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8569A -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8569A
KR20020048569A KR1020000077769A KR20000077769A KR20020048569A KR 20020048569 A KR20020048569 A KR 20020048569A KR 1020000077769 A KR1020000077769 A KR 1020000077769A KR 20000077769 A KR20000077769 A KR 20000077769A KR 20020048569 A KR20020048569 A KR 20020048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microwave
luminaire
waveguid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3780B1 (ko
Inventor
최준식
전용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77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3780B1/ko
Priority to US09/987,126 priority patent/US6617793B2/en
Priority to CNB011396326A priority patent/CN1260769C/zh
Priority to IT2001MI002547A priority patent/ITMI20012547A1/it
Priority to NL1019531A priority patent/NL1019531C2/nl
Priority to JP2001385038A priority patent/JP2002279938A/ja
Publication of KR20020048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7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4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high frequency ac, or with separate oscillator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H01J65/04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being produced by a separate microwave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Discharge Lamps And Accessories Thereof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공진기는 도파관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도파관을 통해 전송된 마이크로파는 차단하면서 전구에서 발광된 빛은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금속망 구조로 이루어진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는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막힌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망상 구조가 이음매 없이 연속하여 형성되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공진기 제조 방법은 이음매가 없는 망상 구조를 갖도록 전주 공법(Electro-forming)을 이용하여 공조기를 일체로 형성하는 공진기 형성단계와; 상기 공진기를 열처리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단계와; 상기 공진기의 표면을 빛의 반사율이 높아지도록 금속 도금하여 공조기를 완성하는 표면 도금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용접 부분이 없어 마이크로파가 누설될 수 있는 위험이 작아지고, 또한 망상의 홀도 막힌 부분이 없이 균일하게 형성되므로 빛의 투과 면적이 확대되어 조명 장치의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공진기의 제작이 용이해지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공진기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및 그 제조 방법{THE RESONATOR FOR MICROWAVE LIGHTING SYSTEM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진기를 만들 때 각 부분을 서로 용접하여 제작하지 않고 전주(electroforming)공법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이음매 없이 전부분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명기구는 무전극 플라즈마 전구에 마이크로파를 가하여 이로부터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을 얻어내는 장치로서, 통상적인 백열등이나 형광등에 비해 램프의 수명이 길고, 조명의 효과가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명기구는 마이크로파를 생성시키는 마그네트론(1)과, 상기 마그네트론(1)으로부터 마이크로파를 전달하는 도파관(3)과, 상기 도파관(3)을 통해 전달된 마이크로파 에너지에 의해 내부에 봉입된 물질이 플라즈마화되면서 빛을 발생시키는 전구(5)와, 상기 도파관(3)과 전구(5)의 앞쪽에 씌워져 마이크로파는 차단하면서 상기 전구(5)에서 발광된 빛은 통과시키는 공진기(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명기구는 상기와 같은 기본 구조에 상기 마그네트론(1)에 상용 교류전원을 고압으로 승압시켜 제공하는 고압 발생기(7)와, 상기 마그네트론(1)과 고압 발생기(7) 등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9)와, 상기 전구(5)에서 발생된 빛을 앞쪽으로 집중 반사시키는 반사경(11)과, 상기 전구(5)를 회전시켜 빛을 방출하면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전구모터(13) 및 모터축(15)과, 상기 고압 발생기(7) 및 냉각 장치(9) 등을 포함한 각종 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됨)가 추가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명기구는 상기 제어부에서 고압 발생기(7)에 구동신호를 입력하면, 고압 발생기(7)는 외부로부터 교류 전원을 승합시켜 승압된 고압을 마그네트론(1)에 공급한다.
