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0367A -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 - Google Patents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0367A
KR20020050367A KR1020000079502A KR20000079502A KR20020050367A KR 20020050367 A KR20020050367 A KR 20020050367A KR 1020000079502 A KR1020000079502 A KR 1020000079502A KR 20000079502 A KR20000079502 A KR 20000079502A KR 20020050367 A KR20020050367 A KR 20020050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memory
node
nmos transistor
potential
switch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배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20000079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0367A/ko
Publication of KR20020050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36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26Sensing or reading circuits; Data out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24Bit-line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0Power supply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에 관한 것으로, 비트라인의 소오스 단자에 소정 전압이 인가되는 플래쉬 메모리 셀 어레이와, 제 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플래쉬 메모리 셀 어레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1 스위칭 수단과, 기준 전압에 따라 센싱 노드의 전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 2 스위칭 수단과, 상기 센싱 노드의 전위 및 독출 신호에 따라 독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3 및 제 4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3 및 제 4 스위칭 수단을 통해 입력된 독출 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래치 수단과,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래치 수단을 초기화하기 위한 제 5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선택된 메모리 셀 어레이의 프리차지를 소오스 라인쪽으로 실시함으로써 프리차지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소자의 동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가 제시된다.

Description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Sensing circuit for flash memory device}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택된 메모리 셀 어레이의 프리차지를 소오스 라인쪽으로 실시함으로써 프리차지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소자의 동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NAND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도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하나의 비트라인에 다수의 메모리 셀(10)이 접속되어 제 1 선택 신호(SSL) 및 제 2 선택 신호(GSL)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N11 및 N12)에 의해 비트라인이 선택된다. 비트라인과 센싱 노드인 제 1 노드(Q11) 사이에 제 1 제어 신호(BLSHF)에 따라 구동되어 비트라인과 센싱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3 NMOS 트랜지스터(N13)가 접속된다. 전원 단자(Vcc)와 제 1 노드(Q11) 사이에 기준 전압(Vref)에 따라 구동되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P11)가 접속된다. 제 1 노드(Q11)와 제 2 노드(Q12) 사이에 프로그램 신호인 제 2 제어 신호(SBL)에 따라 구동되는 제 4 NMOS 트랜지스터(N14)가 접속된다. 제 1 노드(Q11)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제 3 제어 신호(DCB)에 따라 구동되는 제 5 NMOS 트랜지스터(N15)가 접속된다. 제 2 노드(Q12)와 제 4 노드(Q14) 사이에 제 1 및 제 2 인버터(I11 및 I12)로 이루어진 래치 회로(11)와 제 2 래치 신호(L2)에 따라 구동되는 제 6 NMOS 트랜지스터(N16)가 접속된다. 제 3 노드(Q13)와 제 4 노드(Q14) 사이에 래치 회로(11)와 제 7 NMOS 트랜지스터(N17)가 접속된다. 제 4 노드(Q14)와 접지단자(Vss) 사이에 제 1 노드(Q11)의 전위에 따라 구동되는 제 8 NMOS 트랜지스터(N18)가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의 구동 방법을 도 2의 타이밍도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구간(T1)에서 제 1 제어 신호(BLSHF)가 하이 상태로 인가되어 비트라인과 센싱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기준 전압(Vref)가 하이 상태로 인가되어 제 1 PMOS 트랜지스터(P11)를 턴오프시킨다. 제 2 제어 신호(SBL)가 로우 상태로 인가되어 제 4 NMOS 트랜지스터(N14)를 턴오프시키고, 제 3 제어 신호(DCB)가 하이 상태로 인가되어 제 5 NMOS 트랜지스터(N15)를 턴온시킨다. 이에 의해 비트라인 (BL)과 접지 단자(Vss) 사이에 전류 경로가 생성되어 비트라인이 디스차지된다.
