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844B1 -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844B1
KR100396844B1 KR10-2000-0080996A KR20000080996A KR100396844B1 KR 100396844 B1 KR100396844 B1 KR 100396844B1 KR 20000080996 A KR20000080996 A KR 20000080996A KR 100396844 B1 KR100396844 B1 KR 100396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ignal
user
digital voice
unit
counter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1600A (ko
Inventor
박찬원
이종형
황대환
성호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0-0080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844B1/ko
Publication of KR20020051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8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덱 호환성이 있는 SOHO(Small office and Home office) network용 인터넷 폰 단말의 구성방법 및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다양한 코덱을 지원하기 때문에 SOHO 환경에서 기존의 인터넷폰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전화선이나 이더넷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네트워크 지연시간과 대역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품질의 CODEC을 지원하고, 효율적인 버퍼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였다.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발명에 비하여 호환성과 성능이 향상되어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고, SOHO용 인터넷 폰 단말이나 xDSL 외장형 모뎀 등에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System for internet pho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터넷 폰 단말의 구성방법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양한 코덱을 지원하여 기존의 인터넷폰과의 호환성을 가지며, 종래의 네트워크 지연 시간과 대역 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품질의 코덱(CODEC)을 지원하고, 선택된 코덱에 따라 효율적인 버퍼 제어를 수행하며, 이더넷(Ethernet)이나 전화선을 이용하여 SOHO 환경에서 상대방의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를 입력한 후, 네트웍으로 음성을 주고 받을 수 있어서, Home/Office 통화 장치로 사용 가능한 인터넷 폰 단말의 구성방법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사무실에서 종래의 인터넷 폰을 사용하면, 전화선 대신 네트웍만을 이용하게 됨으로써, 통신 비용 감소에 큰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네트웍에 연결된 컴퓨터와 인터넷 폰의 수가 점차 많아지면, 네트웍의 부하가 가중되어 잦은 끊김 현상과 네트웍을 이용한 작업이 전체적으로 느려지므로, 더욱 효율적인 인터넷폰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사이버 아파트같이 네트웍으로 연결된 가정이나 회사에서는 인터넷 폰으로 홈 자동화 기능까지 수행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분야는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각의 분야에 대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점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코덱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면이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G.729나 G.723같은 소프트웨어(S/W) 코덱과 G.711같은 하드웨어(H/W) 코덱을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xDSL같은 망에서 음성 통화시에는 G.723 같은 코덱을 사용하면 G.711 코덱보다 1/10 가량 적은 데이터 압축을 가지므로, 그만큼 네트웍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위해 G.729 코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하드웨어로 구성된 인터넷 폰 기술은 하나의 코덱으로만 한정되어 있어서, 새로운 코덱이 나오면 하드웨어를 모두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두번째는 음성 버퍼의 제어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는 G.711 코덱이나 G.729 코덱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가변 음성 버퍼 제어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버퍼 두개만으로 입출력시 사용하던 것을 본 발명에서는 입출력 각각에 두개씩을 4 개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이 버퍼를 번갈아 가면서 사용하여 데이터의 원활한 흐름을 보장할 수 있다.
세번째는 음성 데이터의 처리 속도 향상이다.
기존 발명에서는 프로세서가 모든 작업을 처리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DMA(Direct Memory Access)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원활하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네번째는 홈 네트워킹(Home Networking)의 실현이다.
기존 발명에서는 홈 네트워킹 기능이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Home PNA 를 부착하여 홈 네트워킹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번째는 멜로디(Melody) 등 모든 종류의 톤(Tone)을 발생할 수 있는 톤 발생기의 부착이다.
