pho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의 네트워크 지연 시간과 대역 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코덱(Codec)을 지원하고, 효율적인 버퍼 제어를 수행하며, 근거리 통신망(LAN)에서 상대방의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를 입력한 후, 네트웍으로 음성을 주고 받을 수 있고, Home/Office 자동화 시스템의 수신 장치로 사용 가능한 인터넷 폰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사무실에서 종래의 인터넷 폰을 사용하면, 전화선 대신 네트웍만을 이용하게 됨으로써, 통신 비용 감소에 큰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네트웍에 연결된 컴퓨터와 인터넷 폰의 수가 점차 많아지면, 네트웍의 부하가 가중되어 잦은 끊김 현상과 네트웍을 이용한 작업이 전체적으로 느려지므로, 더욱 효율적인 인터넷폰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사이버 아파트같이 네트웍으로 연결된 가정이나 회사에서는 인터넷 폰으로 홈 자동화 기능까지 수행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분야는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각의 분야에 대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점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코덱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면이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G.729나 G.723같은 소프트웨어(S/W) 코덱과 G.711같은 하드웨어(H/W) 코덱을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xDSL같은 망에서 음성 통화시에는 G.723 같은 코덱을 사용하면 G.711 코덱보다 1/10 가량 적은 데이터 압축을 가지므로, 그만큼 네트웍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위해 G.729 코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하드웨어로 구성된 인터넷 폰 기술은 하나의 코덱으로만 한정되어 있어서, 새로운 코덱이 나오면 하드웨어를 모두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두번째는 음성 버퍼의 제어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는 G.711 코덱이나 G.729 코덱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가변 음성 버퍼 제어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버퍼 두개만으로 입출력시 사용하던 것을 본 발명에서는 입출력 각각에 두개씩을 4 개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이 버퍼를 번갈아 가면서 사용하여 데이터의 원활한 흐름을 보장할 수 있다.
세번째는 음성 데이터의 처리 속도 향상이다.
기존 발명에서는 프로세서가 모든 작업을 처리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DMA(Direct Memory Access)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원활하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네번째는 홈 네트워킹(Home Networking)의 실현이다.
기존 발명에서는 홈 네트워킹 기능이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Home PNA 를 부착하여 홈 네트워킹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번째는 멜로디(Melody) 등 모든 종류의 톤(Tone)을 발생할 수 있는 톤 발생기의 부착이다.
기존 발명에서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톤 정도밖에 지원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DTMF 톤/신호음/멜로디등 다양한 톤을 발생할 수 있는 톤 발생기를 부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지루하지 않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목적에 따라 다양한 코덱을 사용하고, 음성 버퍼의 최적 구성과 제어로 음성지연이 전혀 없으며, 홈 네트워킹을 할 수 있고, 다양한 톤을 발생할 수 있고, 네트웍부하가 적고, 빠르고 안정된 인터넷 폰을 실현시키기 위한 인터넷 폰의 구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폰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인터넷 폰 장치내의 VOIP_IF(105), FIFO(106) 및 톤 발생기(107)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폰의 송신과 수신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CPU 102 : G.729/723 소프트 코덱(Soft CODEC)
103 : 메모리 104 : DMA
105 :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인터페이스(Interface) 회로
106 : Dual Port Synchronous RAM(DPRAM)
107 : 톤 발생기 108 : GPIO
109 : MAC(Media Access Controller)
110 : 버퍼(Buffer)
111 : 홈 PNA transceiver 112 : 이더넷(Ethernet) transceiver
113 : G.711 코덱 114 : 레지스터(Register)
115 : 메모리 컨트롤러(Memory Controller)
116 : 인터럽트 핸들러(Interrupt Handler)
117, 118 : 160 Kbyte FIFO(File In File Out)
