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0544A - 공통 전극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공통 전극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0544A
KR20020040544A KR1020010055718A KR20010055718A KR20020040544A KR 20020040544 A KR20020040544 A KR 20020040544A KR 1020010055718 A KR1020010055718 A KR 1020010055718A KR 20010055718 A KR20010055718 A KR 20010055718A KR 20020040544 A KR20020040544 A KR 20020040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liquid crystal
region
common electrod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7770B1 (ko
Inventor
다니구치요지
이노우에히로야스
Original Assignee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끼구사 나오유끼
Publication of KR2002004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7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07Structures for producing distorted electric fields, e.g. bumps, protrusions, recesses, slits in pixel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02F1/139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the birefringence of the liquid crystal being electrically controlled, e.g. ECB-, DAP-, HAN-, PI-LC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통 전극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휘도가 높고 표시 특성이 양호한 공통 전극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복수의 게이트 버스 라인과 드레인 버스 라인으로 획정된 화소 영역내에 형성된 화소 전극(16)을 갖는 어레이 기판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부(네가티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을 협지하는 투명 절연성 기판과, 투명 절연성 기판상에 형성된 공통 전극과, 공통 전극상에 형성된 선형상의 돌기(8)와, 투명 절연성 기판상에 형성되어 화소 전극(16)의 단부에 발생한 액정의 배향 불량 영역을 차광하도록, 투명 절연성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화소 전극(160)과 겹치는 겹침 영역(18)을 갖는 차광막(6)을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공통 전극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COMMON ELECTRODE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어레이 기판에 대향해서 배치되는 공통 전극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한쌍의 기판 사이에 봉입된 액정을 포함한다. 한쌍의 기판은 각각 전극 및 배향막을 갖는다.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TN(Twisted Nematic) 모드 액정 표시 장치는 수평 배향막 및 정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을 포함하고,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을 때 액정은 수평 배향막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향한다. 전압을 인가하면 액정은 수평 배향막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되는 방향으로 라이징(rising)한다.
YN모드 액정 표시 장치는 박형화가 가능하다는 등의 이점을 갖지만, 첫째로 시야각이 좁고, 둘째로 콘트라스트가 낮다는 결점을 갖는다. 이 첫 번째 결점을 개량하여 넓은 시약각을 도모하는 방법으로서 배향 분할이 있다. 배향 분할은 하나의 화소를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한쪽 영역에서는 액정이 한쪽을 향해서 라이징 또는 폴링(falling)되고, 다른쪽 영역에서는 액정이 반대측을 향해서 라이징 또는 폴링되도록 한다. 하나의 화소내에서 시각특성이 다른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본 경우에 시각특성을 평균화해서 넓은 시야각을 얻을 수 있다.
액정의 배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통상 배향막에 러빙(연마)을 행한다. 배회분할을 행하는 경우에는 마스크를 사용해서 하나의 화소의 한쪽 영역을 제 1 방향으로 러빙하고, 그리고 나서 보완적인 마스크를 사용해서 하나의 화소의 다른쪽영역을 제 1 방향과는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러빙한다. 또는, 배향막 전체를 제 1 방향으로 러빙하고, 마스크를 사용해서 하나의 화소의 한쪽 영역 또는 한쪽 영역에 선택적으로 자외선 조사를 실행하고, 한쪽 영역과 다른쪽 영역에서 액정의 프리틸트에 차가 생기도록 한다.
수평 배향막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러빙을 행할 필요가 있어, 러빙시에 발생하는 오염이나 정전기에 의한 장해가 제조효율 저하의 요인이 되고 있다.
한편, 수직배향막을 사용한 VA(Vertical1y Aligned) 모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전압이 인가되고 있지 않을 때에 액정은 수직배향막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배향하고, 전압을 인가하면 액정은 수직배향막에 대해서 수평으로 되는 방향으로 폴링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높은 콘트라스트가 얻어지고, 상기 TN모드 액정 표시 장치의 두 번째 결점인 콘트라스트의 낮음은 해소되지만, 수직배향막을 사용한 일반적인 VA 모드 액정 표시 장치에서도 액정의 배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통상 배향막에 러빙을 행한다.
본원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출원 평성 10-185836호는 러빙을 행하지 않고 액정의 배향을 제어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수직배향막 및 부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을 갖는 VA 모드 액정 표시 장치로서, 액정의 배향을 제어하기 위해서 한쌍의 기판의 각각에 마련된 선형상의 배향 규제 용 구조물(돌기 또는 슬릿)을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명세서내에 있어서는 이후 이 방식의 VA 모드 액정 표시 장치를 MVA(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액정 표시 장치라고 한다.
MVA 액정 표시 장치는 러빙이 불필요하고, 또한 선형상의 배향 규제용 구조물의 배치에 의해 배향분할을 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MVA 액정 표시 장치는 넓은 시야각과 높은 콘트라스트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러빙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가 간단하고, 러빙시의 배향막의 스크레이프(긁어냄) 등에 의한 오염이 없어 액정 표시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도 21은 종래의 MVA 액정 표시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하나의 화소와 그의 주변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MVA 액정 표시 장치는 각 화소에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TFT)(102)를 구비한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 표시 장치이다.
TFT(102)가 배치되어 있는 어레이 기판(122)에는 도면중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게이트 버스 라인(104)과, 도면중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드레인 버스 라인(106)이 형성되고 있다. TFT(102)는 드레인 버스 라인(106)으로부터 연장하는 드레인 전극(108)과, 드레인 전극(108)과 대향 배치되는 소스 전극(110)과, 게이트 버스 라인(104) 중 드레인 전극(108) 및 소스 전극(110)과 오버랩(중첩)하는 부분(게이트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게이트 버스 라인(104)상에는 예를 들면 비정질 실리콘(α-Si)막으로 이루어지는 채널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 어레이 기판(122)에는 소스 전극(110)에 접속되는 화소 전극(112)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112)에는 화소 전극(112)의 에지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되도록 슬릿(114)이 형성되고, 이 슬릿(114)이 어레이 기판(122)측의 액정의 배향을 제어하는 배향 규제용 구조물로 된다. 화소 전극(112)에는 슬릿(114)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접속부(116)가 마련되고, 이것에 의해서 하나의 화소내의 화소 전극(112)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공통 전극 및 컬러 필터(도 21에서는 모두 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는 공통 전극 기판(128) 상에는 어레이 기판(122) 상의 TFT(102)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과 그 이외의 영역으로서 화소 전극(112) 또는 배향 규제용 구조물(도 21에서는 슬릿(11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차광막(136)(도면중 좌측 상부에서 우측 하부로 그은 빗금으로 나타내고 있다)이 형성되어 있다. 차광막(136)은 TFT(102)의 채널층에 빛이 입사해서 생기는 리크(누출) 전류를 억제하고, 또 화소 전극(112) 사이로부터의 빛의 누설(새어나옴)을 방지하고, 또한 인접 화소간의 혼색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차광막(136)은 공통 전극 기판(128) 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화소 전극(112)의 에지와 차광막(136)의 에지가 대략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통 전극 기판(128) 상에는 배향 규제용 구조물로 되는 돌기(118)가 형성되어, 대향하는 어레이 기판(122) 상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114)과 함께 액정의 배향을 제어하고 있다.