기존 발명에서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톤 정도밖에 지원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DTMF 톤/신호음/멜로디등 다양한 톤을 발생할 수 있는 톤 발생기를 부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지루하지 않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목적에 따라 다양한 코덱을 사용하고, 음성 버퍼의 최적 구성과 제어로 음성지연이 전혀 없으며, 홈 네트워킹을 할 수 있고, 다양한 톤을 발생할 수 있고, 네트웍부하가 적고, 빠르고 안정된 음성 서비스를 실현시키기 위한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폰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인터넷 폰 장치내의 VOIP_IF(105), FIFO(106) 및 톤 발생기(107)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폰의 송신과 수신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CPU 102 : G.729/723 소프트 코덱(Soft CODEC)
103 : 메모리 104 : DMA
105 :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인터페이스(Interface) 회로
106 : Dual Port Synchronous RAM(DPRAM)
107 : 톤 발생기 108 : GPIO
109 : MAC(Media Access Controller)
110 : 버퍼(Buffer)
111 : 홈 PNA transceiver 112 : 이더넷(Ethernet) transceiver
113 : G.711 코덱 114 : 레지스터(Register)
115 : 메모리 컨트롤러(Memory Controller)
116 : 인터럽트 핸들러(Interrupt Handler)
117, 118 : 160 Kbyte FIFO(File In File Out)
119 : Parallel to Serial 회로 120 : Serial to Parallel 회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키패드를 통한 인터넷번호를 입력받고,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상대방의 인터넷번호를 표시하도록 하는 일반 목적 입출력부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하는 인터넷번호의 톤신호음을 발생시키는 톤 발생부와; 상기 사용자의 아날로그음성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상대방의 복원디지털음성신호와 상기 톤신호음을 아날로그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A/D, D/A 변환부와; 상기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와 상기 상대방 복원디지털음성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VOIP/톤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를 압축하여 사용자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상대방의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복원하여 상기 상대방 복원디지털음성신호를 출력하는 G.729/G.723 소프트웨어 코덱부와 G.711 하드웨어 코덱부; 상기 VOIP/톤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적재한 후 상기 G.729/G.723 소프트웨어 코덱부에게 제공하고, 상기 G.729/G.723 소프트웨어 코덱부로부터 상대방 복원디지털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적재한 후 상기 VOIP/톤 인터페이스부에게 제공하는 메모리와; 상기 VOIP/톤 인터페이스부에 일시 저장된 상기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DMA 처리하고, 상기 메모리에 일시 저장된 상기 상대방 복원디지털음성신호를 상기 VOIP/톤 인터페이스부에 DMA 처리하는 DMA부와; 상기 사용자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이더넷망이나 전화선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더넷망이나 전화선망으로부터 상기 상대방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이더넷 트랜시버부와 HomePNA 트랜시버부; 및 상기 G.729/G.723 소프트웨어 코덱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사용자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상기 이더넷 트랜시버부나 HomePNA 트랜시버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에게 출력하고, 상기 이더넷 트랜시버부나 HomePNA 트랜시버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상대방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상기 G.729/G.723 소프트웨어 코덱부에게 출력하는 MAC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인터넷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인터넷번호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IP주소를 확인하고, 상기 IP주소와의 음성채널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음성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아날로그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아날로그음성신호를 디지털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를 2개의 송신 FIFO에 일시 저장하고, 상기 2개의 송신 FIFO에 일시 저장된 상기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를 메모리에 적재한 후 G.729/G.723 코덱으로 압축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음성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상대방으로부터 압축디지털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상대방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G.729/G.723 코덱으로 복원하여 메모리에 적재한 후 2개의 수신 FIFO에 일시 저장하고, 상기 2개의 수신 FIFO에 일시 저장된 상대방 복원디지털음성신호를 아날로그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컴퓨터에, 사용자로부터 인터넷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인터넷번호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IP주소를 확인하고, 상기 IP주소와의 음성채널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음성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아날로그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아날로그음성신호를 디지털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를 2개의 송신 FIFO에 일시 저장하고, 상기 2개의 송신 FIFO에 일시 저장된 상기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를 메모리에 적재한 후 G.729/G.723 코덱으로 압축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음성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상대방으로부터 압축디지털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상대방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G.729/G.723 코덱으로 복원하여 메모리에 적재한 후 2개의 수신 FIFO에 일시 