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6946A - 내연기관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제어 및/또는 조절 장치와 내연기관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제어 및/또는 조절 장치와 내연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6946A
KR20020046946A KR1020010078047A KR20010078047A KR20020046946A KR 20020046946 A KR20020046946 A KR 20020046946A KR 1020010078047 A KR1020010078047 A KR 1020010078047A KR 20010078047 A KR20010078047 A KR 20010078047A KR 20020046946 A KR20020046946 A KR 20020046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pressur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8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립마티아스
헤르만베른트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20046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94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2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several injectors fed by a common pumping element, or having several pumping elements feeding a common injecto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cutting-out pumps, pumping elements, or injectors;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variably interconnecting pumping elements and injectors alternatively
    • F02M63/0225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a common rail feeding several injectors ; Means for varying pressure in common rails; Pumps feeding 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3809Common rail contro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2Other methods of operation
    • F02B2075/125Direct injec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for spark ignition engines, i.e. not in pre-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4Diagnosis of the fue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4Diagnosis of the fuel system
    • F02D2041/225Leakage de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8Warnin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50/00Engine control related to specific problems or objectives
    • F02D2250/02Fuel evaporation in fuel rails, e.g. in 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stopping the eng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특히, 차량에 설치된 내연기관(10)에서는 연료 펌프(32)를 이용하여 연료를 연료관(26)에 공급한다. 이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연료 누설을 안전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연료 펌프(32)에 의해서 연료가 공급되지 않으며 연료관(26)이 폐쇄 연료 시스템(20 내지 26)의 일부품을 구성(80, 94)하고 있는 내연기관(10) 상태에서는 폐쇄 연료 시스템(20 내지 26) 내의 연료 압력을 검출한다(82, 86, 100, 104). 상기 폐쇄 연료 시스템(20 내지 26) 내의 압력이 제한값보다 큰 일정량 이하일 때(88, 106) 통보한다(90, 108).

Description

내연기관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어 및/또는 조절 장치와 내연기관{Method for driv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uter program, control and/or regulation device and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특히 차량에 설치된 내연기관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내연기관에서는 연료 펌프를 이용하여 연료를 연료관에 공급한다.
상기 방법은 이미 시장에 공지되어 있다. 이 방법은, 예를 들어 가솔린 직접 분사(BDE) 방식으로 작동하는 내연기관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구동하는 내연기관에 있어서 분사 밸브는 연소실에 직접 배치된다. 연료는 "레일(rail)"이라고도 불리는 연료 분기관(fuel manifold)에 의해서 분사 밸브에 안내된다. 연료 분기관의 연료는 고압 연료 펌프에 의해서 매우 높은 압력 상태로 설정된다. 다시 연료는 저압 연료 펌프를 통과하여 고압 연료 펌프에 안내된다.
상기 고압 연료 펌프는 플랜지 형태로 내연기관에 직접 부착되며 캠축에 의해서 구동된다. 내연기관의 오일 충전 영역과 고압 연료 펌프의 연료 충전 영역 사이에 구성된 패킹은 하나 이상의 O-링으로 형성된다. 이 패킹은 고압 연료 펌프의 연료가 내연기관의 오일 충전 영역에 침입하여 오일이 희석됨으로써 내연기관이 손상될 수 있는 것을 반드시 방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가능한 우수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점에 기초하여 보통 고압 연료 펌프의 연료 충전 영역과 내연기관의 오일 충전 영역 사이에는 누설로 인하여 스며든 연료를 연료 탱크로 배출하기 위한 공간이 제공된다.
그렇지만, 예를 들어 제조상의 결함으로 인하여 고압 연료 펌프와 내연기관 사이에 배치된 패킹 부품이 손상되면, 내연기관의 오일 충전 영역에 연료가 침입하는 누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누설은, 예를 들어 센서로 검출할 수 있지만 이 센서의 비용과 경고 방식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한다.