제 2 구간(T2)에서 제 1 제어 신호(BLSHF)가 로우 상태로 인가되어 제 3 NMOS 트랜지스터(N13)를 턴오프시켜 비트라인과 센싱 회로와의 연결을 끊는다. 제 2 제어 신호(SBL) 및 제 3 제어 신호(DCB)가 각각 로우 상태로 인가되어 제 1 노드(Q11)로부터 접지 단자(Vss)로의 경로를 폐쇄한다. 그리고, 기준 전압(Vref)이 로우 상태로 인가되어 제 1 PMOS 트랜지스터(P11)를 턴온시켜 전원 전압(Vcc)을 제 1 노드(Q11)로 공급한다. 이에 의해 제 1 노드(Q11)의 전위는 하이 상태로 되고, 이 전위에 의해 제 8 NMOS 트랜지스터(N18)가 턴온되어 제 4 노드(Q14)의 전위는 로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 2 래치 신호(L2)가 하이 상태로 인가되어 제 6 NMOS 트랜지스터(N16)를 턴온시켜 제 2 노드(Q12)는 로우 상태로 되고,제 3 노드(Q13)은 하이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래치 회로(11)는 초기화된다.
제 3 구간(T3)에서 제 1 제어 신호(BLSHF)가 약 2.0V로 인가되어 제 3 NMOS 트랜지스터(N13)를 약하게 턴온시킨다. 기준 전압(Vref)이 로우 상태로 인가되어 전원 전압(Vcc)이 제 1 노드(Q11)로 공급된다. 제 1 노드(Q11)에 공급된 전원 전압(Vcc)은 약하게 턴온된 제 3 NMOS 트랜지스터(N13)를 통해 약 1.0V 정도가 비트라인(BL)에 인가되어 비트라인(BL)을 프리차지시킨다.
제 4 구간(T3)에서 제 1 제어 신호(BLSHF)가 약 2.0V로 인가되고, 기준 전압 (Vref)이 약 1.8V로 인가된다. 이때, 제 2 제어 신호(SBL) 및 제 3 제어 신호(DCB)는 로우 상태로 인가된다. 이에 의해 제 1 PMOS 트랜지스터(P11)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약 1㎂ 정도로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만약에 읽고자 하는 셀이 프로그램된 셀이라면 셀 전류가 흐르지 않아 제 1 노드(Q11)의 전위는 1V 정도 유지하지만, 읽고자 하는 셀이 소거된 셀이라면 셀 전류가 흘러 제1 노드(Q11)의 전위는 0V가 될 것이다. 이때, 비트라인이 충분히 디스차지된 후 제 1 래치 신호(L1)를 인에이블하게 되면 제 8 NMOS 트랜지스터(N18)에 의해 제 3 노드(Q13)의 상태가 결정되게 된다. 즉, 프로그램된 셀이라면 제 8 NMOS 트랜지스터(N18)가 턴온되어 제 3 노드 (Q13)의 전위가 하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로 천이하고, 소거된 셀이라면 제 8 NMOS 트랜지스터(N18)는 턴오프되어 제 3 노드(Q13)의 전위는 하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센싱된 데이터가 제 2 및 제 3 노드(Q12 및 Q13)에 래치된다.
제 5 구간(T5)에서 제 1 제어 신호(BLSHF)가 하이 상태로 인가되어 제 3 NMOS 트랜지스터(N13)를 턴온시켜 비트라인과 센싱 회로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그리고, 기준 전압(Vref)이 하이 상태로 인가되어 제 1 PMOS 트랜지스터 (P11)를 턴오프시켜 제 1 노드(Q11)로 전원 전압(Vcc)를 공급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제 3 제어 신호(DCB)가 하이 상태로 인가되어 제 5 NMOS 트랜지스터(N15)를 턴온시키면 비트라인의 전위가 접지 단자(Vss)로 디스차지된다. 이로써 비트라인이 리커버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구동되는 종래의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는 비트라인으로 프리차지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트라인에 과도한 로딩 (loading)에 의해 프리차지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프리차지 이후에 셀을 센싱할 때 소거 셀의 경우에는 비트라인의 전하를 디스차지시켜 래치 회로에 데이터를 센싱하게 된다. 그런데, 비트라인의 전하를 디스차지시키는데 선택된 비트라인 스트링에 따라서 빠지는 전류의 양이 다르고 수 ㎂의 전류를 빼내는데 그만큼 시간이 더 걸게 된다. 이에 따라 소자의 동작 속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된 메모리 셀 어레이의 프리차지 시간을 줄이고 이에 따라 소자의 동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택된 메모리 셀 어레이의 프리차지를 소오스 라인쪽으로 실시함으로써 프리차지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소자의 동작 속도를향상시킬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는 비트라인의 소오스 단자에 소정 전압이 인가되는 플래쉬 메모리 셀 어레이와, 제 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플래쉬 메모리 셀 어레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1 스위칭 수단과, 기준 전압에 따라 센싱 노드의 전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 2 스위칭 수단과, 상기 센싱 노드의 전위 및 독출 신호에 따라 독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3 및 제 4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3 및 제 4 스위칭 수단을 통해 입력된 독출 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래치 수단과,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래치 수단을 초기화하기 위한 제 5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도.
