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1575A -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1575A
KR20020041575A KR1020000071232A KR20000071232A KR20020041575A KR 20020041575 A KR20020041575 A KR 20020041575A KR 1020000071232 A KR1020000071232 A KR 1020000071232A KR 20000071232 A KR20000071232 A KR 20000071232A KR 20020041575 A KR20020041575 A KR 20020041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user
information
health care
pers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1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김동진
주식회사 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주식회사 카스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1020000071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1575A/ko
Publication of KR20020041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57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쁜 사회생활로 인하여 건강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는 현대인에게 개인 체질에 맞는 건강관리 방법을 제공하고 실천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건강정보를 전송하는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개인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상기 사용자의 신분을 구분하고 사용자 개인의 건강정보를 체크하여 건강관리서버에 전송하는 건강체크수단, 상기 건강체크수단으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된 개인의 체질정보와 건강정보를 개인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개인에 대한 표준 건강상태 및 건강관리기준이 저장된 기준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분석된 개인의 건강관련 권장사항 및 유지방법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건강관리서버, 상기 사용자 개인의 건강관련 권장사항 및 유지방법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사용자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of health care in real-time}
본 발명은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쁜 사회생활로 인하여 건강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는 현대인에게 건강관리 방법을제공하고 실천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건강정보를 전송하는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요즘 현대인들은 건강관리, 건강유지, 건강증진에 대한 인식과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자기 체질을 알고 체질에 맞는 건강유지 방법을 실천하는 사람은 없었다.
종래에 건강관련 시스템은 사람이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개인의 생체정보를 채취하여 얻어진 생체정보를 가지고 병원에 가서 의사와 진료상담 후, 건강상태, 정보를 얻어 치료를 받거나 건강유지, 관리를 받았다. 이러한 경우는 생체 건강정보가 축적되어 어느 정도의 결과치를 얻어야만 정보를 얻을 수 있었고, 그때 그때 건강관리를 하지 못해 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시스템은 건강상태만을 알 수 있었지 직접 관리하는 기능은 없었다.
또한, 상기한 건강정보 축적의 단점을 보안하여 정보를 그때그때 제공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하는 호출 시스템이 있었으나 그 시스템은 개인의 식사, 약복용 시간 등을 알리어 단순히 개인의 스케줄만 관리해 줌으로써 건강상태를 개선시킬 수는 있었으나 개인 스스로가 개인의 체질, 건강상태를 알고 개인에게 맞는 건강관리, 유지방법을 직접 하기는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건강관리, 건강유지, 다이어트로 인하여 식사종류, 식사시간, 식사량, 운동종류, 운동시간, 운동량 등 개인의 건강관리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자 개인에게 맞는 건강권장사항과 함께 실시간으로 건강정보를 줌으로써 상기한 것들을 실천할 수 있게 하는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시스템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방법의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방법 건강체크수단의 변기 설치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건강체크수단 20 : 통신망
30 : 건강관리서버 31 : 웹서버
32 : 제어부 33 : 개인데이터베이스
35 : 기준데이터베이스 40 : 사용자 단말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사용자가 개인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상기 사용자의 신분을 구분하고 사용자 개인의 건강정보를 체크하여 건강관리서버에 전송하는 건강체크수단, 상기 건강체크수단으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된 개인의 체질정보와 건강정보를 개인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개인에 대한 표준 건강상태 및 건강관리기준이 저장된 기준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는 제어부 및 웹서버와 분석된 개인의 건강관련 권장사항 및 유지방법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건강관리서버, 상기 사용자 개인의 건강관련 권장사항 및 유지방법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사용자 단말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강체크수단은 상기 사용자의 일상 생활활동에 수반하여 주설 기기에 설치되거나 상기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설 기기란, 건물 내에 설치되어 수면, 운동, 휴식, 식사와 같은 개인의 일상적인 생활활동에 사용되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건물이란 주택만이 아니라 사무실도 포함한다. 건강관리체크수단(10)이 설치되는 주설 기기는 전형적으로는 변기설비(3), 침대(4), 운동기기(2)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변기(3)에는 개인의 체중이나 체지방율을 검출하는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침대(4)에는 개인의 수면량을 검출하는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운동기기(2)에는 개인의운동종류나 운동량을 검출하는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변기설비(3)나 침대(4)와 같은 주설 기기는 사람들이 하루에 적어도 1회는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주설 기기의 사용에 관련하여 생체정보를 채취하는 것에 의해 그 날 그 날의 최신 데이터를 상기 건강관리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건강을 체크하여 건강관리서버(30)로 전송하는 건강체크수단(10), 상기 건강체크수단(10)과 건강관리서버(30)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망(20), 상기 사용자의 건강관련 권장사항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건강관리서버(30), 상기 건강관리서버(30)에서 제공하는 건강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40), 상기 사용자 단말기(40)에 건강관리정보를 인터페이스 하는 웹서버(31), 상기 사용자 개인의 회원정보와 건강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개인데이터베이스(33), 상기 사용자의 표준 건강상태를 저장하고 있는 기준데이터베이스(35) 및 상기 개인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기준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개인에게 대한 건강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32)로 구성된다.