서두에 언급한 종류로서 다른 방법이 시장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 방법에서는 흡기관 분사 방식으로 구동되는 내연기관이 사용된다. 이 경우, 연료는 저압 연료 펌프에 의해서 탱크로부터 분사 밸브가 배치된 연료관에 직접 공급된다. 전류가 흐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분사 밸브가 폐쇄된다. 이 분사 밸브들 중 하나가 조여져 있기는 하지만 내연기관이 정지되어 있을 때 연료관 내에서 압력 상태로 존재하는 연료가 분사 밸브로부터 흡기관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것은 내연기관이 재시동할 때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 언급한 종류의 방법을 확실하면서 간편하고 저렴한 기술과 방식으로 연료 누설을 검출할 수 있도록 개선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서두에 언급한 종류의 방법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상기 목적은, 내연기관에서 연료 펌프에 의해 연료가 공급되지 않으며 연료관이 폐쇄 연료 시스템의 일부품을 이루고 있을 때 폐쇄 연료 시스템의 연료 압력을 검출하여 이 폐쇄 연료 시스템 내의 압력이 제한값보다 큰 일정량만큼 낮아질 때 통보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내연기관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내연기관의 고압 연료 펌프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내연기관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 1 구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내연기관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 2 구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내연기관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내연기관12: 연소실
14: 흡기관16: 배기관
18: 분사 밸브20: 연료 분기관
22: 연료 펌프24: 고압 연료관
도 1에서는 도면부호 10으로 표기한 내연기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다. 상기 내연기관은 복수의 연소실을 포함하지만, 알기 쉽게 표현하기 위하여 이들 중에서 하나의 연소실(12)만을 도시하며, 이때 연소실에는 흡기관(14)을 거쳐서 공기가 공급된다. 배기 가스는 배기관(16)을 거쳐서 배출된다.
연료는 분사 밸브들을 통하여 연소실(12)에 직접 공급되지만, 이 경우에도 물론 도 1에서는 복수의 분사 밸브들 중 하나만을 도시한다. 상기 분사 밸브(18)는 "레일"로서 표현하는 연료 분기관(20)에 연결된다. 다시, 연료는 고압 연료 펌프(22)에 의해서 상기 연료 분기관에 공급되어 압력 상태로 존재한다. 고압 연료 펌프(22)와 연료 분기관(20) 사이에는 고압 연료관(24)이 제공된다.
상기 고압 연료 펌프(22)로부터 저압 연료관(26)이 탱크(28)에 연결된다. 저압 연료관(26)에는 연료 필터(30)와 전자식 저압 연료 펌프(32)가 배치된다. 저압 연료관(26)에는 이분관(34)을 거쳐서 저압 조절기(36)가 연결된다. 또한, 누설관(38: leakage pipe)에는 고압 연료 펌프(22)와 이분관(34)이 연결된다.
상기 고압 연료 펌프(22)와 필터(30) 사이에는 탱크(28)쪽으로 차단된 체크 밸브(40)와 압력 댐퍼(42)가 제공된다. 역류관(44)은 한편으로 고압 연료 펌프(22)와 연료 분기관(20) 사이에서 고압 연료관(24)과 결합되고, 다른 한편으로 압력 댐퍼(42)와 제 2 체크 밸브(40) 사이에서 저압 연료관(26)과 결합된다. 상기 역류관(44)에는 자기 제어 밸브(44)가 연결된다. 이 자기 제어 밸브로서는 2/2 회로 밸브가 사용되며, 이 밸브는 한쪽 극단 위치에서 역류관(44)을 완전히 차단하며다른 극단 위치에서 역류관(44)을 완전히 개방한다. 상기 자기 제어 밸브(46)는 자기 조절기(48)에 의해서 작동한다. 전류가 흐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자기 제어 밸브(46)가 스프링(50)에 의해서 완전 개방되어 있는 극단 위치로 압축된다.
