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8846A - 스피닝 릴을 위한 역회전방지 기구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을 위한 역회전방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8846A
KR20020048846A KR1020010027906A KR20010027906A KR20020048846A KR 20020048846 A KR20020048846 A KR 20020048846A KR 1020010027906 A KR1020010027906 A KR 1020010027906A KR 20010027906 A KR20010027906 A KR 20010027906A KR 20020048846 A KR20020048846 A KR 20020048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rotation
housing
wedge
clutch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콕커함레이포드에이.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브룬스윅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브룬스윅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20048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84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접촉면을 갖추고 있는 클러치 링; 상기 클러치 링에서 회전하기 위해, 복수의 쇼울더 및 개구를 포함하고 있는 클러치 하우징; 복수의 램프 및 개구에 수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를 포함하는 웨지; 및 클러치 하우징에 대해서 원주방향으로 유용되는 복수의 니들을 포함하고 있는 스피닝 릴을 위한 역회전 방지 기구로서, 각각의 니들에 대하여 상응하는 쇼울더 및 상응하는 램프가 있고 그리고 제 1 방향으로 클러치 하우징에 적용된 토오크는 각각의 쇼울더가 상응하는 램프로부터 멀리 상응하는 니들을 가압하도록 하고 그리고 제 1 방향으로 상기 웨지에 적용된 토오크는 각각의 니들이 상응하는 램프와 상호작용하도록 야기하여 상응하는 램프와 동시에 접촉하고 접촉면과 접촉하여 클러치 링에 대해서 웨지의 회전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스피닝 릴을 위한 역회전방지 기구{ANTI-REVERSE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본 발명은 스피닝 릴을 위한 역회전방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제한하려는 목적은 아니지만,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베일 인덱싱 특징을 갖춘 스피닝 릴을 위한 캐스팅 및 역회전방지 기구에 관한 것으로, 크랭크 핸들에서 시작될때 낚시줄 응력에 대하여 베일의 역회전 운동을 방지하지만 기어 열의 역회전 운동을 자동적으로 허용하여, 베일의 인덱싱을 허용하여 캐스팅을 간단하게 한다.
스피닝-타입의 릴은 전반적으로 종래에 알려져 있다. 전형적인 스피닝 릴은: 몸체구조와, 낚시대 아래에 릴을 장착하기 위해, 몸체 구조의 상부로부터의 뻗은 장착구조; 몸체 구조의 전면 끝부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피니언 슬리브; 피니언 슬리브의 전방 끝부에 체결되는 로우터 조립체; 피니언 슬리브 및 로우터 조립체를 통하여 미끄럼 가능하게 뻗은 메인 샤프트; 메인 샤프트의 전방 끝부에 체결된 낚시줄 스풀; 낚시줄 스풀주위에 낚시줄을 감기 위해서 낚시줄을 잡도록 로우터 조립체에 부착된 베일 와이어 조립체; 몸체 구조의 측면내로 옆으로 뻗은 구동 샤프트; 구동 샤프트의 외부 끝부위에 체결되는 크랭크 핸들; 구동 샤프트의 내부 부분에 장착되는 구동 기어; 그리고 메인 샤프트 및 낚시줄 스풀에 왕복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진동 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스피닝 릴은 다양한 특징으로 현재 이용가능하다. 예로서, 이러한 특징은 물고기의 특정의 종류 또는 크기를 위해, 또는 개개의 낚시꾼의 선택을 만족시키기위해 베이트의 특별한 타입을 위한 릴의 특별한 모델을 맞추어 만든다. 통상적으로 스피닝 릴에서 볼 수 있는 하나의 특징은 트리거 기구이다.
스피닝 릴을 캐스팅하기전에, 전형적으로 베일 와이어를 움직여 캐스팅을 위해 낚시줄을 자유롭게 한다. 많은 스피닝 릴에서, 낚시꾼은 베일 와이어를 이동시킨 후에 집게 손가락의 굴곡부내에 낚시줄을 붙잡아 낚시줄의 제어되지 않는 풀림을 방지한다. 캐스팅시에, 낚시꾼은 캐스트의 원하는 지점에 낚시줄을 풀어놓는다. 스피닝 릴의 여러 모델은 트리거 기구가 구비되어서 낚시꾼은 트리거를 잡아당겨 베일을 움직이고 일시적으로 낚시줄을 멈추게한다. 그리그 낚시꾼은 캐스트의 적당한 지점에서 트리거를 풀러서 낚시줄을 방출한다.
기구적인 제한 때문에, 전형적으로 트리거 타입의 스피닝 릴의 트리거는 로우터와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인덱싱 수단이 통상적으로 구비되어 낚시꾼은 간단히 크랭크 핸들을 후방으로 돌려서 트리거를 이상적인 작동 위치로 회전시킨다. 적절한 인덱싱에 따라, 크랭크 핸들 및 로우터는 자동적으로 멈추어 낚시꾼의 집게 손가락이 닿기 쉬운곳내에, 행정의 최상단에 트리거를 위치시킨다.
