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328A -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무기 - Google Patents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328A
KR20020042328A KR1020000072152A KR20000072152A KR20020042328A KR 20020042328 A KR20020042328 A KR 20020042328A KR 1020000072152 A KR1020000072152 A KR 1020000072152A KR 20000072152 A KR20000072152 A KR 20000072152A KR 20020042328 A KR20020042328 A KR 20020042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tance
display device
subject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환
유영기
Original Assignee
김영삼
에스엔유 프리시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삼, 에스엔유 프리시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삼
Priority to KR1020000072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2328A/ko
Publication of KR20020042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32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8Telescopic sights specially adapted for smallarms or ordnance; Supports or moun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14Indirect aim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1/00Details of sighting or aiming apparatu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거리에 위치해 있는 피사체를 간단하고 빠르게 확대시켜 표시함에 의해 쉽게 피아식별을 한 후에 정확하게 목표물에 조준사격을 실시할 수 있는 전자 조준기 기능을 갖는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방의 피사체에 대한 확대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광학모듈과, 광학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확대 영상의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센서와, 수신된 미약한 영상신호를 저잡음 증폭시키기 위한 저잡음 증폭기와, 시스템 제어용 프로그램과 다수의 십자선 패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1메모리장치와, 십자선 패턴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제1선택 스위치와, 십자선 패턴의 원점에 대응하는 전방의 피사체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측정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거리측정기와, 수신된 영상신호 및 십자선 패턴과 측정거리가 표시되는 소형 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기동시에 수신된 영상신호와 함께 십자선 패턴을 표시장치에 표시함과 동시에 피사체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며, 십자선 패턴의 원점은 위치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무기{Image Magnifying System for Distinguishing between Our Side and Their Side, and Weapon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거리에 위치해 있는 피사체를 간단하고 빠르게 확대시켜 표시함에 의해 쉽게 피아식별을 한 후에 정확하게 목표물에 조준사격을 실시할 수 있는 전자 조준기 기능을 갖는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총은 보병의 개인화기로서 기본적인 장비이므로 그의 중요성은 이루말할 수 없이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미국의 콜트(Colt)사에서 개발한 M16 소총을 사용하다가 우리실정에 맞게 국산화가 이루어지면서 K-2 소총으로 대체되고 있다. 뿐만아니라 군사강국인 소련, 영국, 프랑스, 일본 등도 각각 자국에 고유한 모델의 소총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소총의 유효사거리는 일반적으로 600-800m에 이르는 것이 개발되어 있으나, 사람의 눈으로 피아를 식별할 수 있는 거리는 유효사거리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고, 특히 주변이 어두워지는 저녁 또는 야간에는 더욱더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저격용 또는 특수부대용 소총에는 망원렌즈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장치는 정지 또는 느리게 이동중인 피사체에 대하여 미세 초점을 맞춘 후 조준사격을 실시하는 데에는 이점이 있으나, 실질적으로 초점거리가 고정되고 시야의 한계가 좁게 설정된 형태로서 전방의 넓은 지역을 커버하여 피사체를 감시하는데 적합하지 못하다.
상기한 망원렌즈와 유사하게 줌렌즈를 구비한 경우에도 거리에 따라 피사체와의 초점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은 제공하나 이 경우에는 렌즈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장치들은 실전에서 이동중인 피사체를 빠르게 추적하여 조준사격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빠르게 대응할 수 없어 적합하지 못하다. 더욱이 이러한 장치는 사수와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정확하게 알 수 없어 거리에 따른 조준점 설정이 어렵고 그 결과 사격의 적중률이 낮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장치는 야간 사격시에 피사체를 식별할 수 없어 도움을 주지 못한다.
