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1399A - 익편이 구비되는 에어흡입관 - Google Patents

익편이 구비되는 에어흡입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1399A
KR20020041399A KR1020020027702A KR20020027702A KR20020041399A KR 20020041399 A KR20020041399 A KR 20020041399A KR 1020020027702 A KR1020020027702 A KR 1020020027702A KR 20020027702 A KR20020027702 A KR 20020027702A KR 20020041399 A KR20020041399 A KR 20020041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ipe
air
air suction
fuel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규
Original Assignee
민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규 filed Critical 민병규
Priority to KR1020020027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1399A/ko
Publication of KR20020041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39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9/00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 F02M29/04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having screens, gratings, baffles or the like
    • F02M29/06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having screens, gratings, baffles or the like generating whirling motion of 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익편이 구비되는 에어흡입관에 관한 것이며 에어흡입관의 내벽에 스크류 익편을 구비하여 에어흡입관의 제조와 사용을 간편히 하고 엔진으로 유입되는 에어에 와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통상 에어흡입관의 제조시 중공부의 내벽에 스크류 익편을 구비하여서 된 구성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에어흡입관의 제조시에 스크류 익편이 일체로 구비하여 제조하게 되면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에어크리너의 에어가 에어흡입관을 통과하면서 와류로 바뀌어 엔진의 연소실로 공급이 이루어져 연소실의 연료와 혼합시 혼합밀도가 조밀하게 되므로서 연소효율이 높아져 엔진의 출력이 증강되고 미연소 배출가스의 발생이 감소되며 연료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익편이 구비되는 에어흡입관 { The air suction pipe with projecting part }
본 발명은 익편이 구비되는 에어흡입관에 관한 것이며 에어흡입관의 내벽에 스크류 형태의 익편을 구비하여 에어크리너를 통과하여 엔진으로 유입되는 에어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자동차 엔진의 구동은 엔진의 연소실에서 에어(공기)와 연료가 유입되어 압축된 상태에서 플러그의 점화로 폭발이 발생되면서 크랭크가 회전되어 구동을 하게 된다.
이 때 연소실 내로 유입되는 에어와 연료의 양을 이상적인 비율로 하며 조밀한 밀도로 혼합이 이루어져야 완전연소가 된다.
이와 같이 연료와 에어를 연소실로 유입하여 이를 압축시켜 연소되면서 폭발의 공정을 갖는 자동차엔진은 휘발유를 연료로 하는 가솔린 엔진과 경유를 연료로 하는 디젤엔진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이들은 대체적으로 연료와 에어가 엔진의 연소실로 유입되는 이상적인 혼합비율은 설정되어져 있고 액셀레이터의 동작에 따라 변화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엔진의 연료는 연료탱크에서 필터를 통하여 걸러지고 연료펌프에서 분사되도록 구성하고 에어의 경우에는 에어크리너에서 걸러져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자동차엔진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오염과 이로 인한 지구온난화 및 연료절감을 줄이는 수단으로 음이온방식,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 히터가열방식으로 엔진의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와 연료와의 혼합을 이상적으로 유도하는 터보엔진, 린번엔진등을 개발하여 출력, 연비, 매연에 대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수단은 연료와 에어의 이상적인 혼합비율은 설정되어져 있으나 혼합밀도를 조밀한 상태로 이루어지게 하는 수단은 자동차의 제조공정에서는 구비되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에어크리너와 엔진간을 연결하여 주는 에어흡입관에 밧데리의 전원으로 송풍기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중공관의 내면으로 유도날개를 구성한 유도관을 에어흡입관에 설치하거나 수개의 스크류 익편을 결합하여 에어흡입관에 설치하여 와류가 형성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전자의 경우에는 에어크리너의 에어를 저속과 고속에 구애 없이 송풍을 하게 되므로 부하가 발생되고 또 연료와 에어의 혼합비율을 이상적으로 조정하지 못하여 엔진의 구동상태가 원활하지 못하고 혼합상태를 조밀하게 할 수가 없고 후자의 경우에는 흡입공기에 난류성분을 강화시키는 싸이클론 방식의 유도관 또는 스크류 익편을 제조하여 에어흡입관에 설치하게 되나 이는 유동이 발생되고 와류가 에어흡입관의 중심으로 정확하게 유도되지 못하고 흡입공기의 압력손실로 인하여 연료와 에어의 혼합밀도를 조밀하게 하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수가 없는 결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소하고 에어흡입관의 제조시 내벽에 수개의 스크류 익편을 일체구성한 에어흡입관을 제조하고 사용을 간편히 할 수 있는 에어흡입관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변형예의 종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변형예의 또 다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에어흡입관10 : 스크류 익편
A : 중공부
에어크리너와 엔진간을 연결하여 주는 통상의 에어흡입관(1)에 있어서 에어흡입관(1)의 중공부(A) 내벽에 스크류익편(10)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0은 주름부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통상과 같이 에어크리너(도시없음)의 에어송출관과 엔진(도시없음)의 에어유입관에 본 발명의 에어흡입관(1)을 통상의 수단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에어크리너를 통과한 에어는 에어흡입관(1)의 중공부(A) 내벽의 스크류익편(10)에 의해서 에어흡입관(1)으로 유입되는 에어는 난류성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크류 익편(10)에 의해 난류성 와류로 형성된 에어는 엔진의 연소실로 유입되어 난류성 와류로 인한 연소실 내의 연료와 혼합이 이루어지게 하고, 와류의 힘에 의해 연료와의 혼합이 촉진되고 밀도가 조밀하게 되어 연소과정에서 완전연소를 유도하게 되므로 미연소 상태가 급격히 감소되므로 연소효율이 높아지고 출력이 증강되며 연소후에 배출되는 배출가스에는 미연소 가스가 급격히 감소된 상태에서 연료의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에어흡입관(1)의 제조시에 스크류 익편(10)을 형성하여 일체로 제조할 수 있게 되므로 제조가 용이하게 되고 에어흡입관(1)은 소재가 연질의 고무재등으로 제조되므로서 신축성이 있고 외면에는 주름부(20)를 갖게 되므로 변형되지 않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흡입관(1)의 중공부(A) 내벽에 스크류 익편(10)을 구성하므로서 엔진으로 유입되는 에어에 난류성 와류를 형성하여 엔진으로 유입된 연료와의 혼합을 촉진하고 밀도를 조밀하게 조성할 수 있게 되며 에어흡입관(1)의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에어흡입관의 중공부 내벽에 스크류익편을 일체로 구성하게 되므로서 제조와 사용이 편리하고 에어크리너의 에어를 엔진으로 유도할 때 와류를 형성하여 엔진의 연소실로 유입된 연료와의 혼합밀도를 조밀하게할 수 있게 되므로 연소효율을 높여 출력이 증강되고 미연소 배출가스를 줄이고 연료의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에어크리너와 엔진간을 연결하여 주는 통상의 에어흡입관(1)에 있어서 에어흡입관(1)의 중공부(A) 내벽에 스크류 익편(10)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익편이 구비되는 에어흡입관
KR1020020027702A 2002-05-20 2002-05-20 익편이 구비되는 에어흡입관 KR20020041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702A KR20020041399A (ko) 2002-05-20 2002-05-20 익편이 구비되는 에어흡입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702A KR20020041399A (ko) 2002-05-20 2002-05-20 익편이 구비되는 에어흡입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600U Division KR200262113Y1 (ko) 2001-11-02 2001-11-02 익편이 구비되는 에어흡입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399A true KR20020041399A (ko) 2002-06-01