이러한 트리거 기구가 캐스팅 동작을 개선하지만, 불행하게도 적어도 하나의 단점이 있는데, 즉: 인덱싱 수단은 베일의 역자유회전을 인덱싱 지점까지 허용하여 훅 세트를 지연시키고, 릴의 주관적인 감각을 떨어뜨리고 그리고 릴이 실질적인 충격을 받게된다. 캐스팅후에, 전형적으로 낚시꾼은 크랭크 핸들을 회전시켜 베일와이어를 되감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기구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크랭크 핸들의 회전은 로우터 및 베일의 상응하는 회전을 야기하여 스풀상에 낚시줄을 되감는다. 인덱싱 기구는 역회전을 제한하여 낚시줄의 제어되지 않은 풀림을 방지한다. 그러나, 물고기가 미끼를 물때, 크랭크 핸들 및 베일은 이러한 역회전이 방지되기 전에 인덱싱 지점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실제로, 이것은 통상적으로 로우터의 약간의 회전을 야기하고, 인덱스가 도달되기 전에 거의 로우터의 완전 회전을 야기한다. 물고기가 낚시줄을 갑자기 잡아당기거나 또는 낚시꾼이 훅을 세팅하도록 신속히 반응하면, 실제 훅 세팅은 인덱스 지점으로 회전하는데 로우터에 취해진 시간만큼 바람직하지 않게 지연된다. 이러한 지연은 물고기를 놓칠 수 있다. 게다가, 낚시꾼은 훅을 세팅할때 순간적인 저항에 전형적으로 익숙해져 있다. 단지 부분적인 회전에 대해서 조차도, 로우터의 자유회전은 낚시꾼을 당황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인덱스에 도달케하는 운동량은 실제로 릴내의 심한 충격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릴의 내부 구성요소는 엄청난 최대 부하를 견뎌내도록 설계되어야 하므로 제조비용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줄 응력에 대하여 로우터의 회전을 방지하지만 크랭크 핸들로부터 시작될때 로우터의 역회전이 허용되어 트리거의 인덱싱을 제공하는 트리거 타입의 스피닝 릴을 위한 역회전방지 기구를 구비하는데 있다.
도 1 은 역회전방지 기구와 결합되는 본 발명의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a 는 클러치 온 위치에서 클러치 선택기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스피닝 릴 몸체의 정면도.
도 2b 는 클러치 오프 위치에서 클러치 선택기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스피닝 릴 몸체의 정면도.
도 3a 는 도 2a 의 선 3A-3A 를 따라서 취해진 본 발명의 스피닝 릴의 절결 측면도.
도 3b 는 도 2b 의 선 3B-3B 를 따라서 취해진 본 발명의 스피닝 릴의 절결 측면도.
도 4a 는 도 2a 의 선 4A-4A 를 따라서 취해진 본 발명의 스피닝 릴의 절결 측면도.
도 4b 는 도 2b 의 선 4B-4B 를 따라서 취해진 본 발명의 스피닝 릴의 절결 측면도.
도 5a 는 도 2a 의 선 5A-5A 를 따라서 취해진 본 발명의 스피닝 릴의 절결 측면도.
도 5b 는 도 2b 의 선 5B-5B 를 따라서 취해진 본 발명의 스피닝 릴의 절결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역회전방지 클러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절결 측면도.
도 7 은 도 6 의 선 7-7 을 따라서 취해진 본 발명의 역회전방지 클러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절결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역회전방지 클러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배면도.
도 9a, 9b 및 9c 는 본 발명의 역회전방지 클러치가 결합된 스피닝 릴의 분해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역회전방지 클러치의 제 2 실시예의 분해도.
도 11 은 역회전방지 클러치의 제 2 실시예에서 결합된 클러치 하우징의 정면도.
도 12 는 도 11 에서 도시된 선 12-12 에서 본 클러치 하우징의 절결 측면도.
도 13 은 역회전방지 클러치의 제 2 실시예에서 결합되는 니들의 측면도.
도 14 는 역회전방지 클러치에서 결합되는 니들의 단면도.
도 15 는 클러치 커버가 제거된 상태로 역회전방지 클러치의 제 2 실시예의 정면도.
도 16 은 역회전방지 클러치의 제 2 실시예에서 결합되는 웨지의 측면도.
도 17 은 역회전방지 클러치의 제 2 실시예에서 결합되는 웨지의 배면도.
도 18 은 역회전방지 클러치의 제 2 실시예에서 결합되는 웨지의 절결 측면도.
도 19 는 역회전방지 클러치의 제 2 실시예에서 결합되는 웨지의 정면도.
본 발명은 상기의 지적한 필요성을 충족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스피닝 낚시릴을 위한 역회전방지 클러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역회전방지 클러치는: 낚시 릴에 역회전방지 클러치를 장착하기 위한 하우징; 크랭크 핸들과 작동가능하게 연통하는 입력 샤프트; 그리고 차례로 로우터 조립체를 구동하는 출력 샤프트;를 포함하고 있다. 출력 샤프트는 입력 샤프트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되어 아웃풋 샤프트가 입력 샤프트의 회전에 대하여 양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그러나, 출력 샤프트에 적용된 토오크에 따라, 출력 샤프트는 오직 하나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출력 샤프트가 자유롭게 회전하지 않은 방향으로 적용된 토오크는 릴의 몸체에 전달된다.