상기 연료 분기관(20)은 압력 제한 밸브(52)와 연결되며, 다시 이 압력 제한 밸브는 압력 댐퍼(42)와 필터(30) 사이에서 저압 연료관(26)과 유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압력 제한 밸브(52)로서는 스프링 하중식 구형 밸브가 사용된다.
상기 연료 분기관(20)의 압력은 압력 센서(54)로 검출하며, 다시 이 압력 센서는 제어 및 조절 장치(56)에 해당 신호를 전달한다. 제어 및 조절 장치(56)의 입구쪽에는 점화키(ignition key: 도시 안함)의 원격 위치 지시기(58: remote position indicator)가 연결된다. 제어 및 조절 장치(58)의 출구쪽에서는 자기 제어 밸브(46)의 자기 조절기(48), 전자식 저압 연료 펌프(32) 및 분사 밸브(18)를 제어한다.
정상 구동 상태에서는 연료 분기관(20)이 고압 연료 펌프(22)에 의해서 압력 상태로 존재한다. 연료 분기관(20) 내의 연료 압력은 압력 센서(54)와 자기 제어 밸브(46)를 포함한 폐쇄 조절 회로에 의해서 조절된다.
도 2에서는 상기 고압 연료 펌프(22)를 상세히 도시한다. 이 고압 연료 펌프로서는 별 모양으로 배치된 배수 피스톤(도면부호 없음)을 구비한 피스톤 펌프가 사용된다. 피스톤 펌프는 하우징(60)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 내에는 중앙 구동축(62)이 수용된다. 구동축(62)은 하우징(60)의 한쪽에 배치된 베어링(64)에 의해 지지된다. 도 2의 왼쪽에는 고압 연료 펌프(22)의 하우징(60)에서구동축(62)과 동축으로 형성된 구멍(68)을 도시한다. 상기 구멍(68)에는 여기서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은 커플링에 의해서 구동축(62)과 회전 고정식으로 결합된 캠축(70)의 일단부가 맞물린다. 도 1에서도 캠축(70)을 도시하였는데, 도 1에서는 구동축(62)과 캠축(70)의 기계적 결합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상기 하우징(60)은 내연기관(10)의 엔진 블록(도시 안함)에 플랜지 형태로 결합된다. 도 2의 오른쪽에 배치된 고압 연료 펌프(22)의 연료 충전 영역은 도 2의 왼쪽에 배치된 내연기관(10)의 오일 충전 영역에 대하여 샤프트 패킹(72, 74: shaft packing)에 의해서 밀폐된다. 상기 양 패킹(72, 74)들 사이에는 사이 공간 (76)이 형성되며, 이 공간으로부터 누설 연료가 공급관(38)을 거쳐서 탱크 (28)에 공급된다.
예를 들어 패킹(72) 및/또는 패킹(74)이 파손되어 누설량이 너무 커지면, 내연기관(10)의 오일 충전 영역에 연료가 침입하게 되는 위험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오일이 희석될 뿐만 아니라 오일의 윤활 특성이 저하되는데, 이것은 내연기관(10)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과도한 누설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제어 및 조절 장치(56)는 내연기관(10)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한다(도 3 및 도 4 참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시동(도 3의 블록 78)한 후에, 내연기관(10)이 구동 상태인지를 검사한다. 이 검사는 점화키의 원격 위치 지시기(58)의 응답 여부로 실시할 수 있다. 블록(80)에서는 구동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응답의 결과가 "아니오"이면 연료 펌프(32)는 연료를 공급하지 않는다. 물론, 연료 펌프(32)의 정지상태로서는 다른 모든 형태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후, 블록(82)에서는 압력 센서(54)의 압력 신호를 판독하여 압력(P1)으로서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내연기관(10)이 중지된 상태에서는 자기 조절기(48)에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2/2 자기 제어 밸브(46)는 스프링(50)에 의해서 완전 개방 위치로 압축되며, 그 결과 고압 연료관(24)은 역류관(44)을 거쳐서 저압 연료관(26)과 연결된다. 따라서, 양 연료관(24, 26)들에는 동일한 압력이 존재하며, 이 압력을 압력 센서(54)로 검출한다. 도시하지 않은 실시예에 있어서, 고압 영역과 저압 영역을 연결하기 전에는 내연기관의 온도를 검출하지만, 고압 영역의 압력 하강시 고압 영역에서 온도에 따른 연료 증기가 형성될 우려가 없을 때에만 고압 영역과 저압 영역이 연결된다.