119 : Parallel to Serial 회로 120 : Serial to Parallel 회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리층(Physical Layer)에서 홈 네트워킹을 담당하는 홈 PNA Transceiver부(111); 물리층에서 이더넷 연결을 담당하는 이더넷 Transceiver부(112); 인터넷과의 접속 제어를 담당하는 MAC부(Media Access Controller : 매체 제어부, 109); 상기 홈 PNA Transceiver부 또는 이더넷 Transceiver부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 데이터의 압축 복원 기능을 수행하는 G.729/G.723 소프트웨어 코덱부(102); 상기 G.729/G.723 소프트웨어 코덱부(102)에 의하여 압축 또는 복원된 음성 데이터의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VOIP_IF부(105); 톤이나 음성 데이터의 A/D, D/A 변환 및 A/ч-law PCM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G.711 코덱부(11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인터넷 번호가 입력되면, 톤 발생기는 DTMF 신호를 발생시켜, 입력된 인터넷 번호의 어드레스가 VOIP 용인지 홈 네트워크용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홈 네트워크용이면, 송신 데이터를 홈 PNA로 전송하여, 홈 PNA에 연결된 장치를 제어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VOIP 용이면, 수신측 스피커의 톤 발생기를 이용하여 신호음을 발생시킨 후, 음성 채널을 형성하는 제 3 단계; 음성 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일방이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면,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FIFO에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임시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여, 타방으로 보낸 후, 이를 음성 신호로 복원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단계는, G.711 코덱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서브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의 일정한 크기의 데이터를 Tx FIFO1(117)에 채우는 제 2 서브 단계; 상기 Tx FIFO1에 채워진 데이터를 G.729 코덱으로 압축하여 타방으로 전송하는 제 3 서브 단계; 상기 제 3 서브 단계 중에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Tx FIFO2에 채우는 제 4 서브 단계; 상기 Tx FIFO2에 채워진 데이터를 G.729 코덱으로 압축하여 타방으로 전송하는 제 5 서브 단계; 및 상기 제 5 서브 단계 중에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는 상기 Tx FIFO1에 채운 후, 상기 제 3 서브 단계로 복귀하는 제 6 서브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의 운용 방법.
또한, 컴퓨터에, 인터넷 번호가 입력되면, 톤 발생기는 DTMF 신호를 발생시켜, 입력된 인터넷 번호의 어드레스가 VOIP 용인지 홈 네트워크용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홈 네트워크용이면, 송신 데이터를 홈 PNA로 전송하여, 홈 PNA에 연결된 장치를 제어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VOIP 용이면, 수신측 스피커의 톤 발생기를 이용하여 신호음을 발생시킨 후, 음성 채널을 형성하는 제 3 단계; 음성 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일방이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면,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FIFO에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임시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여, 타방으로 보낸 후, 이를 음성 신호로 복원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단계는, G.711 코덱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서브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의 일정한 크기의 데이터를 Tx FIFO1(117)에 채우는 제 2 서브 단계; 상기 Tx FIFO1에 채워진 데이터를 G.729 코덱으로 압축하여 타방으로 전송하는 제 3 서브 단계; 상기 제 3 서브 단계 중에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Tx FIFO2에 채우는 제 4 서브 단계; 상기 Tx FIFO2에 채워진 데이터를 G.729 코덱으로 압축하여 타방으로 전송하는 제 5 서브 단계; 및 상기 제 5 서브 단계 중에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Tx FIFO1에 채운 후, 상기 제 3 서브 단계로 복귀하는 제 6 서브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폰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인터넷 폰 장치내의 VOIP_IF(105), FIFO(106) 및 톤 발생기(107)의 상세 구성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폰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부(101), 음성 데이터의 압축복원 기능을 하는 G.729/G.723 소프트웨어 코덱부(102), 음성이나 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103), DPRAM으로 이루어진 FIFO(106)나 버퍼(Buffer, 110) 또는 모듈에 데이터가 찼을 경우 상기 메모리부(103)로 효율적인 전송하거나 그와 반대 기능을 하는 DMA(Direct Access Memory)부(104), 음성 데이터의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VOIP_IF부(105), 음성/톤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FIFO부(106), 톤 신호를 제어 발생시키는 톤 발생기부(107), 외부 키패드(Keypad)로부터의 입력이나 LCD(Liquid Crystal display)로의 출력을 담당하는 일반 목적 입출력 기능을 담당하는 GPIO부(GeneralPurpose Input / Output, 108), 인터넷과의 접속 제어를 담당하는 MAC부(Media Access Controller : 매체 제어부, 109), 인터넷 데이터의 임시 저장 창고인 버퍼부(110), 물리층(Physical Layer)에서 홈 네트워킹을 담당하는 Home PNA Transceiver부(111), 물리층에서 이더넷 연결을 담당하는 이더넷 Transceiver부(112) 및 톤이나 음성 데이터의 A/D, D/A 변환 및 A/ч-law PCM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G.711 코덱부(113)로 구성된다.