하나의 관점에 있어서, 본 발명은 트리거 기구를 갖추고 있는 스피닝 릴을 구비하고 있는데, 로우터의 역회전은 낚시줄 응력에 대응하여 방지되지만, 크랭크 핸들에 대응하는 로우터의 역회전이 허용되어 적어도 트리거를 인덱스 한다. 낚시줄 응력으로부터 야기되는 회전력은 크랭크 핸들보다는 릴 몸체와 연통되고, 그리고 트리거를 인덱스하지 않아서, 훅-세팅 지연을 피할 수 있는 잠재적으로 충격에 대한 손상을 피할 수 있다.
또다른 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트리거 기구를 갖추고 있는 스피닝 릴을 구비하고 있는데, 낚시꾼은 역회전방지 기구를 결합해제하여 양 방향으로 로우터에 적용된 회전력은 크랭크 핸들과 연통될 수 있다.
더 다른 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개량된 캐스팅을 위해 베일의 쉬운 위치결정을 허용하도록 인덱스를 포함하는 역회전방지 기구를 갖춘 스피닝 낚시 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한 도면을 검토하고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을 읽으므로서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구조의 상세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되거나 실행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쓰여진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지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같은 부재번호는 여러개의 도면을 통해 같은 부품을 나타내고, 본 발명의 스피닝 릴(20)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1 에 도시되었다. 바람직하게, 릴(20)은: 측면 개구(26)(도 9a)위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 측면 커버(24); 역회전방지 클러치(30)(도 9b)를 결합하고 결합해제하기 위한 작동/해제(A/R) 스위치(28); 몸체(2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로우터 조립체(32); 메인 샤프트(36)(도 9c)에 회전불가능하게 지지되는 낚시줄 스풀(34); 메인 샤프트(36)의 전방 끝부에 결합해제되게 부착된 드래그 노브(38); 그리고 로우터 조립체(32)를 회전시키기 위한 크랭크 핸들(40);을 갖추고 있는 릴 몸체(22);를 포함하고 있다.
다음에 도 9a를 참조하면, 릴 몸체(22)는 내부(42), 측면 개구(26) 및 낚시대 아래에 릴(20)을 장착하기 위해 몸체(22)위에서 뻗은 다리부(44)를 포함하고 있다. 나사형성된 보스(48)는 나사(46)(도 1)를 수용하기 위해 구비되어 측면 커버(26)를 체결한다.
지금 도 9a 내지 도 9c 를 참조하면, 역회전방지 클러치(30)는: 피니언 슬리브(50); 베어링(54); 클러치 하우징(58); 바람직하게는 5개의 복수의 니들(64); 클러치 커버(66) 및 클러치 웨지(78)를 포함한다. 피니언 슬리브(50)는 길이방향 축선에 대한 통로(68), 베어링(54)과 결합하기 위한 쇼울더(52), 클러치 하우징(58)과 비-회전 결합을 위해서 쇼울더(52)의 전방 끝부위의 한쌍의 플랫(56) 그리고 피니언 슬리브(50)를 베어링(54) 및 하우징(58)에 체결하는 C자형 클립(62)을 수용하기 위한 홈(60)을 포함하고 있다.
클러치 커버(66)는 복수의 노치(72) 및 복수의 훅(76)을 포함하고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같이, 각각의 니들(64)에 대해서 노치(72)가 있는 것은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으로 당업자에게는 명확할 것이다.
클러치 하우징(58)은: 배면(152) 및 전면(154)을 갖추고 있는 플레이트(150); 그리고 전면(154)의 원주에 위치된 복수의 전방으로 뻗은 보스(156a 내지 156e)를 포함하고 있다. 플레이트(150)을 통과하는 개구(160)는 피니언 슬리브(50)를 수용하기위해 구비된다. 플랫(162)은 피니언 슬리브(50)의 플랫(56)과 상호작용하여 클러치 하우징(58)과 피니언 슬리브(50)사이에서 회전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플레이트(150)를 통과하는 복수의 쐐기 형상의 개구(158)는 개구(160) 주위에 구비된다. 전면(154)은 갯수 및 위치의 양자에 있어서 클러치 커버(66)의 노치(72)에 상응하는 복수의 노치(74)(도 6)를 포함한다.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보스(156)는 쇼울더(164)를 포함하고 그리고 보스(156b, 156d, 156e)는 커버(66)의 훅(76)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챔퍼(166)를 포함한다.
방향의 용어, 즉 여기에서 사용되는 전방 또는 전방으로, 후방 또는 후방으로, 좌측, 우측, 등은 낚시꾼의 시각으로부터의 방향을 말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전방은 낚시꾼으로부터 먼 위치를 나타내는 한편 후방은 낚시꾼 쪽으로의 위치를 나타낸다.
다시 도 9a 내지 도 9c 를 참조하면, 니들(64)은 하우징(58)과 클러치 커버(66) 사이에서 끼워지고, 각각의 니들(64)은 O-링(70)을 수용하기 위해서 니들(64)의 대향 끝부에 위치된 한쌍의 샤프트(80)를 포함한다. O-링(70)과 함께 하나의 샤프트(80)는 커버(66)에서 각각의 노치(72)에 수용되고, O-링(70)과 함께 대향 샤프트(80)는 하우징(58) 및 커버(66)에 원주방향으로 니들(64)을 위치시키도록 하우징(58)에서 상응하는 노치(74)에 수용된다. 제위치에 있는 니들(64) 및 O-링(70)과 함께 커버(66)위의 훅(76)은 하우징(58)에서 챔퍼(166)와 결합하여 니들(64)을 제위치에 유지한다.