상기 마그네트론(1)은 상기 고압 발생기(7)로부터 공급된 고압에 의해 발진하면서 매우 높은 주파수를 갖는 마이크로파를 생성시키고, 이렇게 생성된 마이크로파는 도파관(3)을 통해 공진기(20) 내부로 방사되면서 전구(5) 내의 봉입된 물질을 방전시켜 고유한 방출 스펙트럼을 가지는 빛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구(5)에서 발생된 빛은 미러(12) 및 반사경(11)을 통해 전방으로 반사되면서 설치 장소 주변을 밝혀줄 수 있게 된다.
도 2는 상기한 바와 같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명기구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의 공진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A"부분의 상세도 및 B-B선 방향 단면도이다.
상기한 공진기(20)는 도 1을 참조하면, 금속망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한 도파관(3)의 출구(3a)쪽에 조립됨으로써 상기 도파관(3)을 통해 전송된 마이크로파를 가두어 마이크로파 에너지가 상기한 전구(5) 내에서 빛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동시에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은 차단하면서 전구(5)에서 발생된 빛은 외부로 투과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공진기(20)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개방된 부분(20a) 쪽의 일부분을 제외하고 에칭 가공으로 다수의 홀(20b)이 형성된 원통부(21)와, 볼록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부(21)의 앞부분에 연결되도록 에칭 가공으로 다수의 홀(20b)이 형성된 뚜껑부(2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원통부(21)는 마이크로파는 차단하면서 빛은 통과시키는 망상부(22)와, 상기한 도파관(3)의 출구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에칭 가공되지 않은 고정부(23)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23)에는 상기한 도파관(3)에 설치될 때 확장되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절개부(23a)가 형성된다.
도 4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의 공진기 제조 공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한 공진기 제조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통부(21)를 제작하기 위해서 스테인레스강 또는 인청동으로 이루어진 소정 두께의 금속 박판을 사각모양으로 절단하고, 고정부(23)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망상부(22)를 형성하기 위해 에칭(etching) 가공하여 홀(20b)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 박판에 에칭 가공으로 형성되는 홀(20b)은 마이크로파를 차단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되, 최대한 개구율을 크게 하여 도 1의 전구(5)에서 발광된 빛이 외부로 최대한 방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망상 박판을 원통형상으로 굽힌 다음 양단부를 맞대고 용접한다. 이때 양단부를 맞대고 직접 용접하거나 도 3a에서와 같이 양단부(21a)(21b)가 맞대어진 부분에 보강 부재(24)를 대고 용접하여 원통부(21)를 제작한다.
이때, 상기 망상 박판의 양단부(21a)(21b)가 겹쳐진 상태로 용접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용접 부분에 단이 생길 경우에 공진기(20)가 도파관(3)에 조립될 때 공진기(20)와 도파관(3)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어 이 틈새로 마이크로파가 누설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 상기 뚜껑부(25)를 제작하기 위해서 스테인레스강 또는 인청동 재질로 된 소정 두께의 금속 박판을 원형상으로 절단하고, 상기한 원통부(21)와 같이 망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에칭(etching) 가공하여 홀(20b)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망상 박판을 원통부(21)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둘레의 가장 자리를 절곡시켜 뚜껑부(25)를 제작한다.