건강관리를 받고자하는 사용자는 상기 건강관리서버(30)에 회원가입을 하여 건강관리를 의뢰한다. 상기 사용자는 회원가입시 개인의 몸무게, 신장, 나이, 성별, 성격, 혈액형, 주소, 관심분야 및 과거부터 현재까지 있었던 질병 또는 질병유무를 입력한다.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개인체질정보는 개인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되고 그날그날 상기 사용자의 식사량, 운동량, 식사시간, 운동시간, 체중 등이 상기 건강체크수단(10)에 의해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에 의해 다음날의 건강관리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40)에 표시되는 것이다.
상기 건강체크수단(10)에 사용자가 직접 몸무게나 식사량, 운동량, 수면량 등 입력하면 상기 건강체크수단(10)은 입력된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건강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 혹은 상기 건강체크수단(10)은 사용자의 일상 생활활동에 수반하여 주설 기기에 설치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의자나 변기(3)에 설치하여 상기 사용자의 몸무게 변화를 체크한다던가 운동기기에 설치하여 운동량, 에너지 소모량을 직접 체크할 수 있다. 상기 건강체크수단(10)으로부터 건강관리서버(30)에 전송된 개인 건강정보는 개인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다. 그리하면 상기 건강관리서버(30)의 제어부(32)는 상기 개인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사용자 개인에게 맞는 표준 건강상태가 저장되어 있는 기준데이터베이스(35)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맞는 건강정보, 관리, 유지방법 등을 추출한 다음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40)에 전송하여 준다. 그리하면 상기 사용자는 단말기를 보고 사용자 개인에게 맞는 식사량, 운동량, 수면량 등을 알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잊어버리는 일이 없어 결과적으로 건강관리, 유지를 해주는 것이다.
상기 기준데이터베이스(35)는 상기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하여 건강관리를 받고자할 때, 개인의 각종 신체정보(몸무게, 성격, 신장, 나이, 혈액형, 성별, 관심분야 등등)를 입력하면 입력된 정보는 개인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되고 저장된 개인의 체질정보를 바탕으로 표준이 되는 상기 사용자 개인의 건강정보를 추출하여 기 저장해 놓은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건강관리서버(30)에 개인의 각종 체질정보를 입력하여 회원가입을 하고(S100), 그날그날 실시간으로 건강상태를 체크하기 위하여 상기 건강체크수단(10)에 신분확인 단계인 개인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한다(S110). 개인의 신분이 확인되면 상기 건강체크수단(10)은 상기 사용자의 식사량, 운동량, 체중, 수면량 등 각종 개인 건강정보를 입력받아(S120) 상기 건강관리서버(30)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S130). 상기 건강관리서버(30)로 전송된 개인 건강정보는 개인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되어(S140) 상기 사용자 나이, 체형, 체질 등에 맞게 표준건강상태가 기 저장된 기준데이터베이스(35)의 정보와 제어부(32)에 의해 비교된 후(S150), 개인 건강관리 및 유지방법을 추출(S160)하여 그 결과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40)에 전송한다(S170). 전송 내용은 상기 사용자가 기준에 비해 체중이 얼마나 미달 혹은 과다인지 식사량, 운동량, 수면량이 적당한지 부족한지 등 여러 가지 개인 건강관리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유지에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그밖에 오랜 시간을 자리에 앉아 업무를 보는 직장인에게 자세교정을 위해 자세 교정시간, 스트레칭 시간 등 가벼운 맨손 체조를 할 수 있게 사용자 단말기(40)로 상기 시켜줌으로써 건강에 큰 도움을 주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방법의 실시예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기기(2), 침대(4), 컴퓨터(1), 변기(3)에 설치된 상기 건강체크수단(10)은 운동기기(2)의 경우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순간에 운동량을 측정하고, 침대(4)는 수면시간, 변기(3)는 체중 및 비만도를 측정하여 획득된 개인 건강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건강관리서버(30)에 전송한다. 컴퓨터(1)의 경우는 상기 건강체크수단(10)을 기기로부터 분리하여 컴퓨터 포트에 연결하여 정보를 읽어들인 후, 통신망(20)을 이용하여 상기 건강관리서버(30)에 전송한다.