클러치 웨지(78)는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서 통로(86)를 포함한다. 베어링(82)은 통로(86)의 후방 끝부에서 공동(84)에 덮여지고 부싱(92)은 통로(86)의 전방 끝부에서 덮여져서 메인 샤프트(36)가 역회전방지 클러치(30)을 통하여 삽입될때, 웨지(78)가 메인 샤프트(36)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하는 한편 메인 샤프트(36)와 동심으로 정렬되도록 유지될 것이다.
웨지(78)는 하우징(58)에 구비된 개구(158)에 수용되는 포스트(88)를 더 포함한다. 개구(158)의 에지는 포스트(88)를 위한 접촉 표면을 구비하여 하우징(58)의 회전은 동일한 웨지(78)의 회전을 초래하고 그와같이, 웨지(78)의 회전은 하우징(58)의 회전을 초래한다. 바람직하게 개구(158)와 포스트(88)사이의 접촉면은 갭(170)(도 8)을 구비하여 구동 요소(하우징(58) 또는 웨지(78) 중 하나)의 회전은 피구동 요소(하우징(58) 또는 웨지(78)의 다른 하나)의 회전을 약간 유도할 것이다. 복수의 램프(90)는 니들(64)과 접촉하기 위해 웨지(78)상에 구비된다. 아래에서 상세하게 논의할 바와같이, 각각의 니들(64)에 대해 상응하는 램프(90)가 있는 것이 상당히 바람직하다.
클러치 링(120)은: 복수의 상호작용하는 부재(122); 보스(124); 및 니들(64)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 표면(148)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클러치 링(120)은 클러치 하우징(58)과 동심으로 정렬되게 지지될 것이다.
클러치 램프(110)는 노치(114), 개구(112) 및 클러치 링(120)의 상호작용 부재(122)와 상호작용을 위해 클러치 램프(110)로부터 후방으로 뻗은 복수의 캠 램프(116)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상호작용 부재(122)를 위해 상응하는 캠 램프(116)가 있어서 클러치 램프(110)의 회전은 상호작용 부재(122)의 길이방향 운동을 야기한다.
릴(20)에서 역회전방지 클러치(30)를 조립하기위해, 클러치 링(120) 및 스프링(96)은 리테이너 클립(98)에 의해서 릴 몸체(22)에 유지된다. 클러치 링(120)에서 보스(124)는 몸체(22)에 대해서 클러치 링(12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몸체(22)의 내부(42)에서 상응하는 슬롯(도시 생략)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된다. 부싱(100)은 몸체(22)의 개구(102)에 위치되고, 역회전방지 클러치(30)는 내부(42)를 통하여 삽입되고, A/R 샤프트(104)는 몸체(22)에서 통로(106)를 통하고 A/R 스위치(28)를 통하여 삽입되고 워셔(108) 및 클러치 램프(110)는 램프(110)의 노치(114)가 A/R 샤프트(104)의 보스(118)와 정렬되는 상태로 웨지(78)위에 놓여진다. 베어링(126)은 클러치 리테이너(130)의 개구(128)에 덮혀져 리테이너(130)가 나사(132)로 몸체(22)에 체결될때, 역회전방지 클러치(30)는 몸체(22)내에 작동가능하게 유지되고 개구(112)는 리테이너(130)의 보스(139)위에 수용되어 클러치 램프(110)를 메인 샤프트(36)와 동심으로 유지한다.
베어링(126, 82, 54) 및 부싱(92, 100)은 역회전방지 클러치(30)와 동심으로 정렬되는 메인 샤프트(36)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이러한 베어링 및 부싱의 정확한 배치 및 수량은 아래에 더욱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클러치(30)가 메인 샤프트(36)와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정렬되고 메인 샤프트(36)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유지되는한 중요하지 않다. 제한이 아닌 실시예를 통해서, 클러치 리테이너(130)는 제 2 베어링을 덮을 수 있어서, 두개의 베어링을 구비하여 웨지(78)를 지지하고 따라서 베어링(82)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A/R 스위치(28)는 클러치(30)의 역회전방지 형상을 결합 및 결합해제하도록 사용된다. 도 2a, 3a, 4a 및 5a 를 참조하면, A/R 스위치(28)가 최우측 위치에 있을때, A/R 샤프트(10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보스(118)(도 9b)는 노치(114)(도 9b)에서 좌측을 가압하여, 클러치 램프(1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당업자에게 분명한 바와같이, 스프링(96)은 클러치 링(120)을 전방으로 일정하게 가압하여, 상호작용 부재(122)와 캠 램프(116) 사이의 접촉을 유지한다. 따라서, 클러치 램프(110)가 완전히 시계방향 위치에 있을때, 상호작용 부재(122)는 캠램프(116)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스프링(96)이 신장하도록 하고, 클러치 링(120)을 완전히 전방 위치로 가압하게 된다.