도 2는 도 1의 동작 타이밍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도.
도 4는 도 3의 동작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플래쉬 메모리 셀 어레이21 : 래치 회로
N21 내지 N26 : 제 1 내지 제 6 NMOS 트랜지스터
P21 및 P22 :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
I21 및 I22 : 제 1 및 제 2 인버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도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하나의 비트라인에 다수의 메모리 셀(20)이 접속되어 제 1 선택 신호(SSL) 및 제 2 선택 신호(GSL)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N21 및 N22)에 의해 비트라인(BL)이 선택된다. 그리고, 제 2 NMOS 트랜지스터(N22)의 소오스 단자에는 소오스 전압(Vsource)이 인가된다. 즉, 모든 비트라인의 소오스 단자에는 결과적으로 소오스 전압(Vsource)이 인가된다. 비트라인(BL)과 센싱 노드인제 1 노드(Q21) 사이에 제 1 제어 신호(BLSHF)에 따라 비트라인과 센싱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3 NMOS 트랜지스터(N23)가 접속된다. 제 1 노드(Q21)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기준 전압(Vref)에 따라 구동되는 제 4 NMOS 트랜지스터(N24)가 접속된다. 독출 전압(Vread) 단자와 제 2 노드(Q22) 사이에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P21 및 P22)가 직렬 접속되는데, 제 1 PMOS 트랜지스터(P21)는 제 1 노드(Q21)의 전위에 따라 구동되고, 제 2 PMOS 트랜지스터(P22)는 독출 신호(READ)에 따라 구동된다. 제 1 노드(Q21)와 제 3 노드(Q23) 사이에 프로그램 신호인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 5 NMOS 트랜지스터(N25)가 접속된다. 제 2 노드(Q22)와 제 3 노드(Q23) 사이에 제 1 인버터(I21)와 제 2 인버터(I22)로 이루어진 래치 회로(21)가 접속된다. 래치 회로(21)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초기화 신호(INIT)에 따라 구동되는 제 6 NMOS 트랜지스터(N26)가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의 구동 방법을 도 4의 타이밍도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구간(T1)에서 제 1 제어 신호(BLSHF)가 하이 상태로 인가되어 제 3 NMOS 트랜지스터(N23)를 턴온시킨다. 이에 의해 비트라인과 센싱 회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기준 전압(Vref) 단자로부터 전원 전압(Vcc)이 인가되어 제 1 노드(Q21)와 접지 단자(Vss) 사이의 전류 경로를 설정한다. 이에 의해 비트라인의 전하가 접지 단자(Vss)로 디스차지되고, 제 1 노드(Q21)는 로우 상태의 전위를 유지한다. 로우 상태를 유지하는 제 1 노드(Q21)의 전위에 의해 제 1 PMOS 트랜지스터(P21)가 턴온되지만, 하이 상태로 인가되는 독출 신호(READ)에 의해 제 2 PMOS 트랜지스터(P22)가 턴오프되어 독출 전압 (Vread)이 제 2 노드(Q22)에 인가되지 못한다. 한편, 하이 상태의 초기화 신호(INIT)에 의해 제 6 NMOS 트랜지스터(N26)가 턴온되어 제 2 노드(Q22)의 전위를 로우 상태로 천이시킨다. 이에 의해 래치 회로(11)가 초기화된다.