예를 들면, 대각 15인치의 XGA의 액정 표시 장치(LCD 패널)의 경우, 하나의 화소의 크기는 99㎛ × 297㎛이다. 슬릿(114) 및 돌기(118)의 폭은 각각 10㎛이고, 슬릿(114)과 돌기(118)의 간격은 기판면 방향으로 보아 25㎛이다. 또한, 화소 전극(112)의 접속부(116)의 폭은 4㎛이고, 드레인 버스 라인(106)의 단부와 화소 전극 (112)의 단부의 거리는 7㎛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도 21에 있어서의 E-E선에 따른 간략화된 단면도로서, 액정의 배향을 제어하는 배향 규제용 구조물인 슬릿(114)과 돌기(118)의 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도 22는 한쌍의 기판(122), (128)의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고 있지 않을 때의 액정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어레이 기판(122) 측에는 유리 기판(120) 상에 화소 전극(1120이 형성되고, 화소 전극(112)에는 슬릿(1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소 전극(112) 및 슬릿(114)을 덮고 배향막(수직배향막)(12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공통 전극 기판(128) 측에는 유리 기판(120) 상에 화소 전극(112)과 대향해서 전면에 공통 전극(124)이 형성되고, 공통 전극(124) 상에 레지스트 등의 절연체(유전체)로 이루어지는 돌기(1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통 전극(124) 및 돌기(118)를 덮고 배향막(1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어레이 기판(122)과 공통 전극 기판(128) 사이에는 액정(LC)이 밀봉되어 있고, 액정 분자(도면중 긴 원으로 나타낸다)는 배향막(126)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향하고 있다. 따라서, 돌기(118)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배향막(126)에 대해서도 액정 분자는 수직으로 배향하고, 돌기(118) 표면 근방의 액정 분자는 유리 기판(120)에 대해서 경사진 상태로 된다. 단, 엄밀하게 보면, 돌기(118) 표면 근방의 액정 분자는 배향막(126)에 대해서 수직으로는 배향하고 있지 않다. 그것은 돌기(118)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액정 분자는 배향막(126)에 의해 유리 기판(120)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배향하고 있고, 액정의 연속체성을 위해 화소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액정 분자를 따라 배향막(126)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유리 기판(120)의 법선 방향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어레이 기판(122) 및 공통 전극 기판(128)의 유리 기판(120)의 외측에는 한쌍의 편광판이 크로스 니콜(crossed Nicols)의 상태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전압 무인가의 상태에서는 검은색 표시로 된다.
도 23은 한쌍의 기판의 전극간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등전위선을 나타내고 있다. 도 24는 그 때의 액정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3중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등전위선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화소 전극(112) 및 공통 전극(124)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 슬릿(114)이나 돌기(118)가 형성된 부분에서의 전계의 분포가 다른 부분과는 다르게 된다. 이것은 슬릿(114)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화소 전극(112)의 단부로부터 대향하는 공통 전극(124)을 향해서 비스듬한 전계가 형성되기 때문에, 돌기(118)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돌기(118)가 공통 전극(124) 상에 형성된 유전체인 것에 의해서 전계가 왜곡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2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액정 분자는 도면중 화살표 방향으로 즉 전계의 방향과 수직으로 되는 방향으로 전압의 크기에 따라서 폴링되고, 전압 인가의 상태에서는 흰색 표시가 얻어지게 된다.
이 때, 돌기(118) 근방의 액정 분자는 돌기(118)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형상으로 형성된 것인 경우, 돌기(118)를 경계로 해서 돌기(118)가 형성되는 방향에 대해서 거의 수직인 2방향으로 폴링된다. 돌기(118) 근방의 액정 분자는 전압 무인가 상태에서도 유리 기판(120)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부터 약간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전계에 신속하게 응답해서 폴링되고, 또 주위의 액정 분자도 그 거동에 따라 전계의 영향도 받으면서 신속하게 폴링되어져 간다. 이와 같이,슬릿(1l4) 근방의 액정 분자도 슬릿(114)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형상으로 형성된 것인 경우, 슬릿(114)을 경계로 해서 슬릿(114)이 형성되는 방향에 대해서 거의 수직인 2방향으로 폴링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22에 나타낸 2개의 일점쇄선 사이의 영역에서는 액정 분자가 동일한 방향으로 폴링되고, 즉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하는 영역이 형성된다. 도 21 중의 〔A〕로 나타내는 영역이다. 그리고, 도 21에 〔A〕∼〔D〕로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MVA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1개의 화소 중에 4개의 다른 배향방향의 영역이 형성되므로, 광시야각이라는 특성이 얻어진다. 또, 이러한 배향 규제용 구조물에 의한 배향 제어는 도 21 내지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슬릿(114)과 돌기(118)의 조합인 경우뿐만 아니고, 배향 규제용 구조물로서 돌기와 돌기 또는 슬릿과 슬릿을 이용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배향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MVA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광시야각은 얻을 수 있지만, 액정 분자의 배향이 안정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존재하고, 그에 따라 휘도가 저하한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즉,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한 경우에, 도 21에 있어서 사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배향 불량 영역(130)이 발생한다. 이 배향 불량 영역(130)은 빛의 투과율이 나쁜 영역이기 때문에, 흰색 표시를 행한 경우에 휘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되고 있다. 이 배향 불량 영역(130)은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공통 전극 기판(128)에 형성된 배향 규제용 구조물(도 21에서는 돌기(118))이 화소 전극(112)의 에지와 둔각을 이루는 측의 드레인 버스 라인(106)을 따르는 방향에발생한다. 배향 불량 영역(130)이 발생하고 있는 영역에 있어서, 액정 분자는 한쌍의 기판에 형성된 배향 규제용 구조물(도 21에서는 돌기(118) 및 슬릿(l14))에 의해서 제어되는 배향 방향과는 다른 배향 방향으로 되어 있다.
도 25는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한 MVA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하나의 화소와 그의 주변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1에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 작용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5에 나타내는 MVA 액정 표시 장치는 도 21에 나타낸 배향 불량 영역(130)을 강하게 배향 규제하기 위해 형성된 배향 규제용 구조물인 보조 돌기(132)를 갖고 있다. 보조 돌기(132)는 돌기(118)로부터 분기되고, 화소 전극(112)의 단부로서 드레인 버스 라인(106)을 따르는 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이 보조 돌기(132)에 의해 액정 분자(도면중 원주로 나타낸다)a는 액정 분자b와 연속적으로 배향하여, 배향 불량 영역(130)의 액정 분자의 배향은 안정하게 된다.
도 26은 종래의 MVA 액정 표시 장치에서 흰색을 배경으로 하여, 도면중 상하방향으로 긴 띠형상의 검은색 도형(이하, 검은색의 세로 띠(white vertical band)라고 한다)을 표시했을 때의 표시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표시 영역(134)에 있어서 배경의 일부인 화소(A)는 흰색을 표시하고 있고, 검은색의 세로 띠 형상 중의 화소(B)는 검은색을 표시하고 있다. 도면중에서 검은색 세로띠의 아래에 위치하는 화소(C)는 흰색을 표시하고 있지만, 화소(A)와 비교하면 어둡게 되어 있다.화소(A)와 비교했을 때의 화소(C)의 어두움은 검은색 세로띠가 도면중 세로로 길어질수록 증가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MVA 액정 표시 장치는 흰색 배경에 있어서 검은색 세로띠를 표시했을 때, 흰색을 표시하고 있는 검은색 세로띠 아래의 영역이 다른 흰색을 표시하고 있는 영역과 비교해서 어둡게 표시되어 버린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 27은 종래의 MVA 액정 표시 장치에서 검은색을 배경으로 하여, 도면중 상하방향으로 긴 띠형상의 흰색 도형(이하, 흰색 세로띠라고 한다)을 표시했을 때의 표시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표시 영역(134)에 있어서 배경의 일부인 화소(A)는 검은색을 표시하고 있고, 흰색 세로띠 중의 화소(B)는 흰색을 표시하고 있다. 도면중에서 흰색 세로띠의 아래에 위치하는 화소(C)는 검은색을 표시하고 있지만, 화소(A)와 비교하면 밝게 되어 있다. 화소(A)와 비교했을 때의 화소(C)의 밝기는 흰색 세로띠가 도면중 세로로 길어질수록 증가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MVA 액정 표시 장치는 검은색 배경에 있어서 흰색 세로띠를 표시했을 때, 검은색을 표시하고 있는 흰색 세로띠의 아래의 영역이 다른 검은색을 표시하고 있는 영역과 비교하여 밝게 표시되어 버린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이후, 상기 같이, 화소(C) 주변의 영역이 화소(A) 주변의 영역과 비교하여 밝게 또는 어둡게 되는 현상을 세로 크로스토크(cross talk;누화)라고 한다. 