상기 건강관리서버(30)에 전송된 개인건강정보는 개인데이터베이스(31)에 저장되고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데이터베이스(32)와 제어부(32)에 의해 비교된 후, 상기 사용자에게 맞는 건강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40)로 상기 사용자의 식사량, 식사종류, 운동량, 운동종류 등을 전송해 주고 실시간으로 운동시간, 식사시간 등을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관리 및 건강유지를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방법 건강체크수단의 변기 설치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3)의 커버에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건강체크수단(10)을 설치한 것으로 상기 사용자가 변기(3)에 앉아 있을 때 체중을 측정하여 건강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 상기 건강체크수단(10)은 변기(3)의 측면에 착탈이 가능함으로 상기 사용자가 직접입력도 가능하다. 상기 변기(3) 커버의 건강체크수단(10)에 의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체중은 개인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되어 기준데이터베이스(35)와 제어부(32)에 의해 비교된 후, 그 결과 값과 건강상태, 건강유지방법을 사용자 단말기(40)로 전송하여 준다.
또한, 상기 개인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개인의 질병유무를 보고 상기 사용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질병에 관한 정보 혹은 궁금해하는 질병의 관련정보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개인의 관심분야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주요뉴스, 의학정보, 바이오리듬 등 여러 생활정보와 건강관리서버(30)의 홈페이지 내용변경사항이나 관련회사의 업 데이트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40)로 제공한다. 제공수단으로 개인의 홈페이지나 이메일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무선이동통신이나 유선통신 등 그 제공수단이 다양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의사와 별도의 상담 없이 자기가 자기 체질을 알 수 있으며 자기에게 맞는 건강관리 방법을 알 수 있고 이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관리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체중과다로 다이어트를 원할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맞는 식단 및 운동건강법을 제공하여 건강을 해치는 않는 한도 내에서 건강을 유지하며 체중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사용자가 개인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상기 사용자의 신분을 구분하고 사용자 개인의 건강정보를 체크하여 건강관리서버(30)에 전송하는 건강체크수단(10);
    상기 건강체크수단(10)으로부터 통신망(20)을 통하여 전송된 개인의 체질정보와 건강정보를 개인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개인에 대한 표준 건강상태 및 건강관리기준이 저장된 기준데이터베이스(35)와 비교하는 제어부(32) 및 웹서버(31)와 분석된 개인의 건강관련 권장사항 및 유지방법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건강관리서버(30);
    상기 사용자 개인의 건강관련 권장사항 및 유지방법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사용자 단말기(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체크수단(10)은
    상기 사용자의 일상 생활활동에 수반하여 주설 기기에 설치되거나 상기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시스템.
  3. 사용자가 건강관리서버(30)에 개인의 각종 체질정보를 입력하여 회원가입을 하는 단계(S100);
    상기 사용자가 주설 기기의 건강체크수단(10)에 입력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확인하여 신분을 구분하는 단계(S110);
    상기 주설 기기에 설치된 상기 건강체크수단(10)에 의해 개인의 건강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20);
    상기 건강체크수단(10)에 의해 입력된 개인 건강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건강관리서버(30)에 전송하는 단계(S130);
    상기 건강관리서버(30)로 전송된 개인건강정보를 개인데이터베이스(31)에 저장하는 단계(S140);
    상기 개인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개인건강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표준 건강상태가 저장된 기준데이터베이스(35)를 비교하는 단계(S150);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맞게 건강관리방법 및 유지방법을 추출하는 단계(S160);
    추출된 상기 사용자의 건강관리방법 및 유지방법을 사용자 단말기(40)로 전송하는 단계(S1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20)는
    상기 사용자의 일상 생활활동에 수반하여 주설 기기에 설치되어 개인의 건강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사용자가 직접 상기 건강정보체크수단(10)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방법.