도시하지 않은 실시예에 있어서, 자기 제어 밸브(46)는 전류가 흐르지 않은 상태에서 폐쇄된다. 이 때문에, 저압 연료관(26)과 연결함으로써 고압 연료관(24)에서 원치 않는 압력 강하를 방지하는데, 이것은 내연기관(10)을 구동시키기 위한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고압 연료관(24)과 연료 분기관(20) 내에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것은, 다시 다음 시동시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먼저 고압 연료관(24) 혹은 연료 분기관(20)의 압력 강하시에 증기 발생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온도가 상당히 낮아질 때까지 조작한다. 그후, 먼저 자기 제어 밸브(46)가 제어 및 조절 장치(56)에 의해서 작동되어 개방된다.
블록(82)에서 압력(P1)을 측정한 후에, 소정의 시간(t) 동안 기다린다(블록 84). 이 시간 간격(t)이 지난 후에 블록(86)에서 압력 센서(54)에 의해 검출된 압력(P2)을 판독한다. 그후, 블록(88)에서 압력(P2)과 압력(P1)의 차이를 판별한다. 여기서는 연료 분기관(20), 고압 연료 펌프(22), 고압 연료관(24) 및 저압 연료관(26)으로 구성된 폐쇄 연료 시스템 내에서 시간 간격(t) 동안 형성된 압력 강하를 다룬다. 이 압력 강하(P1-P2)는 블록(88)에서 제한값(PG)과 비교된다. 압력 강하량이 제한값보다 크다면 블록(88)에서 질문에 대한 응답은 "예"이며, 이것은 연료 시스템에 누설이 발생했음을 나타내고 다시 블록(90)에서 플래그 F를 설정한다. 도 3에 도시한 방법은 종료 블록(92)에서 종료된다. 누설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어 연료가 가열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압력 상승의 위험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는 차이(P1-P2)의 부호로 알 수 있다.
블록(80)에서는 내연기관(10)이 구동하는 경우에 "예"라고 응답하며, 다시 블록(94)에서는 내연기관(10)이 추진 구동 상태로 작동하는지를 검사한다. 이러한 추진 구동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연료가 분사 밸브(18)에 의해서 연소실(12)에 분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블록(96)에서는 저압 연료 펌프(32)가 중단될 수 잇다. 이것은 블록(96)에서 실시되며, 이후 블록(98)에서는 자기 제어 밸브(46)가 완전 개방되도록 제어되며, 그 결과 고압 연료관(24)이 저압 연료관(26)과 연결된다.
