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5712A -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5712A
KR20020045712A KR1020000075096A KR20000075096A KR20020045712A KR 20020045712 A KR20020045712 A KR 20020045712A KR 1020000075096 A KR1020000075096 A KR 1020000075096A KR 20000075096 A KR20000075096 A KR 20000075096A KR 20020045712 A KR20020045712 A KR 20020045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right gripper
hands
gripper hands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5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9171B1 (ko
Inventor
조정배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75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171B1/ko
Publication of KR20020045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5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0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engines, clutches or trans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Abstract

차량의 양산라인에서 엔진룸 내에 배터리의 투입시, 정확한 사양의 배터리를 견고하게 클램핑하여 엔진룸 내 배터리 트레이에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를 제공할 목적으로,
차량의 양산라인에서 로봇 시스템을 통하여 엔진룸 내 배터리 트레이 상에 배터리를 투입하기 위하여 해당 배터리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에서,
로봇 아암의 끝단에 플랜지를 통하여 장착되며, 하단면에는 횡방향으로 레일이 구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레일에 각각 레일 가이드를 통하여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게 장착되며, 각각의 하단에는 그리퍼가 볼트 체결되는 좌,우측 그리퍼 핸드와;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를 상호 연결하고, 중앙부에는 랙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좌측 그리퍼 핸드에 고정되고, 타단은 우측 그리퍼 핸드를 스토퍼에 의해 지지함과 동시에, 스토퍼의 내측으로 우측 그리퍼 핸드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랙 바아와; 상기 제1 랙 바아와 동일 수평선상에서 이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중앙부에는 상기 제1랙 바아의 랙에 대응하여 랙이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우측 그리퍼 핸드에 고정되고, 타단은 좌측 그리퍼 핸드를 스토퍼에 의해 지지함과 동시에, 스토퍼의 내측으로 좌측 그리퍼 핸드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랙 바아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피니언 축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제2 랙 바아의 양 랙 사이에서 치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면에 고정 브라켓을 통하여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 중 하나와 피스톤 로드를 통하여 작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는 공압 실린더와;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단에 구성되어 배터리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 사이에 배터리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배터리 감지수단과;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 사이에 진입되는 배터리의 폭에 따른 배터리의 사양을 감지하는 배터리 사양 감지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CLAMPING APPARATUS FOR INSERTING BATTERY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양산라인에서 엔진룸 내에 배터리의 투입시, 정확한 사양의 배터리를 견고하게 클램핑하여 엔진룸내 배터리 트레이에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기까지의 모든 양산라인은 2만 여개의 부품을 수많은 조립공정을 통하여 조립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차량의 양산라인에서 엔진룸 내에 배터리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로봇아암의 끝단에 클램핑 장치를 장착한 로봇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배터리 적재랙에서 벨트 컨베이어 상에 배터리를 로딩하는 이송기와, 이 벨트 컨베이어 상에 이송된 배터리를 엔진룸 내에 투입하는 투입기로 이루어진 전용기를 이용하게 되며, 대차를 통하여 각 공정라인을 진행하는 차량의 엔진룸 내 배터리 트레이상에 정확한 사양의 배터리를 클램핑하여 투입 및 안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터리 적재랙 상의 각 사양의 배터리를 엔진룸 내의 배터리 트레이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배터리를 정확한 위치에서 클램핑 및 언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며, 도 6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의 작동전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로봇 시스템에 적용되는 일례를 들면, 로봇 아암(1)의 끝단에 장착되는 장착 프레임(101)에 