저장하고, 상기 2개의 수신 FIFO에 일시 저장된 상대방 복원디지털음성신호를 아날로그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제3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폰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인터넷 폰 장치내의 VOIP_IF(105), FIFO(106) 및 톤 발생기(107)의 상세 구성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폰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부(101),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음성신호를 변환하여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상대방의 복원디지털음성신호를 변환하여 상대방 아날로그음성신호를 출력하고, A/ч-law PCM 변환 기능 등을 수행하는 G.711 코덱부(113)와, 상기 G,711 코덱부로(113)부터 상기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를 입력받아 2개의 송신FIFO에 일시 저장하고, 상기 G.729/723 소프트웨어 코덱부가 복원한 상기 상대방 복원디지털음성신호를 입력받아 2개의 수신FIFO에 일시 저장하는 VOIP/톤 인터페이스부(105, VOIP_IF부)와, 상기 사용자디지털음성신호를 압축하여 사용자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되는 상대방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복원하여 상대방 복원디지털음성신호를 출력하는 G.729/G.723 소프트웨어 코덱부(102)와, 상기 VOIP/톤 인터페이스부(105)로부터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적재한 후 상기 G.729/G.723 소프트웨어 코덱부(102)에게 제공하고, 상기 G.729/G.723 소프트웨어 코덱부로부터 상대방 복원디지털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적재한 후 상기 VOIP/톤 인터페이스부에게 제공하는 메모리(103)와, 상기 VOIP/톤 인터페이스부에 일시 저장된 상기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DMA 처리하고, 상기 메모리에 일시 저장된 상기 상대방 복원디지털음성신호를 상기 VOIP/톤 인터페이스부에 DMA 처리하는 DMA부(104, Direct Access Memory)와, 음성/톤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FIFO부(106)와, 톤 신호를 발생시키는 톤 발생부(107)와, 사용자로부터 키패드(Keypad)를 통한 인터넷번호를 입력받고,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디스플레이(LCD)에게 상대방의 인터넷번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일반 목적 입출력부(108, GPIO; General Purpose Input/Output)와, 홈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홈 네트워킹 제어신호를 홈 네트워킹 장치에게 전송하는 홈 PNA 트랜시버부(111, 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와, 상기 사용자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이더넷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더넷망으로부터 상기 상대방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이더넷 트랜시버부(112)와, 상기 G.729/G.723 소프트웨어 코덱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사용자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상기 이더넷 트랜시버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에게 출력하고, 상기 이더넷 트랜시버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상대방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상기 G.729/G.723 소프트웨어 코덱부에게 출력하고, 상기 홈 네트워킹 제어신호를 상기 홈 PNA 트랜시버부를 통해 상기 홈 네트워킹 장치에게 출력하는 MAC부(109. Media Access Controller) 및 인터넷 데이터의 임시 저장 창고인 버퍼부(1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음성이나 톤 데이터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한 VOIP/톤 인터페이스부(105)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톤신호음과 멜로디음의 종류 및 상기 톤신호음의 단속비값을 저장하고 상기 G.711 코덱부(113)에게 제공하는 레지스터부(114), 송신에 사용되는 2개의 160 kbyte 크기의 송신FIFO(117), 수신에 사용되는 2개의 160 kbyte 크기의 수신FIFO(118), 송신시 송신FIFO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P/S부(119, Parallel/Serial), 수신시 직렬 데이터를 수신FIFO에 넣을 수 있도록 병렬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S/P부(120, Serial/Parallel), 상기 2개의 송신FIFO(117)와 상기 2개의 수신FIFO(118)의 크기조정 및 상태를 감시하는 메모리 컨트롤러부(115) 및 상기 메모리 콘트롤러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2개의 송신FIFO 중 임의의 하나의 송신FIFO의 쓰기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송신FIFO에 일시 저장된 데이터에 대해 상기 DMA부(104)에게 DMA 읽기 처리를 요청하고, 상기 2개의 수신FIFO 중 임의의 하나의 수신FIFO의 읽기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메모리(103)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해 상기 DMA부에게 DMA 쓰기 처리를 요청하는 인터럽트 핸들러부(116, Interrupt Handler)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폰의 송신과 수신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텝 S301에서, 키패드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 번호를 상기 일반 목적 입출력부(108)로 입력하면, 스텝 S302에서, 상기 톤 발생부(107)가 DTMF 신호를 발생시키고, 스텝 S303에서, 프로세서가 입력된 인터넷 번호에 대해 VOIP용 어드레스인지 홈 네트워크 장치의 어드레스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스텝 S303에서의 판단 결과, 홈 네트워크 장치의 어드레스이면 스텝 S304에서, 송신 데이터를 홈 PNA 트랜시버부로 보내어 홈 PNA 트랜시버부에 연결된 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스텝 S303에서의 판단 결과, VOIP용 어드레스이면 스텝 S305 내지 스텝 S306에서, 톤 발생부를 이용하여 신호음을 발생시켜 수신측에 전달한다. 이 때, 수신측에서는 상기 신호음을 전달받아 자신의 스피커에 신호음을 발생시킨다.
한편, 수신측에서 자신에게 온 전화가 있을 때 수신 신호를 송신측으로 보내면 음성 채널이 형성되는데, 음성 채널이 형성된 상태이면, 스텝 S308내지, 스텝 S313에서, 송신측은 마이크로 음성 데이터를 보내고, 상기 G.711 코덱(113)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FIFO(106)에 데이터를 쌓는다. 이때, 상기 FIFO(106)에서 음성 데이터의 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처음 160 byte의 데이터는 상기 Tx FIFO1(117)에 채우고, 160 byte의 데이터가 모두 채워지면, 상기 DMA(104)에 DMA request 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그 다음 데이터는 상기 Tx FIFO2에 채우게 한다.
