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0607A - 자동차의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0607A
KR20020050607A KR1020000079798A KR20000079798A KR20020050607A KR 20020050607 A KR20020050607 A KR 20020050607A KR 1020000079798 A KR1020000079798 A KR 1020000079798A KR 20000079798 A KR20000079798 A KR 20000079798A KR 20020050607 A KR20020050607 A KR 20020050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suspension
mounting bracket
vehicle
suspens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곤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79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0607A/ko
Publication of KR20020050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60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체(4)와 서스펜션서포트(13)사이에는 마운팅브라켓트(14)가 설치되고, 이 마운팅브라켓트(14)가 상기 서스펜션서포트(13)에 구비된 복수개의 결합볼트(13a)에 의해 관통되어 차체(4)와 결합되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트(14)가 차체(4)를 관통하여 조립너트(14a)와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조립볼트(14a)에 의해 차체(4)와 결합되되, 상기 결합볼트(13a)가 관통되도록 마운팅브라켓트(14) 및 차체(4)에 형성된 관통구멍(14c,4a)이 서로 방향이 동일한 장홈으로 형성되어져, 차량의 휠얼라이먼트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맥퍼슨식 앞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휠얼라이먼트의 조정이 기능하도록 된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 때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로서 크게 앞현가장치와 뒤현가장치로 분류되며, 상기 앞현가장치 앞차축의 형식에 따라 차축현가식과 독립현가식으로 분류된다.
한편, 상기 독립현가식 앞현가장치에는 위시본형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구성부품이 적으며 보수가 용이한 맥퍼슨식 현가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맥퍼슨식 앞현가장치의 구성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바디의 강도 및 강성을 증진시키도록 된 크로스멤버(1)와, 차체가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스테빌라이저바아(2)와, 앞바퀴의 중심으로 조향핸들의 작동시 킹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된 조향너클(3)과, 이 조향너클(3)과 일체로 되어 상단 윗부분이 차체(4)에 결합되도록 된 스트럿(5)과, 이 스트럿(5)의 외주면에 결합된 스프링상단시트(6)와 스프링하단시트(7)사이에 설치되어 노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된 코일스프링(8)과, 상기 스트럿(5)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스프링(8)의 자유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도록 된 쇽업소버(9)와, 상기 스트럿(5)이 전후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스트럿바아(11)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스트럿(5)의 외주면에 결합된 스프링상단시트(6)는 드러스트베어링(12)을 매개로 서스펜션서포트(13)와 결합되어 상기 스트럿(5)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쇽업소버(9)의 상측종단은 상기 서스펜션서포트(13)를 관통하여 고정너트(9a)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스펜션서포트(13)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측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결합볼트(13a)가 차체(4)를 관통하여 결합너트(13b)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서스펜션서포트(13)가 차체(4)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맥퍼슨식 앞현가장치는 자동차가 주행할 때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상하진동을 억제하면서 차체가 좌우로 흔들리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주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맥퍼슨식 앞현가장치에 의하면, 상기 스트럿(5)의 상단부가 서스펜션서포트(13)를 매개로 차체(4)와 직접 조립됨으로써 차량의 휠얼라이먼트(wheel alignment)를 조정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서스펜션서포트와 차체사이에 마운팅브라켓트를 설치하여 차량의 휠얼라이먼트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와 서스펜션서포트사이에는 마운팅브라켓트가 설치되고, 이 마운팅브라켓트가 상기 서스펜션서포트에 구비된 복수개의 결합볼트에 의해 관통되어 차체와 결합되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트가 차체를 관통하여 조립너트와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조립볼트에 의해 차체와 결합되되, 상기 결합볼트가 관통되도록 마운팅브라켓트 및 차체에 형성된 관통구멍이 휠얼라이먼트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서로 방향이 동일한 장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맥퍼슨식 앞현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와 도 3은 종래구조에 따라 스트럿이 서스펜션서포트를 매개로 차체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및 평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스트럿이 마운팅브라켓트 및 서스펜션서포트를 매개로 차체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차체 4a,14c - 관통구멍
5 - 스트럿 6 - 스프링상단시트
7 - 스프링하단시트 8 - 코일스프링
9 - 쇽업소버 12 - 드러스트베어링
13 - 서스펜션서포트 13a - 결합볼트
13b - 결합너트 14 - 마운팅브라켓트
14a - 조립볼트 14b - 조립너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스트럿이 마운팅브라켓트 및 서스펜션서포트를 매개로 차체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및 평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맥퍼슨식 앞현가장치의 구성은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바디의 강도 및 강성을 증진시키도록 된 크로스멤버(1)와, 차체가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스테빌라이저바아(2)와, 앞바퀴의 중심으로 조향핸들의 작동시 킹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된 조향너클(3)과, 이 조향너클(3)과 일체로 되어 상단 윗부분이 차체(4)에 결합되도록 된 스트럿(5)과, 이 스트럿(5)의 외주면에 결합된 스프링상단시트(6)와 스프링하단시트(7)사이에 설치되어 노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된 코일스프링(8)과, 상기 스트럿(5)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스프링(8)의 자유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도록 된 쇽업소버(9)와, 상기 스트럿(5)이 전후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스트럿바아(11)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스트럿(5)의 외주면에 결합된 스프링상단시트(6)는 드러스트베어링(12)을 매개로 서스펜션서포트(13)와 결합되어 상기 스트럿(5)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쇽업소버(9)의 상측종단은 상기 서스펜션서포트(13)를 관통하여 고정너트(9a)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스펜션서포트(13)의 바깥면에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스펜션서포트(13)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마운팅브라켓트가(14)가 설치되고, 이 마운팅브라켓트(14)의 바깥면에는 차체(4)가 위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서스펜션서포트(13)와 마운팅브라켓트가(14) 및 차체(4)는, 상기 서스펜션서포트(13)의 바깥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결합볼트(13a)가 상기 마운팅브라켓트가(14)에 형성된 관통구멍(14c) 및 차체(4)에 구비된 관통구멍(4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결합너트(13b)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서스펜션서포트(13)와 마운팅브라켓트가(14)가 차체(4)에 결합되는 된다.