연결부재(103)를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5)가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5)의 하면에는 중앙부에 고정 브라켓(107)을 통하여 2개의 컴팩트 실린더(109)가 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컴팩트 실린더(109)의 피스톤 로드(111)는 각각 반대방향으로 외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각 피스톤 로드(111)의 선단에는 배터리(113)를 직접 클램핑 하기 위한 그리퍼(115)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컴팩트 실린더(109)의 작동에 따라 상기 양측 그리퍼(115)는 도 7과 같이, 내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여 배터리(113)의 양측면 걸림턱(117) 부분을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5)의 양단에는 상기 컴팩트 실린더(109)가 완전 전진한 상태에서 그리퍼(115)의 상단에 대응하여 각각 그리퍼 감지센서(119)가 장착되어 그리퍼(115)의 이동을 감지하게 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107)의 하단면에는 배터리(113)에 상단면에 대응하여 탄성재질의 스톱퍼(121)가 부착되어 배터리(113)를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그리퍼가 분리된 상태로 구성되어 도 7에서와 같이, 배터리를 클램핑할 경우, 양측 하단이 배터리의 걸림턱에 의해 경사지게 벌어져 배터리가 이탈하는 등의 추락사고를 발생시키게 되거나, 견고하게 클램핑 되지 않음에 따라 엔진룸 내 투입시 배터리 트레이상에 정확하게 안착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양산라인에서 엔진룸 내에 배터리의 투입시, 정확한 사양의 배터리를 견고하게 클램핑 하여 엔진룸 내 배터리 트레이에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의 배터리 투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의 작동전의 도 2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의 작동후의 도 2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의 작동전 정면도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의 작동후 정면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양산라인에서 로봇 시스템을 통하여 엔진룸 내 배터리 트레이상에 배터리를 투입하기 위하여 해당 배터리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에서,
로봇 아암의 끝단에 플랜지를 통하여 장착되며, 하단면에는 횡방향으로 레일이 구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레일에 각각 레일 가이드를 통하여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게 장착되며, 각각의 하단에는 그리퍼가 볼트 체결되는 좌,우측 그리퍼 핸드와;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를 상호 연결하고, 중앙부에는 랙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좌측 그리퍼 핸드에 고정되고, 타단은 우측 그리퍼 핸드를 스토퍼에 의해 지지함과 동시에, 스토퍼의 내측으로 우측 그리퍼 핸드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랙 바아와; 상기 제1 랙 바아와 동일 수평선상에서 이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중앙부에는 상기 제1랙 바아의 랙에 대응하여 랙이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우측 그리퍼 핸드에 고정되고, 타단은 좌측 그리퍼 핸드를 스토퍼에 의해 지지함과 동시에, 스토퍼의 내측으로 좌측 그리퍼 핸드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랙 바아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피니언 축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제2 랙 바아의 양 랙 사이에서 치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면에 고정 브라켓을 통하여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 중 하나와 피스톤 로드를 통하여 작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는 공압 실린더와;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단에 구성되어 배터리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 사이에 배터리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배터리 감지수단과;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 사이에 진입되는 배터리의 폭에 따른 배터리의 사양을 감지하는 배터리 사양 감지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터리 감지수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단에 센서 브라켓을 통하여 장착되는 포토센서와; 상기 포토센서의 일측으로 고정 브라켓에 스냅링을 통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에는 상기 포토센서에 감지되는 센서 도그가 형성되는 센싱 슬라이더와; 상기 센싱 슬라이더의 센서 도그와 상기 스냅링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센싱 슬라이더에 하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터리 사양 감지수단은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의 상부 일측에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 사이에 진입되는 배터리의 사양별 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배터리의 상면을 감지하는 다수개의 포토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의 배터리 투입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로서 로봇 시스템을 이용하여 엔진룸(3) 