세로 크로스토크는 보조 돌기(13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화소 전극(112)의 단부와 드레인 버스 라인(106) 사이에 발생하는 횡 전계가 액정의 배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의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휘도가 높고 양호한 표시 특성이 얻어지는 공통 전극 기판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제로 되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세로 크로스토크(cross talk)의 주 원인을 설명하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제로 되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세로 크로스토크의 주 원인을 설명하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제로 되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세로 크로스토크의 주 원인을 설명하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제로 되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세로 크로스토크의 주 원인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제로 되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세로 크로스토크의 주 원인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제로 되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제로 되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세로 크로스토크의 주 원인을 설명하는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제로 되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세로 크로스토크의 주 원인을 설명하는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제로 되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세로 크로스토크의 주 원인을 설명하는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제로 되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세로 크로스토크의 주 원인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제로 되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세로 크로스토크의 주 원인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통 전극 기판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14는 차광막이 갖는 중첩(겹침) 영역의 화소 전극의 단부로부터의 중첩 폭에 따른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5는 차광막이 갖는 겹침 영역의 화소 전극의 단부로부터의 중첩 폭에 따른 패널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공통 전극 기판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공통 전극 기판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공통 전극 기판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통 전극 기판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다른 공통 전극 기판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1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2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3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4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5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6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과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7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과제를 설명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TFT
4 : 축적 용량
6 : 차광막
8 : 돌기
10 : 보조 돌기
12 : 슬릿
14 : 접속부
16 : 화소 전극
18 : 겹침 영역
19 : 차광막 단부
20 : 화소 전극의 단부
22 : 유리기판
24 : 공통 전극
28 : 보호막
30 : 절연막
32 : 어레이 기판
34 : 공통 전극 기판
36 : 게이트 버스 라인
42 : 드레인 버스 라인
50 : 수지 2층 중첩부
52 : 드레인 전극
54 : 소스 전극
56 : 배향 불량 영역
84 : 화소 영역
86 : 표시영역
88 : 게이트 버스 라인 구동회로
90 : 드레인 버스 라인 구동회로
92 : 입력 단자
상기 목적은 복수의 게이트 버스 라인과 드레인 버스 라인으로 획정된 화소 영역내에 형성된 화소 전극을 갖는 어레이 기판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부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을 협지하는 투명 절연성 기판과,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상에 형성된 공통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상에 형성된 선형상의 돌기를 갖는 배향 규제용 구조물과,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화소 전극의 단부에 발생한 상기 액정의 배향 불량 영역을 차광하도록,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상기 화소 전극과 겹치는 겹침 영역을 갖는 차광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통 전극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를 도 1 내지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제로 되는 종래의 MVA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세로 크로스토크의 주된 발생 원인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도 26에 나타낸 각 화소 (A), (B), (C)내에 있어서의 게이트 전압, 드레인 전압, 화소 전압 및 공통 전압의 일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은 화소(A)에 있어서의 게이트 전압(Vg), 드레인 전압(Vd), 화소 전압(Vp) 및 공통 전압(Vcom)을 나타내고 있다.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있고, 도 1에서는 대략 2프레임분(예를 들면 약 1/30초)을 나타내고 있다. 세로축은 전압(V)을 나타내고 있다. 도 26 중에서 화소(A)를 포함하는 드레인 버스 라인상의 모든 화소는 흰색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드레인 전압(Vd)은 프레임 주기마다 +5V 또는 -5V로 된다. 게이트 전극(도시하지 않음)에 게이트 전압(Vg)이 인가되었을 때, 드레인 전압(Vd)의 +5V 또는 -5V가 화소 전압(Vp)으로서 화소(A)에 기록된다. 화소 전압(Vp)은 축적 용량(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다음 프레임까지 거의 그 전위가 유지된다. 본 예에서는 공통 전압(Vcom)은 항상 0V이다. 화소 전압(Vp)과 드레인 전압(Vd)의 전위차(e)는 프레임 기간중의 대부분에 있어서 10V이다.
도 2는 도 26에 나타낸 화소(B)에 있어서의 게이트 전압(Vg), 드레인 전압(Vd), 화소 전압(Vp) 및 공통 전압(Vcom)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있고, 도 1의 횡축과 마찬가지로 대략 2프레임분을 나타내고 있다. 세로축은 전압(V)을 나타내고 있다. 화소(B)는 검은색을 나타내고 있고, 도 26 중에서 화소(B)를 포함하는 드레인 버스 라인상의 화소의 대부분도 검은색을 나타내고 있다. 그 때문에, 드레인 전압(Vd)은 프레임 기간중의 대부분에 있어서 +1V 또는 -1V이며, 일부가 +5V 또는 -5V이다. 게이트 전극에 게이트 전압(Vg)이 인가되었을 때, 드레인 전압(Vd)의 +1V 또는 -1V가 화소 전압(Vp)으로서 화소(B)에 기록된다.
도 3은 도 26에 나타낸 화소(C)에 있어서의 게이트 전압(Vg), 드레인 전압(Vd), 화소 전압(Vp) 및 공통 전압(Vcom)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횡축은 시간을 타나내고 있고,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대략 2프레임분을 나타내고 있다. 세로축은 전압(V)을 나타내고 있다. 화소(C)는 흰색을 표시하고 있지만, 도 26 중 화소(C)를 포함하는 드레인 버스 라인상의 화소의 대부분은 검은색을 표시하고 있다. 그 때문에, 드레인 전압(Vd)은 프레임 기간중의 대부분에 있어서 +1V 또는 -1V이고, 일부가 +5V 또는 -5V이다. 검은색 세로띠의 세로 방향의 길이에 비례해서, 드레인 전압(Vd)이 +1V 또는 -1V인 시간은 길어진다. 게이트 전극에 게이트 전압(Vg)이 인가되었을 때, 드레인 전압(Vd)의 +5V 또는 -5V가 화소 전압(Vp)으로서 화소(C)에 기록된다. 화소 전압(Vp)과 드레인 전압(Vd)의 전위차(e)는 대부분 6V이고, 일부에서 10V이다. 실제로 화소 전극과 드레인 버스 라인 사이에 발생하는 전위차(e)는 이들의 평균치이지만, 검은색 세로띠의 세로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면 전위차(e)는 거의 6V로 된다.
여기서, 화소(A)와 화소(C)에 있어서의 액정의 상태를 도 4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화소(A)에 있어서의 드레인 버스 라인(42)을 따른 방향의 화소 전극(16)의 단부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어레이 기판(32)은 유리 기판(22) 상에 드레인 버스 라인(42)과 화소 전극(16)을 갖고 있다. 어레이 기판(32)과 대향하는 공통 전극 기판(34)은 거의 화소 전극(1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형성된 차광막(6)과, 거의 기판 전면에 형성된 공통 전극(24)을 갖고 있다. 양 기판(32, 34)의 대향면에는 전압 무인가 상태로 액정 분자를 양 기판(32, 34)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향시키기 위한 수직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 기판(32, 34) 사이에는 부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LC)이 봉입되어 있다. 액정 분자의 대부분은 화소 전극(16)과 공통 전극(24) 사이의 전계에 의해서 도면중 우측 방향으로 폴링되어 있다. 액정 분자가 폴링되어 있는 것에 의해 화소(A)에서는 흰색 표시가 얻어지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A)에 있어서 드레인 버스 라인(42)의 드레인 전압(Vd)은 프레임 주기마다 +5V 또는 -5V이고, 화소 전극(16)의 화소 전압(Vp)은 5V 또는 +5V이다. 공통 전극(24)의 공통 전압(Vcom)은 0V이다. 따라서, 화소 전극(16)과 드레인 버스 라인(42) 사이의 전위차는 거의 10V이고, 화소 전극(16)과 공통 전극(24) 사이의 전위차는 5V이다. 도 4 중의 점선은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전계(E1, E2)를 나타내고 있고, |E2|>|E1|로 된다. 즉, 화소 전극(16)과 드레인 버스 라인(42) 사이에는 화소 전극(16)과 공통 전극(24) 사이의 전계(E1)보다 강한 횡 전계(E2)가 발생하고 있다.
이 강한 횡 전계(E2)의 영향으로, 화소 전극(16)과 드레인 버스 라인(42) 사이의 액정 분자는 양 기판(32, 34) 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배향한다. 그러나, 차광막(6)은 드레인 버스 라인(42) 상으로부터 화소 전극(16)의 단부까지를 차광하고 있으므로, 이들 영역의 배향 불량은 표시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화소 전극(16)의 단부의 액정 분자는 횡 전계(E2)의 영향을 받아 폴링되지만, 원래 흰색 표시이기 때문에 문제로 되지 않다.