이러한 상기 장치들의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한국특허 제210309호에는 피사체와 그의 배경으로부터 방출 또는 반사되는 빛이 대물렌즈에 수신된 후 영상증폭관에 의해 수신된 광영상을 증폭하고 증폭된 영상을 십자선(cross hairs) 영상과 중첩시켜 접안부로 제공하는 "무기용 야시경"을 제안하였다. 이 경우 상기 선행특허는 영상증폭관의 측방향 이동을 둔감하게 하고 십자선 조정을 독립적으로 가능하게 하며, 소총의 기계적인 조준장치의 조준선이 오프셋되어 있는 접안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광학요소와 이들의 구동 및 지지장치들이 매우 복잡하게 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선행특허는 도금면에 선택적인 에칭을 이용하여 단지 하나의 십자선 패턴만을 미리 확정하여 선택할 수 있고, 십자선, 탱크, 차량 또는 인간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영상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원거리에 위치해 있는 피사체를 간단하고 빠르게 확대시켜 소형 표시장치에 표시함에 의해 쉽게 피아식별을 한 후에 정확하게 목표물에 조준사격을 실시할 수 있는 전자 조준기 기능을 갖는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을 구비한 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수의 신체를 노출하지 않고 피사체를 조준할 수 있는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을 구비한 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눈에 안보이는 파장의 적외선 빔을 사용하여 자신의 노출없이 사수와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자동으로 측정하여 표시장치에 해당 거리를 표시해줌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십자선 패턴을 선택할 수 있어사수가 피사체 조준점의 설정을 정확하게 설정하여 명중률을 높일 수 있는 거리측정 기능을 갖는 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야간에 눈에 안보이는 파장의 적외선 빔을 사용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원거리의 피사체의 확대상을 증폭하여 표시함에 의해 야간 전투의 전투력을 증강시킬 수 있는 야간 투시경 및 전자 조준기 기능을 갖는 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기능들이 일체형 또는 2개의 분리형으로 구성된 전자 조준기 기능을 갖는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기의 탄도와 정렬된 조준선을 형성하는 기계식 조준기와 탄도와 정렬되며 조준선과 일치하는 십자선의 원점을 전자식 표시장치에 제공하는 전자식 조준기를 무기에 착탈식으로 포함하는 조준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을 구비한 소총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LCD 표시장치와 가늠자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LCD 표시장치의 후방에서 가늠자를 이용하여 조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1의 상확대 시스템의 광학모듈에 대한 배치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에 대한 측면도 및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회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9는 은폐된 자세로 사격을 실시하는 경우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LCD 표시장치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1은 소총에서 발사된 탄두의 비행궤적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소총2 ; 총열
3 ; 가늠쇠4 ; 가늠자
5 ; 대검꽂이6 ; 몸통
6a ; 안내레일7 ; 그립
8 ; 방아쇠8a ; 손잡이
9 ; 밧데리10 ; 광학모듈
11 ; 광각렌즈12 ; 광각 적외선 카메라
13 ; 망원렌즈14 ; 망원 적외선 카메라
15 ; IR 레이저 모듈16 ; 거리측정부
17 ; 거리측정기18,42,48,50 ; 하우징
20 ; 이미지센서21,22,62 ; CCD
23,24 ; AMP1,AMP225 ; MUX
30 ; CPU 31 ; ROM
32 ; RAM40,40a ; LCD 표시장치
41 ; LCD 드라이버42a ; 접안컵
43,66 ; 하단부44,64 ; 중간연결부
45 ; 십자선 패턴45a ; 십자선 조정버튼
46 ; 원점47 ; 거리지시램프
61 ; 줌렌즈 카메라 모듈61a ; 경통
63 ; 신호처리부65 ; 줌밍버튼
101 ; 은폐물102 ; 사수
103 ; 피사체103a ; 표적부
120 ; 조준선121 ; 탄두 비행궤적
200 ; 제1부분210 ; 제2부분
A-E ; 조준점SW1-SW3 ; 스위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의 피사체에 대한 확대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광학모듈과, 상기 광학모듈의 후단에 결합되어 광학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확대 영상의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센서와, 상기 이미지센서의 후단에 접속되어 수신된 미약한 영상신호를 저잡음 증폭시키기 위한 저잡음 증폭기와, 시스템 제어용 프로그램과 조준점을 형성하는 다수의 십자선 패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1메모리장치와, 상기 제1메모리장치에 기억된 다수의 십자선 패턴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제1선택 스위치와, 상기 광학모듈과 함께 동일한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십자선 패턴의 원점에 대응하는 전방의 피사체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적외선 레이저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거리측정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거리측정기와, 수신된 영상신호 및 십자선 패턴과 측정거리가 표시되는 소형 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기동시에 상기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수신된 영상신호와 함께 상기 다수의 십자선 패턴 데이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거리측정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원점에 대응하는 피사체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십자선 패턴의 원점은 위치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조준기 기능을 갖는 상확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광학모듈은 광각렌즈를 포함하고 전방의 피사체와 주변배경에 대한 광각의 적외선 영상을 수신하는 광각 적외선 카메라와, 판독하고자 하는 거리위치로 초점조정이 가능한 망원렌즈를 포함하고 전방의 특정한 일부분에 대한 피사체의 확대된 적외선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망원 적외선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이미지센서는 각각 광각 및 망원 적외선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된 제1 및 제2 적외선 영상의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저잡음 증폭기는 각각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의 제1 및 제2 적외선 영상 이미지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저잡음 증폭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시스템에는 제1 및 제2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시스템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와,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 제1 및 제2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2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원 적외선 카메라의 광축은 시스템이 장착되는 무기의 조준선과 