내 배터리 트레이상에 배터리(5)를 투입하는 차량의 배터리 투입 시스템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라인상의 일측에 배터리 적재대(7)가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 적재대(7)의 측방으로는 대차(9)를 통하여 후드(미도시) 장착전의 차량(11)이 투입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적재대(7)와 대차(9) 사이에는 다관절 로봇(13)이 배치되며, 상기 로봇(13)의 로봇 아암(1) 끝단에는 클램핑 장치(15)가 장착되어 상기 배터리 적재대(7) 상의 배터리(5)를 클램핑 하여 상기 차량(11)의 엔진룸(3) 내 배터리 트레이(미도시)에 투입 및 안착시켜 언클램핑하는 작동을 반복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15)의 구성은 로봇 아암(1)의 끝단에 플랜지(21)를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크(23)가 장착되며, 이 베이스 플레이트(23)의 하단면에는 횡방향으로 레일(25)이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3)의 레일(25)에는 각각 레일 가이드(27)를 통하여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게 좌,우측 그리퍼 핸드(29,3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29,31)의 각각의 하단에는 그리퍼(33,35)가 볼트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29,31)를 상호 연결하도록 그 사이에는 제1 랙 바아(37) 및 제2 랙 바아(39)가 구성되는데, 상기 제1 랙 바아(37)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앙부에 소정 길이만큼 랙(41)이 형성되며, 그 일단은 상기 좌측 그리퍼 핸드(29)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우측 그리퍼 핸드(31)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타단은 우측 그리퍼 핸드(31)의 외측에서 이를 지지하는 스토퍼(43)가 구성되어 상기 우측 그리퍼 핸드(31)가 스토퍼(43)의 내측으로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랙 바아(39)는 상기 제1 랙 바아(37)와 동일 수평선상에서 이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29,31)를 연결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제1 랙 바아(37)와 같이, 중앙부에 상기 제1랙 바아(37)의 랙(41)에 대응하여 소정 길이만큼 랙(45)이 형성되며, 그 일단은 상기 우측 그리퍼 핸드(31)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좌측 그리퍼 핸드(29)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랙 바아(37)와 같이, 상기 타단은 좌측 그리퍼 핸드(29)의 외측에서 이를 지지하는 스토퍼(47)가 구성되어 상기 좌측 그리퍼 핸드(29)가 스토퍼(47)의 내측으로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3) 하단면의 일측에는 이에 수직하게 피니언 축(49)이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 축(49)의 하단에는 피니언(5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랙 바아(37,39)의 양 랙(41,45) 사이에서 배치된 상태로 치합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3) 하단면의 다른 일측에는 고정 브라켓(53)을 통하여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29,31) 사이에서 제1, 제2 랙 바아(37,39)에 이웃하여 공압 실린더(55)가 장착되며, 상기 공압 실린더(55)는 좌,우측 그리퍼 핸드(29,31) 중, 좌측 그리퍼 핸드(29)와 피스톤 로드(57)를 통하여 작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53)의 하단에는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29,31) 사이에 배터리(5)가 진입하면, 배터리(5)의 상면과 접촉하여 이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고정 브라켓(53)의 하단에 센서 브라켓(59)을 통하여 포토센서(61)가 장착되고, 상기 포토센서(61)의 일측으로 센서 브라켓(59)에 스냅링(63)을 통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센싱 슬라이더(65)가 장착되며, 이 센싱 슬라이더(65)의 일측에는 상기 포토센서(61)에 감지되는 센서 도그(67)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센싱 슬라이더(65)의 센서 도그(67)와 상기 스냅링(63)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69)이 개재되어 상기 센싱 슬라이더(65)가 하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29,31)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29,31) 사이에 진입되는 배터리(5)의 폭에 따른 사양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29,31)의 상부에서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29,31) 사이에 진입되는 배터리(5)의 사양별 폭에 대응하는 4개소의 위치 상에 배터리(5)의 상면을 감지할 수 있도록 4개의 다른 포토센서(71)를 각각 장착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15)의 작동은, 먼저, 로봇 시스템의 로봇(13)이 배터리 적재대(7) 상에 적재된 사양별 배터리(5)를 클램핑 장치(15)를 통하여 클램핑하게 되는데, 로봇 아암(1)에 의해 클램핑 장치(15)의 좌,우측 그리퍼 핸드(29,31) 사이에 배터리(5)를 진입시키면, 도 2에서와 같이, 배터리(5)의 상면이 센싱 슬라이더(65)와 접촉하여 코일 스프링(69)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센싱 슬라이더(65)를 상승시킨다.
그러면, 센싱 슬라이더(65) 상의 센서 도그(67)가 포토센서(61)에 의해 감지되어 로봇 컨트롤러(미도시)는 배터리(5)가 좌,우측 그리퍼 핸드(29,31) 사이에 배터리(5)의 진입됨을 판단하게 된다.