그동안 상기 DMA(104)는 10 ms동안 160 byte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103)로 보내어 상기 G.729 코덱(102)에 의해서 압축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Tx FIFO2에 데이터가 모두 차면, 다시 상기 DMA(104)가 상기 Tx FIFO2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103)로 보내어, 상기 G.729 코덱(102)으로 하여금 압축하도록 한다. 이때, 입력되는 데이터는 다시 상기 Tx FIFO1(117)에 채워지게 된다. 그 이유는 G.729는 16 bit, 8 KHz로 샘플링한 것으로, 80 개가 1 frame이고, 이것의 크기는 160 byte이며, 이것의 최적 처리 방법은 8 KHz × 80이면 10 ms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Tx FIFO(117)의 크기는 160 byte 짜리 두개로써, 톤 신호음을 발생할 때는 두개의 FIFO를 합쳐서 256 byte만으로 크기를 조절한 다음, 톤 신호음 데이터를 저장해서 보내 주도록 하고, 음성 데이터를 처리할 경우는 160 byte FIFO 두개를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번갈아 가면서 처리하도록 한다. 수신시에도 160 byte Rx FIFO(118) 두개를 위와 같이 번갈아 사용하게 된다. G.729로 압축된 데이터는 상기 MAC(109)에서 H.802.3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더넷 transceiver(112)를 통해 수신측으로 보내지게 된다.
수신측에서는 상기 이더넷 transceiver(112)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MAC(109)에서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G.729 코덱에 의해 복원하도록 하여 상기 메모리(103)에 저장한 후, 상기 DMA(104)를 통해 수신측 FIFO인 상기 Rx FIFO(118)에 보내고, 상기 G.711 코덱(113)에서 Rx FIFO의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보낸다.
위에서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이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이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 범위는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위와 같은 변화예나 변경예 또는 조절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 폰으로 음성을 주고 받을 수 있으며, 홈 네트웍킹으로 원하는 곳의 전자 제품에 특정한 명령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웍 부하가 매우 적으며, 동작 속도도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사용자로부터 키패드를 통한 인터넷번호를 입력받고,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상대방의 인터넷번호를 표시하도록 하는 일반 목적 입출력부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하는 인터넷번호의 톤신호음을 발생시키는 톤 발생부와;
    상기 사용자의 아날로그음성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상대방의 복원디지털음성신호와 상기 톤신호음을 아날로그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A/D, D/A 변환부와;
    상기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와 상기 상대방 복원디지털음성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VOIP/톤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를 압축하여 사용자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상대방의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복원하여 상기 상대방 복원디지털음성신호를 출력하는 G.729/G.723 소프트웨어 코덱부와 G.711 하드웨어 코덱부;
    상기 VOIP/톤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적재한 후 상기 G.729/G.723 소프트웨어 코덱부에게 제공하고, 상기 G.729/G.723 소프트웨어 코덱부로부터 상대방 복원디지털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적재한 후 상기 VOIP/톤 인터페이스부에게 제공하는 메모리와;
    상기 VOIP/톤 인터페이스부에 일시 저장된 상기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DMA 처리하고, 상기 메모리에 일시 저장된 상기 상대방 복원디지털음성신호를 상기 VOIP/톤 인터페이스부에 DMA 처리하는 DMA부와;
    상기 사용자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이더넷망이나 전화선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더넷망이나 전화선망으로부터 상기 상대방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이더넷 트랜시버부와 HomePNA 트랜시버부; 및
    상기 G.729/G.723 소프트웨어 코덱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사용자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상기 이더넷 트랜시버부나 HomePNA 트랜시버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에게 출력하고, 상기 이더넷 트랜시버부나 HomePNA 트랜시버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상대방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상기 G.729/G.723 소프트웨어 코덱부에게 출력하는 MAC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VOIP/톤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G.711 코덱부로부터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일시 저장하는 쓰기 동작과, 일시 저장된 상기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적재하는 읽기 동작을 엇갈리게 번갈아가며 수행하는 2개의 송신 FIFO와;
    상기 메모리에 적재된 상대방 복원디지털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일시 저장하는 쓰기 동작과, 일시 저장된 상기 상대방 복원디지털음성신호를 상기 G.711 코덱부에게 출력하는 읽기 동작을 엇갈리게 번갈아가며 수행하는 2개의 수신 FIFO와;
    상기 2개의 송신 FIFO와 2개의 수신 FIFO를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부와;
    상기 메모리 콘트롤러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임의의 송신 FIFO의 쓰기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일시 저장된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에 대해 상기 DMA부에게 DMA 읽기 처리를 요청하고, 상기 임의의 수신 FIFO의 읽기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상대방 복원디지털음성신호에 대해 상기 DMA부에게 DMA 쓰기 처리를 요청하는 인터럽트 핸들러부; 및
    톤신호음과 멜로디음의 종류 및 상기 톤신호음의 단속비값을 저장하고, 상기 G.711 코덱부에게 출력하는 레지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
  3. 사용자로부터 인터넷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인터넷번호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IP주소를 확인하고, 상기 IP주소와의 음성채널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음성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아날로그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아날로그음성신호를 디지털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를 2개의 송신 FIFO에 일시 저장하고, 상기 2개의 송신 FIFO에 일시 저장된 상기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를 메모리에 적재한 후 G.729/G.723 코덱으로 압축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음성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상대방으로부터 압축디지털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상대방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G.729/G.723 코덱으로 복원하여 메모리에 적재한 후 2개의 수신 FIFO에 일시 저장하고, 상기 2개의 수신 FIFO에 일시 저장된 상대방 복원디지털음성신호를 아날로그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의 운용 방법.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G.729/G.723코덱으로 압축한 사용자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H.802.3의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이더넷망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시스템의 운용 방법.