도 5는 화소(C)에 있어서의 드레인 버스 라인을 따른 방향의 화소 전극의 단부의 개략적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 작용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액정분자의 대부분은 도 4에 나타낸 화소(A)와 마찬가지로화소 전극(16)과 공통 전극(24) 사이의 전계에 의해서 도면중 우측 방향으로 폴링되어 있다. 액정 분자가 폴링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화소(C)에서는 거의 흰색 표시가 얻어지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C)에 있어서 드레인 버스 라인(42)의 드레인 전압(Vd)은 프레임 기간중의 대부분에 있어서 +1V 또는 -1V이고, 화소 전극(16)의 화소 전압(Vp)은 5V 또는 +5V이다. 공통 전극(24)의 공통 전압(Vcom)은 0V이다. 따라서, 화소 전극(16)과 드레인 버스 라인(42) 사이의 전위차(e)는 거의 6V이고, 화소 전극(16)과 공통 전극(24) 사이의 전위차는 5V이다. 도 5 중의 점선은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전계(E1, E2)를 나타내고 있고, |E2|≒|E1|이다. 화소 전극(16)과 드레인 버스 라인(42) 사이에는 화소 전극(16)과 공통 전극(24) 사이의 전계(E1)와 거의 동일한 강도의 횡 전계(E2)가 발생하고 있다.
이 횡 전계(E2)의 영향으로, 화소 전극(16)과 드레인 버스 라인(42) 사이의 액정 분자는 양 기판(32, 34) 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배향한다. 그러나, 차광막(6)은 드레인 버스 라인(42)상으로부터 화소 전극(16)의 단부까지를 차광하고 있으므로, 이들 영역의 배향 불량은 표시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화소 전극(16)의 단부의 액정 분자는 양 기판(32, 34)에 수직인 방향의 전계(E1)와 거의 동일한 강도의 횡 전계(E2)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충분히 폴링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화소 전극(16)의 단부에서는 동일한 화소의 다른 부분과 비교해서 광투과량이 감소하기때문에, 화소(C)는 화소(A)와 비교하면 어둡게 표시되고, 세로 크로스토크가 발생한다. 도 6은 세로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도 25와 마찬가지의 하나의 화소의 평면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배향 불량이 발생하는 배향 불량 영역(56)은 화소 전극(112)의 단부의 드레인 버스 라인(106)을 따른 방향으로서 보조 돌기(13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발생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27에 나타낸 각 화소(A, B, C)에 있어서의 게이트 전압, 드레인 전압, 화소 전압 및 공통 전압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 내지 도 3과 마찬가지의 그래프로서, 횡축은 대략 2프레임분의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세로축은 전압(V)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화소(A)에 있어서의 게이트 전압(Vg), 드레인 전압(Vd), 화소 전압(Vp) 및 공통 전압(Vcom)을 나타내고 있다. 도 7 중에서 화소(A)를 포함하는 드레인 버스 라인(42) 상의 모든 화소는 검은색을 표시하고 있으므로, 드레인 전압(Vd)은 프레임 주기마다 +1V 또는 -1V로 된다. 게이트 전극에 게이트 전압(Vg)이 인가되었을 때, 드레인 전압(Vd)의 +1V 또는 -1V가 화소 전압(Vp)으로서 화소(A)에 기록된다. 화소 전압(Vp)과 드레인 전압(Vd)의 전위차(e)는 프레임 기간중의 대부분에 있어서 2V이다.
도 8은 도 27에 나타낸 화소(B)에 있어서의 게이트 전압(Vg), 드레인 전압(Vd), 화소 전압(Vp) 및 공통 전압(Vcom)을 나타내고 있다. 화소(B)는 흰색을 표시하고 있고, 도 8 중에서 화소(B)를 포함하는 드레인 버스 라인(42) 상의 화소의 대부분도 흰색을 표시하고 있다. 그 때문에, 드레인 전압(Vd)은 프레임 기간 중의 대부분에 있어서 +5V 또는 -5V이고, 일부가 +1V 또는 -1V이다. 게이트 전극에 게이트 전압(Vg)이 인가되었을 때, 드레인 전압(Vd)의 +5V 또는 -5V가 화소 전압(Vp)으로서 화소(B)에 기록된다.
도 9는 도 27에 나타낸 화소(C)에 있어서의 게이트 전압(Vg), 드레인 전압(Vd), 화소 전압(Vp) 및 공통 전압(Vcom)을 나타내고 있다. 화소(C)는 검은색을 표시하고 있지만, 도 27 중에서 화소(C)를 포함하는 드레인 버스 라인(42)상의 화소의 대부분은 흰색을 표시하고 있다. 그 때문에, 드레인 전압(Vd)은 프레임 기간중의 대부분에 있어서 +5V 또는 -5V이고, 일부가 +1V 또는 -1V이다. 흰색 세로띠의 세로 방향의 길이에 비례해서 드레인 전압(Vd)이 +5V 또는 -5V인 시간은 길어진다. 게이트 전극에 게이트 전압(Vg)이 인가되었을 때, 드레인 전압(Vd)의 +1V 또는 -1V가 화소 전압(Vp)으로서 화소(C)에 기록된다. 화소 전압(Vp)과 드레인 전압(Vd)의 전위차(e)는 프레임 기간중의 대부분에 있어서 6V이고, 일부에서 2V이다. 실제로 화소 전극(16)과 드레인 버스 라인(42) 사이에 발생하는 전위차(e)는 이들의 평균치이지만, 흰색 세로띠의 세로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면 전위차(e)는 거의 6V로 된다.
여기서, 화소(A)와 화소(C)의 액정의 상태를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화소(A)에 있어서의 드레인 버스 라인(42)을 따른 방향의 화소 전극(16)의 단부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 작용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전압 무인가 상태의 액정 분자는 수직배향막(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양 기판(32, 34)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배향하고 있다. 그에 따라 화소(A)에서는 검은색 표시가 얻어지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A)에서는 드레인 버스 라인(106)의 드레인 전압(Vd)은 프레임 주기로 +1V 또는 -1V이고, 화소 전극(16)의 화소 전압(Vp)은 -1V 또는 +1V이다. 공통 전극(24)의 공통 전압(Vcom)은 0V이다. 따라서, 화소 전극(16)과 드레인 버스 라인(42) 사이의 전위차(e)는 거의 2V이고, 화소 전극(16)과 공통 전극(24) 사이의 전위차는 1V이다. 도 10중의 점선은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전계(E2)를 나타내고 있다. 화소 전극(16)과 드레인 버스 라인(42) 사이에는 화소 전극(16)과 공통 전극(24) 사이의 전계와 비교하여 강한 횡 전계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 11은 화소(C)에 있어서의 드레인 버스 라인(42)을 따른 방향의 화소 전극(16)의 단부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 작용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전압 무인가 상태의 액정 분자의 대부분은 도 10에 나타낸 화소(A)와 마찬가지로, 수직배향막에 의해 양 기판(32, 34)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배향하고 있다. 그에 따라 화소(C)에서는 거의 검은색 표시가 얻어지고 잇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C)에서는 드레인 버스 라인(42)의 드레인 전압(Vd)은 프레임 기간중의 대부분에 있어서 +5V 또는 -5V이고, 화소 전극(16)의 화소 전압(Vp)은 -1V 또는 +1V이다. 공통 전극(24)의 공통 전압(Vcom)은 0V이다.따라서, 화소 전극(16)과 드레인 버스 라인(42) 사이의 전위차(e)는 거의 6V이고, 화소 전극(16)과 공통 전극(24) 사이의 전위차는 1V이다. 그리고, 드레인 버스 라인(42)과 공통 전극(24) 사이의 전위차는 5V이다. 또한, 도 11중의 점선은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전계(E2, E3)를 나타내고 있다. 화소 전극(16)과 드레인 버스 라인(42) 사이에는 화소 전극(16)과 공통 전극(24) 사이의 전계와 비교해서 강한 횡 전계(E2)가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드레인 버스 라인(42)과 공통 전극(24) 사이에도 강한 전계(E3)가 발생하고 있다.