A/R 스위치(28)가 최좌측 위치로 이동될때, 도 2b, 도 3b, 도 4b 및 도 5b 에 도시된 바와같이, A/R 샤프트(10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보스(118)가 노치(114)의 오른쪽을 가압하여 클러치 램프(1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클러치 램프(110)가 완전히 반시계방향 위치에 도달할때, 상호작용 부재(122)는 캠 램프(116)의 높은 단부 근처에 위치되어 클러치 링(120)을 최후방 위치로 가압하고 스프링(96)을 압축한다.
여기에서 스프링(96)이 코일 스프링으로 설명되지만, 당업자에게는 클러치 링(120)에 전방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다양한 변경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실시예를 통해서, 판 스프링이 채용될 수 있어서 이러한 가압력을 제공한다.
지금 도 6,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면, 역회전방지 클러치(30)가 작동하여, A/R 스위치가 결합 위치상태로, 토오크가 반시계방향으로 피니언 슬리브(50)에 적용되어 하우징(58)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야기한다. 개구(158)의 에지는 차례로 포스트(88)를 가압하여 유사하게 웨지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한다. 갭(170) 때문에, 하우징(58)의 회전은 웨지(78)의 회전을 약간 이끄는 것을 볼 수 있다. 니들(64)과 표면(148)사이의 접촉은 램프(90)로부터 멀리 니들(64)을 굴린다. 따라서, 웨지(78)는 피니언 슬리브(50)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응답하여 자유롭게 회전을 유지한다.
시계방향 토오크가 피니언 슬리브(50)에 적용될때, 하우징은 차례로 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개구(158)의 우측면은 포스트(88)를 가압하여 시계방향으로 웨지(78)가 같이 구동하도록 한다. 다시, 갭(170)의 결과로서 하우징(58)의 회전은 웨지(78)의 회전을 약간 이끌 것이다. 갭(170)의 결과로서 쇼울더(164)는 니들(64)과 접촉하여 니들(64)을 램프(90)에서 구르는 것을 방지하여 피니언 슬리브(50)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대하여 웨지(78)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자유롭게 한다.
반시계방향 토오크(낚시꾼의 관점으로 볼 경우)가 웨지(78)에 적용될때, 포스트(88)는 개구(158)의 좌측면을 가압하여 차례로 하우징(58) 및 피니언 슬리브(50)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킨다. 니들(64)은 웨지(78)의 회전에 대하여 웨지(78) 램프(90)로부터 멀리 굴러서 웨지(78)의 자유회전을 허용한다.
시계방향 토오크가 웨지(78)에 적용될때, 갭(170)은 웨지(78)의 회전을 야기하여 클러치 하우징(58)의 회전을 약간 이끈다. 따라서, 니들(64)은 니들(64)이 쇼울더(164)와 접촉하기 전에 램프(90)를 굴리기 시작한다. 니들(64)이 램프(90)를 오르면서, 니들(64)은 웨지(78)와 클러치 링(120)의 내부 접촉면(148) 사이에서 웨지되어 클러치 링(120)에 대한 웨지(78)의 더 회전을 방지한다. 보스(124)가 릴 몸체(22)내의 슬롯과 결합되기 때문에, 클러치 링(120) 및 웨지(78)의 회전이 방지된다. 어느 한 방향으로의 피니언 슬리브의 운동은 니들(64)이 램프(90) 아래로 구르게 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쇼울더(164)가 램프(90)로부터 멀리 니들(64)을 가압하게 한다.
따라서, 도 1 및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로우터 조립체(32)가 로우터너트(136)로 웨지(78)에 체결될때, 로우터(32)가 크랭크 핸들(40)의 회전에 대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로우터(32)가 반시계방향으로 가압될때, 스풀(34)에 낚시줄이 감기고, 로우터(32) 및 크랭크 핸들(40)은 이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한다. 그러나, 로우터(32)가 시계방향으로 가압될때, 낚시줄의 풀림을 야기하고, 램프(90)와 클러치 링(120)사이의 니들(64)의 상호작용은 웨지(78)를 구속하여 로우터 조립체(32)의 회전을 방지한다.
도 3b 및 도 5b 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같이, A/R 스위치(28)가 결합해제된 위치에 있을때, 클러치 링(120)은 최후방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니들(64)은 클러치 링(120)과 접촉할 수 없어서, 로우터(32)는 양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이러한 로우터(32)의 회전이 크랭크 핸들(40)(도 1)의 상응하는 회전을 야기하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확하다. 또한 당업자에게 명확한 바와 같이, 클러치 링(120)이 최후방 위치에 있을때 샤프트(80)에 과도한 압력을 가함이 없이 O-링(70)의 탄성은 니들(64)이 램프(90)에 구르게 한다.
다시 도 1 을 참조하면, 로우터 조립체(32)는 트리거(138)를 포함한다. 트리거(138)가 낚시꾼에 의해서 들어올려질때, 베일(140)은 자동적으로 되감기 위치(도 1에 도시)에서 캐스팅 위치로 전환된다. 동시에 베일(140)을 전환하면, 낚시줄은 낚시꾼이 트리거(138)를 방출할때까지 일시적인 풀림으로부터 안전하다. 이러한 트리거 기구는 잘 알려져 있고 구체적인 트리거 기구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중요하지 않다.