일치하게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십자선 패턴의 원점은 시스템이 장착되는 무기의 기계식 조준선과 일치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거리측정기는 850nm 이상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IR) 레이저를 수평으로 방사하는 IR 레이저 모듈과,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IR 레이저 반사신호를 처리하여 피사체와의 거리측정신호를 발생하는 거리측정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스템에서 상기 광학모듈과, 이미지센서와, 거리측정기의 IR 레이저 모듈이 제1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저잡음 증폭기와, 제1메모리장치와, 제1선택 스위치와, 거리측정기의 거리측정부와, 소형 표시장치와, 시스템 제어수단이 상기 제1부분과 분리된 제2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2부분은 무선 통신에 의해 제1부분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상확대 시스템은 일체형 하우징에 내장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광학모듈은 줌렌즈 카메라 모듈과 망원 적외선 카메라 모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형 표시장치가 원형 LCD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원형 LCD의 후단에 LCD에 표시되는 영상을 확대시켜주기 위한 접안렌즈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장치의 하우징은 무기에 착탈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사수의 위치를 노출하지 않고 조준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탄도를 갖는 무기와, 상기 탄도와 정렬된 조준선을 형성하는 기계식 조준기와, 상기 탄도와 정렬되며 조준선과 일치하는 십자선의 원점을 전자식 표시장치에 제공하는 전자식 조준기로 구성되는 무기 조준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전자식 조준기는 상확대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십자선 패턴의 원점은 위치 가변이 가능하며, 십자선의 위치를 상하, 좌우로 가변시키기 위한 십자선 변위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원거리에 위치해 있는 피사체의 확대표시, 십자선 패턴 제공, 야시경 기능, 전자 조준기 기능, 비노출형 조준 기능, 비노출형 거리감지 기능, 원격 감시 및 원격 격발 기능을 갖는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을 제공하여 다양한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하여 주간 및 야간의 전투력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한 기능들이 일체형 또는 2개의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어, 휴대용, 원격 제어형, 무기에의 착탈형 등으로 다양한 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을 구비한 소총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LCD 표시장치와 가늠자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LCD 표시장치의 후방에서 가늠자를 이용하여 조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을 구비한 소총(1)은 예를들어, 기존의 M16 또는 K-2 소총의 기계적인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여기에 광학모듈과 전자장치를 추가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소총(1)에는 총열(barrel)(2)을 따라 선단부에 가늠쇠(3)가 배치되고, 후단부에 가늠자(4)가 배치되어 가늠쇠(3)와 가늠자(4)를 연결하는 제1조준선(120)을 형성하는 기계적인 조준기(3,4)가 구성되어 있으며,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상확대 시스템에 의해 제1조준선(120)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십자선(45)의 원점(46)을 표시장치에 제공하는 전자 조준기가 또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확대 시스템은 도 1 및 도 7과 같이 총열(2)의 선단 하부에 위치한 대검꽂이(5)에 전방의 물체에 대한 적외선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광학모듈(10)과, 광학모듈(10)의 후단에는 광학모듈(10)을 통하여 수신된 적외선 영상의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센서(20)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광학모듈(10)은 광각렌즈(11)를 포함하고 전방의 피사체와 주변배경에 대한 광각의 적외선 영상을 수신하는 광각 적외선 카메라(12)와, 판독하고자 하는 거리위치로 초점조정이 가능한 망원렌즈(13)를 포함하고 전방의 특정한 일부분에 대한 피사체의 확대된 적외선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망원 적외선 카메라(14)로 구성되며, 이 경우 상기 광각 및 망원 적외선 카메라(12,14)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주지된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상확대 시스템은 상기 광학모듈(10)과 함께 동일한 하우징(18)에 배치되어 전방의 피사체와 사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측정기(17)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거리측정기(17)는 조준사격시에 상대방에게 노출될 수 있는 기존에 사용하였던 적색계통의 레이저를 사용하지 않고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카메라에서는 검지되는 파장, 즉 850nm 이상의 파장을 갖는 IR 레이저를 수평으로 방사하는 IR 레이저 모듈(15)과,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IR 레이저 반사신호를 처리하여 피사체와의 거리측정신호를 발생하는 거리측정부(1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광학모듈 하우징(18) 내부의 광각 및 망원 적외선 카메라(12,14)와 거리측정기(17)의 배열은 수평상태로 하는 경우에 도 4a와 같이 총열(2)의 바로 밑에 망원렌즈(13)가 배치되고 그의 좌우에 광각렌즈(11)와 IR 레이저 모듈(15)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직상태로 배열하는 경우에는 도 4b와 같이 총열(2)의 바로 밑에 망원렌즈(13)가 배치되고, 그의 하부에 IR 레이저 모듈(15)과 광각렌즈(11)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총열(2)에 인접하여 망원렌즈(13)가 배치되는 것이 확대된 영상을 보고 피사체에 대한 조준사격을 할 때 명중률을 높이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이미지센서(20)는 각각 광각 및 망원 적외선 카메라(12,14)를 통하여 수신된 적외선 영상의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센서로서 주지된 한쌍의 CCD(전하결합소자)1(21) 및 CCD2(2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센서(20)는 CCD 이외에 CMOS형 이미지센서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도 있다. 상기 CCD1 및 CCD2(21,22)의 후단에는 각각 수신된 미약한 영상신호를 저잡음 증폭시킴과 동시에 밝기를 높이기 위한 제1 및 제2 저잡음 증폭기(AMP1,AMP2)(23,24)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저잡음 증폭기(23,24)의 출력은 멀티플렉서(MUX)(25)를 거쳐 선택적으로 시스템의 제어부 역할을 하는 CPU(30)에 인가된다. 상기 CPU(30)는 시스템 제어용 프로그램과 후술하는 소총의 총열에 정렬된 조준점을 형성하는 다수의 십자선 패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ROM(31)과 CPU(30)가 처리중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RAM(32)을 별개로 구비하거나 일체형으로 내장된 마이크로콘트롤러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사용된다.
