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369A - 기류음 저감형 배기 파이프 - Google Patents

기류음 저감형 배기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369A
KR20020042369A KR1020000072194A KR20000072194A KR20020042369A KR 20020042369 A KR20020042369 A KR 20020042369A KR 1020000072194 A KR1020000072194 A KR 1020000072194A KR 20000072194 A KR20000072194 A KR 20000072194A KR 20020042369 A KR20020042369 A KR 20020042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exhaust
gas outlet
exhaust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철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72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2369A/ko
Publication of KR20020042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36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082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tailpipe, e.g. with means for mixing air with exhaust for exhaust cooling, dilution or evac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12Tubes being 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류음 저감형 배기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 머플러로부터 이어지는 테일 파이프의 배기가스 배출구 끝단부에 원주를 따라 길이방향의 주름형상을 적용시켜 주름형상부를 형성시키고, 배기가스를 상기 주름형상부를 통해 배출시켜 배기가스 배출시 발생되던 기류음을 저감시킴으로써, 차량의 실내 소음이 감소되어 운전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머플러 구조의 단순화로 부품의 축소 및 제작공정의 축소를 이룰 수 있으며, 이로써 원가절감과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기류음 저감형 배기 파이프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류음 저감형 배기 파이프{Exhaust pipe for reduction of exhaust gas flow noise}
본 발명은 기류음 저감형 배기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머플러로부터 이어지는 테일 파이프의 배기가스 배출구 끝단부에 그 원주를 따라 길이방향의 주름형상을 적용시켜 주름형상부를 형성시키고, 배기가스를 상기 주름형상부를 통해 배출시켜 배기가스 배출시 발생되던 기류음을 저감시킴으로써, 차량의 실내 소음이 감소되어 운전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머플러 구조의 단순화로 부품의 축소 및 제작공정의 축소를 이룰 수 있으며, 이로써 원가절감과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기류음 저감형 배기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기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배기 파이프는 배기 매니폴드로부터 배기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강관으로 1본식과 2본식이 있으며, 그 중간에는 촉매 컨버터와 서브 머플러와 메인 머플러 등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배기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엔진 폭발행정의 2차 성분에 의한 저주파소음이 그 주(主)가 되며, 다음으로는 배기가스가 배기 파이프를 통해 공기중으로 배출되면서 발생되는 기류음이다.
통상의 자동차 배기 시스템에서는 그 소음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의 저주파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기 시스템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설계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배기 파이프의 직경을 작게하여 설계하고 있다.
그러나, 배기 파이프의 직경을 작게하게 되면 기류음이 증가되고, 엔진의 출력이 나빠지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즉, 배기 파이프의 직경은 기류음과 엔진출력의 측면에서 큰 경우가 유리하지만, 상기 저주파소음 발생의 측면에서는 그 직경이 작은 것이 유리하며, 설계시 보통 저주파소음의 저감을 위한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게 된다.
기류음의 저감을 위해서는 배기가스의 유동을 억제시켜야 하는데, 이는 메인 머플러와 서브 머프러의 내부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비용이 증가되고, 설계도 어렵게 되며, 이는 배압의 증가와 엔진효율의 감소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메인 머플러로부터 이어지는 테일 파이프의 배기가스 토출구 끝단부에 그 원주를 따라 길이방향의 주름형상을 적용시켜 주름형상부를 형성시키고, 배기가스를 상기 주름형상부를 통해 토출시켜 배기가스 토출시 발생되던 기류음을 저감시킴으로써, 차량의 실내 소음이 감소되어 운전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머플러 구조의 단순화로 부품의 축소 및 제작공정의 축소를 이룰 수 있으며, 이로써 원가절감과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기류음 저감형 배기 파이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류음 저감형 배기 파이프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류음 저감형 배기 파이프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테일 파이프12 : 배기가스 배출구
14 : 주름형상부14a : 골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기류음 저감형 배기 파이프는 테일 파이프(10)의 배기가스 배출구(12) 끝단부에 원주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주름형상부(14)를 형성시키되, 상기 주름형상부(14)는 골(14a)부분의 내부 벽면이 주름형상부(14)의 시작위치에서 배기가스 배출구(12)로 가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류음 저감형 배기 파이프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류음 저감형 배기 파이프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류음 저감형 배기 파이프는 메인 머플러로부터 이어지는 테일 파이프(10)의 배기가스 배출구(12) 끝단부에 주름형상부(14)를 형성시켜 기류음을 저감시킨 구조이다.
상기 주름형상부(14)는 테일 파이프(10)의 배기가스 배출구(12) 끝단부에 원주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배기가스 배출구(12)의 형상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름의 적용으로 관의 원주를 따라 중심부를 향해 들어간 형태의 골(14a)이 반복되는 형상이다.
이때, 배기가스 배출구(12)의 인근 소정 위치에서 시작되어 배기가스 배출구(12)에 이르는 주름형상부(14)는 배기가스 배출구(12)로 갈수록 골(14a)의 깊이가 깊어지는 형태이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골(14a)의 형태로 주름형상부(14) 골(14a)부분의 관 내부는 좌측 주름형상부(14)의 시작위치에서 우측의 배기가스 배출구(12)로 가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가 진 벽면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경사면 구조는 기류음의 최대 원인이 되는 유동박리(separation)를 관 내부에서 미리 발생시킴으로써, 기류음의 에너지원 자체를 감소시키고 동시에 유동의 속도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주름형상부(14)의 적용은 유동 단면적의 축소효과를 가져옴으로써, 저주파소음도 감소시킬 수 있다.
주름형상부(14)의 적용만을 놓고 볼 때 본 발명의 배기 파이프는 상기 주름형상부(14)의 유동저항으로 배압이 증가되는 측면이 있지만, 이는 기존의 머플러구조에서 기류음 저감을 위해 적용되었던 여러가지 구성요소들을 삭제하고 상기 경사면을 길게함으로써 배압이 감소되고 엔진의 효율도 증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류음 저감형 배기 파이프에 의하면 메인 머플러로부터 이어지는 테일 파이프의 배기가스 토출구 끝단부에 그 원주를 따라 길이방향의 주름형상을 적용시켜 주름형상부를 형성시키고, 배기가스를 상기 주름형상부를 통해 토출시켜 배기가스 토출시 발생되던 기류음을 저감시킴으로써, 차량의 실내 소음이 감소되어 운전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머플러 구조의 단순화로 부품의 축소 및 제작공정의 축소를 이룰 수 있으며, 이로써 원가절감과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테일 파이프(10)의 배기가스 배출구(12) 끝단부에 원주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주름형상부(14)를 형성시키되, 상기 주름형상부(14)는 골(14a)부분의 내부 벽면이 주름형상부(14)의 시작위치에서 배기가스 배출구(12)로 가면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음 저감형 배기 파이프.
KR1020000072194A 2000-11-30 2000-11-30 기류음 저감형 배기 파이프 KR20020042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194A KR20020042369A (ko) 2000-11-30 2000-11-30 기류음 저감형 배기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194A KR20020042369A (ko) 2000-11-30 2000-11-30 기류음 저감형 배기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369A true KR20020042369A (ko) 2002-06-05