트리거(138)가 낚시꾼 손가락의 쉬운 도달거리 내에 있는 다리부(44) 근처에트리거(138)를 위치시키기 위해서, 스피닝 릴(20)은 로우터(32)를 인덱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도 9a 내지 도 9c 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같이, 웨지(78)는 A/R 폴(144)과 함께 작동하는 인덱싱 아암(142)을 포함하여 로우터(32)를 인덱스한다. 클립(180)은 몸체(22)내에서 폴(144)을 유지한다.
도 2a, 도 4a 및 도 5a를 참조하면, A/R 스위치(28)가 결합위치에서 웨지(7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아암(142)(도 9b)은 폴(144)을 아암(142)의 경로에서, 좌측으로 가압하여 폴(144)과 부딪친다. 스프링(146)(도 9a)은 아암(142)이 폴(144)을 지나 회전된 후에 다시 아암(142)의 경로로, 오른쪽으로 폴(144)을 가압한다. 또한, 웨지(7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때, 아암(142)은 폴(144)의 좌측면과 부딪쳐 폴(144)을 우측으로 가압할 것이다. 스프링(146)은 폴(144)을 최우측의 위치로 가압하기 때문에, 폴(144)은 우측으로 더 움직일수가 없고, 아암(142)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없고 웨지(78)가 반시계방향으로 임의로 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로우터(32)는 아암(142)에 대해서 웨지(78)에 위치되어 폴(144)이 아암(142)을 멈출때, 트리거(138)는 인덱스된 위치에 있을 것이다.
클립(180) 및 스프링(146)에 의해서 구비된 기능은 단일 요소내로 합치할 수 있고 이 양자는 웨지(78)에 대해서 폴(144)을 유지하고 그리고 폴(144)에 적당한 회전 가압력을 부여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도 2b, 도 4b 및 도 5b 를 참조하면, A/R 스위치(28)가 결합해제 위치에 있을때, A/R 폴(144)은 최좌측 위치로 바람직하게 유지되고, 아암(142)의 경로로부터전적으로 어느 한 방향으로 웨지(78)의 자유 회전을 허용할 것이다.
제 2 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10 내지 도 19 에 도시되어 있다. 제 2 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먼저 도 16 내지 도 19 를 참조하면, 웨지(202)는: 로우터 조립체(32)(도 1)를 회전불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하여 플랫(206)를 갖추고 있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출력 부분(204); 포스트(208); 인덱싱 폴(144)(도 9a)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아암(210); 메인 샤프트(36)(도 9c)의 통과를 위한 통로(212); 베어링(82)(도 9b)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214); 그리고 노치(216)를 포함한다.
도 11 및 도 12 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같이, 하우징(232)은: 포스트(208)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234); 하우징(232)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원통형 공동(236); 쇼울더(238); 그리고 챔퍼(240)를 포함한다. 하우징(232)은 피니언 슬리브(50)(도 9b)와 회전불가능하게 결합되는 개구(242)를 더 포함한다.
다음에 도 10 을 참조하면, 각각의 샤프트(222)는 O-링을 수용하여 각각의 노치(224, 72)에서 하우징(232)과 커버(66)(도 9b) 사이에서 니들(218)을 피봇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13 및 도 14 에 도시된 바와같이, 니들(218)은 작동 아암(226), 제동면(228) 및 힐(230)을 더 포함한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존재하는 클러치 커버(66)를 도시하지 않고 역회전방지 클러치가 도 10 및 도 15 에 도시되어 있다. 이전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기의 설명된 클러치 커버가 제 2 실시예로서 사용된다.
다시 도 10 및 도 15 를 참조하면, 역회전방지 클러치(200)가 조립될때, 작동 아암(226)은 각각의 노치(216)에 수용되고 포스트(208)는 각각의 개구(234)에수용된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각의 포스트(208)의 치수는 결합되는 개구(234)의 입구보다 조금 더 작아서 토오크가 웨지(202)에 적용될때, 웨지(202)는 하우징(232)를 회전가능하게 이끌고, 그리고 대신에 토오크가 하우징(232)에 적용될때, 하우징(232)의 회전은 웨지(202)의 회전을 약간 이끌것이다. 당업자에게 명확한 바와같이, 시계방향 회전(낚시꾼의 관점에서 볼때)이 웨지(202)에 적용될때, 노치(216)는 작동 아암(226)을 가압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니들(218)을 회전시키고, 제동면(228)이 클러치 링(120)과의 접촉을 야기하여 웨지(202)의 더 회전을 방지한다.
웨지(20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때, 노치(216)는 작동 아암(226)을 가압하여 니들(21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클러치 링(120)으로부터 멀리 제동면(228)을 이동시켜서 웨지(202) 및 하우징(232)의 자유회전을 야기한다.
하우징(23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때, 하우징(232)은 웨지(202)를 회전가능하게 이끌어 쇼울더(238)가 힐(230)과 접촉하게하여 클러치 링(120)으로부터 멀리 제동 표면(228)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하우징(232) 및 웨지(202)는 하우징(232)의 시계방향 회전에 응답하여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유지된다.
마지막으로, 하우징(23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때, 제동면(228)과 클러치 링(120) 사이의 상호작용은 니들(218)에 시계방향 회전력을 부여하여 제동면(228)과 클러치 링(120)사이에서 압력을 감소시키고 웨지(202) 및 하우징(232)의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한다.
