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89Y1 - 근접 도어락 - Google Patents

근접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89Y1
KR200200489Y1 KR2020000013291U KR20000013291U KR200200489Y1 KR 200200489 Y1 KR200200489 Y1 KR 200200489Y1 KR 2020000013291 U KR2020000013291 U KR 2020000013291U KR 20000013291 U KR20000013291 U KR 20000013291U KR 200200489 Y1 KR200200489 Y1 KR 2002004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door
proximity
lev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호
Original Assignee
윤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경호 filed Critical 윤경호
Priority to KR2020000013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4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정된 카드번호가 내장된 개인카드가 외부측플레이트에 장착된 근접카드리더기에 근접함에 따라 도어가 도어틀에서 해정되게 구성하여 출입을 하기 위해서 일일이 열쇠나 설정된 번호를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외부측플레이트의 하단에 보조번호입력부를 장착하여 카드를 분실하여도 용이하게 도어를 도어틀에서 해정할 수 있으며, 또한 도어가 도어틀에 잠금 및 해정되는 상태가 음성출력수단을 통하여 출력되게 구성하여 도어가 도어틀에 잠금 및 해정됨을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을 갖는 근접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측잠금레버(10)가 장착되고, 하단에 내부측레버(1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내부측플레이트(12)와, 상단에 내장된 카드의 내용을 무선으로 읽어 들이는 근접카드리더기(20)가 장착되고, 하단에 외부측레버(2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근접카드리더기(20)와 외부측레버(24)의 사이에 사용자가 근접거리에 위치됨을 감지하는 사용자유무감지센서(26) 및 상기 내부측잠금레버(10)와 연동되도록 구성된 외부측잠금레버(27)가 장착되고, 이 외부측레버(24)의 하단에 보조번호입력부(28)가 장착된 외부측플레이트(22)와, 상기 내부측플레이트(12)와 외부측플레이트(22)의 사이에 설정된 번호가 내장된 카드가 근접카드리더기(20)에 근접된 상태에서 외부측레버(24)가 회전됨에 따라 도어틀에서 해정됨과 동시에 설정된 번호가 보조번호입력부(28)를 통하여 입력된 상태에서 외부측레버(24)가 회전됨에 따라 도어틀에서 해정되는 제 1작동편(30) 및 제 2작동편(32)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된 도어키박스(34)와, 설정된 카드번호가 내장되고, 상기 근접카드리더기(20)에 근접함에 따라 도어키박스(34)의 제 1작동편(30)을 도어틀에서 해정시키는 개인카드(36)와, 상기 개인카드(36)에 설정된 카드번호와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마스타 카드(38)와, 상기 근접카드리더기(20)로 부터 입력되는 정보 데이터를 내장된 정보 데이터와 비교판단하여 선택적으로 도어키박스(34)의 제 1작동편(30)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기(40)와, 상기 도어키박스(34)의 제 1작동편(30)이 도어틀에 잠금 및 해정됨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음성출력수단(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근접 도어락{Neighboring door lock}
본 고안은 근접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정된 카드번호가 내장된 개인카드가 외부측플레이트에 장착된 근접카드리더기에 근접함에 따라 도어가 도어틀에서 해정되게 구성하여 출입을 하기 위해서 일일이 열쇠나 설정된 번호를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외부측플레이트의 하단에 보조번호입력부를 장착하여 카드를 분실하여도 용이하게 도어를 도어틀에서 해정할 수 있으며, 또한 도어가 도어틀에 잠금 및 해정되는 상태가 음성출력수단을 통하여 출력되게 구성하여 도어가 도어틀에 잠금 및 해정됨을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을 갖는 근접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출입용 도어에는 방범을 목적으로 도어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도어잠금장치는 도어를 선택적으로 잠금 및 해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통상의 도어잠금장치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잠금레버와 로커가 설치되는 잠금장치의 외측으로 키를 삽입하여 잠금레버를 동작시켜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키홈을 갖는 키 홀더가 설치되어진다. 