그리고, 음성이나 톤 데이터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한 VOIP/톤 인터페이스 모듈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톤 신호음, 멜로디음 및 음성 데이터를 구별하고, 톤 데이터의 단속비 값등을 알려주는 레지스터부(114), 상기 메모리부(103)에서 상기 FIFO(106)로(또는 반대)의 데이터 전달 및 FIFO 크기의 조정, FIFO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부(115), 송신이나 수신시 FIFO 각각에 대하여 데이터가 찼을 경우, DMA 처리를 요청하는 인터럽트 핸들러(Interrupt Handler)부(116), 송신에 사용되는 160 kbyte 크기의 FIFO부(117) 2개, 수신에 사용되는 160 kbyte 크기의 FIFO부(118) 2개, 송신시 FIFO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로 변환시켜주는 P/S부(119), 수신시 직렬 데이터를 FIFO에 넣을 수 있도록 병렬로 변환시켜주는 S/P부(120)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폰의 송신과 수신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텝 S301에서, 키패드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 번호를 상기GPIO부(108)로 입력하면, 스텝 S302에서, 상기 톤 발생기(107)는 송신측 스피커에 DTMF 신호를 발생시키고, 스텝 S303에서, 입력된 인터넷 번호로 프로세서는 어드레스가 VOIP용인지 홈 네트워크용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스텝 S303에서의 판단 결과, 홈 네트워킹이면, 스텝 S304에서, 송신 데이터를 Home PNA로 보내어 Home PNA에 연결된 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스텝 S303에서의 판단 결과, 어드레스가 VOIP 용이면, 스텝 S305 내지 스텝 S306에서, 수신측에서는 자신의 어드레스인가를 상기 MAC(109)에서 판단하여, 수신측 스피커에 상기 톤 발생기(107)를 이용하여 신호음을 발생시킨다.
한편, 수신측에서 자신에게 온 전화가 있을 때 수신 신호를 송신측으로 보내면 음성 채널이 형성되는데, 음성 채널이 형성된 상태이면, 스텝 S308내지, 스텝 S313에서, 송신측은 마이크로 음성 데이터를 보내고, 상기 G.711 코덱(113)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FIFO(106)에 데이터를 쌓는다. 이때, 상기 FIFO(106)에서 음성 데이터의 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처음 160 byte의 데이터는 상기 Tx FIFO1(117)에 채우고, 160 byte의 데이터가 모두 채워지면, 상기 DMA(104)에 DMA request 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그 다음 데이터는 상기 Tx FIFO2에 채우게 한다.
그동안 상기 DMA(104)는 10 ms동안 160 byte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103)로 보내어 상기 G.729 코덱(102)에 의해서 압축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Tx FIFO2에 데이터가 모두 차면, 다시 상기 DMA(104)가 상기 Tx FIFO2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103)로 보내어, 상기 G.729 코덱(102)으로 하여금 압축하도록 한다. 이때, 입력되는 데이터는 다시 상기 Tx FIFO1(117)에 채워지게 된다. 그 이유는 G.729는 16 bit, 8 KHz로 샘플링한 것으로, 80 개가 1 frame이고, 이것의 크기는 160 byte이며, 이것의 최적 처리 방법은 8 KHz × 80이면 10 ms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Tx FIFO(117)의 크기는 160 byte 짜리 두개로써, 톤 신호음을 발생할 때는 두개의 FIFO를 합쳐서 256 byte만으로 크기를 조절한 다음, 톤 신호음 데이터를 저장해서 보내 주도록 하고, 음성 데이터를 처리할 경우는 160 byte FIFO 두개를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번갈아 가면서 처리하도록 한다. 수신시에도 160 byte Rx FIFO(118) 두개를 위와 같이 번갈아 사용하게 된다. G.729로 압축된 데이터는 상기 MAC(109)에서 H.802.3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더넷 transceiver(112)를 통해 수신측으로 보내지게 된다.