Family

ID=19720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702A KR20020041399A (ko) 2002-05-20 2002-05-20 익편이 구비되는 에어흡입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1399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79309U (ko) * 1978-06-09 1979-12-18
JPS6030462A (ja) * 1983-07-29 1985-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ンジン用混合装置
KR960023263U (ko) * 1994-12-03 1996-07-20 정회석 자동차 흡·배기의 공기 증속 장치
KR19980031681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흡기용 공기 파이프의 와류 생성구조
KR19980055140A (ko) * 1996-12-28 1998-09-25 양재신 자동차의 흡기 다기관
KR19990047832A (ko) * 1997-12-05 1999-07-05 추호석 트럭의 에어 크리너 내장형 인테이크 덕트
KR20010112571A (ko) * 2000-06-09 2001-12-20 이범수 차량용 흡기매니폴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79309U (ko) * 1978-06-09 1979-12-18
JPS6030462A (ja) * 1983-07-29 1985-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ンジン用混合装置
KR960023263U (ko) * 1994-12-03 1996-07-20 정회석 자동차 흡·배기의 공기 증속 장치
KR19980031681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흡기용 공기 파이프의 와류 생성구조
KR19980055140A (ko) * 1996-12-28 1998-09-25 양재신 자동차의 흡기 다기관
KR19990047832A (ko) * 1997-12-05 1999-07-05 추호석 트럭의 에어 크리너 내장형 인테이크 덕트
KR20010112571A (ko) * 2000-06-09 2001-12-20 이범수 차량용 흡기매니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293B1 (ko) 자동차 엔진의 출력증대장치
CN109736936A (zh) 可控压升率的零氮烃类燃料点燃式转子机及其控制方法
CN109681317A (zh) 一种喷水降低缸内温度的零氮烃类燃料点燃式零转子机及其控制方法
CN109681318A (zh) 以氧气为氧化剂的烃类燃料点燃式零氮转子机及其控制方法
KR20020041399A (ko) 익편이 구비되는 에어흡입관
KR200262113Y1 (ko) 익편이 구비되는 에어흡입관
KR200398586Y1 (ko) 자동차 엔진의 출력증대장치
KR20120003546A (ko) 자동차 엔진의 연료절감장치
KR200262112Y1 (ko) 자동차 에어흡입관의 와류형성기
CN203670036U (zh) 强力旋转涡流油气混合发生器
CN103470410A (zh) 强力旋转涡流油气混合发生器
CN101984244A (zh) 四气门柴油机连通式复合进气道系统
KR200268945Y1 (ko) 자동차 엔진용 과급장치
JPS54151721A (en) Air intak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2425202Y (zh) 复合转子内燃机
CN2364235Y (zh) 空气湍流发生器(二)
KR200250471Y1 (ko) 자동차용 엔진의 연소공기 흡입기
CN203756378U (zh) 矿用汽车双阀控制式发动机富氧进气装置
KR19980033430A (ko) 엔진 흡기 시스템
RU8555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збуждения в цилиндре дизеля вибрационного режима горения топлива
CN2906106Y (zh) 燃气发动机
KR200174499Y1 (ko) 팽창행정의 피스톤 배압을 이용한 시동성 개선장치
KR200321339Y1 (ko) 디젤엔진용 흡기관
KR200172677Y1 (ko) 자동차 엔진의 흡기 조절장치
KR200349448Y1 (ko) 자동차 엔진의 출력증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