따라서, 여러가지 도면을 참고한 상기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발명의 스피닝 릴은 그 결합된 위치에서 A/R 스위치(28)로 작동될때, 사용자는 크랭크 핸들(40)을 자유롭게 회전시켜 낚시줄을 스풀(34)에 되감는다. 게다가, 로우터(32)는 자유롭게 회전되어 마찬가지로 스풀(34)위에 낚시줄을 감는다. 풀림 방향으로 크랭크 핸들(40)의 회전은 인덱싱 아암(142)이 폴(144)을 타격하는 지점까지 로우터(32)를 회전시켜서 트리거(138) 및 베일(140)을 인덱싱한다. 물고기가 미끼를 물거나 또는 낚시꾼이 갑자기 낚시줄을 끌어당겨 훅을 세팅할때, 역회전 방지 클러치(30)는 인덱스된 위치에 대하여 로우터(32)의 위치에 관계없이 로우터(32)의 역회전을 방지한다. 종래의 트리거 릴로는, 로우터가 인덱스 위치로 자유롭게 회전하여, 훅 세팅을 지연시키고 인덱싱 수단의 구성요소 사이에서 심각한 충격을 야기한다.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역회전방지 클러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오른손잡이용으로 구성된 스피닝 릴에 결합되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왼손잡이용으로 구성된 릴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전형적으로, 스피닝 릴은 크랭크 샤프트 및 크랭크 핸들이 삽입되는 릴의 면을 간단히 바꾸므로서 어느 한손의 손잡이용으로 구성된다.
당업자에 의해서 또한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역회전방지 클러치는 트리거 스피닝 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설명된 인덱싱 수단은 트리거 없이 스피닝 릴에 유사하게 사용되어 캐스팅용 베일을 연속적으로 그리고 편리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확하다. 본 발명의 역회전방지 클러치는 이러한 릴의 사용에 동일하게 잘 적용된다. 게다가,본 발명의 장치는 낚시 릴의 다른 타입 뿐만아니라 다른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상 잘 적용된다. 이러한 경우는 본 발명의 사상내에서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행 및 상기 언급한 것 뿐만아니라 그러한 고유의 점에 있어서 잇점 및 목표를 달성하도록 잘 적용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러한 개시의 목적으로 설명되는 한편, 많은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는 명확할 것이다.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청구항에 의해서 한정됨으로서 본 발명의 범주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스피닝 낚시 릴을 위한 역회전방지 클러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역회전방지 클러치는: 낚시 릴에 역회전방지 클러치를 장착하기 위한 하우징; 크랭크 핸들과 작동가능하게 연통하는 입력 샤프트; 그리고 차례로 로우터 조립체를 구동하는 출력 샤프트;를 포함하고 있다. 출력 샤프트는 입력 샤프트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되어 아웃풋 샤프트가 입력 샤프트의 회전에 대하여 양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그러나, 출력 샤프트에 적용된 토오크에 따라, 출력 샤프트는 오직 하나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출력 샤프트가 자유롭게 회전하지 않은 방향으로 적용된 토오크는 릴의 몸체에 전달된다.
하나의 관점에 있어서, 본 발명은 트리거 기구를 갖추고 있는 스피닝 릴을 구비하고 있는데, 로우터의 역회전은 낚시줄 응력에 대응하여 방지되지만, 크랭크 핸들에 대응하는 로우터의 역회전이 허용되어 적어도 트리거를 인덱스 한다. 낚시줄 응력으로부터 야기되는 회전력은 크랭크 핸들보다는 릴 몸체와 연통되고, 그리고 트리거를 인덱스하지 않아서, 훅-세팅 지연을 피할 수 있는 잠재적으로 충격에 대한 손상을 피할 수 있다.
또다른 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트리거 기구를 갖추고 있는 스피닝 릴을 구비하고 있는데, 낚시꾼은 역회전방지 기구를 결합해제하여 양 방향으로 로우터에 적용된 회전력은 크랭크 핸들과 연통될 수 있다.

Claims (6)

  1. 접촉면을 갖추고 있는 클러치 링;
    상기 클러치 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의 쇼울더, 및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클러치 하우징;
    복수의 램프, 및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수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를 포함하고 있는 웨지;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원주방향으로 유지되는 복수의 니들;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니들의 각각에 대해서 상응하는 하나의 상기 쇼울더 및 하나의 상기 램프가 있으며,
    제 1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적용된 토오크는 상기 각각의 상기 쇼울더가 상응하는 하나의 상기 램프로부터 먼 상응하는 하나의 상기 니들을 가압하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웨지에 적용된 토오크는 상기 각각의 상기 니들이 상응하는 하나의 상기 램프와 상호작용을 야기하여 하나의 상기 램프와 동시에 접촉하고 상기 접촉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을 위한 역회전방지 클러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회전불가능하게 결합하는 피니언 슬리브로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을 위한 역회전방지 클러치.