수신측에서는 상기 이더넷 transceiver(112)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MAC(109)에서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G.729 코덱에 의해 복원하도록 하여 상기 메모리(103)에 저장한 후, 상기 DMA(104)를 통해 수신측 FIFO인 상기 Rx FIFO(118)에 보내고, 상기 G.711 코덱(113)에서 Rx FIFO의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보낸다.
위에서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이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이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 범위는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위와 같은 변화예나 변경예 또는 조절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 폰으로 음성을 주고 받을 수 있으며, 홈 네트웍킹으로 원하는 곳의 전자 제품에 특정한 명령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웍 부하가 매우 적으며, 동작 속도도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물리층(Physical Layer)에서 홈 네트워킹을 담당하는 홈 PNA Transceiver부(111);
    물리층에서 이더넷 연결을 담당하는 이더넷 Transceiver부(112);
    인터넷과의 접속 제어를 담당하는 MAC부(Media Access Controller : 매체 제어부, 109);
    상기 홈 PNA Transceiver부 또는 이더넷 Transceiver부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 데이터의 압축 복원 기능을 수행하는 G.729/G.723 소프트웨어 코덱부(102);
    상기 G.729/G.723 소프트웨어 코덱부(102)에 의하여 압축 또는 복원된 음성 데이터의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VOIP_IF부(105);
    톤이나 음성 데이터의 A/D, D/A 변환 및 A/ч-law PCM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G.711 코덱부(113);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로 효율적인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DMA부;
    톤 신호를 제어 발생시키는 톤 발생기부; 및
    입력 또는 출력을 담당하는 일반 목적 입출력부(GPIO : General Purpose Input / Output)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VOIP_IP(105)는,
    톤 신호음, 멜로디음 및 음성 데이터를 구별하고, 톤 데이터의 단속비 값등을 알려주는 레지스터부(114);
    송신에 사용되는 송신 FIFO부(117);
    수신에 사용되는 수신 FIFO부(118);
    송신시 상기 송신 FIFO부(117)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로 변환시켜주는 P/S부(119);
    수신시 직렬 데이터를 상기 수신 FIFO부(118)에 넣을 수 있도록 병렬로 변환시켜주는 S/P부(120);
    음성 또는 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서 상기 송수신 FIFO부로(또는 반대)의 데이터 전달, 상기 FIFO부 크기의 조정 및 상기 FIFO부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부(115); 및
    송신이나 수신시 FIFO 각각에 대하여 데이터가 찼을 경우, DMA 처리를 요청하는 인터럽트 핸들러(Interrupt Handler)부(11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3. 인터넷 번호가 입력되면, 톤 발생기는 DTMF 신호를 발생시켜, 입력된 인터넷번호의 어드레스가 VOIP 용인지 홈 네트워크용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홈 네트워크용이면, 송신 데이터를 홈 PNA로 전송하여, 홈 PNA에 연결된 장치를 제어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VOIP 용이면, 수신측 스피커의 톤 발생기를 이용하여 신호음을 발생시킨 후, 음성 채널을 형성하는 제 3 단계;
    음성 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일방이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면,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FIFO에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임시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여, 타방으로 보낸 후, 이를 음성 신호로 복원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단계는,
    G.711 코덱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서브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의 일정한 크기의 데이터를 Tx FIFO1(117)에 채우는 제 2 서브 단계;
    상기 Tx FIFO1에 채워진 데이터를 G.729 코덱으로 압축하여 타방으로 전송하는 제 3 서브 단계;
    상기 제 3 서브 단계 중에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Tx FIFO2에 채우는 제 4 서브 단계;
    상기 Tx FIFO2에 채워진 데이터를 G.729 코덱으로 압축하여 타방으로 전송하는 제 5 서브 단계; 및
    상기 제 5 서브 단계 중에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는 상기 Tx FIFO1에 채운 후, 상기 제 3 서브 단계로 복귀하는 제 6 서브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의 운용 방법.
  4. 제 6 항에 있어서,
    수신시에도 상기 제 1 서브 단계 내지 제 6 서브 단계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의 운용 방법.