도어잠금장치는 도어의 내부에서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해서는 도어잠금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레버를 조작하여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으며, 외출시에는 키를 이용하여 도어잠금레버를 조작하면 도어를 로킹시킬 수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도어록에서 외측손잡이가 고정된 도어부재면에 수평으로 배열 배치 되는 별도의 버튼갑체를 설치하고, 이 버튼갑체에 현출된 복수버튼을 설정된 번호 순으로 누름으로서 도어록부가 해정 가능토록 설계되진 버튼형 도어록이 개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버튼형 도어록을 사용하여 설정된 번호를 순서적으로 누름으로써, 도어를 선택적으로 잠금 및 해정 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버튼형 도어록은 사용자가 도어를 잠금 및 해정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설정된 번호를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급하게 출입을 요할 때에는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였으며, 다른 사람들과 같이 출입을 요할 때에는 설정된 번호가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설정된 번호를 수시로 변경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의 따른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설정된 카드번호가 내장된 개인카드가 외부측플레이트에 장착된 근접카드리더기에 근접함에 따라 도어가 도어틀에서 해정되게 구성하여 출입을 하기 위해서 일일이 열쇠나 설정된 번호를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외부측플레이트의 하단에 보조번호입력부를 장착하여 카드를 분실하여도 용이하게 도어를 도어틀에서 해정할 수 있으며, 또한 도어가 도어틀에 잠금 및 해정되는 상태가 음성출력수단을 통하여 출력되게 구성하여 도어가 도어틀에 잠금 및 해정됨을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을 갖는 근접 도어락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근접 도어락이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근접 도어락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중앙 제어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성출력수단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내부측잠금레버 12 : 내부측플레이트
14 : 내부측레버 20 : 근접카드리더기
22 : 외부측플레이트 24 : 외부측레버
26 : 사용자유무감지센서 27 : 외부측잠금레버
28 : 보조번호입력부 30 : 제 1작동편
32 : 제 2작동편 34 : 도어키박스
36 : 개인카드 38 : 마스타 카드
40 : 중앙 제어기 42 : 메모리부
44 : 단위선택스위치 46 : 모드변환스위치
48 : 전원공급부 50 : 제어부
52 : 콘트롤부 60 : 음성출력수단
62 : 음성저장부 64 : 출력부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측잠금레버가 장착되고, 하단에 내부측레버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내부측플레이트와, 상단에 내장된 카드의 내용을 무선으로 읽어 들이는 근접카드리더기가 장착되고, 하단에 외부측레버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근접카드리더기와 외부측레버의 사이에 사용자가 근접거리에 위치됨을 감지하는 사용자유무감지센서 및 상기 내부측잠금레버와 연동되도록 구성된 외부측잠금레버가 장착되고, 이 외부측레버의 하단에 보조번호입력부가 장착된 외부측플레이트와, 상기 내부측플레이트와 외부측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정된 번호가 내장된 카드가 근접카드리더기에 근접된 상태에서 외부측레버가 회전됨에 따라 도어틀에서 해정됨과 동시에 설정된 번호가 보조번호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상태에서 외부측레버가 회전됨에 따라 도어틀에서 해정되는 제 1작동편 및 제 2작동편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된 도어키박스와, 설정된 카드번호가 내장되고, 상기 근접카드리더기에 근접함에 따라 도어키박스의 제 1작동편을 도어틀에서 해정시키는 개인카드와, 상기 개인카드에 설정된 카드번호와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마스타 카드와, 상기 근접카드리더기로 부터 입력되는 정보 데이터를 내장된 정보 데이터와 비교판단하여 선택적으로 도어키박스의 제 1작동편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기와, 상기 도어키박스의 제 1작동편이 도어틀에 잠금 및 해정됨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음성출력수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도어락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개인카드와 마스타 카드가 은행신용카드, 은행현금카드, 지하철카드, 버스카드 등의 전자화폐카드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중앙 제어기가 설정된 카드번호 및 프로그램이 입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 리부에 입력되는 개인정보에 고유번호 및 입력되는 번호를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단위선택스위치와, 상기 메모리부에 입력된 설정된 번호 및 프로그램이 입력 및 삭제되는 모드로 변환시키는 모드변환스위치와, 상기 사용자유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도어키박스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근접카드리더기에서 전송되는 정보 데이터와 메모리부에 입력된 정보 데이터를 비교판단하여 