다음, 상기에서 제작된 원통부(21)와 뚜껑부(25)를 결합시켜 결합부를 용접하여 공진기(20)를 제작하고, 이와 같이 제작된 공진기(20) 표면에 빛의 반사율이 높아지면서 표면의 전기 저항이 줄어들도록 은이나 백금 또는 백금족 등으로 표면을 도금하여 공진기(20)를 완성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공진기는 사각 박판과 원형 박판을 각각 에칭 가공하여 홀을 형성한 다음 상호 용접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공진기 제작 과정이 복잡해짐은 물론 마이크로파 에너지가 빛 에너지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열에 의해 용접 부분이 떨어질 경우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누설될 수 있는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용접 공법을 이용하여 공진기를 제작하게 되면 용접된 부분이 떨어지지 않더라도 공진기(20) 내의 전구(5)로부터 발생되는 고열에 의해 용접 부분이 산화되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신뢰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특히, 상기한 공진기(20)의 원통부(21)를 형성할 때 맞대어 용접한 부분과 원통부(21)와 뚜껑부(25)를 결합시켜 용접한 부분에는 홀(20b)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전구(5)에서 발광된 빛이 통과하지 못하여 공진기(20) 전체의 개구율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조명 장치의 광 효율도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망상 구조로 이루어진 부분을 용접하지 않고 이음매 없이 연속하여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마이크로파가 누설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전체 개구율을 높일 수 있게 되어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주 공법(Electro-forming)을 이용하여 이음매 없이 일체형으로 제조함으로써 공진기의 제작이 용이해짐은 물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공진기를 제작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공진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 및 B-B선 방향의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의 공진기 제조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공진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공진기가 구비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 제조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공진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공진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마그네트론 52 : 도파관
53 : 도판관 본체 54 : 도파관 커버
54a : 출구부 55 : 모터축
56 : 전구 모터 57 : 전구
60 : 공진기 61 : 망상부
62 : 둘레부 63 : 전면부
65 : 고정환부 65a : 절개부
70, 80 : 공진기 71, 81 : 망상부
75, 85 : 고정환부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는 도파관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도파관을 통해 전송된 마이크로파는 차단하면서 전구에서 발광된 빛은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금속망 구조로 이루어진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는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막힌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망상 구조가 이음매 없이 연속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는 원통형 또는 다단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원추 곡선체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제조 방법은, 이음매가 없는 망상 구조를 갖도록 전주 공법(Electro -forming)을 이용하여 공진기를 일체로 형성하는 공진기 형성단계와; 상기 공진기를 열처리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단계와; 상기 공진기의 표면을 빛의 반사율이 높아지도록 금속 도금하는 표면 도금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가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도면으로서, 도 5는 공진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공진기의 설치 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공진기(60)는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막혀 있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도파관(52)을 통해 전달된 마이크로파 에너지에 의해 내부에 봉입된 물질이 플라즈마화되면서 빛을 발생시키는 전구(57)가 내재된다.
상기 공진기(60)는 마이크로파는 차단하면서 전구(57)에서 발광된 빛은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금속 망상 구조를 갖고, 이 망상 구조는 전주 공법으로 형성되어 이음매 없이 연속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공진기(60)는 원통의 둘레부(62)와 막혀있는 전면부(63)에 망상 구조로 된 망상부(61)가 형성되는 데, 특히 둘레부(62)와 전면부(63)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상호 결합되지 않고 연속하여 일체형으로 동시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공진기(60)는 망상부(61)를 이루는 다수의 홀(61a)이 전부분에 걸쳐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진기(60)는 도파관(52)의 출구부(54a)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개방된 일측의 둘레 부분에 망상 구조가 형성되지 아니하고 막혀 있는 모양의 고정환부(65)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환부(65)에는 상기 도파관(52)의 출구부(54a)에 조립할 때 원주 방향으로 확장되면서 용이하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끝단부에 원통 방향으로 다수의 절개부(65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공진기(60)는 전주 공법 등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됨에 따라 모형인 마스터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개방된 부분 즉, 고정환부(65)로부터 막혀있는 전면부(63)로 갈수록 내경 즉, 단면적이 같거나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공진기의 조립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파관(52) 본체(53)의 일측면에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51)이 조립되고, 도파관 본체(53)의 개방된 전면에는 마이크로파가 출력되도록 출구부(54a)가 형성된 도파관 커버(54)가 결합된다.
