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909B1 - 근접 도어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접 도어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909B1
KR100435909B1 KR10-2002-0058665A KR20020058665A KR100435909B1 KR 100435909 B1 KR100435909 B1 KR 100435909B1 KR 20020058665 A KR20020058665 A KR 20020058665A KR 100435909 B1 KR100435909 B1 KR 100435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supply
door
power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0944A (ko
Inventor
선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스텍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스텍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스텍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02-0058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909B1/ko
Publication of KR20020090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E05B17/226Displays on locks, e.g. LED or LCD scree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5Saving energ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 E05B2047/0087Electric spare devices, e.g. auxiliary batteries or capacitors for back u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7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cluding means for monitoring voltage, e.g. for indicating low battery stat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96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 G07C2009/0097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ca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교통 카드가 갖는 정보를 등록시켜 두고, 등록된 정보를 갖는 카드를 근접시켜 문을 열수 있도록 하는 근접 도어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근접 도어록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응하여 전원공급부의 구동전원이 전체 시스템에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공급용 키버튼과;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감지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도어록 전체 시스템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비상 전원 공급상태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감지부에서 전원 공급부의 전원이 고갈되었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여 전원라인이 끊어지도록 제어하고, 비상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전원라인이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비상전원 공급부와 전원라인이 연결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비상상태임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근접 도어록 시스템{DOOR LOCK SYSTEM}
본 발명은 근접 도어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교통 카드가 갖는 정보를 등록시켜 두고, 등록된 정보를 갖는 사용자 단말기를 근접시켜 문을 열수 있도록 하는 근접 도어록 시스템에서 도어록 장치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자가 소정 버튼을 눌러야만 도어록 장치의 구동전원을 공급하여 동작 가능하도록 하는 근접 도어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출입용 도어에는 방범을 목적으로 도어록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도어록 장치는 도어를 선택적으로 잠그거나 열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가장 일반적인 도어록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도어록 레버와 로커가 설치되는 도어록 장치의 외측으로 키를 삽입하여 도어 레버를 동작시켜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키홈을 갖는 키 홀더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록 장치는 도어의 내부에서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해서는 도어록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록 레버를 조작하여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으며, 외출시에는 키를 이용하여 도어록 레버를 조작하면 도어를 잠글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 기술의 발달로 도어록 장치 또한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예를 들면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열 수 있는 도어록 장치가 구현되어 보급되고 있거나, 또는 전용 RF 카드를 도입하여 카드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열 수 있는 도어록 장치가 구현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도어록 장치의 경우 비밀번호가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수시로 비밀번호를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RF 카드를 이용하는 도어록 장치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도어를 열기 위해 별도의 카드를 소지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교통 카드가 갖는 정보를 등록시켜 두고, 등록된 정보를 갖는 사용자 단말기를 근접시켜 문을 열수 있도록 하는 근접 도어록 시스템에서 도어록 장치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자가 소정 버튼을 눌러야만 도어록 장치의 구동전원을 공급하여 동작 가능하도록 하는 근접 도어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록 장치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동전원을 공급하지 못하는 비상시 상기 도어록 장치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예비배터리와 비상시를 표시하는 근접 도어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근접 도어록 시스템의 외측 몸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근접 도어록 시스템의 내측 모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데이터 저장부 20 : 정보 리더부
30 : 키패드 입력부 40 : 걸쇠상태 감지부
50 : 비상전원 공급부 60 : 잠김 자동/수동 모드부
70 : 전원 감지부 80 : 도어 닫힘/열림 감지부
90 : 전원공급부 100 : 제어부
110 : 표시부 120 : 모터구동부