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른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되어 출력된 결과에 의거하여 도어키박스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콘트롤부로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음성출력수단이 원하는 음성을 저장할 수 있는 음성저장부와, 상기 도어키박스의 제 1작동편이 도어틀에 잠금 및 해정될 때 이 해당되는 상태를 음성저장부에서 제공받아 출력하는 출력부로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근접 도어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근접 도어락이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근접 도어락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중앙 제어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성출력수단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면을 설명하면, 내부측잠금레버(10)가 장착된 내부측플레이트(12)가 구비되고, 이 내부측플레이트(12)의 하단에는 내부측레버(1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단에 내장된 카드의 내용을 무선으로 읽어 들이는 근접카드리더기(20)가 장착된 외부측플레이트(22)가 구비되고, 이 외부측플 레이트(22)의 하단에는 외부측레버(2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근접카드리더기(20)와 외부측레버(24)의 사이에 사용자가 근접거리에 위치됨을 감지하는 사용자유무감지센서(26) 및 외부측잠금레버(27)가 장착되고, 이 외부측잠금레버(27)는 내부측잠금레버(10)와 연동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외부측레버(24)의 하단에는 보조번호입력부(28)가 장착된다.
내부측플레이트(12)와 외부측플레이트(22)의 사이에 설정된 카드번호가 내장된 카드가 근접카드리더기(20)에 근접된 상태에서 외부측레버(24)가 회전됨에 따라 도어틀에서 해정됨과 동시에 설정된 번호가 보조번호입력부(28)를 통하여 입력된 상태에서 외부측레버(24)가 회전됨에 따라 도어틀에서 해정되는 제 1작동편(30) 및 제 2작동편(32)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된 도어키박스(34)가 구비된다. 설정된 카드번호가 내장된 개인카드(36)가 구비되고, 설정된 번호와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마스타 카드(38)가 구비된다. 개인카드(36)와 마스타 카드(38)는 은행신용카드, 은행현금카드, 지하철카드, 버스카드 등의 전자화폐카드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근접카드리더기(20)로 부터 입력되는 정보 데이터를 내장된 정보 데이터와 비교판단하여 선택적으로 도어키박스(34)의 제 1작동편(30) 및 제 2작동편(32)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기(40)가 구비되고, 이 중앙 제어기(40)에는 설정된 번호 및 프로그램이 입력되는 메모리부(42)와, 메모리부(42)에 입력되는 개인정보에 고유번호 및 입력되는 번호를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단위선택스위치(44)와, 메모리부(42)에 입력된 설정된 번호 및 프로그램이 입력 및 삭제되는 모드로 변환 시키는 모드변환스위치(46)와, 사용자유무감지센서(26)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도어키박스(34)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8)와, 근접카드리더기(20)에서 전송되는 정보 데이터와 메모리부(42)에 입력된 정보 데이터를 비교판단하여 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른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50)와, 제어부(50)에서 판단되어 출력된 결과에 의거하여 도어키박스(34)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콘트롤부(52)로 구성된다.
도어키박스(34)의 제 1작동편(30)이 도어틀에 잠금 및 해정됨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음성출력수단(60)이 구비되고, 이 음성출력수단(60)은 원하는 음성을 저장할 수 있는 음성저장부(62)와, 도어키박스(34)의 제 1작동편(30)이 도어틀에 잠금 및 해정될 때 이 해당되는 상태를 음성저장부(62)에서 제공받아 출력하는 출력부(6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근접 도어락이 작동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출입을 원하는 자가 도어의 전방에 위치되면, 외부측플레이트(22)에 장착된 사용자유무감지센서(26)가 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저항값을 검출하여 전원공급부(48)로 출력한다. 이때, 출입을 원하는 자가 일정거리 이상에 있을 때에는 사용자유무감지센서(26)에서 저항값이 출력되지 않는다. 사용자유무감지센서(26)에서 검출된 저항값이 전원공급부(48)로 출력되면, 전원공급부(48)는 전원을 도어키박스(34) 등으로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8)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음성출력수단(60)의 음성저장부(62)에 저장된 음성이 출력부(64)를 통하여 출력된다. 즉, 전원공급부(48)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음성출력수단(60)의 출력부(64)를 통하여 ' 카드를 근접카드리더기에 근접하여 주세요 '라는 음성이 출력되는 것이다.