이 경우 상기 십자선 패턴 데이터는 십자선(cross hairs), 표적권(bull's eye)과 같은 십자선 영상, 또는 탱크, 차량, 비행기, 선박, 사람과 같은 물체의 영상 등으로 사수의 역할에 따라 입력된 패턴 중에서 하나를 사수가 선택하거나 또는 미리 특정한 형상의 패턴으로 고정시켜 패턴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예를들어, 대공포 부대에 배속된 병사의 소총인 경우에는 일반적인 십자선과 비행기 영상 중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 보병인 경우에는 십자선과 사람 영상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PU(30)의 출력에는 수신된 영상신호를 사수에게 표시해주기 위한 소형 LCD 표시장치(40)가 LCD 드라이버(41)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CPU(30)의 입력에는 전원 스위치(SW1)와, 상기 MUX(25)로부터 제1 및 제2 저잡음 증폭기(AMP1,AMP2)(23,24)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1선택 스위치(SW2)와, 상기 ROM(31)에 기억된 다수의 십자선 패턴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2선택 스위치(SW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40)에 표시되는 십자선(45)의 원점(46)은 필요에 따라 십자선의 위치를 상하, 좌우로 가변시키기 위한 십자선 상하, 좌우 변위신호를 CPU(30)에 입력하기 위한 십자선 조정버튼(45a)을 구비함에 의해 십자선의 위치 가변이 가능하다. 이 경우 십자선의 원점은 소총(1)의 탄도 또는 조준선(120)과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전원 스위치(SW1)와 제1 및 제2 선택 스위치(SW2,SW3) 및 십자선 조정버튼(45a)은 도 2와 같이 LCD 표시장치(40)의 하우징(47) 전면 또는 측면에 위치시켜서 사수가 조준 동작중에 바로 바로 스위치(SW1-SW3)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스템에 대한 전원으로는 필수적으로 밧데리(9)를 손잡이(8a) 또는 개머리판에 내장시켜서 사용하여야 하므로 평소에는 밧데리(9)의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전원 스위치(SW1)를 오프시킨 상태를 유지하다가 전방의 피사체에 대한 정밀 관측이 필요한 경우에 전원 스위치(SW1)를 바로 온시켜 시스템을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CD 표시장치(40)는 제1실시예와 같이 예를들어, 2-4인치 정도의 사각형 소형 LCD를 사용하여 도 2 및 도 3과 같이 소총(1)의 몸통(6)에 위치된 가늠자(4)의 후단부에 결합되거나 또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실시예의 LCD 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갖는 0.5-1인치 크기의 원형 LCD 표시장치(40a)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장치(40,40a)는 LCD 이외에 다른 평판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형의 원형 LCD 표시장치(40a)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LCD 표시장치(40a)와 접안컵(42a) 사이에 도 10b와 같이 접안렌즈(40b)를 부가함에 의해 LCD 표시장치(40a)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5-30배 정도 확대시킨 허상이 사용자에게 표시시켜 줄 수 있게 되어 소형 LCD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LCD 표시장치(40a)의 원통형 하우징(42)에는 사수의 눈을 밀착시킴과 동시에 빛이 새어나가는 것을 막기에 적합한 접안컵(42a)을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LCD 표시장치(40,40a)는 그의 하단부(43)가 각각 몸통(6)의 안내레일(6a)에 레일방식 또는 다른 방식의 결합구조에 의해 몸통(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의 중간연결부(44)에는 사수가 필요에 따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연결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중간연결부(44)의 지지부(44a)와 회전부(44b)가 클릭구조에 의해 회전부(44b)가 일정 각도씩 회전된 위치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는 사수가 소총(1)의 총열(2)과 일직선 상태의 자세에서 목표 피사체에 대한 조준을 거쳐 사격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는 상대방에게 자신이 노출되어 적의 사격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회전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LCD 표시장치(40)는 총열(2)에 대하여 사수(102)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9와 같이 은폐물(101)이 있는 경우 사수(102)는 사수의 신체를 전부 노출하지 않고 한손으로 소총(1)의 그립(7)을 잡고 은폐물(101)에 숨어서 총열(2)과 일직선 상태로 회전된 LCD 표시장치(40)를 보고 다른 손으로 방아쇠(8)와 손잡이(8a)를 잡은 상태로 피사체(103)를 조준하여 방아쇠(8)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유리한 위치에서 적에게 사격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확대 시스템은 도 7에 도시된 전체 시스템에서 도 1과 같이 IR 레이저 모듈(15)을 포함한 광학모듈(10)과 이미지센서(20)로 구성된 제1부분(200)과, LCD 표시장치(40,40a)와 나머지 제어회로부로 구성된 제2부분(210)으로 분리하여 형성하고 이들간에 연결 케이블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2부분(210)은 소총(1)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 후 필요에 따라 분리하여 사수(사용자)가 휴대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전자 격발장치를 방아쇠(8)에 설치한 경우에는 사수의 신체를 완전히 은폐하고 소총(1) 만을 외부로 노출한 상태로 LCD 표시장치(40,40a)를 보고 피사체에 사격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제1 및 제2부분(200,210)에 주지된 무선 통신용 송/수신장치를부가함에 의해 제2부분(210)만을 안전한 벙커에 설치하고 집중관찰이 요구되는 지역에 자동소총과 제1부분(200)을 설치하는 경우 무선 영상전송에 의해 원격 감시 및 원격 격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확대 시스템을 구비한 소총의 작용을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전원 스위치(SW1)를 온시키면 시스템이 기동하여 ROM(31)에 내장된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CPU(30)는 초기화 과정을 실시하면서, 기본설정에 따라 LCD 표시장치(40)의 화면에는 ROM(31)에 저장된 다수의 또는 적어도 2개의 십자선 패턴 중에서 일반적인 십자선 패턴(45)을 디폴트값으로 설정하여 표시해준다(도 2).