이 화소 전극(16)과 드레인 버스 라인(42) 사이의 횡 전계(E2) 및 드레인 버스 라인(42)과 공통 전극(24) 사이의 전계(E3)의 영향으로 화소 전극(16)의 단부의 액정 분자는 도면중 우측으로 폴링된다. 이 배향 불량 때문에, 화소 전극(16)의 단부에서 빛의 누설이 발생하고, 그 영향으로 화소(C)는 화소(A)와 비교하면 밝게 표시되고, 세로 크로스토크가 발생한다. 상기한 배향 불량은 도 6에 나타낸 배향 불량 영역(56)에서 발생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따른 공통 전극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도 12 및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어레이 기판(32)상에는 TFT(2), 축적 용량(4) 및 예를 들면 인듐 산화 주석(ITO: Indium Tin Oxide) 등의 투명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화소 전극을 갖는 화소 영역(84)이 매트릭스형상으로 다수 배치된 표시 영역(86)이 획정되어 있다. 또, 도 12는 화소 영역(84)내에 액정 표시 장치의 1화소분의 등가 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 영역 주위의 도면중 좌측에는 게이트 버스 라인 구동 회로(88)가 배치되고, 도면중 상측에는 드레인 버스 라인 구동 회로(9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시스템 측으로부터의 도트 클럭이나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RGB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 단자(92)가 도면중 패널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다.
어레이 기판(32)은 도시하지 않는 실링제를 개재시켜 공통 전극 기판(34)과 대향해서 부착되어 있다. 어레이 기판(32)과 공통 전극 기판(94) 사이의 셀 갭에 부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LC)이 봉입되어 있다. 어레이 기판(32)상의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기판(34)상의 공통 전극, 및 그들 사이에 끼인 액정(LC)에 의해 액정 용량(Clc)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어레이 기판(32) 측에서 표시 전극과 축적 용량 버스 라인이 형성되어 축적 용량(4)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 영역(86)내에는 도면중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드레인 버스 라인(42)이 도면중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드레인 버스 라인(42)의 각각은 드레인 버스 라인 구동 회로(90)에 접속되어 있고, 드레인 버스 라인(42)마다 소정의 계조 전압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드레인 버스 라인(42)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게이트 버스 라인(36)이 도면중 상하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게이트 버스 라인(36)의 각각은 게이트 버스 라인 구동 회로(88)에 접속되어 있다. 게이트 버스 라인 구동 회로(88)는 내장된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비트출력과 동기해서 복수의 게이트 버스 라인(36)에 대해서 순서대로 게이트 펄스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게이트 버스 라인 구동 회로(88)에 의해 복수의 게이트 버스 라인(36) 중의 어느 하나로 게이트 펄스가 출력되면,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36)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TFT(2)가 온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드레인 버스 라인 구동 회로(90)로부터 복수의 드레인 버스 라인(42)의 각각에 인가되고 있는 계조 전압이 각 화소 전극에 인가된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통 전극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액정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를 나타내고 있고, TFT(2)가 배치되어 있는 어레이 기판(32)상에는 도면중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게이트 버스 라인(36)과 도면중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드레인 버스 라인(42)이 형성되어 있다. TFT(2)는 드레인 버스 라인(42)으로부터 연장하는 드레인 전극(52)과, 드레인 전극(52)과 대향 배치되는 소스 전극(54)과, 게이트 버스 라인(36) 중 드레인 전극(52) 및 소스 전극(54)과 오버랩하는 부분(게이트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게이트 버스 라인(36)상에는 예를 들면 비정질 실리콘(α-Si)막으로 이루어지는 채널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 어레이 기판(32)에는 소스 전극(54)에 접속되는 화소 전극(16)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16)에는 화소 전극(16)의 에지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슬릿(12)이 형성되고, 이 슬릿(12)이 어레이 기판(32) 측의 액정 배향을 제어하는 배향 규제용 구조물로 된다. 화소 전극(16)에는 슬릿(12)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접속부(14)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하나의 화소내의 화소 전극(16)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도 13에서는 화소 중앙을 횡단하는 축적 용량 버스 라인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공통 전극 및 컬러 필터(도 13에서는 모두 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는 공통 전극 기판(34)상에는 어레이 기판(32)상의 TFT(2)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과, 그 이외의 영역으로서 화소 전극(16) 또는 배향 규제용 구조물(도 13에서는 슬릿(1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차광막(6)(도면에 있어서 빗금으로 나타낸다)이 Cr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차광막(6)은 공통 전극 기판(34) 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화소 전극(16)의 에지와 차광막(6)의 에지가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 기판(34)상에는 배향 규제용 구조물로 되는 선형상의 돌기(8)가 화소 전극(16)의 에지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8)로부터 분기되어 나온 화소 전극(16)의 단부의 드레인 버스 라인을 따른 방향으로 배향 규제용 구조물로 되는 보조 돌기(10)가 형성되어 있다. 차광막(6)에는 공통 전극 기판(34) 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드레인 버스 라인(42)을 따른 방향으로서 보조 돌기(1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의 화소 전극(16)과 겹치는 겹침 영역(18)이 형성되어 있다. 겹침 영역(18)은 화소 전극(16)의 단부에 발생한 배향 불량 영역(56)을 차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4는 차광막(6)에 마련된 겹침 영역(18)의 폭에 대한 차광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횡축은 겹침 영역(18)의 폭(㎛)을 나타내고 있고, 세로축은 세로 크로스토크의 정도를 도 26 또는 도 27에 나타낸 화소(C)와 화소(A)의 밝기의 변화에 대한 인식의 정도로 나타내고 있다. 또, 겹침 영역(18)의 폭은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겹침 영역(18)의 드레인 버스 라인(42) 방향의 에지와 화소 전극(16)의 드레인 버스 라인 방향의 에지와의 거리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겹침 영역(18)의 폭이 2㎛이하인 경우에는 밝기의 변화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세로 크로스토크는 발생하고 있지 않다. 겹침 영역(18)의 폭이 4㎛인 경우에는 밝기의 변화가 희미하게 보이기 때문에 세로 크로스토크는 발생하고 있다. 겹침 영역(18)의 폭이 6㎛이상인 경우에는 밝기의 변화가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세로 크로스토크는 발생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겹침 영역(18)의 폭을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2㎛이상으로 형성하면 세로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5는 차광막(6)이 겹침 영역(18)의 폭에 대한 패널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횡축은 겹침 영역(18)의 폭(㎛)을 나타내고 있고, 세로축은 패널 투과율(%)을 표현하고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겹침 영역(18)의 폭이 0㎛일 때(겹침 영역(18)이 없을 때)의 패널 투과율은 5. 0%이다. 겹침 영역(18)의 폭이 증가함에 따라 패널 투과율은 감소하고, 겹침 영역(18)의 폭이 12㎛일 때의 패널 투과율은 4. 0%로 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4. 0% 이상의 패널 투과율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겹침 영역(18)의 폭을 기판 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12㎛ 이하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광막(6)의 겹침 영역(18)에 의해 배향 불량 영역(56)을 차광하는 것에 의해, 세로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의한 공통 전극 기판의 변형예를 도 16 내지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통 전극 기판이 갖는 차광막의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13에 나타낸 평면도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 작용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변형예는 보조 돌기(10)가 형성되어 있는 정상 배향 영역에 있어서 공통 전극 기판(34) 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차광막(6)이 화소 전극(16)보다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6에 있어서, 보조 돌기(10)의 형성 영역에 있는 차광막(6)의 단부(19)는 도면에 있어서 보조 돌기(10)내에 그은 화소 전극(16)의 단부(20)의 점선(hidden line)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7은 도 16에 있어서의 D-D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어레이 기판(32)은 투명 절연성 기판인 유리 기판(22)상에 형성된 절연막(30)을 갖고 있다. 절연막(30)상의 도면중 우측에는 드레인 버스 라인(42)이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 버스 라인(42)상의 기판 전면에는 보호막(28)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28)상의 도면중 좌측에는 화소 전극(1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어레이 기판(32)과 대향하는 공통 전극 기판(34)은 유리 기판(22)상에 형성된 차광막(6)을 갖고 있다. 차광막(6)은 공통 전극 기판(34) 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화소 전극(16)의 도면중 우측 단부와 겹치는 겹침 영역(18)을 갖고 있다. 차광막(6)상에는 컬러 필터(26)가 형성되어 있다. 컬러 필터(26)상의 기판 전면에는 공통 전극(24)이 형성되어 있다.