음성출력수단(60)의 출력부(64)를 통하여 음성이 출력되면, 개인카드(36)를 외부측플레이트(22)의 상단에 장착된 근접카드리더기(20)에 근접하게 위치시킨다. 개인카드(36)가 외부측플레이트(22)의 상단에 장착된 근접카드리더기(20)에 근접하게 위치되면, 근접카드리더기(20)가 개인카드(36)에 저장된 정보 테이터를 제어부(50)로 전송한다. 근접카드리더기(20)에 의하여 개인카드(36)에 저장된 정보 테이터가 제어부(50)로 전송되면, 제어부(50)는 전송된 정보 데이터와 메모리부(42)에 입력된 정보 데이터를 비교판단하여 선택적으로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콘트롤부(52)로 출력한다. 즉, 근접카드리더기(20)에서 전송된 정보 데이터가 메모리부(42)에 등록되어 있으면 출입을 허용하는 제어신호를 콘트롤부(52)로 출력하고, 근접카드리더기(20)에서 전송된 정보 데이터가 메모리부(42)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출입을 통제하는 제어신호를 콘트롤부(52)로 출력한다. 콘트롤부(52)는 제어부(50)에서 판단되어 출력된 결과에 의거하여 도어키박스(34)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콘트롤부(52)에서 출입을 허용하는 제어신호가 도어키박스(34)로 출력되면, 도어키박스(34)의 제 1작동편(30)이 도어틀에서 해정된다. 이때, 음성출력수단(60)의 음성저장부(62)에 저장된 음성이 출력부(64)를 통하여 출력된다. 즉, 콘트롤부(52)에서 출입을 허용하는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도어키박스(34)의 제 1작 동편(30)이 도어틀에서 해정됨과 동시에 음성출력수단(60)의 출력부(64)를 통하여 ' 도어가 열렸습니다 ' 라는 음성이 출력되는 것이다. 도어가 도어틀에서 해정된 후 다시 도어틀에 접촉되면, 도어키박스(34)의 제 1작동편(30)이 자동으로 도어틀에 잠금되고, 이 로킹된 상태가 음성출력수단(60)의 출력부(64)를 통하여 ' 도어가 잠겼습니다 ' 라는 음성이 출력된다.
반대로, 콘트롤부(52)에서 출입을 통제하는 제어신호가 도어키박스(34)로 출력되면, 도어키박스(34)의 제 1작동편(30)이 도어틀에서 해정되지 않는 것이다. 이때, 음성출력수단(60)의 음성저장부(62)에 저장된 음성이 출력부(64)를 통하여 출력된다. 즉, 콘트롤부(52)에서 출입을 통제하는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도어키박스(34)의 제 1작동편(30)이 도어틀에서 해정되지 않음과 동시에 음성출력수단(60)의 출력부(64)를 통하여 ' 귀하는 출입을 할 수 없습니다 ' 라는 음성이 출력되는 것이다.
즉, 출입을 원하는 자가 메모리부(42)에 등록된 개인카드(36)를 근접카드리더기(20)에 근접시키면, 도어키박스(34)의 제 1작동편(30)이 도어틀에서 해정됨으로 출입을 원하는 자가 실내로 진입할 수 있는 것이며, 출입을 원하는 자가 메모리부(42)에 등록되지 않은 개인카드(36)를 근접카드리더기(20)에 근접시키면, 도어키박스(34)의 제 1작동편(30)이 도어틀에서 해정되지 않는 것이다.