상기 도파관 커버(54)의 출구부(54a)는 원통형상으로 일정 길이만큼 앞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도파관 본체(53)와 도파관 커버(54)의 중앙에는 전구(57)를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축(55)이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고, 도판관 본체(53)의 뒤쪽에는 상기 모터축(55)을 회전시키는 전구 모터(56)가 고정되며, 상기 도파관 커버(54)의 앞쪽에는 상기 모터축(55)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전구(57)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파관 커버(54)의 출구부(54a)에는 도파관(53)을 통해 전달된 마이크로파는 가두고 상기 전구(57)에서 발광된 빛은 투과시킬 수 있도록 공진기(60)가 설치되는 바, 상기 공진기(60)에서 개방된 쪽인 고정환부(65)를 도파관 커버(54)의 출구부(54a) 외측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고정환부(65)에는 다수의 절개부(65a)가 형성되어 상기 출구부(54a) 외측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공진기(60)의 고정환부(65)가 도파관 커버(54)의 출구부(54a)에 끼워지면 고정환부(65)의 둘레에 고정 밴드 등을 감아 이탈하지 않도록 완전히 고정하게 되면 공진기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파관(52)의 출구부(54a)에 조립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60)는 전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각 부분을 에칭 공법을 통해 제작한 다음 서로 용접하여 결합시키지 않고, 하기에 설명할 전주 공법으로 전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용접 부분이 떨어질 위험이 없고, 망상부(61)를 이루는 다수의 홀(61a)이 막힌 부분 없이 연속하여 형성되므로 그만큼 개구율이 높아져 전구로부터 발광된 빛이 외부로 많이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실시예의 공진기의 제조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주 공법(Electro-forming)으로 한쪽면은 개방되고 반대쪽은 막혀 있는 동시에 이음매 없이 연속된 망상 구조를 갖는 원통체 즉, 공진기를 일체형으로 제작한다(S1).
여기서 전주 공법은 전기 주조라고도 불리는 공법으로서, 정교한 디자인과 입체적인 금속 성형품을 제작하는 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전주 공법은 성형품과 똑같은 모양의 모델을 형성하고, 이 모델에 전기 도금의 원리를 이용하여 금속의 전기분해 침전물을 침착시켜 금속 성형품을 제조하는 공법이다.
이와 같은 전주 공법을 이용하여 공진기를 형성하는 공정(S1)은 크게 마스터를 제작하는 공정(S11), 이 마스터를 이용하여 기본 모체를 성형하는 공정(S12), 상기 기본 모체에 전기 도금 원리로 금속을 침착시켜 공진기를 성형하는 공정(S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스터를 제작하는 공정(S11)은 초기 마스터를 이용하여 최종 마스터를 제작할 수 있는 바, 초기 마스터를 탈지할 수 있도록 세탁한 다음 금속 용액 탱크 안에 넣고 전기 도금식으로 마스터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를 실리콘 실란트로 충전하고 연마 세척하여 최종 마스터를 완료한다.
상기 최종 마스터로 공진기의 기본 모체를 성형하는 공정(S12)은 기본 모체의 분리가 쉽도록 상기 마스터에 기본 이형제를 처리하고 세척한 다음, 이 마스터를 탱크 안에 넣고, 전기 도금식으로 상기 마스터에 일정 두께까지 금속을 침착시켜 기본 모체를 성형하여 상기 마스터로부터 기본 모체를 분리한다.
이때, 상기 탱크 내에는 니켈, 니켈 코발트 합금, 스테인레스강, 동, 동합금 등의 금속물이 혼합되어 이 금속물이 마스터에 침착되면서 기본 모체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마스터는 상기 기본 모체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개방된 부분에서 내측으로 들어갈수록 단면적이 같거나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기본 모체를 이용하여 공진기를 성형하는 공정(S13)은 상기 기본 모체를 금속 용액 탱크에 넣고 회전시키면서 원하는 두께 및 형상이 될 때까지 전기 도금식으로 금속을 기본 모체에 침착시킨 다음, 세척하게 되면 원통체 형상의 공진기가 제조된다.