130 : 사운드 출력부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저장하고 있는 고유정보를 도어 열림 정보로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 열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독취하여 도어 열림 정보로 입력받는 정보 리더부와, 복수의 숫자버튼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 입력부와,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 닫힘/열림 감지부와, 도어의 걸쇠가 로커에 걸려있어 도어록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걸쇠 상태 감지부와, 상기 정보 리더부로부터 도어 열림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도어 열림 정보와 비교하고, 일치하면 도어록을 해제시켜 도어가 열리도록 하는 한편, 상기 도어 닫힘/열림 감지부를 통해 도어가 닫혀있음이 감지되면 상기 걸쇠 상태 감지부를 통해 잠김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잠김 상태가 아닌 경우 걸쇠가 로커에 걸리도록 하여 도어록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근접 도어록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응하여 전원공급부의 구동전원이 전체 시스템에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공급용 키버튼과;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감지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도어록 전체 시스템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비상 전원 공급상태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감지부에서 전원 공급부의 전원이 고갈되었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여 전원라인이 끊어지도록 제어하고, 비상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전원라인이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비상전원 공급부와 전원라인이 연결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비상상태임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는, 발광다이오드 소자(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도어록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비상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사운드 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의 사운드 출력 제어신호에 응하여 도어의 열비상전원의 공급을 알리는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도어록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근접 도어록 시스템의 외측 몸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근접 도어록 시스템의 내측 모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도어록 시스템은 저장하고 있는 고유정보를 도어 열림 정보로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1)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 열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저장부(1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독취하여 도어 열림 정보로 입력받는 정보 리더부(20)와, 사용자의 조작에 응하여 전원공급부(90)의 구동전원이 전체 시스템에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공급용 키버튼(31), 복수의 숫자버튼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 입력부(30)와,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 닫힘/열림 감지부(80)와, 도어의 걸쇠가 로커에 걸려있어 잠김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걸쇠 상태 감지부(40)와, 상기 사용자가 전원공급용 키버튼을 조작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정보 리더부(20)로부터 도어 열림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저장부(10)에 저장된 도어 열림 정보와 비교하고, 일치하면 도어록을 해제시켜 도어가 열리도록 하는 한편, 상기 도어 닫힘/열림 감지부(80)를 통해 도어가 닫혀있음이 감지되면 상기 걸쇠 상태 감지부(40)를 통해 잠김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잠김 상태가 아닌 경우 걸쇠가 로커에 걸리도록 하여 잠김 상태가 되도록 하는 한편, 도어가 열리거나 또는 비상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사운드 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0)와, 상기 전원 공급부(90)의 전원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감지부(70)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도어록 전체 시스템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 공급부(50)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응하여 비상 전원 공급상태임을 표시하는 표시부(110)와,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응하여 도어록 자동 또는 수동모드가 선택되도록 하는 잠김 자동/수동모드 선택부(60)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응하여 모터를 구동시켜 걸쇠가 로커에 걸리도록 하는 모터 구동부(120)와, 상기 제어부(110)의 사운드 출력 제어신호에 응하여 도어의 열림을 알리는 사운드 신호나, 또는 비상전원의 공급을 알리는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는 사운드 출력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는 교통카드, 교통카드 칩을 내장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 교통카드에 기록되는 정보를 엔코딩(encoding)할 수 있는 일반카드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저장부(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키패드 입력부(30)의 숫자버튼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비밀번호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10)에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 도어가 열리도록 모터 구동부(120)를 제어한다.
상기 정보 리더부(20)는 그 구조가 교통카드 칩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전원감지부(70)에서 전원 공급부(90)의 전원이 고갈되었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원공급부(90)를 제어하여 전원라인이 끊어지도록 제어하고, 비상전원 공급부(50)를 제어하여 전원라인이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비상전원 공급부(50)와 전원라인이 연결되면 상기 표시부(110)를 제어하여 비상상태임이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10)는 발광다이오드 소자(LED)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사용자가 잠김 자동/수동모드 선택부(60)를 조작하여 잠김 자동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걸쇠 상태 감지부(40)를 통해 걸쇠의 현재 상태를 체크하고, 걸쇠가 로커에 걸려있지 않은 경우 도어 닫힘/열림 감지부(80)를 통해 현재 도어가 닫혀있는지를 체크하여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 상기 모터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상기 걸쇠가 로커에 걸리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현된 도어록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도어록 시스템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이전에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사용자 단말기를 교통카드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잠김 자동/수동모드 선택부(60)를 조작하여 현재의 모드를 자동모드로 전환시켰는지 아니며, 수동모드로 전환시켰는지를 체크한다.