중앙 제어기(40)의 메모리부(42)에 정보 데이터를 입력할 경우에는, 중앙 제어기(40)의 모드변환스위치(46)를 입력모드로 변환시킨 상태에서 단위선택스위치(44)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개인정보에 고유번호 및 입력되는 번호를 선택한다. 모드변환스위치(46)를 입력모드로 변환시킨 상태에서 단위선택스위치(44)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개인정보에 고유번호 및 입력되는 번호가 선택되면, 마스타 카드(38)를 근접카드리더기(20)에 근접시킨 후 등록할 사용자의 개인카드(36)를 근접카드리더기(20)에 근접시킨다. 이때, 개인카드(36)에 내장된 정보 데이터가 단위선택스위치(44)에 의하여 선택된 번호로 메모리부(42)에 저장된다.
반대로, 원하는 개인의 정보 데이터를 삭제할 경우에는 모드변환스위치(46)를 삭제모드로 변환시킨 상태에서 단위선택스위치(44)를 이용하여 삭제할 개인정보가 메모리부(42)에 저장된 번호를 선택한다. 모드변환스위치(46)가 삭제모드로 변환된 상태에서 단위선택스위치(44)를 이용하여 삭제할 개인정보가 메모리부(42)에 저장된 번호가 선택되면, 마스타 카드(38)를 근접카드리더기(20)에 근접시킨다. 이때, 단위선택스위치(44)에 의하여 선택된 개인정보가 메모리부(42)에서 삭제된다.
캐인카드(36) 및 마스타 카드(38)를 분실할 경우에는 외부측플레이트(22)의 하단에 장착된 보조번호입력부(28)를 설정된 번호 순서데로 입력하면, 도어키박스(34)의 제 1작동편(30)이 도어틀에서 해정된다.
또한, 일정기간이 경과되어 전원공급부(48)의 전원이 일정 이하로 방전되면, 음성출력수단(60)의 음성저장부(62)에 저장된 음성이 출력부(64)를 통하여 출력된다. 즉, 전원공급부(48)의 전원이 일정 이하로 방전되면, 음성출력수단(60)의 출력부(64)를 통하여 ' 건전지를 교환하여 주세요 '라는 음성이 출력됨으로 전원의 방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근접 도어락은 설정된 카드번호가 내장된 개인카드가 외부측플레이트에 장착된 근접카드리더기에 근접함에 따라 도어가 도어틀에서 해정되게 구성되어 있음으로 출입을 하기 위해서 일일이 열쇠나 설정된 번호를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외부측플레이트의 하단에 보조번호입력부가 장착되어 있음으로 카드를 분실하여도 용이하게 도어를 도어틀에서 해정할 수 있으며, 또한, 도어가 도어틀에 잠금 및 해정되는 상태가 음성출력수단을 통하여 출력됨에 따라 도어가 도어틀에 잠금 및 해정됨을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내부측잠금레버(10)가 장착되고, 하단에 내부측레버(1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내부측플레이트(12)와,
    상단에 내장된 카드의 내용을 무선으로 읽어 들이는 근접카드리더기(20)가 장착되고, 하단에 외부측레버(2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근접카드리더기(20)와 외부측레버(24)의 사이에 사용자가 근접거리에 위치됨을 감지하는 사용자유무감지센서(26) 및 상기 내부측잠금레버(10)와 연동되도록 구성된 외부측잠금레버(27)가 장착되고, 이 외부측레버(24)의 하단에 보조번호입력부(28)가 장착된 외부측플레이트(22)와,
    상기 내부측플레이트(12)와 외부측플레이트(22)의 사이에 설정된 번호가 내장된 카드가 근접카드리더기(20)에 근접된 상태에서 외부측레버(24)가 회전됨에 따라 도어틀에서 해정됨과 동시에 설정된 번호가 보조번호입력부(28)를 통하여 입력된 상태에서 외부측레버(24)가 회전됨에 따라 도어틀에서 해정되는 제 1작동편(30) 및 제 2작동편(32)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된 도어키박스(34)와,
    설정된 카드번호가 내장되고, 상기 근접카드리더기(20)에 근접함에 따라 도어키박스(34)의 제 1작동편(30)을 도어틀에서 해정시키는 개인카드(36)와,
    상기 개인카드(36)에 설정된 카드번호와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마스타 카드(38)와,
    상기 근접카드리더기(20)로 부터 입력되는 정보 데이터를 내장된 정보 데이 터와 비교판단하여 선택적으로 도어키박스(34)의 제 1작동편(30)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기(40)와,
    상기 도어키박스(34)의 제 1작동편(30)이 도어틀에 잠금 및 해정됨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음성출력수단(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도어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카드(36)와 마스타 카드(38)가 은행신용카드, 은행현금카드, 지하철카드, 버스카드 등의 전자화폐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도어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기(40)가 설정된 카드번호 및 프로그램이 입력되는 메모리부(42)와,
    상기 메모리부(42)에 입력되는 개인정보에 고유번호 및 입력되는 번호를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단위선택스위치(44)와,