KR1020000071232A 2000-11-28 2000-11-28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415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232A KR20020041575A (ko) 2000-11-28 2000-11-28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232A KR20020041575A (ko) 2000-11-28 2000-11-28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575A true KR20020041575A (ko) 2002-06-03

Family

ID=19701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232A KR20020041575A (ko) 2000-11-28 2000-11-28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157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878A (ko) * 2001-05-04 2002-11-13 (주)유진사이언스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36983A (ko) * 2002-10-25 2004-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040051741A (ko) * 2002-12-11 2004-06-19 주식회사 엘키토산코리아 건강 식품 판매 방법
KR100673252B1 (ko) * 2004-10-28 2007-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정보 예측 시스템 및건강정보 예측 컨텐츠 제공방법
KR100691966B1 (ko) * 2006-03-27 2007-03-09 하태진 식사시간과 식사량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0725383B1 (ko) * 2004-07-15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건강 정보 저장 장치
KR100975383B1 (ko) * 2007-10-12 2010-08-11 애트민(주)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9686748B2 (en) 2011-12-29 2017-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terminal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2614A (ko) * 1988-02-03 1989-09-18 한다 아끼라 건강관리 측정 장치
JPH03223967A (ja) * 1988-11-28 1991-10-02 Sangyo Hoken Service Center:Kk 医学/保健用情報処理システム
KR0152671B1 (ko) * 1992-02-24 1998-10-01 신카이 요시히로 건강관리 네트워크 시스템
KR20000063542A (ko) * 2000-07-21 2000-11-06 조영무 인터넷상에서 사용자의 홍채패턴에 따른 건강정보 제공서비스 방법
KR20020037147A (ko) * 2000-11-13 2002-05-18 김희명 온라인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37970A (ko) * 2000-11-16 2002-05-23 윤종용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의약 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2614A (ko) * 1988-02-03 1989-09-18 한다 아끼라 건강관리 측정 장치
JPH03223967A (ja) * 1988-11-28 1991-10-02 Sangyo Hoken Service Center:Kk 医学/保健用情報処理システム
KR0152671B1 (ko) * 1992-02-24 1998-10-01 신카이 요시히로 건강관리 네트워크 시스템
KR20000063542A (ko) * 2000-07-21 2000-11-06 조영무 인터넷상에서 사용자의 홍채패턴에 따른 건강정보 제공서비스 방법
KR20020037147A (ko) * 2000-11-13 2002-05-18 김희명 온라인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37970A (ko) * 2000-11-16 2002-05-23 윤종용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의약 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878A (ko) * 2001-05-04 2002-11-13 (주)유진사이언스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36983A (ko) * 2002-10-25 2004-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040051741A (ko) * 2002-12-11 2004-06-19 주식회사 엘키토산코리아 건강 식품 판매 방법
KR100725383B1 (ko) * 2004-07-15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건강 정보 저장 장치
KR100673252B1 (ko) * 2004-10-28 2007-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정보 예측 시스템 및건강정보 예측 컨텐츠 제공방법
KR100691966B1 (ko) * 2006-03-27 2007-03-09 하태진 식사시간과 식사량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0975383B1 (ko) * 2007-10-12 2010-08-11 애트민(주)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9686748B2 (en) 2011-12-29 2017-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eller et al. Remote monitoring of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t home. A multidisciplinary project on aging at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US8852093B2 (en) Home care logistics and quality assurance system
US6735551B2 (en) System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health
US88945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information monitoring and processing
KR20190079157A (ko) 온라인 기반의 건강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439807B1 (ko) 치매 환자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0562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itions of care
US20140081666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to selectively present cumulative indicators of an individuals status over time
Brownsell et al. Assistive technology and telecare: forging solutions for independent living
WO2018218789A1 (zh) 中医治未病健康管理系统及方法
WO2014025503A1 (en) System and method of health care delivery
JPWO2007023818A1 (ja) リアルタイム情報収集・利用者支援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サーバ制御プログラム
CN110084930B (zh) 一种基于his的护士站用病房监管系统
JP2001258857A (ja) 医療情報システム
KR20180092905A (ko)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개인별 건강 분석에 따른 영양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61182B1 (ko) 재가방문 박스를 이용한 재가방문 관리시스템
KR20220095104A (ko)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시스템 기반 인공지능 응급의료 의사결정 및 응급환자 이송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20041575A (ko) 실시간 건강관리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107134A (ja) 健康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90082203A (ko)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의료 지원 방법
KR20170109449A (ko)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개인별 건강 분석에 따른 영양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80058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itions of care
KR20010097151A (ko)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894418A (zh) 一种医患沟通急诊护理平台
JP2022009624A (ja) 医療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