그 다음,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측 그리퍼 핸드(29,31) 사이에 배터리(5)가 진입한 상태에서 공압 실린더(55)에 공압이 제공되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57)는 좌측 그리퍼 핸드(29)를 당기도록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좌측 그리퍼 핸드(29)가 공압 실린더(55)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지는 것과 동시에, 우측 그리퍼 핸드(31)도 제1, 제2 랙 바아(37,39)의 랙(41,45)과 그 사이에 배치되는 피니언(51)의 작동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즉, 상기 공압 실린더(55)가 피스톤 로드(57)를 통하여 좌측 그리퍼 핸드(29)를 당기면, 제1 랙 바아(37)가 도면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 랙 바아(37)상의 랙(41)과 일측에서 치합되어, 중심이 고정된 피니언(51)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타측에서 상기 피니언(51)과 다른 랙(45)을 통하여 치합된 제2 랙 바아(39)는 도면에서 왼쪽으로 이동하여 우측 그리퍼 핸드(31)를 내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랙 바아(37)와 우측 그리퍼 핸드(31) 및 제2 랙 바아(39)와 좌측 그리퍼 핸드(29)는 상호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좌,우측 그리퍼 핸드(29,31)가 내측으로 이동할 경우, 그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배터리 적재대(7) 상의 배터리(5)를 상기 클램핑 장치(15)를 통하여 클램핑 한 로봇(13)은 그 작동반경 내에 위치되는 차량(11)의 엔진룸(3) 내 배터리 트레이(미도시) 상에 정확하게 배터리(5)를 안착시킨 후, 상기 클램핑 작동의 역순으로 언클램핑 작동을 이루어 배터리(5)를 투입하게 된다.
이러한 배터리 언클램핑 작동은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작동이 클램핑 작동의 역순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배터리(5)의 사양을 감지하기 위한 포토센서(71)의 작동은 배터리(5)의 클램핑과 동시에, 배터리의 사양별 폭에 대응하는 포토센서(71)로부터 감지신호를 로봇 컨트롤러(미도시)에 전달하면, 로봇 컨트롤러는 그 감지신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로봇(13)에 전달하여 로봇(13)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그 기본 개념으로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15)에 한정하는 의미에서 그 구체적인 작동과 구성을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동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15)는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29,31)가 레일 가이드(27)를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3)의 하단면 상에 구성된 레일(25)을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 양측 그리퍼(33,35)가 배터리95)를 견고하게 클램핑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에 의하면, 배터리의 양측면을 클램핑하는 양측 그리퍼가 레일 가이드를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면 상에 구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좌,우측 그리퍼 핸드와 연결되어 차량의 양산라인에서 엔진룸 내에 배터리의 투입시, 정확한 사양의 배터리를 견고하게 클램핑하여 엔진룸 내 배터리 트레이에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로 인한 배터리 추락 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생산라인의 가동률을 높일 수 있게 되며, 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차량의 양산라인에서 로봇 시스템을 통하여 엔진룸 내 배터리 트레이상에 배터리를 투입하기 위하여 해당 배터리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봇 아암의 끝단에 플랜지를 통하여 장착되며, 하단면에는 횡방향으로 레일이 구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레일에 각각 레일 가이드를 통하여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게 장착되며, 각각의 하단에는 그리퍼가 볼트 체결되는 좌,우측 그리퍼 핸드와;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를 상호 연결하고, 중앙부에는 랙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좌측 그리퍼 핸드에 고정되고, 타단은 우측 그리퍼 핸드를 스토퍼에 의해 지지함과 동시에, 스토퍼의 내측으로 우측 그리퍼 핸드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랙 바아와;
    상기 제1 랙 바아와 동일 수평선상에서 이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중앙부에는 상기 제1랙 바아의 랙에 대응하여 랙이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우측 그리퍼 핸드에 고정되고, 타단은 좌측 그리퍼 핸드를 스토퍼에 의해 지지함과 동시에, 스토퍼의 내측으로 좌측 그리퍼 핸드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랙 바아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피니언 축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제1,제2 랙 바아의 양 랙 사이에서 치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면에 고정 브라켓을 통하여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 중 하나와 피스톤 로드를 통하여 작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는 공압 실린더와;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단에 구성되어 배터리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 사이에 배터리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배터리 감지수단과;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 사이에 진입되는 배터리의 폭에 따른 배터리의 사양을 감지하는 배터리 사양 감지수단과;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감지수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단에 센서 브라켓을 통하여 장착되는 포토센서와;