또한 상기 멀티플렉서(MUX)(25)에 대하여는 제1저잡음 증폭기(23)의 출력을 받아서 CPU(30)로 입력시키도록 디폴트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한 초기화 과정이 완료된 경우 먼저 광각렌즈(11)를 포함한 적외선 카메라(12)를 통하여 전방의 피사체를 포함한 주변배경에 대한 광각의 적외선 영상이 순차적으로 CCD1(21)로 입사되고, CCD1(21)으로부터 광각의 영상 이미지가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광각 영상신호가 발생된다. 그후 상기 광각 영상신호는 저잡음 증폭기(23)에서 저잡음 증폭을 거쳐 멀티플렉서(25)로 인가된다.
상기 멀티플렉서(25)는 우선적으로 저잡음 증폭기(23)의 입력을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증폭된 광각 영상신호는 CPU(30)의 제어에 따라 RAM(32) 또는 버퍼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후 LCD 드라이버(41)의 구동에의해 LCD 표시장치(40)에 도 8a와 같이 도시된다.
이 경우 LCD 표시장치(40)에는 상기 광각 영상신호 이외에 상기 ROM(31)에 저장된 다수의 또는 적어도 2개의 십자선 패턴 중에서 일반적인 십자선 패턴(45)을 디폴트값으로 설정하여 함께 표시해준다.
또한 이와 동시에 CPU(30)는 거리측정부(16)를 구동시켜 IR 레이저 모듈(15)로부터 850nm 이상의 파장을 갖는 IR 레이저를 상기 십자선 패턴(45)의 중앙에 위치한 원점(46)으로 방사하고 원점(46)으로부터 반사되어 수신된 IR 레이저 반사신호를 거리측정부(16)에서 신호처리하여 사수(102)와 원점(46) 사이의 거리측정신호를 CPU(30)로 인가하게 한다.
CPU(30)는 거리측정부(16)로부터 입력되는 거리측정신호를 받아서 해당하는 거리를 사수가 알 수 있도록 LCD 표시장치(40)의 일측에 배치된 다수의 거리지시램프(47)에서 해당하는 위치의 램프, 예를들어 450m에 점등시켜준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카메라에서는 검지되는 파장의 IR 레이저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대방에게 자신을 노출시키지 않게 된다.
이때 사수(102)가 LCD 표시장치(40)를 통하여 볼 수 있는 광각 영상은 원거리일 경우 매우 작게 표시되기 때문에 특정한 피사체가 야생동물, 사람 또는 고정물체인지 알 수 없고, 더욱이 사람인 경우 피아식별은 더더욱 판별하기 어렵다. 또한, 이 경우 이동중인 피사체(103)가 있다면 빠르게 식별하여 은폐물로 숨기 전에 사격 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원격의 광각 영상을 보고 그 중에서 의심이 가는 미확인 물체 또는 피사체(103)가 있을 때 이를 신속하게 크게 확대하여 피아식별 또는 야생동물인 지를 판별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때 사수는 도 8b와 같이 의심이 가는 피사체(103)에 원점(46)을 맞추고, 표시장치(40)에 설치된 제1선택 스위치(SW2)를 선택하면 CPU(30)는 멀티플렉서(25)에 선택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제2저잡음 증폭기(24)의 영상신호를 RAM(32) 또는 버퍼 메모리(도시되지 않음)로 출력하도록 한다.
이 경우 원점(46)을 상대적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피사체(103)로 일치시킴에 따라 사수(102)와 조준 피사체(103) 사이의 거리는 250m로 변경되어 표시된다. 상기 도 8a 내지 도8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원점(46)이 250m 거리의 목표물 조준점으로 표준 설정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원점(46)에 일치된 피사체(103)가 250m 지점에 위치해 있고, 이 경우 피사체(103)가 하기와 같이 소총의 탄두 비행궤적(121)과 조준선(120)이 교차하는 250m 지점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이미 정조준이 이루어져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십자선의 원점은 소총의 탄도 또는 조준선(120)과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일반적으로 소총(1)에서 발사된 탄두의 비행궤적(121)은 도 11과 같이 직선으로 비행하여 25m 지점에서 처음으로 직선의 조준선(120)과 만난 후 계속하여 직선운동을 하다가 중력에 의해 밑으로 떨어지는 포물선 운동을 하여 250m 지점에서 다시 조준선(120)과 만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피사체(103)가 250m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는 거리에 비례하여 원점보다 밑에 부분에 있는 조준점(A-C)에 목표 피사체(103)의 표적부(103a)를 맞추고,250m 이내에 위치한 경우는 피사체의 표적부(103a)를 조준점(D,E)에 맞추어 사격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결과, 망원렌즈(13)를 포함한 적외선 카메라(14)를 통하여 전방의 피사체(103)를 포함한 주변배경 중에서 피사체(103)에 대한 망원의 적외선 영상이 CCD2(22)로 입사되고, CCD2(22)로부터 피사체(103) 근방의 확대된 영상 이미지가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확대 영상신호가 발생된다.