도 18은 도 16에 있어서의 E-E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또, 도 17에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 작용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에 도시한 영역은 공통 전극(24) 상으로서 화소 전극(16)의 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보조 돌기(10)가 형성되고 있는 정상 배향 영역이다. 차광막(6)은 공통 전극 기판(34) 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화소 전극(16)보다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 드레인 버스 라인(42) 표면이 노출되는 것에 따른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공통 전극 기판(34)의 면방향으로 본 차광막(6)의 단부(19)와 화소 전극(16)의 단부(20)와의 거리는 화소 전극(16)으로부터 드레인 버스 라인(42)까지의 거리(예를 들면 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통 전극 기판(34)상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 돌기(10)는 액정 분자의 배향을 강하게 규제하기 때문에, 보조 돌기(10)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배향 불량은 발생하지 않다. 그 때문에, 공통 전극 기판(34) 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보조 돌기(10)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화소 전극(16)보다 외측에 차광막(6)을 배치함으로써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패널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통 전극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를 도 19 및 도 20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공통 전극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액정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은 도 12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므로,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는 본 실시예에 다른 공통전극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하나의 화소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평면도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 작용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공통 전극 기판(34) 상에는 직선 α와 직선 β 사이에 놓인 영역에 적색의 컬러 필터(R)가 형성되어 있다. 직선 α의 도면중 우측에는 녹색의 컬러 필터(G)가 형성되어 있고, 직선 β의 도면중 좌측에는 청색의 컬러 필터(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드레인 버스 라인(42)과 화소 전극(16) 사이의 영역에 대향하는 영역으로서 보조 돌기(10)가 형성되어 있는 정상 배향 영역 이외의 영역에는 컬러 필터의 형성 재료를 2층 이상 중첩시켜 형성되고, 화소 전극(16)과 대향하는 영역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수지 2층 중첩부(50)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공통 전극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에 있어서의 액정의 상태에 대해서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도 19에 있어서의 F-F선에 따른 간략화된 단면도로서, 도 26에로 나타낸 화소(C)부를 나타내고 있다. 어레이 기판(32)상에는 드레인 버스 라인(42)이 도면중 좌측에 형성되어 있고, 화소 전극(16)이 도면중 우측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공통 전극 기판(34)상의 화소 전극(16)에 대향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는 차광막(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통 전극 기판(34)상에는 컬러 필터(R)와 컬러 필터(13)가 형성되어 있다. 컬러 필터(R)와 컬러 필터(B)는 수지 2층 중첩부(50)에서 중첩되어 형성되어 있고, 화소 전극(16)과 드레인 버스 라인(42) 사이의 영역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컬러 필터(R), 컬러 필터(B) 및 이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단차상에는 공통 전극(24)이 형성되어 있어 도전성의 돌기로 되어 있다.
도면중의 점선은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전계(E1, E2, E4)를 나타내고 있다. 화소 전극(16)의 단부에는 공통 전극(24)에 형성된 단차의 영향으로 강한 경사 방향의 전계(E4)가 발생하고 있다. 그 때문에, 화소 전극(16)의 단부의 액정 분자는 도 5에 나타낸 액정 분자와는 달리 도면중 우측 방향으로 폴링되어 도 4에 나타낸 화소(A)의 화소 전극(16)의 단부의 액정 분자와 동일한 배향으로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통 전극(24)은 화소 전극(16)과 드레인 버스 라인(42) 사이의 영역에 대향하는 영역에 형성된 단차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강한 경사 방향의 전계에 의해, 화소 전극(16)의 단부의 액정 분자를 배향 규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화소 전극(16)의 단부의 배향 불량 영역(56)에 기인하는 세로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향 불량 영역(56)이 감소하기 때문에, 겹침 영역(18)의 중첩 폭을 감소시킬 수 있어 패널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차광막(6)이 겹침 영역(18)을 갖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고, 또한 차광막(6)이 겹침 영역(18)을 갖고, 보조 돌기(10)가 형성된 영역에서 드레인 버스 라인(42)보다 외측에 차광막(6)이 형성된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보조 돌기(10)가형성된 영역에서 드레인 버스 라인(42)보다 외측에 차광막(6)을 형성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보조 돌기(10)가 형성된 영역에서는 액정의 배향 불량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세로 크로스토크를 악화시키지 않고 패널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컬러 필터의 형성 재료를 중첩시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수지 2층 중첩부(50)에서 단차를 형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검은색 수지 등 이외의 수지로 단차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Cr 등의 금속으로 차광막(6)을 형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컬러 필터의 형성 재료를 중첩시켜 차광막(6)을 형성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은 이하 같이 정리한다.
(부기 1)
복수의 게이트 버스 라인과 드레인 버스 라인으로 획정된 화소 영역내에 형성된 화소 전극을 갖는 어레이 기판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부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을 협지하는 투명 절연성 기판과,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상에 형성된 공통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상에 형성된 선형상의 돌기를 갖는 배향 규제용 구조물과,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화소 전극의 단부에 발생한 상기 액정의 배향 불량 영역을 차광하도록,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상기 화소 전극과 겹치는 겹침 영역을 갖는 차광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부기 2)
부기 1에 기재된 공통 전극 기판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은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상기 드레인 버스 라인을 따르는 방향에 상기 겹침 영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부기 3)
부기 2에 기재된 공통 전극 기판에 있어서,
상기 겹침 영역의 폭은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2㎛ 이상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부기 4)
부기 1 내지 부기 3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통 전극 기판에 있어서,
상기 배향 규제용 구조물은 상기 돌기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화소 전극의 단부로서 상기 드레인 버스 라인을 따르는 방향에 형성된 보조 돌기를 더 갖고,
상기 차광막은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상기 보조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 상기 겹침 영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부기 5)
부기 1 내지 부기 4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통 전극 기판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은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상기 액정의 상기 배향 불량 영역 이외의 정상 배향 영역에서 상기 화소 전극보다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부기 6)
부기 5에 기재된 공통 전극 기판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은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상기 드레인 버스 라인을 따르는 방향에서 상기 화소 전극보다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부기 7)
부기 6에 기재된 공통 전극 기판에 있어서,
상기 액정의 상기 정상 배향영역에서의 상기 차광막의 단부와 상기 화소 전극의 단부와의 거리는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면 방향에서 보아 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부기 8)
부기 5 내지 부기 7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통 전극 기판에 있어서,
상기 배향 규제용 구조물은 상기 돌기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화소 전극의 단부로서 상기 드레인 버스 라인을 따르는 방향에 형성된 보조 돌기를 더 갖고,
상기 차광막은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상기 보조 돌기가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화소 전극보다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부기9)
복수의 게이트 버스 라인과 드레인 버스 라인으로 획정된 화소 영역내에 형성된 화소 전극을 갖는 어레이 기판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부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을 협지하는 투명 절연성 기판과,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상에 형성된 공통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상에 형성된 선형상의 돌기를 갖는 배향 규제용 구조물과,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상기 액정의 배향 불량 영역 이외의 정상 배향 영역에서 상기 화소 전극보다 외측에 형성된 차광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부기 10)
부기 9에 기재된 공통 전극 기판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은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상기 드레인 버스 라인을 따르는 방향에서 상기 화소 전극보다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부기 11)
부기 9 또는 부기 10에 기재된 공통 전극 기판에 있어서,
상기 배향 규제용 구조물은 상기 돌기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화소 전극의 단부로서 상기 드레인 버스 라인을 따르는 방향에 형성된 보조 돌기를 더 갖고,
상기 차광막은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상기 보조 돌기가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화소 전극보다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부기 12)
부기 1 내지 부기 11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통 전극 기판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은 상기 화소 영역마다 형성된 컬러 필터의 형성 재료를 중첩시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부기 13)
복수의 게이트 버스 라인과 드레인 버스 라인으로 획정된 화소 영역내에 형성된 화소 전극을 갖는 어레이 기판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부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을 협지하는 투명 절연성 기판과,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드레인 버스 라인 사이의 영역에 대향하는 영역에 상기 액정을 배향 규제하기 위한 단차가 형성된 공통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상에 형성된 선형상의 돌기를 갖는 배향 규제용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부기 14)
부기 13에 기재된 공통 전극 기판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상기 화소 전극에 대향하는 영역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부기 15)
부기 13 또는 부기 14에 기재된 공통 전극 기판에 있어서,
상기 배향 규제용 구조물은 상기 돌기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화소 전극의 단부로서 상기 드레인 버스 라인을 따르는 방향에 형성된 보조 돌기를 더 갖고,
상기 단차는 상기 보조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부기 16)
부기 13 내지 부기 15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통 전극 기판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상기 공통 전극의 하층에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부기 17)
부기 16에 기재된 공통 전극 기판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상기 화소 영역마다 형성된 컬러 필터의 형성 재료를 중첩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부기 18)
부기 16에 기재된 공통 전극 기판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검은색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부기 19)
부기 1 내지 부기 18에 기재된 공통 전극 기판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화소 전극의 에지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부기 20)