이후, 블록(100)에서는 상술한 방식대로 압력(P1)이 측정된다. 시간 간격(t: 블록 102) 후에, 블록(104)에서는 압력(P2)이 측정되며 블록(106)에서는 P1과 P2 사이의 압력 강하가 제한값(PG)과 비교된다. 압력 강하가 제한값을 넘어서는 경우에, 블록(108)에서 플래그 F가 설정된다. 이외에도, 블록(110)에서는 내연기관(10)의 사용자, 예를 들어 차량의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경고를 표시한다.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연료 시스템의 누설을 표시한다. 또한, 종료 블록(92)에서 본 방법을 종료한다. 상술한 방법은 다른 형태로 발생된 압력 상승에서도 유효하다. 도시하지 않은 실시예에 있어서, 에러 메모리에서는 플래그 F의 설정뿐만 아니라 현장의 진단 장치에 의해서 판독될 수 있는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어 및 조절 장치(56)에서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른 것으로서 플래그 F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블록(112)에서 시동 후에 다시 블록(114)에서 원격 위치 지시기(58)는 점화키(도시 안함)의 위치와 이동에 관하여 질문한다. 점화가 실시되어 시동 과정이 시작되었다면(블록 114에서 질문에 대한 응답은 "예"), 블록(116)에서 플래그 F가 설정되었는지를 질문한다. 이것은 제어 신호가 제어 및 조절 장치(56)로부터 전달되는 경우이며, 이로 인하여 저압 연료 펌프(32)가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블록 118). 이로써, 예를 들어 오일이 심하게 희석되어 내연기관을 손상시키는 원인이 되는 손상된 패킹(72 및/또는 74)으로 인한 누설이 확인될 때 내연기관(10)의 작동을 중단한다. 상기 방법은 종료 블록(120)에서 종료한다. 플래그 F가 설정되지 않는다면, 이 경우를 블록(116)에서 검출하고 내연기관(10)의 일반적인 시동 시퀀스를 시작한다(블록 122).
도 5에서는 내연기관(10)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내연기관은 가솔린 직접 분사 방식(BDE)이 아니라 흡기관 분사 방식으로 작동한다. 제 1 실시예의 부품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은 도 5에서도 동일 도면부호를 부여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한 내연기관에서 사용되는 저압 연료 펌프(32)는 일반적으로 내연기관(10)에 의해서 직접 구동되지 않고 전기 모터를 거쳐서 구동된다. 이 경우에는 저압 연료 펌프(32)와 내연기관(10) 사이에서 누설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분사 밸브(18)는 닫혀지며 전류가 흐르지 않은 상태에서 필요하다면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이것은, 내연기관(10)이 중단될 때 저압 연료관(26) 내에서 압력 상태로 존재하는 연료가 분사 밸브(18)를 통과하여 흡기관(14)에 유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후 내연기관(10)이 시동하게 되면 누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분사 밸브(18)에 결함이 발생하면서 형성된 누설도 검출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한 내연기관에서도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제어 및 조절 장치(56)의 방법이 사용된다.
연료 시스템이 완전하다는 가정하에서, 다시 말해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여 연료가 탱크(28)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방법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내연기관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연료 펌프가 연료를 연료관에 공급하지 않을 때에도 폐쇄 시스템의 일부품이기도 한 연료관의 압력을 유지한다. 이러한 방식은 연료관에서 압력 강하가 발생하면서 내연기관이 재시동할 때 연료 공급을 저하시킬 수 있는 연료 증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폐쇄 연료 시스템의 압력을 검출하여 압력이 확실하게 낮아졌는지를 결정함으로써, 이 폐쇄 연료 시스템의 누설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폐쇄 연료 시스템의 압력 측정은 내연기관이 구동할 때 연료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압력 센서가 제공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추가의 센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추가의 센서나 고가의 누설 검출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연료 누설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연기관은 추가의 비용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확실하게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 방법을 종속항에서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개선 방법으로서는 압력 강하량이 소정의 시간 동안 제한값을 초과할 때만 통보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누설에 기초한 압력 강하가 예를 들어 비교적 느리게 형성되는 연료 시스템 내의 온도 변화에 기초한 압력 강하보다 클 때를 검출할 수 있다. 이로써 누설 검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내연기관이 중단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연료 시스템 내의 압력을 검출한다. 내연기관이 중단된 이후에는 연료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누설 검출이 특히 양호하게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내연기관이 작동하는 동안 연료 펌프를 적절한 구동 시점에서 짧은 시간 동안 중단시키고 폐쇄 연료 시스템 내의 압력 강하를 검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누설 체크는 자주 실시될 수 있는데, 이것은 내연기관의 구동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내연기관이 추진 구동 상태에 있는 동안 연료 펌프를 중단하고 폐쇄 연료 시스템의 압력을 검출할 때 바람직하다. 상기 내연기관의 추진 구동 상태 동안, 오늘날의 내연기관에서는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의 연소실에 연료가 분사되지 않는다. 이 추진 구동 상태에서도 연료 공급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내연기관의 구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도 연료 펌프를 중단시킬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통보"의 뜻은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보 방식으로는 예를 들어 소정의 질문 상태를 설정하거나/설정하고 에러 메모리에 기록하거나/기록하고 비상 및/또는 경고 통보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질문 상태와 관련하여 누설이 검출될 때의 질문이 설정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하면 정상 상태에서 설정된 질문은 누설이 검출될 때 해제될 수도 있다.