이때, 상기 공진기는 기본 모체에 침착된 금속으로 인하여 더욱 견고하고 두껍게 성형되고, 전 부분이 일체로 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망상 구조를 형성하는 홀이 막힌 부분 없이 일정 간격으로 균일하게 형성된다.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이 전주 공법을 통해 공진기가 성형되면 상기 전주 공정 과정에서 기본 모체에 도금된 금속 내부에 용존 가스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진공 공간 내에서 400 ~ 700℃ 로 열처리하면서 용존 가스를 제거하여 강도를 보강한다(S2).
다음, 공진기 표면에 발생할 수 있는 전기 저항을 줄이고, 빛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와 같이 열처리한 공진기 표면에 은, 백금, 백금족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도금 처리하여 최종 공진기를 완성한다(S3).
상기한 바와 같이 전주 공법을 이용하여 공진기를 제조하게 되면 도 5에서와 같은 상호 결합부가 없는 일체형으로 된 공진기(60)를 제작할 수 있게 되고, 마스터 및 기본 모체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공진기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공진기(60)의 둘레부(62)와 막혀있는 전면부(63)를 이음매 없이 일체로 형성하는 방법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둘레부(62)와 전면부(63) 즉, 원통부와 뚜껑부를 별도로 제작하여 상호 용접함으로써 공진기를 제작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전주 공법(Electro-forming)을 이용하여 양측이 개방된 원통부를 이음매 없이 일체로 형성하고, 망상 구조를 가진 뚜껑부를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원통부의 개방된 전면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공진기를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공진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한 공진기 제조 방법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는 것으로, 조명 장치의 설계 조건과 필요에 따라 다양한 모양의 공진기를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공진기(70)는 상기한 전주 공법을 통해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개방된 부분에서 내측으로 들어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원통이 연속하여 형성된 다단 원통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공진기(70)는 개방된 쪽인 고정환부(75)를 제외하고는 이음매 없이 연속하여 형성된 망상부(71)로 이루어지고, 망상부(71)를 이루는 다수의 홀은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공진기가 도시된 사시도로서, 상기한 제2 실시예의 공진기와 같이 제1 실시예의 공진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성형된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공진기(80)는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막힌 모양으로 그 절단면이 원추 곡선체 형상 즉, 반구형 또는 포물선형, 타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공진기(80)도 고정환부(85)를 제외하고는 이음매 없이 연속하여 형성된 망상부(81)를 갖게 되고, 이 망상부(81)를 이루는 다수의 홀도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형성되어 전구에서 발광된 빛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는 망상 구조로 이루어진 부분이 용접되어 결합되지 않고 이음매 없이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마이크로파가 용접 부분을 통해 누설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망상의 홀도 막힌 부분이 없이 균일하게 형성되므로 빛의 투과 면적이 확대되어 조명 장치의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제조 방법은 전주 공법(Electro-forming)을 이용하여 공진기를 이음매 없이 일체형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공진기의 제작이 용이해짐은 물론 조명 장치의 설계 조건과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공진기를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11)

  1. 도파관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도파관을 통해 전송된 마이크로파는 차단하면서 전구에서 발광된 빛은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금속망 구조로 이루어진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는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막힌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망상 구조가 이음매 없이 연속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전구가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는 내경이 다른 원통이 연속하여 형성된 다단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구가 내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는 그 절단면이 원추 곡선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구가내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는 개방된 부분에서 내측으로 들어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같거나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는 상기 도파관의 출구부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개방된 일측의 둘레 부분에 망상 구조가 아닌 막혀 있는 모양의 고정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7. 이음매가 없는 망상 구조를 갖도록 전주 공법(Electro-forming)을 이용하여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막힌 통체 형상의 공진기를 일체로 형성하는 공진기 형성단계와; 상기 공진기를 열처리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단계와; 상기 공진기의 표면을 빛의 반사율이 높아지도록 금속 도금하는 표면 도금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제조 방법.