제 2 구간(T2)에서 제 1 제어 신호(BLSHF)가 하이 상태로 인가되어 제 3 NMOS 트랜지스터(N23)를 턴온시키고, 기준 전압(Vref)로 인가되어 제 4 NMOS 트랜지스터(N24)를 턴오프시킨다. 이에 의해 비트라인과 센싱 회로 사이의 경로가 설정되며, 제 1 노드(Q21)와 접지 단자(Vss) 사이의 경로가 설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2 제어 신호(SBL)가 로우 상태로 인가되어 제 5 NMOS 트랜지스터(N25)가 턴오프되어 제 1 노드(Q21)와 제 2 노드(Q22) 사이의 경로가 설정되지 않으며, 초기화 신호(INIT)가 로우 상태로 인가되어 제 6 NMOS 트랜지스터(N26)가 턴오프되어 제 2 노드(Q22)와 접지 단자(Vss) 사이의 경로가 설정되지 않는다. 한편, 하이 상태의 전위를 유지하는 제 1 노드(Q21)의 전위에 의해 제 1 PMOS 트랜지스터(P21)가 턴온되어 독출 전압(Vread)가 인가되지만, 독출 신호(READ)가 하이 상태로 인가되어 제 2 PMOS 트랜지스터(P22)를 턴오프시키기 때문에 독출 전압(Vread)는 제 2 노드(Q22)로 공급되지 않는다. 그런데, 셀의 소오스 단자에 전원 전압(Vcc)의 소오스 전압(Vsource)이 인가되어 소오스 단자로부터 비트라인을 프리차지시킨다. 이때, 선택된 셀이 소거 상태일 경우 비트라인은 차징되어 약 1.5V 정도의 전압을 유지하고, 선택된 셀이 프로그램 상태일 경우 비트라인을 플로팅 상태가 되어 차징되지 않고 거의 0V 정도를 유지하게 된다.
제 3 구간(T3)에서 제 1 제어 신호(BLSHF)가 하이 상태로 인가되어 제 3 NMOS 트랜지스터(N23)를 턴온시키고, 기준 전압(Vref)가 전원 전압(Vcc)보다 낮은 전압으로 인가되어 제 4 NMOS 트랜지스터(N24)를 약하게 턴온시킨다. 이에 의해 제 4 NMOS 트랜지스터(N24)를 통해 약 1㎂ 정도의 전류가 흐르게 되어 그 만큼의 제 1 노드(Q21)의 전류를 빼주게 된다. 이때, 제 1 노드(Q21)는 셀이 프로그램된 상애이면 프리차지 구간(제 2 구간)에서 차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플로팅 상태에서 제 4 NMOS 트랜지스터(N24)가 턴온되면 바로 로우 상태로 천이된다. 즉, 제 1 노드(Q21)의 전위가 로우 상태가 되므로, 이 전위에 의해 제 2 PMOS 트랜지스터(P21)가 턴온된다. 그리고, 이때 독출 신호(READ)가 로우 상태로 인가되면 제 2 PMOS 트랜지스터(P22)가 턴온되고, 이에 따라 제 2 노드(Q22)의 전위가 하이 상태로 되어 프로그램된 셀이 센싱되어 래치된다. 반대로 소거된 셀이면 제 4 NMOS 트랜지스터(N24)에 흐르는 전류보다 소오스를 통해 유입되는 전류가 커서 약 1.5V를 유지한다. 이때 제 1 노드(Q21)은 하이 상태가 되어, 이 전위에 의해 제 1 PMOS 트랜지스터(P21)는 턴오프되어 제 2 노드(Q22)는 로우 상태로 된다. 이때, 독출 전압(Vread)은 2V로 인가되지만, 제 1 PMOS 트랜지스터(P21)이 턴오프되어 제 2 노드(Q22)로 전압을 공급하지 못한다.