상기 질문 상태 또는 에러 메모리에 기록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현장에서 사용되는 진단 장치에 의해서 판독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현장에서는 곧바로 연료 시스템의 누설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비상 및/또는 경고 통보에 의해서 내연기관의 사용자, 예를 들어 차량의 운전자는 누설 문제를 인식하기 때문에 상황에 해당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복수의 제한값이 제공될 수 있는 경우에는 이 제한값을 압력 강하와 비교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누설 정도를 결정하고 이 결과에 따라서 예를 들어 비상 및 경고 통보를 출력한다.
누설이 확인될 때, 예를 들어 내연기관의 오일 저장부에 연료가 침입하여 이 오일이 희석되면서 오일의 윤활 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내연기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개선 방법을 제안하는데, 이 방법에서는 내연기관이 시동되면서 에러 메모리 및/또는 질문이 판독되며 에러 메모리에 기록될 때 및/또는 상응하는 질문 상태에서 안전한 조치가 실시됨으로써, 보통 내연기관의 계속적인 작동을 중단시킨다.
가솔린 직접 분사(BDE)식 내연기관은 보통 고압 영역과 저압 영역을 구비한 연료 시스템을 포함한다. 주로, 고압 영역의 압력은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저압 영역의 압력을 모니터링하고 이로써 상응하는 누설을 확인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라서 연료 펌프가 연료를 공급하지 않을 때 연료 시스템의 고압 영역은 동일한 압력 상태로 존재하며 고압 영역의 압력을 검출하는 형태로 연료 시스템의 저압 영역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개선 방법에서는 고압 영역의 압력이 저압 영역의 압력보다 낮아질 때 연료가 연료 증기를 발생시키지 않을 정도로 고압 영역의 온도가 낮아질 때에만 고압 영역이 저압 영역과 연결되는 것을 제안한다. 이 개선 방법에서는 내연기관이 구동할 때 가열된 내연기관의 부품들이 연료관을 가열시키며 이 때문에 연료를 가열시키고 결과적으로 연료 증기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된 연료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연료 공급을 저하시키는 상응하는 시스템에서 연료 증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소위 내연기관의 "예열 시동"이라 불리는 것으로서 가열된 상태에서 재시동할 때 시동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 문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술한 방법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모리, 특히 플래시메모리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본 발명은 연료 펌프를 이용하여 연료를 연료관에 공급하는 특히 차량에 설치된 내연기관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및/또는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제어 및/또는 조절 장치는 연료 시스템 내의 누설을 확실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방법을 제어 및 조절하기에 적합하다. 여기서, 다시 상기 제어 및/또는 조절 장치에는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연료관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펌프와 연료관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를 구비한 내연기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내연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연료 누설을 확실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내연기관에 상술한 방식의 제어 및/또는 조절 장치를 제공하여 압력 센서의 신호를 처리한다.