상기 사용자가 현재의 모드를 자동모드로 전환시킨 경우 제어부(100)는 도어 닫힘/열림 감지부(80)를 통해 도어가 열려있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 걸쇠 상태 감지부(40)를 통해 걸쇠가 로커에 걸려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 걸쇠가 로커에 걸려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00)는 모터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걸쇠가 로커에 걸리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전원공급부(9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최장시간 이용할 수 있도록 평소에는 최소전력만이 소비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키패드 입력부(30)의 전원공급용 키버튼을 누른 경우에만 전원공급부(90)의 전원이 전체 회로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전원공급용 키버튼을 누른 후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교통카드(1)를 정보 리더부(20)에 밀착시키고, 정보 리더부(20)는 교통카드(1)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교통카드(1)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들여 도어 열림 정보로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상기 전원공급용 키버튼을 누르는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 상기 전원공급용 키버튼을 누른 경우 제어부(100)는 전원 공급부(90)의 전원이 전체 시스템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정보 리더부(20)를 통해 도어 열림 정보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 상기 정보 리더부(20)로부터 입력되는 도어 열림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도어 열림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10)에 저장되어 있는 도어 열림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도어 열림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 일치하는 도어 열림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걸쇠 상태 감지부(40)를 통해 걸쇠가 로커에 걸려 있는지를 체크하고, 걸쇠가 로커에 걸려있는 경우 모터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걸쇠를 로커로부터 분리시켜 도어가 열리도록 제어하고, 사운드 출력부(130)를 통해 멜로디와 같은 오디오 신호를 송출시켜 사용자가 도어가 열렸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전원 감지부(70)를 통해 전원 공급부(90)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전원 공급부(80)의 충전 전원이 모두 방전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 모두 방전된 경우 비상전원공급부(50)로 하여금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 후, 표시부(110)의 발광다이오드를 발광시켜 사용자가 전원공급부(90)의 배터리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도어를 열 수 있는 카드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나, 분실한 경우 키패드 입력부(30)에 구비된 숫자 버튼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00)는 상기 키패드 입력부(30)를 통해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데이터 저장부(10)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고, 상기 2개의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제어부(100)는모터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걸쇠를 로커로부터 분리시켜 도어가 열리도록 제어하고, 사운드 출력부(130)를 통해 멜로디와 같은 오디오 신호를 송출시켜 사용자가 도어가 열렸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근접 도어록 시스템의 외측 몸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근접 도어록 시스템의 내측 모체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첨부 도면 도 2에서는 키패드 입력부(30)의 구조 및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표시부(110)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키패드 입력부(30)의 하단에 정보 리더부(20)와 전원공급용 키버튼(31)이 구비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첨부 도면 도 3에서는 도면부호 1은 걸쇠를 이며, 도면부호 2는 집안에서 도어를 수동으로 열 수 있는 비상핸들이며, 도면부호 3은 집안에서 도어를 잠글 수 있는 이중 잠금장치이며, 도면 부호 4는 자동잠금 렛치이며, 도면부호 5는 열림/닫힘 버튼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교통 카드가 갖는 정보를 등록시켜 두고, 등록된 정보를 갖는 사용자 단말기를 근접시켜 문을 열 수 있도록 하여 도어를 열기 위해 별도의 카드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달성할 뿐만 아니라 도어록 장치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자가 소정 버튼을 눌러야만 도어록 장치의 구동전원을 공급하여 동작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록 장치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동전원을 공급하지 못하는 비상시 상기 도어록 장치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예비배터리와 비상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알고 메인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Claims (5)

  1. 저장하고 있는 고유정보를 도어 열림 정보로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 열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독취하여 도어 열림 정보로 입력받는 정보 리더부와, 복수의 숫자버튼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 입력부와,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 닫힘/열림 감지부와, 도어의 걸쇠가 로커에 걸려있어 도어록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걸쇠 상태 감지부와, 상기 정보 리더부로부터 도어 열림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도어 열림 정보와 비교하고, 일치하면 도어록을 해제시켜 도어가 열리도록 하는 한편, 상기 도어 닫힘/열림 감지부를 통해 도어가 닫혀있음이 감지되면 상기 걸쇠 상태 감지부를 통해 잠김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잠김 상태가 아닌 경우 걸쇠가 로커에 걸리도록 하여 도어록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근접 도어록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응하여 전원공급부의 구동전원이 전체 시스템에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공급용 키버튼과;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감지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도어록 전체 시스템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비상 전원 공급상태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감지부에서 전원 공급부의 전원이 고갈되었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여 전원라인이 끊어지도록 제어하고, 비상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전원라인이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비상전원 공급부와 전원라인이 연결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비상상태임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도어록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발광다이오드 소자(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도어록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상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사운드 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의 사운드 출력 제어신호에 응하여 비상전원의 공급을 알리는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도어록 시스템.