복수의 게이트 버스 라인과 드레인 버스 라인으로 획정된 화소 영역내에 형성된 화소 전극을 갖는 어레이 기판과, 상기 어레이 기판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전면에 공통 전극이 형성된 대향기판과, 상기 어레이 기판과 상기 대향 기판 사이에 봉입된 부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대향 기판으로서 부기 1 내지 부기 19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통 전극 기판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휘도가 높고 양호한 표시 특성이 얻을 수 있는 공통 전극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8)

  1. 복수의 게이트 버스 라인과 드레인 버스 라인으로 획정된 화소 영역내에 형성된 화소 전극을 갖는 어레이 기판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부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을 협지하는 투명 절연성 기판과,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상에 형성된 공통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상에 형성된 선(線)형상의 돌기를 갖는 배향 규제용 구조물과,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화소 전극의 단부에 발생하는 상기 액정의 배향 불량 영역을 차광하도록,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상기 화소 전극과 겹치는 겹침 영역을 갖는 차광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규제용 구조물은 상기 돌기로부터 분기하여, 상기 화소 전극의 단부이면서 상기 드레인 버스 라인을 따르는 방향에 형성된 보조 돌기를 더 갖고,
    상기 차광막은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상기 보조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상기 겹침 영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은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상기 액정의 상기 배향 불량 영역 이외의 정상 배향 영역에서 상기 화소 전극보다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4. 복수의 게이트 버스 라인과 드레인 버스 라인으로 획정된 화소 영역내에 형성된 화소 전극을 갖는 어레이 기판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부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을 협지하는 투명 절연성 기판과,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상에 형성된 공통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상에 형성된 선형상의 돌기를 갖는 배향 규제용 구조물과,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상기 액정의 배향 불량 영역 이외의 정상 배향 영역에서 상기 화소 전극보다 외측에 형성된 차광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규제용 구조물은 상기 돌기로부터 분기하여, 상기 화소 전극의 단부이면서 상기 드레인 버스 라인을 따르는 방향에 형성된 보조 돌기를 더 갖고,
    상기 차광막은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상기 보조 돌기가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화소 전극보다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6. 복수의 게이트 버스 라인과 드레인 버스 라인으로 획정된 화소 영역내에 형성된 화소 전극을 갖는 어레이 기판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부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을 협지하는 투명 절연성 기판과,
    상기 투명 절연성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드레인 버스 라인 사이의 영역에 대향하는 영역에 상기 액정을 배향 규제하기 위한 단차가 형성된 공통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상에 형성된 선형상의 돌기를 갖는 배향 규제용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규제용 구조물은 상기 돌기로부터 분기하여, 상기 화소 전극의 단부이면서 상기 드레인 버스 라인을 따르는 방향에 형성된 보조 돌기를 더 갖고,
    상기 단차는 상기 보조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전극 기판.
  8. 복수의 게이트 버스 라인과 드레인 버스 라인으로 획정된 화소 영역내에 형성된 화소 전극을 갖는 어레이 기판과, 상기 어레이 기판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전면에 공통 전극이 형성된 대향기판과, 상기 어레이 기판과 상기 대향 기판 사이에 봉입된 부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대향 기판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통 전극 기판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10055718A 2000-11-22 2001-09-11 공통 전극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KR100767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56218 2000-11-22
JP2000356218A JP4402280B2 (ja) 2000-11-22 2000-11-22 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544A true KR20020040544A (ko) 2002-05-30
KR100767770B1 KR100767770B1 (ko) 2007-10-17

Family

ID=18828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718A KR100767770B1 (ko) 2000-11-22 2001-09-11 공통 전극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39104B2 (ko)
JP (1) JP4402280B2 (ko)
KR (1) KR100767770B1 (ko)
TW (1) TWI29740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852B1 (ko) * 2003-12-10 2008-10-15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5074A1 (en) * 1997-07-22 2001-12-27 Hiroshi Komatsu In-plane switching mode lcd with specific arrangement of common bus line, data electrode, and common electrode
JP3875125B2 (ja) * 2001-04-11 2007-01-31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746283B1 (ko) * 2002-01-25 2007-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30078355A (ko) * 2002-03-29 2003-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 배향형 액정 표시 장치
KR20040002155A (ko) * 2002-06-29 2004-01-07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수직 배향 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0628263B1 (ko) * 2002-08-21 2006-09-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CN100362405C (zh) * 2002-09-13 2008-01-16 奇美电子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器
US7133098B2 (en) * 2002-10-16 2006-11-07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array of protrusions in a broken zigzag pattern all formed within area of light-shielding matrix
KR100900541B1 (ko) * 2002-11-14 2009-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US7265809B2 (en) * 2003-10-07 2007-09-04 Universal Avionics Systems Corporation Flat panel display having integral metal heater optically hidden behind an EMI shield
US7292291B2 (en) * 2003-10-07 2007-11-06 American Panel Corporation Flat panel display having integral heater, EMI shield, and thermal sensors
US7495714B2 (en) * 2003-10-07 2009-02-24 American Panel Corporation Flat panel display having an isolated EMI layer and integral heater and thermal sensors
US7324176B2 (en) * 2003-10-07 2008-01-29 American Panel Corporation Flat panel display having integral heater, EMI shield, and thermal sensors
JP4338511B2 (ja) 2003-12-24 2009-10-0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680103B1 (ko) * 2004-02-02 2007-02-2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JP3891995B2 (ja) 2004-04-26 2007-03-1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230425B2 (ja) * 2004-07-26 2009-02-25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基板、および表示装置
TWI261712B (en) * 2004-09-30 2006-09-1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US7430032B2 (en) * 2004-10-29 2008-09-30 Lg Display Co., Ltd. Multi-doma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with central and peripheral control electrodes formed on same layer and plurality of field distortion slits formed in pixel electrode
TW200634413A (en) * 2005-03-22 2006-10-01 Au Optronics Corp Pixel struxture for wide-viewing angle liquid crystal display
KR20060116878A (ko) * 2005-05-11 2006-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용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TWI313768B (en) * 2005-05-27 2009-08-21 Innolux Display Corp A liquid crystal display
KR101137866B1 (ko) * 2005-06-30 2012-04-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TWI307992B (en) * 2005-06-30 2009-03-21 Delta Electronics Inc Dual fan and motor thereof
JP2007052040A (ja) * 2005-08-12 2007-03-01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CN102436097A (zh) * 2005-09-19 2012-05-02 奇美电子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器
TWI357517B (en) * 2006-01-27 2012-02-01 Au Optronics Corp Optical compensated bend type lcd
KR100738104B1 (ko) * 2006-02-08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 도광판 및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편광 도광판을이용한 평판표시장치용 조명장치
TWI331691B (en) * 2006-02-09 2010-10-11 Wintek Corp Multi-domain liquid crystal display
TWI340268B (en) 2006-03-31 2011-04-11 Wintek Corp Multi-domain lcd
TWI352843B (en) * 2006-06-16 2011-11-21 Wintek Corp Liquid crystal display
TWM303386U (en) * 2006-05-19 2006-12-21 Wintek Corp Multi-domain vertically aligned liquid crystal display
US20090122223A1 (en) * 2006-07-18 2009-05-14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N101517462B (zh) 2006-09-12 2011-09-14 夏普株式会社 带有微透镜阵列的液晶显示面板、其制造方法和液晶显示装置
EP2071391B1 (en) 2006-09-28 2012-05-02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ith microlens array,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200817767A (en) * 2006-10-12 2008-04-16 Wintek Corp Transflective multi-doma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352846B (en) * 2006-11-03 2011-11-21 Wintek Corp Multi-doma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068201B2 (en) * 2006-12-18 2011-11-29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particular auxiliary electrode
US8300188B2 (en) 2007-01-11 2012-10-30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ith micro-lens arr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0522597A (ja) 2007-03-26 2010-07-08 スーパーディメンション, リミテッド Ct強化型x線透視
TWI356261B (en) * 2007-04-04 2012-01-11 Wintek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nd active matrix substrate
TWI352866B (en) * 2007-04-12 2011-11-21 Wintek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nd active matrix substrate
TWI360682B (en) * 2007-06-08 2012-03-21 Wintek Corp Multi-domain liquid crystal display and array subs
US8077286B2 (en) * 2007-08-10 2011-12-13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200909923A (en) * 2007-08-30 2009-03-01 Wintek Corp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pixel array structure and driving methods thereof
TWI369530B (en) * 2007-09-19 2012-08-01 Wintek Corp Multi-domain liquid crystal display
TWI377419B (en) * 2007-10-04 2012-11-21 Wintek Corp Multi-domain liquid crystal display and array substrate thereof
US8767165B2 (en) * 2007-11-16 2014-07-0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Isolated gas cooling system for an electronic display
US8562770B2 (en) 2008-05-21 2013-10-2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rame seal methods for LCD
US8379182B2 (en) * 2007-11-16 2013-02-1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ooling system for outdoor electronic displays