Claims (14)

  1. 특히 차량에 설치된 것으로서 연료 펌프(32)를 이용하여 연료를 연료관(26)에 공급하는 내연기관(1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10)에서 연료 펌프(32)에 의해 연료를 공급하지 못하며 연료관(26)이 폐쇄 연료 시스템(20, 22, 24, 26)의 일부품을 구성하고 있는 상태(80, 94)일 때, 상기 폐쇄 연료 시스템(20, 22, 24, 26)에서 연료 압력을 검출(82, 86, 100, 104)하고, 이 폐쇄 연료 시스템(20, 22, 24, 26) 내의 압력이 제한값(PG)보다 큰 일정량(P1-P2) 이하일 때(88, 106), 통보(90, 108)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90, 108)는 압력 강하량(P1- P2)이 소정의 시간 동안(84, 102) 제한값(PG)을 초과(88, 106)할 때만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시스템(20, 22, 24, 26) 내의 압력은 내연기관(10)을 중단한 후 일정 시간 동안 검출(82, 86, 100, 104)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10)이 구동하는 동안 연료 펌프(32)를 적절한 작동 시점(94)에서 짧은 시간 동안 중단(96)하고, 폐쇄 시스템(20, 22, 24, 26)의 압력 강하(P1-P2)를 검출(100, 104)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10)의 추진(94) 동안 연료 펌프(32)를 중단(96)하고 폐쇄 시스템(20 내지 26)의 압력을 검출(100, 104)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는 소정의 질문 상태를 설정하거나/설정(90, 108)하고 에러 메모리에 기록하거나 및/또는 기록하며 비상 및/또는 경고 통보를 출력(110)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10)이 시동(114)되면 에러 메모리 및/또는 질문을 판독(116)하고, 에러 메모리의 기록 상태 및/또는 상응하는 질문 상태에서 주로 내연기관의 계속적인 시동을 중단(118)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펌프(32)가 연료를 공급하지 않을 때, 연료 시스템(20 내지 26)의 고압 영역(20, 24)은 연료 시스템(20 내지 26)의 저압 영역과 결합되어 동일 압력을 이루며 고압 영역(20, 24)의 압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영역(20, 24)은 이 고압 영역(20, 24)의 압력이 저압 영역(26)의 압력보다 낮아질 때 고압 영역(20, 24)의 온도가 연료 증기를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낮아질 때에만 저압 영역(26)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10.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1. 제 10 항에 있어서, 메모리, 특히 플래시메모리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2. 특히 차량에 설치된 것으로서, 연료 펌프(32)를 이용하여 연료를 연료관(26)에 공급하는 내연기관(1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및/또는 조절 장치(56)에 있어서,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9 항에 따른 방법을 제어 및/또는 조절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및/또는 조절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청구항 제 8 항 또는 제 11 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및/또는 조절 장치.
  14. 연료를 연료관(26)에 공급하는 연료 펌프(32)와 연료관(26) 내의 압력(P1, P2)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54)를 구비한 내연기관(10)에 있어서,
    청구항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따른, 압력 센서(54)의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및/또는 조절 장치(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KR1020010078047A 2000-12-12 2001-12-11 내연기관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제어 및/또는 조절 장치와 내연기관 KR200200469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61855A DE10061855C2 (de) 2000-12-12 2000-12-12 Verfahren, Computerprogramm und Steuer- und/oder Regelgerät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sowie Brennkraftmaschine
DE10061855.3 2000-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946A true KR20020046946A (ko) 2002-06-21

Family

ID=766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8047A KR20020046946A (ko) 2000-12-12 2001-12-11 내연기관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제어 및/또는 조절 장치와 내연기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999508B2 (ko)
KR (1) KR20020046946A (ko)
DE (1) DE10061855C2 (ko)
FR (1) FR28179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9331B3 (de) 2003-06-30 2005-05-25 Siemens Ag Verfahren zur Diagnose eines Volumenstromregelventils bei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Hochdruck-Speichereinspritzsystem
DE10351893A1 (de) 2003-11-06 2005-06-0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4005851B4 (de) * 2004-02-06 2012-08-23 Audi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r Kraftstofffördervorrichtung
DE102005004423B3 (de) * 2005-01-31 2006-06-14 Siemens Ag Verfahren zum Überwachen der Funktionsfähigkeit eines Kraftstoffeinspritzsystems