    상기 메모리부(42)에 입력된 설정된 번호 및 프로그램이 입력 및 삭제되는 모드로 변환시키는 모드변환스위치(46)와,
    상기 사용자유무감지센서(26)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도어키박스(34)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8)와,
    상기 근접카드리더기(20)에서 전송되는 정보 데이터와 메모리부(42)에 입력 된 정보 데이터를 비교판단하여 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른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50)와,
    상기 제어부(50)에서 판단되어 출력된 결과에 의거하여 도어키박스(34)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콘트롤부(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도어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출력수단(60)이 원하는 음성을 저장할 수 있는 음성저장부(62)와,
    상기 도어키박스(34)의 제 1작동편(30)이 도어틀에 잠금 및 해정될 때 이 해당되는 상태를 음성저장부(62)에서 제공받아 출력하는 출력부(6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도어락.
KR2020000013291U 2000-05-10 2000-05-10 근접 도어락 KR2002004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291U KR200200489Y1 (ko) 2000-05-10 2000-05-10 근접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291U KR200200489Y1 (ko) 2000-05-10 2000-05-10 근접 도어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848A Division KR100332640B1 (ko) 2000-06-01 2000-06-01 근접 도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9Y1 true KR200200489Y1 (ko) 2000-10-16

Family

ID=19655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291U KR200200489Y1 (ko) 2000-05-10 2000-05-10 근접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147B1 (ko) * 2008-07-28 2011-08-31 주식회사 이건창호 소리 나는 도어 핸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147B1 (ko) * 2008-07-28 2011-08-31 주식회사 이건창호 소리 나는 도어 핸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8299B2 (en) Digital entran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5508691A (en) Self-contained electronic lock with changeable master and slave codes
KR20040093937A (ko) 디지털 도어록장치 및 제어방법
KR100332640B1 (ko) 근접 도어락
KR200200489Y1 (ko) 근접 도어락
KR101340148B1 (ko) 디지털 도어락
KR100707518B1 (ko) 지문 인식 방식의 열쇠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869828B1 (ko) 대중이용시설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322375Y1 (ko) 디지털 도어록장치
JPH08218689A (ja) キー収納装置
KR19990000708A (ko) 키패드 및 카드 겸용 금고 개폐 시스템과 장치
JP2971055B2 (ja) ロックユニット
KR100416943B1 (ko) 출입관리 시스템 제어기
KR100320657B1 (ko) 호텔 객실용 도어록 시스템
JP2818178B2 (ja) カード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1528224B1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50483B1 (ko) 실내 및 실외 지문인식모듈을 구비한 도어락장치
KR200223451Y1 (ko) 중앙제어용 전자식 고주파 잠금장치
KR100480475B1 (ko) 터치센서와 알에프 카드 인식장치를 이용한 출입/근태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H07259403A (ja) 鍵管理カード及びこれを利用した鍵管理制御システム
KR100649268B1 (ko) 비밀번호 방식이 적용된 공중 보관함의 개폐시스템
KR20080092546A (ko) 출입자 관리형 전자 도어락
KR100564308B1 (ko) 지문인식을 통한 공중 보관함의 개폐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35909B1 (ko) 근접 도어록 시스템
JPH05287946A (ja) 貸ロッカ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