그후 상기 확대 영상신호는 저잡음 증폭기(24)에서 저잡음 증폭을 거쳐 멀티플렉서(25)를 통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LCD 표시장치(40)에 표시되며, 그 결과 도 8c와 같이 피사체(103)에 대한 확대된 영상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수는 확대된 피사체(103)의 영상을 보고 피아를 식별한 후 만약 피사체가 적군인 경우에는 먼저 십자선(45)의 원점(46)을 피사체(103)의 중간에 맞추고, 그후 우측에 표시된 피사체와의 측정거리에 따라 원점(46) 대신에 피사체의 표적부(103a)를 목표물 조준점(A-E)에 맞추는 상하 조절을 하며, 더욱이 피사체가 이동중인 경우는 이동속도에 따른 조준점의 좌우방향 미세조정을 거쳐 사격을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상확대 시스템은 단순한 영상의 확대뿐 아니라 전자 조준기 역할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8c와 같이 사수가 확대된 영상의 피사체(103)를 보고 피아식별을 한 후에 사격을 실시할 수 있어 불의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명중률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자 조준기 이외에 소총(1)에 구비된 가늠쇠(3)와 가늠자(4)로 이루어진 기계적인 조준기를 이용하여 도 3과 같이 조준을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광학모듈(10)에 각각 광각 및 망원 적외선 카메라(12,14)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주간뿐 아니라 야간에도 미약한 적외선 영상을 수신하여 영상신호의 밝기를 증폭하고 신호처리하여 자체적으로 백라이트를 갖거나 또는 발광체를 갖는 표시장치를 사용하므로 야간에도 피사체의 식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야간 전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확대 시스템은 제1실시예와 같이 광학모듈(10)을 LCD 표시장치(40)와 분리시켜 구성된 예뿐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 같이 일체형 하우징(50) 내에 상확대 시스템 모두가 내장시킨 형태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하우징(50)의 전면에는 광학모듈(10)과 IR 레이저 모듈(15)을 배치하고 배면에 사각형 LCD 표시장치(40)를 배치하며 중간부분에 신호처리부를 내장한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부재번호 13a는 하우징(50)의 망원렌즈(13)의 상부에 설치되어 망원렌즈의 초점을 조절하기 위한 초점조정장치를 가리킨다.
상기 제2실시예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원격 피사체에 대한 상확대 기능을 가지며, 또한 전자 조준기를 형성한다. 이러한 일체형 상확대 시스템은 동일한 기능을 가지면서도 야전에서 사용시에 고장율을 낮출 수 있는 구조를 이루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착탈식으로 소총과 결합되며, 또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실시예의 착탈식 일체형 상확대 시스템은 일종의 개인용 휴대 망원경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야전에서 철모 또는 특수 제작된 모자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거리표시 기능을 갖는 상확대 장치 또는 야간에 확대 야시경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제2실시예는 소총뿐 아니라 발칸포 발사장치에 사용되어 원거리의 미확인 비행물체에 대한 피아식별을 빠르게 처리하여 사격을 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제3실시예는 다른 일체형 상확대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광학모듈(10) 대신에 주지된 자동 또는 수동식 줌렌즈 카메라 모듈(61)을 선단부에 내장하고 그의 후단에 단일의 이미지센서로서 CCD(62)를 사용하여 수신된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신호처리부(63)에서 신호처리를 거쳐 후면에 배치된 LCD 표시장치(40)에 거리측정기(17)로부터 얻어진 측정거리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제3실시예(60)에서는 하우징의 일측면 또는 배면에 설치된 줌렌즈 카메라 모듈(61)의 줌밍 버튼(65)을 광각(WIDE) 또는 망원(TELE)으로 조작함에 따라 줌렌즈 경통(61a)을 이동시켜 피사체의 영상을 확대시켜 수신하고 이를 신호처리하여 LCD 표시장치(40)에 십자선 패턴(45)과 함께 표시함에 의해 전자 조준기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예는 자동 줌렌즈 카메라 모듈을 사용한 것이나 수동식도 가능하며, 줌렌즈 카메라 대신에 망원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3실시예에 대하여도 하단부(66)를 소총이나 다른 무기에 착탈식으로 결합하고, 중간연결부(64)는 회전 가능한 구조로 채택함에 의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다. 제3실시예 또한 제2실시예와 유사하게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원거리에 위치해 있는 피사체의 확대표시, 십자선 패턴 제공, 야시경 기능, 전자 조준기 기능, 비노출형 조준 기능, 비노출형 거리감지 기능, 원격 감시 및 원격 격발 기능을 갖는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을 제공하여 다양한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하여 주간 및 야간의 전투력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한 기능들이 일체형 또는 2개의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어, 휴대용, 원격 제어형, 무기에의 착탈형 등으로 다양한 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6)

  1. 전방의 피사체에 대한 확대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광학모듈과,
    상기 광학모듈의 후단에 결합되어 광학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확대 영상의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센서와,
    상기 이미지센서의 후단에 접속되어 수신된 미약한 영상신호를 저잡음 증폭시키기 위한 저잡음 증폭기와,
    시스템 제어용 프로그램과 조준점을 형성하는 다수의 십자선 패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1메모리장치와,
    상기 제1메모리장치에 기억된 다수의 십자선 패턴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제1선택 스위치와,
    상기 광학모듈과 함께 동일한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십자선 패턴의 원점에 대응하는 전방의 피사체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적외선 레이저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거리측정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거리측정기와,