JP4453623B2 (ja) * 2005-07-19 2010-04-21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噴射装置および燃料噴射装置の異常検出方法
JP4438712B2 (ja) * 2005-07-25 2010-03-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7392792B2 (en) * 2006-08-21 2008-07-01 Caterpillar Inc. System for dynamically detecting fuel leakage
DE102008060260B4 (de) * 2008-08-19 2015-10-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Diagnosemodul und -verfahren für die Hochdruckseite von Kraftstoffsystemen bei Maschinen mit gemeinsamem Kraftstoffverteilerrohr
FR2982643B1 (fr) * 2011-11-14 2014-01-0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etecteur de fuite et de bulle d'air dans un conduit d'alimentation en carburant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a injection a haute pression
SE541143C2 (sv) 2013-04-09 2019-04-16 Scania Cv Ab Anordning för bränslematning samt förfarande i samband därmed
KR101518946B1 (ko) * 2013-12-18 2015-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커먼 레일 디젤 엔진의 진단 방법 및 시스템
DE102018007473B4 (de) * 2018-09-21 2021-09-30 Psa Automobiles Sa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Kraftstoffpumpe und eine dementsprechende Kraftstoffversorgu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3158A1 (de) * 1995-04-07 1996-10-10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r Erkennung eines Lecks in einem Kraftstoffversorgungssystem
DE19521791A1 (de) * 1995-06-15 1996-12-19 Daimler Benz Ag Verfahren zum Erkennen von Betriebsstörungen in einer Kraftstoffeinspritzanlage einer Brennkraftmaschine
JPH0932617A (ja) * 1995-07-13 1997-02-04 Nissan Motor Co Ltd 火花点火式内燃機関
DE19727794C1 (de) * 1997-06-30 1999-01-28 Siemens Ag Verfahren zum Überprüfen einer Kraftstoffversorg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17915B1 (fr) 2003-12-19
FR2817915A1 (fr) 2002-06-14
DE10061855C2 (de) 2003-05-22
JP3999508B2 (ja) 2007-10-31
JP2002201988A (ja) 2002-07-19
DE10061855A1 (de) 200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270480A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US7661409B2 (en) Operating method and device for a gas-opera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791671B2 (ja) 圧力センサの較正方法および装置
US20090250038A1 (en) Flow sensing fuel system
US6401698B1 (en) Vehicle fuel gas supply system
US20030226399A1 (en) Diagnostic system for identifying fuel injector failure in a fuel cell system
KR19980703636A (ko) 연료공급 시스템에서 누출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장치
US9494099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rive unit and drive unit
KR20020046946A (ko) 내연기관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제어 및/또는 조절 장치와 내연기관
KR20100014658A (ko) 셧 오프 밸브의 진단 방법
US7360408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fuel pressure related fault and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based on the fault
US7171952B2 (en) Method, computer program, control and/or regulation device for operatio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fuel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650933B1 (ko) 엘피엘아이 시스템의 가스누출 모니터링장치
US20150167621A1 (en) Method of controlling startup of vehicle
JP2013104343A (ja) 燃料遮断弁診断装置
JPH11183309A (ja) 内燃機関の高圧燃料回路検査方法
JP4138395B2 (ja) 液化ガス燃料供給装置
CN113550845B (zh) 用于车辆的燃油供给系统及其泄漏检测方法
KR100746916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 라인 압력 조절장치 및 모니터링방법
KR100467857B1 (ko) 가스연료 차량용 연료유출 방지장치
KR100749243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 공급 라인 누설 진단 방법
JP2003239817A (ja) 内燃機関の駆動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開制御および/または閉ループ制御装置、および内燃機関
US10857873B2 (en) Evaporated fuel treatment device
KR100405711B1 (ko) 커먼레일 디젤 엔진의 연료누유 감지방법
US20230016408A1 (en) Detecting a fuel leak in an engine fue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