  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G.729 코덱으로 압축된 데이터는 MAC(109)에서, H.802.3의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이데넷 망을 통하여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의 운용 방법.
  6. 컴퓨터에,
    인터넷 번호가 입력되면, 톤 발생기는 DTMF 신호를 발생시켜, 입력된 인터넷 번호의 어드레스가 VOIP 용인지 홈 네트워크용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홈 네트워크용이면, 송신 데이터를 홈 PNA로전송하여, 홈 PNA에 연결된 장치를 제어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VOIP 용이면, 수신측 스피커의 톤 발생기를 이용하여 신호음을 발생시킨 후, 음성 채널을 형성하는 제 3 단계;
    음성 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일방이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면,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FIFO에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임시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여, 타방으로 보낸 후, 이를 음성 신호로 복원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단계는,
    G.711 코덱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서브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의 첫부분의 일정한 크기의 데이터는 Tx FIFO1(117)에 채우는 제 2 서브 단계;
    상기 Tx FIFO1에 채워진 데이터를 G.729 코덱으로 압축하여 타방으로 전송하는 제 3 서브 단계;
    상기 제 3 서브 단계 중에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는 Tx FIFO2에 채우는 제 4 서브 단계;
    상기 Tx FIFO2에 채워진 데이터를 G.729 코덱으로 압축하여 타방으로 전송하는 제 5 서브 단계; 및
    상기 제 5 서브 단계 중에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는 상기 Tx FIFO1에 채운 후, 상기 제 3 서브 단계로 복귀하는 제 6 서브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0-0080996A 2000-12-23 2000-12-23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0396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996A KR100396844B1 (ko) 2000-12-23 2000-12-23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996A KR100396844B1 (ko) 2000-12-23 2000-12-23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600A true KR20020051600A (ko) 2002-06-29
KR100396844B1 KR100396844B1 (ko) 2003-09-02

Family

ID=27685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996A KR100396844B1 (ko) 2000-12-23 2000-12-23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8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751B1 (ko) * 2002-10-23 2004-11-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전송율을 갖는 음성코덱을 적용한 인터넷전화시스템에서의 음성코덱 모드 할당 방법
KR100509945B1 (ko) * 2002-11-27 2005-08-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게이트웨이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498B1 (ko) * 2002-09-26 2005-03-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xDSL 및 VoIP 인터페이스를 갖는 홈 게이트웨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751B1 (ko) * 2002-10-23 2004-11-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전송율을 갖는 음성코덱을 적용한 인터넷전화시스템에서의 음성코덱 모드 할당 방법
KR100509945B1 (ko) * 2002-11-27 2005-08-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게이트웨이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6844B1 (ko) 200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05641B2 (ja) 複数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オプションを使った通信アダプタ
US7054280B2 (en) Voice communication between a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n external terminal
KR100348606B1 (ko) 게이트웨이 장치
KR100396844B1 (ko)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WO2004015972A1 (ja) 音声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670090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telephones on H.323 networks
CN101645951A (zh) 自适应网络电话装置及其控制方法
US67852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ontrol of audio quality
US629812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voice and/or data call over a single analog phone line using a multi-modal DCE
US58189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voice data over a single DTE/DCE link
KR20000030120A (ko) 다채널 훅 스위치가 장착된 인터넷전화장치 및 인터넷전화통화방법
KR20010036829A (ko) 이동 단말기
US5872835A (en) Data interface circuit for portable terminal equipment
KR100228903B1 (ko) 휴대용 정보 단말장치와 이동 무선 단말장치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328977B1 (ko) 피씨에서의씨티아이구현방법
KR20030031668A (ko) VoIP에서의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 방법
JP2006509408A (ja) デュアル・モード電話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406958B1 (ko) 키스테이션 시스템용 인터넷 접속 인터페이스
JPH11252117A (ja) 通信システム
KR20000054231A (ko) 인터넷 기반 전화기 및 통신 방법
KR19990064542A (ko) 다자간 컴퓨터 음성통신 방법
KR100463230B1 (ko) 휴대폰용 랜어댑터 장치
US20010054113A1 (en) Communication system
JPH1079734A (ja) Isdnインタフェース用pcカード
JPH0758873A (ja) シリアルデータ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