    수신된 영상신호 및 십자선 패턴과 측정거리가 표시되는 소형 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기동시에 상기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수신된 영상신호와 함께 상기 다수의 십자선 패턴 데이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거리측정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원점에 대응하는 피사체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십자선 패턴의 원점은 위치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조준기 기능을 갖는 상확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모듈은 광각렌즈를 포함하고 전방의 피사체와 주변배경에 대한 광각의 적외선 영상을 수신하는 광각 적외선 카메라와, 판독하고자 하는 거리위치로 초점조정이 가능한 망원렌즈를 포함하고 전방의 특정한 일부분에 대한 피사체의 확대된 적외선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망원 적외선 카메라로 구성되며,
    상기 이미지센서는 각각 광각 및 망원 적외선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된 제1 및 제2 적외선 영상의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저잡음 증폭기는 각각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의 제1 및 제2 적외선 영상 이미지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저잡음 증폭기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시스템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와,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 제1 및 제2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2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조준기 기능을 갖는 상확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망원 적외선 카메라의 광축은 시스템이 장착되는 무기의 조준선과 일치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조준기 기능을 갖는 상확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기는 850nm 이상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IR) 레이저를 수평으로 방사하는 IR 레이저 모듈과,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IR 레이저 반사신호를 처리하여 피사체와의 거리측정신호를 발생하는 거리측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조준기 기능을 갖는 상확대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각 및 망원 적외선 카메라와 거리측정기는 광학모듈 하우징 내부에 함께 배치되며 무기의 총열 바로 밑에 망원렌즈를 포함하는 망원 적외선 카메라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조준기 기능을 갖는 상확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선 패턴 데이터는 십자선(cross hairs), 표적권(bull's eye)과 같은 십자선 영상과, 탱크, 차량, 비행기, 선박, 사람과 같은 물체의 영상 중 적어도 2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조준기 기능을 갖는 상확대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모듈과, 이미지센서와, 거리측정기의 IR 레이저 모듈이 제1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저잡음 증폭기와, 제1메모리장치와, 제1선택 스위치와, 거리측정기의거리측정부와, 소형 표시장치와, 시스템 제어수단이 상기 제1부분과 분리된 제2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조준기 기능을 갖는 상확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은 무선 통신에 의해 제1부분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조준기 기능을 갖는 상확대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확대 시스템은 일체형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광학모듈은 줌렌즈 카메라 모듈과 망원 적외선 카메라 모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조준기 기능을 갖는 상확대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표시장치는 원형 LCD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형 LCD의 후단에 LCD에 표시되는 영상을 확대시켜주기 위한 접안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조준기 기능을 갖는 상확대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의 하우징은 무기에 착탈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조준기 기능을 갖는 상확대 시스템.
  12. 광각렌즈를 포함하고 전방의 피사체와 주변배경에 대한 광각의 적외선 영상을 수신하는 광각 적외선 카메라와,
    판독하고자 하는 거리위치로 초점조정이 가능한 망원렌즈를 포함하고 전방의 특정한 일부분에 대한 피사체의 확대된 적외선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망원 적외선 카메라와,
    각각 광각 및 망원 적외선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된 제1 및 제2 적외선 영상의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와,
    각각 제1 및 제2 이미지센서의 후단에 접속되어 수신된 미약한 제1 및 제2 적외선 영상 이미지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제1 및 제2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와,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 제1 및 제2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1선택 스위치와,
    시스템 제어용 프로그램과 조준점을 형성하는 다수의 십자선 패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1메모리장치와,
    상기 제1메모리장치에 기억된 다수의 십자선 패턴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제1선택 스위치와,
    상기 광학모듈과 함께 동일한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십자선 패턴의 원점에 대응하는 전방의 피사체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적외선 레이저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거리측정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거리측정기와,
    수신된 피사체 영상과 십자선 패턴 및 측정거리가 표시되는 소형 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기동시에 상기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수신된 영상신호와 함께 상기 다수의 십자선 패턴 데이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거리측정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원점에 대응하는 피사체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십자선 패턴의 원점은 시스템이 장착되는 무기의 기계식 조준선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조준기 기능을 갖는 상확대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십자선의 원점은 무기의 탄도와 정렬된 조준선과 일치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십자선의 위치를 상하, 좌우로 가변시키기 위한 십자선 변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조준기 기능을 갖는 상확대 시스템.