KR10-2002-0058665A 2002-09-27 2002-09-27 근접 도어록 시스템 KR100435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665A KR100435909B1 (ko) 2002-09-27 2002-09-27 근접 도어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665A KR100435909B1 (ko) 2002-09-27 2002-09-27 근접 도어록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863U Division KR200316157Y1 (ko) 2003-03-17 2003-03-17 근접 도어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944A KR20020090944A (ko) 2002-12-05
KR100435909B1 true KR100435909B1 (ko) 2004-06-22

Family

ID=2772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665A KR100435909B1 (ko) 2002-09-27 2002-09-27 근접 도어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9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867B1 (ko) * 2006-09-29 2007-08-23 (주)맥스텍 출입문 손잡이와 연동하는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118A (ko) * 1998-12-04 2000-07-05 이원우 무선 아이디 인식 도어 록 장치
KR20000054306A (ko) * 2000-06-01 2000-09-05 윤경호 근접 도어락
JP2001152716A (ja) * 1999-11-24 2001-06-05 Yazaki Corp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
JP2001342757A (ja) * 2000-06-02 2001-12-14 Motoi Nakamura 二重ロック装置
KR200289539Y1 (ko) * 2002-06-27 2002-09-16 주식회사 세이퍼 디지털 도어록
KR200292172Y1 (ko) * 2002-07-04 2002-10-18 강태수 전자도어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118A (ko) * 1998-12-04 2000-07-05 이원우 무선 아이디 인식 도어 록 장치
JP2001152716A (ja) * 1999-11-24 2001-06-05 Yazaki Corp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
KR20000054306A (ko) * 2000-06-01 2000-09-05 윤경호 근접 도어락
JP2001342757A (ja) * 2000-06-02 2001-12-14 Motoi Nakamura 二重ロック装置
KR200289539Y1 (ko) * 2002-06-27 2002-09-16 주식회사 세이퍼 디지털 도어록
KR200292172Y1 (ko) * 2002-07-04 2002-10-18 강태수 전자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944A (ko) 200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6725B2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device utilizing a single microcomputer intergrated circuit
US5617082A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device utilizing a single microcomputer integrated circuit
KR100855240B1 (ko) 디지털 모티스 록
US5940001A (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for controlling locking/unlocking operation of key
KR100742263B1 (ko) 무선 id를 갖는 열쇠를 이용한 전자 시건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0435909B1 (ko) 근접 도어록 시스템
KR200316157Y1 (ko) 근접 도어록 시스템
KR100414426B1 (ko) 저소비 전력이면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전자 도어록
US6809628B1 (en) Personal or personalizable device for the conditional use of electric or electronic appliances, method of use
KR20030070396A (ko) 전자식 자물쇠
KR20040106668A (ko) 절전형 디지털 도어록 장치
JP2005141394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422775B1 (ko) 현관출입용 자동잠금시스템
KR20060053038A (ko) 다기능 전자키 도어락
KR20100043574A (ko) 디지털 도어를 이용한 출입자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92390B1 (ko) 승인 코드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에 모터 제어를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01273552A (ja) 自動販売機
JP2971055B2 (ja) ロックユニット
JP2683700B2 (ja) 液晶表示用照明装置
KR200310826Y1 (ko) 도어락 장치
KR200276188Y1 (ko) 전자식 자물쇠
KR200334282Y1 (ko) 자가진단과 안내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100664690B1 (ko) 전자키 스위치
KR200345120Y1 (ko) 건축물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전자도어록
KR20000054306A (ko) 근접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