  3. 릴 몸체;
    상기 릴 몸체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크랭크 핸들;
    입력부 및 출력부를 갖추고 있어서, 제 1 방향으로 상기 크랭크 핸들의 회전이 제 2 방향으로 상기 입력부의 비례 회전을 야기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크랭크 핸들의 회전이 상기 제 2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입력부의 회전을 야기하도록 상기 크랭크 핸들과 회전가능하게 연통하는 역회전방지 클러치;
    베일을 갖추고 있고, 상기 출력부와 회전가능하게 연통하여 로우터 조립체 및 상기 출력부중의 하나의 회전이 상기 로우터 조립체 및 상기 출력부중의 다른 하나의 같은 회전을 야기하는 상기 로우터 조립체;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입력부의 회전에 응답하여 제 3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입력부의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제 3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리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 3 방향으로 상기 로우터에 적용된 회전 토오크에 응답하여 상기 제 3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리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 3 방향에 반대인 상기 방향으로 상기 로우터에 적용된 회전 토오크에 응답하여 상기 제 3 방향에 반대인 상기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을 위한 역회전방지 클러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역회전방지 클러치는,
    접촉면을 갖추고 있는 클러치 링;
    상기 클러치 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의 쇼울더, 및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클러치 하우징;
    복수의 램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수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를 포함하고 있는 웨지;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원주방향으로 유지되는 복수의 니들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니들의 각각에 대해서 상응하는 하나의 상기 쇼울더 및 하나의 상기 램프가 있고,
    제 1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적용된 토오크는 상기 각각의 상기 쇼울더가 상응하는 하나의 상기 램프로부터 멀리 상응하는 하나의 상기 니들을 가압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웨지에 적용된 토오크는 상기 각각의 상기 니들이 상기 램프의 상응하는 하나와 상호작용하도록 야기하여 하나의 상기 램프 및 상기 접촉면과 동시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을 위한 역회전방지 클러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링은 상기 릴 몸체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길이방향 운동을 위해 회전불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클러치 링은 제 1 길이방향 위치 및 제 2 길이방향 위치를 갖추고 있고,
    상기 클러치 링이 제 1 길이방향 위치에 있을때, 상기 니들은 상기 접촉면과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접촉면이 제 2 길이방향 위치에 있을때, 상기 니들은 상기 접촉면과 접촉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타입의 스피닝 릴을 위한 역회전방지 클러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링을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작동가능하게 이동시키기위해 외부의 접근가능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타입의 스피닝 릴을 위한 역회전방지 클러치.
KR1020010027906A 2000-12-14 2001-05-22 스피닝 릴을 위한 역회전방지 기구 KR200200488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3692900A 2000-12-14 2000-12-14
US09/736,929 2000-1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846A true KR20020048846A (ko) 2002-06-24

Family

ID=24961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906A KR20020048846A (ko) 2000-12-14 2001-05-22 스피닝 릴을 위한 역회전방지 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209486A (ko)
KR (1) KR20020048846A (ko)
CN (1) CN13584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49128B (zh) * 2016-06-30 2020-11-06 古洛布莱株式会社 钓鱼用卷线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844A (ja) * 1994-06-27 1996-01-1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H08112049A (ja) * 1994-10-17 1996-05-07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H09289850A (ja) * 1996-04-25 1997-11-11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H1198939A (ja) * 1997-09-26 1999-04-13 Mamiya Op Co Ltd 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KR100218142B1 (ko) * 1997-07-25 1999-10-01 이기동 낚시용릴의 순간역전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844A (ja) * 1994-06-27 1996-01-1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H08112049A (ja) * 1994-10-17 1996-05-07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H09289850A (ja) * 1996-04-25 1997-11-11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KR100218142B1 (ko) * 1997-07-25 1999-10-01 이기동 낚시용릴의 순간역전 방지장치
JPH1198939A (ja) * 1997-09-26 1999-04-13 Mamiya Op Co Ltd 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09486A (ja) 2002-07-30
CN1358428A (zh) 2002-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6412A (en) Spool braking force switching device for fishing reel
KR910000194B1 (ko) 스피닝 낚시리일의 드래그
US4676450A (en) Quick bail opening system for fishing reel
JP2554244B2 (ja) 投げ釣り用スピニングリ−ル
US2783952A (en) Spinning reel
US7222810B1 (en) Magnetic fishing reel clicker
US4426045A (en) Bail trip mechanism for fishing reel
US3743207A (en) Spinning reel with controllably rotatable bail
US4850548A (en) Fishing reel trigger
US4402469A (en) Self-aligning drag drive for fishing reels
US5810274A (en) Apparatus for attaching a cover to a fishing reel
US5511735A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with drag operation and spool free states
EP0026084A1 (en) Rotor brake for fishing reel
KR20020048846A (ko) 스피닝 릴을 위한 역회전방지 기구
US4200248A (en) Internal disc drag for spinning reel
US4824040A (en) Quick bail opening system for fishing reel
US6021970A (en) Fishing reel
US4428544A (en) Retainer for oscillator system
US7055771B2 (en) Trip mode selector switch for spinning reel
US5645239A (en) Fishing reel anti-reverse system with dual-purpose actuator switch
US5662283A (en) Fishing reel with line holding feature
US3059872A (en) Convertible automatic fishing reel
US4344586A (en) Drag spring for fishing reel
EP0071686A2 (en) Rear mounted drag for spinning reels
KR100574309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