제 4 구간(T4)에서 제 1 제어 신호(BLSHF)가 하이 상태로 인가되어 제 3 NMOS 트랜지스터(N23)가 턴온되고, 기준 전압(Vref)가 하이 상태로 인가되어 제 4 NMOS 트랜지스터(N24)가 턴온되어 비트라인에 차징된 전하가 접지 단자(Vss)로 디스차지된다. 이로써 비트라인이 리커버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택된 플래쉬 메모리 셀을 소오스쪽으로 프리차지시켜 프리차지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프리차지가 되면 이미 소거된 셀은 셀에 의하여 비트라인이 차징되지만 프로그램된 셀이면 디스차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센싱할 때 따로 비트라인을 차징한다거나 디스차지하는 시간이 필요하지 않아 센싱 시간을 빠르게 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소자의 동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비트라인의 소오스 단자에 소정 전압이 인가되는 플래쉬 메모리 셀 어레이와,
    제 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플래쉬 메모리 셀 어레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1 스위칭 수단과,
    기준 전압에 따라 센싱 노드의 전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 2 스위칭 수단과,
    상기 센싱 노드의 전위 및 독출 신호에 따라 독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3 및 제 4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3 및 제 4 스위칭 수단을 통해 입력된 독출 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래치 수단과,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래치 수단을 초기화하기 위한 제 5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은 상기 플래쉬 메모리 셀 어레이와 상기 센싱 노드 사이에 접속된 N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은 상기 센싱 노드와 접지 단자 사이에 접속된 N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및 제 4 스위칭 수단은 상기 독출 전압 입력 단자 및 상기 래치 회로 사이에 직력 접속되어 상기 센싱 노드의 전위 및 상기 독출 신호에 따라 각각 구동하는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스위칭 수단은 상기 래치 회로 및 상기 접지 단자 사이에 접속된 N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
KR1020000079502A 2000-12-21 2000-12-21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 KR20020050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502A KR20020050367A (ko) 2000-12-21 2000-12-21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502A KR20020050367A (ko) 2000-12-21 2000-12-21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367A true KR20020050367A (ko) 2002-06-27

Family

ID=27684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502A KR20020050367A (ko) 2000-12-21 2000-12-21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036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803B1 (ko) * 2005-08-09 2007-10-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면적이 감소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페이지 버퍼 및그것을 이용하여 비트라인을 프리챠지시키는 방법
US7495959B2 (en) 2006-10-31 2009-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reading information from the same
US7512002B2 (en) 2006-10-31 2009-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programming, reading and erasing methods thereof
US7551490B2 (en) 2006-11-03 2009-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of reading data from flash memory device
CN101740125B (zh) * 2006-09-30 2013-04-17 莫塞德技术公司 Nand型快闪存储器的读写方法及其相关页缓冲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803B1 (ko) * 2005-08-09 2007-10-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면적이 감소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페이지 버퍼 및그것을 이용하여 비트라인을 프리챠지시키는 방법
CN101740125B (zh) * 2006-09-30 2013-04-17 莫塞德技术公司 Nand型快闪存储器的读写方法及其相关页缓冲区
US7495959B2 (en) 2006-10-31 2009-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reading information from the same
US7512002B2 (en) 2006-10-31 2009-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programming, reading and erasing methods thereof
US7551490B2 (en) 2006-11-03 2009-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of reading data from flash memor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866B1 (ko) 플래쉬 메모리 장치
US5452249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verify mode for verifying data written to memory cells
KR100265574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감지증폭기
KR100218244B1 (ko)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터 독출회로
US5450361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redundant memory cells
KR0169419B1 (ko)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의 독출방법 및 장치
KR100265390B1 (ko) 자동 센싱시간 트래킹 회로를 구비한 플래쉬 메모리 셀의래치 회로
EP0907955B1 (en) A multiple bits-per-cell flash shift register page buffer
CN109155138B (zh) 用于闪存存储器装置的非对称感测放大器及相关方法
TW201546811A (zh) 用於在低功率奈米快閃記憶體裝置中使用之改良型感測電路
KR0169420B1 (ko) 불 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리드 방법 및 그에 따른 회로
KR20000043041A (ko) 리페어 퓨즈 셀의 과소거 확인 회로
KR20020050367A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센싱 회로
EP1057186B1 (en) A memory decoder with zero static power
KR19990059252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감지 증폭기
KR100535650B1 (ko) 플래쉬 메모리 장치의 블럭 선택 회로
US6940315B2 (en) High speed sense amplifier for memory output
KR100495854B1 (ko) 부스팅 회로
JP3583052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5757713A (en) Adjustable write voltage circuit for SRAMS
KR100624298B1 (ko) 플래쉬 메모리 셀의 센싱 회로
US6873554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O2023190146A1 (ja) メモリ回路
JP2000048585A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335780B1 (ko) 네가티브 부스팅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