  14. 탄도를 갖는 무기와,
    상기 탄도와 정렬된 조준선을 형성하는 기계식 조준기와,
    상기 탄도와 정렬되며 조준선과 일치하는 십자선의 원점을 전자식 표시장치에 제공하는 전자식 조준기로 구성되며,
    상기 전자식 조준기는
    전방의 피사체에 대한 확대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광학모듈과,
    상기 광학모듈의 후단에 결합되어 광학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확대 영상의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센서와,
    상기 이미지센서의 후단에 접속되어 수신된 미약한 영상신호를 저잡음 증폭시키기 위한 저잡음 증폭기와,
    시스템 제어용 프로그램과 조준점을 형성하는 다수의 십자선 패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1메모리장치와,
    상기 제1메모리장치에 기억된 다수의 십자선 패턴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제1선택 스위치와,
    상기 광학모듈과 함께 동일한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십자선 패턴의 원점에 대응하는 전방의 피사체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적외선 레이저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거리측정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거리측정기와,
    수신된 영상신호 및 십자선 패턴과 측정거리가 표시되는 소형 표시장치와,
    시스템의 기동시에 상기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수신된 영상신호와 함께 상기 다수의 십자선 패턴 데이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거리측정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원점에 대응하는 피사체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십자선 패턴의 원점은 위치 가변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조준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선의 위치를 상하, 좌우로 가변시키기 위한 십자선 변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조준 시스템.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조준기는 착탈식으로 무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조준 시스템.
KR1020000072152A 2000-11-30 2000-11-30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무기 KR20020042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152A KR20020042328A (ko) 2000-11-30 2000-11-30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152A KR20020042328A (ko) 2000-11-30 2000-11-30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328A true KR20020042328A (ko) 2002-06-05

Family

ID=2767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152A KR20020042328A (ko) 2000-11-30 2000-11-30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232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719B1 (ko) * 2010-10-12 2013-02-2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화포의 야간 운용 시스템에 적용된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292069B1 (ko) * 2012-10-24 2013-08-0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휴대용 피아 식별기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KR101292082B1 (ko) * 2012-10-24 2013-08-0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휴대용 피아 식별기
KR102011765B1 (ko) * 2018-07-06 2019-08-19 (주)이오시스템 목표물의 조준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0914A (en) * 1977-04-07 1983-02-01 E M I Limited Aiming arrangements
US4936190A (en) * 1989-09-20 1990-06-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Electrooptical muzzle sight
US5483362A (en) * 1994-05-17 1996-01-09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Of Michigan Compact holographic sight
US5834676A (en) * 1996-08-12 1998-11-10 Sight Unseen Weapon-mounted location-monitoring apparatus
JP2001021291A (ja) * 1999-07-07 2001-01-26 Asia Optical Co Ltd 射撃用望遠鏡の弾道補償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0914A (en) * 1977-04-07 1983-02-01 E M I Limited Aiming arrangements
US4936190A (en) * 1989-09-20 1990-06-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Electrooptical muzzle sight
US5483362A (en) * 1994-05-17 1996-01-09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Of Michigan Compact holographic sight
US5834676A (en) * 1996-08-12 1998-11-10 Sight Unseen Weapon-mounted location-monitoring apparatus
JP2001021291A (ja) * 1999-07-07 2001-01-26 Asia Optical Co Ltd 射撃用望遠鏡の弾道補償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719B1 (ko) * 2010-10-12 2013-02-2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화포의 야간 운용 시스템에 적용된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292069B1 (ko) * 2012-10-24 2013-08-0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휴대용 피아 식별기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KR101292082B1 (ko) * 2012-10-24 2013-08-0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휴대용 피아 식별기
KR102011765B1 (ko) * 2018-07-06 2019-08-19 (주)이오시스템 목표물의 조준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7583B2 (en) Sight system
US20120097741A1 (en) Weapon sight
TWI325951B (en) Electronic sight for firear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EP3270090B1 (en) Fused optic
EP2286172B1 (en) Combination sight
US9279975B2 (en) Electronically adjustable long-range optical device
JP2001516434A (ja) 自動照準調整式の個人武器用照準眼鏡
BR112021014084A2 (pt) Elemento óptico de visualização com sistema de contador de disparo
US11480410B2 (en) Direct enhanced view optic
TWI649533B (zh) 利用彈道變焦之光學裝置及用於瞄準目標之方法
JP2009525458A (ja) 連続測定式の距離計を有する照準器
US11002833B2 (en) Spotting scope with integrated laser rangefinder and related methods
KR20020042328A (ko) 피아식별용 상확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무기
KR200410513Y1 (ko) 군용 원격 정밀 관측장치
JPH05273471A (ja) 可搬式ミサイル発射装置用直視型および赤外線イメ−ジ装置
EP1350132A1 (en) A device for viewing objects at a distance from a user of the device
KR20230171439A (ko) 망원 조준기
JPWO2020106340A5 (ko)
KR102594637B1 (ko) 카메라 기반의 조준장치
CZ290150B6 (cs) Zaměřovač, zejména pro ruční zbraně
Gilstrap et al. Integrated Sight Boresighting
NVESD INTEGRATED SIGHT BORESIGHTING March 1998 Jeff Gilstrap William Docekal Raytheon TI Systems
CZ10826U1 (cs) Zaměřovač, zejména pro ruční zbraně
CA2553383A1 (en) User-worn rangefinder system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