또한, 상기 마운팅브라켓트가(14)는 바깥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조립볼트(14a)가 차체(4)를 관통하여 조립너트(14b)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마운팅브라켓트가(14)가 차체(4)에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브라켓트가(14)에 형성되어 결합볼트(13a)가 관통되는 관통구멍(14c)은 장홈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4)에 형성되어 결합볼트(13a)가 관통되는 관통구멍(4a)도 상기 마운팅브라켓트가(14)의 관통구멍(14c)과 방향이 동일한 장홈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마운팅브라켓트가(14)의 관통구멍(14c)과 차체(4)의 관통구멍(4a)이 장홈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작업자가 결합너트(13b)를 풀어 결합볼트(13a)와의 결합을 해체시킨 다음 스트럿(5)을 회전시켜가면서 차량의 휠얼라이먼트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서스펜션서포트(13)가 직접 차체(4)에 결합되어 차량의 휠얼라이먼트를 조정할 수 없도록 된 종래의 현가장치보다 차량의 안정성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상기 마운팅브라켓트가(14)의 조립볼트(14a)가 차체(4)를 관통하는 구멍(도시않됨)은 정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와 서스펜션서포트사이에 마운팅브라켓트가 설치되고, 상기 서스펜션서포트에 구비된 복수개의 결합볼트가 마운팅브라켓트에 형성된 장공모양의 관통구멍 및 차체에 형성된 장공모양의 관통구멍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결합너트에 결합되어져, 작업자가 상기 결합너트의 결합을 해체시킨 다음 스트럿을 회전시켜가면서 차량의 휠얼라이먼트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차량의 안정성이 향상됨은 물론 이로인해 상품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스트럿(5)의 외주면에 결합된 스프링상단시트(6)가 드러스트베어링(12)을 매개로 서스펜션서포트(13)와 결합되고, 상기 서스펜션서포트(13)가 서스펜션서포트(13)의 바깥면에 구비되면서 차체(4)를 관통하여 결합너트(13b)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볼트(13a)에 의해 차체(4)에 결합되도록 된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체(4)와 서스펜션서포트(13)사이에는 마운팅브라켓트(14)가 설치되고, 이 마운팅브라켓트(14)가 상기 서스펜션서포트(13)에 구비된 복수개의 결합볼트(13a)에 의해 관통되어 차체(4)와 결합되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트(14)가 차체(4)를 관통하여 조립너트(14a)와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조립볼트(14a)에 의해 차체(4)와 결합되되, 상기 결합볼트(13a)가 관통되도록 마운팅브라켓트(14) 및 차체(4)에 형성된 관통구멍(14c,4a)이 휠얼라이먼트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서로 방향이 동일한 장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20000079798A 2000-12-21 2000-12-21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0200506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798A KR20020050607A (ko) 2000-12-21 2000-12-21 자동차의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798A KR20020050607A (ko) 2000-12-21 2000-12-21 자동차의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607A true KR20020050607A (ko) 2002-06-27

Family

ID=27684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798A KR20020050607A (ko) 2000-12-21 2000-12-21 자동차의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06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02343A (zh) * 2023-06-29 2023-07-28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悬架优化设计方法、系统、存储介质及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02343A (zh) * 2023-06-29 2023-07-28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悬架优化设计方法、系统、存储介质及设备
CN116502343B (zh) * 2023-06-29 2023-10-31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悬架优化设计方法、系统、存储介质及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0840B2 (en) Steering and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US4848789A (en) Vehicle chassis tranverse structural member
US4875703A (en) Double link type suspension including a stabilizer bar
KR20020050607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JP2000016042A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構造
CN110803243A (zh) 代步车用摇摆装置及代步车
JP2003118339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325156B1 (ko) 차량용리어서스펜션
JPH05169943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237454Y1 (ko) 승용차 리어 어퍼암 구조
KR200267240Y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JP2001030727A (ja) サスペンション取付構造
KR200237453Y1 (ko) 자동차의 위시본형 조향장치
KR20030049172A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19980024176U (ko) 자동차의 멀티 링크 서스펜션
KR20040033455A (ko) 리어 서스펜션의 트레일링 아암 부쉬
KR100500296B1 (ko) 듀얼링크 타입 현가장치
KR20040073026A (ko) 스트러트와 너클의 체결 구조
KR100831495B1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져바의 구조
KR20070080028A (ko) 차량용 맥퍼슨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100962191B1 (ko) 승용 프레임 차량에 채용된 프레임 크로스맴버 구조
KR200153166Y1 (ko) 후륜 현가장치용 마운팅부쉬의 구조
KR100290949B1 (ko) 자동차의 뒷차축 현가장치의 취부구조
KR20040105968A (ko)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 체결구조
KR19990015088A (ko) 차량의 크로스멤버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