  6. 컴퓨터에,
    사용자로부터 인터넷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인터넷번호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IP주소를 확인하고, 상기 IP주소와의 음성채널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음성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아날로그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아날로그음성신호를 디지털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를 2개의 송신 FIFO에 일시 저장하고, 상기 2개의 송신 FIFO에 일시 저장된 상기 사용자 디지털음성신호를 메모리에 적재한 후 G.729/G.723 코덱으로 압축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음성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상대방으로부터 압축디지털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상대방 압축디지털음성신호를 G.729/G.723 코덱으로 복원하여 메모리에 적재한 후 2개의 수신 FIFO에 일시 저장하고, 상기 2개의 수신 FIFO에 일시 저장된 상대방 복원디지털음성신호를 아날로그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제3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80996A 2000-12-23 2000-12-23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0396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996A KR100396844B1 (ko) 2000-12-23 2000-12-23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996A KR100396844B1 (ko) 2000-12-23 2000-12-23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600A KR20020051600A (ko) 2002-06-29
KR100396844B1 true KR100396844B1 (ko) 2003-09-02

Family

ID=27685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996A KR100396844B1 (ko) 2000-12-23 2000-12-23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8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498B1 (ko) * 2002-09-26 2005-03-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xDSL 및 VoIP 인터페이스를 갖는 홈 게이트웨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751B1 (ko) * 2002-10-23 2004-11-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전송율을 갖는 음성코덱을 적용한 인터넷전화시스템에서의 음성코덱 모드 할당 방법
KR100509945B1 (ko) * 2002-11-27 2005-08-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게이트웨이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498B1 (ko) * 2002-09-26 2005-03-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xDSL 및 VoIP 인터페이스를 갖는 홈 게이트웨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600A (ko) 200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688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A Phone For Use In Network Voice Operations
EP0874509B1 (en) A computer and a method of operating a computer
US7054280B2 (en) Voice communication between a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n external terminal
KR100396844B1 (ko) 인터넷 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US7227944B1 (en) Echo reduction for a headset or handset
WO2004015972A1 (ja) 音声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000062481A (ko) 컴퓨터의 유니버셜 시리얼버스 포트를 이용한 인터넷전화장치 및 인터넷 전화통화방법
US670090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telephones on H.323 networks
US20070253440A1 (en) Interne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H11308373A (ja) 情報通信装置
US20050169245A1 (e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handling an audio signal
US7480262B2 (en) Telephone terminal, telephone system using telephon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telephone terminal
US67852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ontrol of audio quality
KR20000030120A (ko) 다채널 훅 스위치가 장착된 인터넷전화장치 및 인터넷전화통화방법
JPH11252117A (ja) 通信システム
JP3430957B2 (ja) インタフェースクロック調整機能付き携帯電話付属装置
US20010054113A1 (en) Communication system
JP3996611B2 (ja) コンピュータ端末対応音声通話システム
KR100406958B1 (ko) 키스테이션 시스템용 인터넷 접속 인터페이스
JP2000183962A (ja) 音声会話装置及び方法
KR20000054231A (ko) 인터넷 기반 전화기 및 통신 방법
KR19990064542A (ko) 다자간 컴퓨터 음성통신 방법
KR100255214B1 (ko) 통신시스템에서 송수신 대역폭 결정방법
JP2001308952A (ja) アダプタ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8079154A (ja) Ip電話装置、通話パス切替方法、およびip電話装置用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