    상기 포토센서의 일측으로 고정 브라켓에 스냅링을 통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에는 상기 포토센서에 감지되는 센서 도그가 형성되는 센싱 슬라이더와;
    상기 센싱 슬라이더의 센서 도그와 상기 스냅링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센싱 슬라이더에 하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사양 감지수단은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의 상부 일측에 상기 좌,우측 그리퍼 핸드 사이에 진입되는 배터리의 사양별 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배터리의 상면을 감지하는 다수개의 포토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
KR10-2000-0075096A 2000-12-11 2000-12-11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 KR100369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096A KR100369171B1 (ko) 2000-12-11 2000-12-11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096A KR100369171B1 (ko) 2000-12-11 2000-12-11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712A true KR20020045712A (ko) 2002-06-20
KR100369171B1 KR100369171B1 (ko) 2003-01-24

Family

ID=27680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096A KR100369171B1 (ko) 2000-12-11 2000-12-11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1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861A (ko) * 2015-09-11 2017-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자동체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6423188A (zh) * 2023-06-15 2023-07-14 西安泽达航空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飞机制造的长桁工装
CN116462090A (zh) * 2023-06-19 2023-07-21 潍坊中远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电动车的电池安装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951B1 (ko) * 2020-10-19 2021-03-19 (주)함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이송장치
KR102424869B1 (ko) * 2022-04-12 2022-07-25 주식회사 홀리카우 고기 고정을 위한 복수의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발골 로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861A (ko) * 2015-09-11 2017-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자동체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6423188A (zh) * 2023-06-15 2023-07-14 西安泽达航空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飞机制造的长桁工装
CN116423188B (zh) * 2023-06-15 2023-08-22 西安泽达航空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飞机制造的长桁工装
CN116462090A (zh) * 2023-06-19 2023-07-21 潍坊中远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电动车的电池安装设备
CN116462090B (zh) * 2023-06-19 2023-08-15 潍坊中远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电动车的电池安装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9171B1 (ko) 200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71676B (zh) 一种汽车悬架控制臂的焊接夹紧方法
JPH0620694B2 (ja) 搬送中のワークに対する作業方法及び作業装置
CA1298273C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body
CN109877493B (zh) 多车型工装夹具切换系统
KR100369171B1 (ko)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
WO2019210735A1 (zh) 摆臂式轮胎后处理装置
JP4111502B2 (ja) 電車線ハンガイヤの取付け装置
CN111207896B (zh) 一种电机性能自动检测装置
KR100346474B1 (ko) 자동차용 플로팅 툴 체인저
CN111807039A (zh) 上下料系统轴套类零件检测装置
CN218211718U (zh) 一种芯轴弹簧弹力测试装置
CN217006820U (zh) 一种活塞轴检测装置
CN210480178U (zh) 一种浮动式抓取装置及粉末成型制品生产线
CN210126878U (zh) 一种工件柔性定位装置
CN216245945U (zh) 一种前门拉手盖板检具
KR100809282B1 (ko) 자동차 창문 정 위치 설정조립기
CN215363756U (zh) 一种间距可调的泛用型自动夹取装置
CN110395079A (zh) 一种具有夹抱机构的agv及其对接方法
CN218556191U (zh) 一种端子密封圈装配设备
CN212931381U (zh) 上下料系统轴套类零件内外径检测装置
CN214827143U (zh) 用于发动机的夹持机构及发动机生产装置
CN216066252U (zh) 一种汽配件安全气囊盒自动装配卡扣及检测机
CN220161817U (zh) 夹具装置
CN216911108U (zh) 一种轴承防尘盖检测装置
CN212010592U (zh) 自动充测一体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