Family

ID=2767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194A KR20020042369A (ko) 2000-11-30 2000-11-30 기류음 저감형 배기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236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7215U (ko) * 1978-05-17 1979-11-24
KR890008433A (ko) * 1987-11-23 1989-07-10 스테런 이.레비스 촉매전환 시스템
JPH0321165A (ja) * 1989-06-19 1991-01-29 Sumitomo Metal Ind Ltd 画像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KR970010038U (ko) * 1995-08-30 1997-03-29 차량용 프론트 파이프에 설치되는 소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7215U (ko) * 1978-05-17 1979-11-24
KR890008433A (ko) * 1987-11-23 1989-07-10 스테런 이.레비스 촉매전환 시스템
JPH0321165A (ja) * 1989-06-19 1991-01-29 Sumitomo Metal Ind Ltd 画像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KR970010038U (ko) * 1995-08-30 1997-03-29 차량용 프론트 파이프에 설치되는 소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53793B (zh) 用于内燃机的消声器
JP2009062922A (ja) 共鳴装置および内燃機関の排気装置
US965135A (en) Internal-combustion engine.
CN208089373U (zh) 一种环保型汽车噪音消除装置
US20040216951A1 (en) High performance muffler
KR20020042369A (ko) 기류음 저감형 배기 파이프
JPH03264716A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マフラ装置
CN205400853U (zh) 摩托车排气系统的消声器
JP2663115B2 (ja) 自動車用消音器
KR200307952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210113505A (ko) 차량용 소음기
CN221002900U (zh) 单缸踏板发动机消声器
US2403403A (en) Muffler
CN206636630U (zh) 排气装置的结构
JP3337556B2 (ja) 消音器
CN218760078U (zh) 一种汽车排气管消声器
WO2024095371A1 (ja) エンジン用消音装置
RU2117777C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выпуск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H08185189A (ja) アクティブノイズコントロール方式の消音装置
RU29964U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выхлоп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варианты)
JP5922334B2 (ja) 内燃機関の排気装置
KR200483590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100276246B1 (ko) 자동차용 소음기
JPH0732894Y2 (ja) 車両用マフラー
KR970011308A (ko) 자동차용 배기머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