  8. 이음매가 없는 망상 구조를 갖도록 전주 공법(Electro-forming)을 이용하여 양측이 개방된 통체를 형성하고, 망상 구조를 가진 뚜껑 부분을 별도로 제작하여상기 통체의 일측에 부착하여 공진기를 형성하는 공진기 형성단계와; 상기 공진기를 열처리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단계와; 상기 공진기의 표면을 빛의 반사율이 높아지도록 금속 도금하는 표면 도금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제조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 형성단계에서 상기 공진기는 니켈, 스테인레스강, 동합금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제조 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단계는 상기 전주 과정에서 금속 내부에 잔존하는 용존 가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진공 공간 내에서 400 ~ 700℃ 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제조 방법.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도금단계는 은, 백금, 백금족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도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제조 방법.
KR10-2000-0077769A 2000-12-18 2000-12-18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제조 방법 KR100393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769A KR100393780B1 (ko) 2000-12-18 2000-12-18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제조 방법
US09/987,126 US6617793B2 (en) 2000-12-18 2001-11-13 Resonator for microwave light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B011396326A CN1260769C (zh) 2000-12-18 2001-11-28 微波照明装置的谐振器及其制造方法
IT2001MI002547A ITMI20012547A1 (it) 2000-12-18 2001-12-04 Risonatore per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a microonde e suo procedimento di fabbricazione
NL1019531A NL1019531C2 (nl) 2000-12-18 2001-12-11 Resonator voor microgolfverlichtingsapparaat en werkwijze voor de vervaardiging daarvan.
JP2001385038A JP2002279938A (ja) 2000-12-18 2001-12-18 マイクロウェーブを利用した照明装置の共振器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769A KR100393780B1 (ko) 2000-12-18 2000-12-18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569A true KR20020048569A (ko) 2002-06-24
KR100393780B1 KR100393780B1 (ko) 2003-08-02

Family

ID=19703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769A KR100393780B1 (ko) 2000-12-18 2000-12-18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17793B2 (ko)
JP (1) JP2002279938A (ko)
KR (1) KR100393780B1 (ko)
CN (1) CN1260769C (ko)
IT (1) ITMI20012547A1 (ko)
NL (1) NL1019531C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907B1 (ko) * 2005-06-10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전극 조명기기의 공진기 제조 장치
KR100737783B1 (ko) * 2006-04-11 2007-07-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반구형 메쉬망 공진기를 구비한 무전극 램프 구조물
KR100788978B1 (ko) * 2006-02-24 2007-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형 공진기를 구비한 무전극 조명기기
KR100794648B1 (ko) * 2006-05-03 2008-01-14 전자부품연구원 무전극 조명기기의 공진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823931B1 (ko) * 2007-03-30 2008-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통형 공진기
KR100844616B1 (ko) * 2006-05-02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전극 램프용 스크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67624B1 (ko) * 2007-03-27 2008-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전극 조명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722A (ko) * 2002-02-22 2003-08-2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무전극 조명기기의 메쉬 스크린 제조방법
KR100400400B1 (ko) * 2001-11-23 2003-10-0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무전극 조명기기의 공진기 제조방법
KR100446970B1 (ko) * 2002-02-22 2004-09-0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무전극 조명 기기의 외기 차단 장치
CN1324646C (zh) * 2002-11-26 2007-07-0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无电极照明装置的网筛的固定装置以及固定网筛用的螺母
KR100585701B1 (ko) * 2004-09-25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전극 조명기기의 공진기
KR100831209B1 (ko) * 2005-03-14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전극 조명기기의 공진기 구조
KR100761264B1 (ko) * 2005-09-28 2007-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알루미늄 공진기를 구비한 무전극 조명기기
CN103779177A (zh) * 2014-01-21 2014-05-07 电子科技大学 一种用于微波等离子体灯的介质谐振腔
KR101756152B1 (ko) 2016-03-15 2017-07-11 주식회사 키유틸리티 메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7587A (en) * 1982-05-24 1985-03-26 Fusion Systems Corporation Microwave generated electrodeless lamp for producing bright output
JPS6137000U (ja) * 1984-08-09 1986-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イクロ波放電光源装置
AU574435B2 (en) * 1984-03-02 1988-07-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icrowave discharge light source apparatus
JPS61105000U (ko) * 1984-08-09 1986-07-03
JPS61273849A (ja) * 1985-05-29 1986-12-04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イクロ波放電光源装置
US5798611A (en) * 1990-10-25 1998-08-25 Fusion Lighting, Inc. Lamp having controllable spectrum
US5594303A (en) * 1995-03-09 1997-01-14 Fusion Lighting, Inc. Apparatus for exciting an electrodeless lamp with an increasing electric field intensity
JP3202910B2 (ja) * 1995-12-04 2001-08-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イクロ波放電ランプ
US5786667A (en) * 1996-08-09 1998-07-28 Fusion Lighting, Inc. Electrodeless lamp using separate microwave energy resonance modes for ignition and operation
JPH10321039A (ja) * 1997-05-15 1998-12-04 Matsushita Electron Corp マイクロ波放電ランプ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907B1 (ko) * 2005-06-10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전극 조명기기의 공진기 제조 장치
KR100788978B1 (ko) * 2006-02-24 2007-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형 공진기를 구비한 무전극 조명기기
KR100737783B1 (ko) * 2006-04-11 2007-07-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반구형 메쉬망 공진기를 구비한 무전극 램프 구조물
KR100844616B1 (ko) * 2006-05-02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전극 램프용 스크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94648B1 (ko) * 2006-05-03 2008-01-14 전자부품연구원 무전극 조명기기의 공진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867624B1 (ko) * 2007-03-27 2008-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전극 조명기기
KR100823931B1 (ko) * 2007-03-30 2008-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통형 공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MI20012547A1 (it) 2003-06-04
KR100393780B1 (ko) 2003-08-02
NL1019531A1 (nl) 2002-06-19
JP2002279938A (ja) 2002-09-27
CN1260769C (zh) 2006-06-21
US6617793B2 (en) 2003-09-09
NL1019531C2 (nl) 2003-12-08
US20020074917A1 (en) 2002-06-20
CN1360337A (zh) 200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3780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공진기 제조 방법
US20090045750A1 (en) Uv light system
JPS581511B2 (ja) 無電極螢光灯
JP2005174938A (ja) 無電極ランプシステム
KR100393787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0831209B1 (ko) 무전극 조명기기의 공진기 구조
US6774581B2 (en) Electrodeless lamp system
KR100404474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시스템의 공진기 구조 및 그제조방법
CN100356504C (zh) 无电极照明系统
RU2226016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спользующее излучение диапазона сверхвысоких частот
US675288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esh screen of electrodeless lighting system
JP4259276B2 (ja) マイクロ波無電極放電灯装置
US20200357628A1 (en) Microwave Discharge Lamp
KR100480100B1 (ko) 무전극 조명기기의 공진기 제조방법
KR100396770B1 (ko) 마그네트론 일체형 마이크로파 조명 장치
CN210349775U (zh) 一种高效无极灯灯泡及其灯罩
KR20010055802A (ko) 무전극램프의 리플렉터 일체형 공진기 구조
KR100900373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명기구용 공진기의 제조방법
KR100690907B1 (ko) 무전극 조명기기의 공진기 제조 장치
JP3178368B2 (ja) 高周波無電極放電ランプ光反射器と高周波無電極放電ランプ装置
KR20030069722A (ko) 무전극 조명기기의 메쉬 스크린 제조방법
AU8198098A (en) A mode filter for electromagnetic waveguides
KR200331764Y1 (ko) 무전극 조명기기의 공진기 구조
EP1513218A1 (en) Resonator of electrodeless lighting system
JPS61224258A (ja) マイクロ波放電光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