US20090126907A1 (en) * 2007-11-16 2009-05-2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Isolated Gas Heating System for an Electronic Display
US20090126914A1 (en) * 2007-11-16 2009-05-2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Isolated Gas Cooling System for Cooling Electrical Components of an Electronic Display
US8854595B2 (en) 2008-03-03 2014-10-0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onstricted convection cooling system for an electronic display
US8879042B2 (en) * 2007-11-16 2014-11-0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Isolated cooling system having an insulator gap and front polarizer
US8373841B2 (en) * 2007-11-16 2013-02-1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hared isolated gas cooling system for oppositely facing electronic displays
US8773633B2 (en) 2008-03-03 2014-07-0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xpanded heat sink for electronic displays
US9173325B2 (en) 2008-03-26 2015-10-2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for back to back electronic displays
US8351013B2 (en) 2008-03-03 2013-01-0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ombined serial/parallel light configuration and single layer PCB containing the same
US8358397B2 (en) * 2008-03-03 2013-01-2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cooling an electronic display
US8351014B2 (en) * 2008-03-03 2013-01-0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for back to back electronic displays
US8497972B2 (en) 2009-11-13 2013-07-30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Thermal plate with optional cooling loop in electronic display
US8654302B2 (en) 2008-03-03 2014-02-1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for an electronic display
US8274622B2 (en) 2008-03-03 2012-09-2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using constricted convection with closed loop plenum as the convection plate
US8310824B2 (en) * 2009-11-13 2012-11-1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ield serviceable electronic display
US8693185B2 (en) 2008-03-26 2014-04-0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consistent temperature gradient across an electronic display
US8125163B2 (en) 2008-05-21 2012-02-2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Backlight adjustment system
US9573346B2 (en) 2008-05-21 2017-02-2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Photoinitiated optical adhesiv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8988011B2 (en) * 2008-05-21 2015-03-2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acklight luminance variations
US8749749B2 (en) 2008-12-18 2014-06-10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cooling an electronic image assembly with manifolds and ambient gas
US10827656B2 (en) 2008-12-18 2020-11-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cooling an electronic image assembly with circulating gas and ambient gas
ES2681722T3 (es) * 2009-02-24 2018-09-1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controlar los parámetros de funcionamiento de una pantalla en respuesta al consumo de corriente
JPWO2010098341A1 (ja) * 2009-02-26 2012-09-06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シャッターおよび液晶シャッターめがね
US8418387B2 (en) * 2009-11-13 2013-04-1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Isolated access assembly for back-to-back electronic display and static display
WO2012018481A1 (en) 2010-07-09 2012-02-0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engaging cooling fans within an electronic display
CN103180778A (zh) 2010-08-20 2013-06-26 制造资源国际公司 用于热控制具有降低的噪声排放的电子显示器的系统
KR102047433B1 (ko) 2011-09-23 2019-12-04 매뉴팩처링 리소시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디스플레이 특성들의 환경 적응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S2790406T3 (es) 2012-10-16 2020-10-27 Mri Inc Conjunto de enfriamiento de bandeja posterior para pantalla electrónica
WO2014150036A1 (en) 2013-03-15 2014-09-2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ooling system for an electronic display
US9648790B2 (en) 2013-03-15 2017-05-0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assembly for an electronic display
US9470924B2 (en) 2013-07-08 2016-10-1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igure eight closed loop cooling system for electronic display
US9655289B2 (en) 2014-03-11 2017-05-1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ybrid rear cover and mounting bracket for electronic display
CA2947524C (en) 2014-04-30 2018-04-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Back to back electronic display assembly
CN104166281A (zh) * 2014-08-13 2014-11-2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US9613548B2 (en) 2015-01-06 2017-04-0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Advanced cooling system for electronic display
US9723765B2 (en) 2015-02-17 2017-08-0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Perimeter ventilation system for electronic display
US9924583B2 (en) 2015-05-14 2018-03-20 Mna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brightness control based on location data
US10607520B2 (en) 2015-05-14 2020-03-3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environmental adaptation of display characteristics based on location
US10593255B2 (en) 2015-05-14 2020-03-1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with environmental adaptation of display characteristics based on location
PT3423886T (pt) 2016-03-04 2022-03-31 Mri Inc Sistema de arrefecimento para montagem de display de face dupla
US10586508B2 (en) 2016-07-08 2020-03-10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ontrolling display brightness based on image capture device data
US10485113B2 (en) 2017-04-27 2019-11-1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ield serviceable and replaceable display
WO2018200905A1 (en) 2017-04-27 2018-11-0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isplay bowing
US10559965B2 (en) 2017-09-21 2020-02-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y having multiple charging ports
US10578658B2 (en) 2018-05-07 2020-03-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onic display assembly
WO2019241546A1 (en) 2018-06-14 2019-12-1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gas recirculation or airway occlusion
US10602626B2 (en) 2018-07-30 2020-03-2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ousing assembly for an integrated display unit
CN111919163B (zh) * 2019-02-22 2023-01-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以及显示装置
US11096317B2 (en) 2019-02-26 2021-08-1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y with loopback cooling
US10795413B1 (en) 2019-04-03 2020-10-0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assembly with a channel for ambient air in an access panel
CN112731708B (zh) * 2019-10-28 2023-06-2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用于显示装置的光源装置及液晶显示装置
US11526044B2 (en) 2020-03-27 2022-12-1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unit with orientation based operation
US11477923B2 (en) 2020-10-02 2022-10-1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ield customizable airflow system for a communications box
US11470749B2 (en) 2020-10-23 2022-10-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orced air cooling for display assemblies using centrifugal fans
US11778757B2 (en) 2020-10-23 2023-10-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incorpora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equipment
US11966263B2 (en) 2021-07-28 2024-04-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for providing compressive forces at electronic display layers
US11762231B2 (en) 2021-08-23 2023-09-1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inducing turbulent flow
US11744054B2 (en) 2021-08-23 2023-08-2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an unit for providing improved airflow within display assemblies
US11919393B2 (en) 2021-08-23 2024-03-0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inducing relatively turbulent flow and integra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equipment
US11968813B2 (en) 2021-11-23 2024-04-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y with divided interior spa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7883A (en) * 1975-05-22 1976-07-06 Rca Corporation Liquid crystal devices of the surface aligned type
US4878742A (en) * 1986-08-04 1989-11-07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optical modulator
TW454101B (en) * 1995-10-04 2001-09-11 Hitachi Ltd In-plane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liquid crystal molecules with more than two different kinds of reorientation direction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E69841346D1 (de) 1997-06-12 2010-01-14 Sharp Kk Anzeigevorrichtung mit vertikal ausgerichtetem Flüssigkristall
KR100283511B1 (ko) * 1998-05-20 2001-03-02 윤종용 광시야각 액정 표시장치
JP2001142073A (ja) * 1999-11-05 2001-05-2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液晶表示装置
TW594135B (en) * 2000-01-29 2004-06-21 Chi Mei Optorlrctronics Co Ltd Wide viewing-angle liquid crystal displa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40308B1 (ko) * 2000-06-13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도메인 크기가 최적화된 수직 배향 액정 표시 장치
US6603525B2 (en) * 2001-01-25 2003-08-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852B1 (ko) * 2003-12-10 2008-10-15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US7460199B2 (en) 2003-12-10 2008-12-02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7480022B2 (en) 2003-12-10 2009-01-20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97409B (en) 2008-06-01
JP4402280B2 (ja) 2010-01-20
US6839104B2 (en) 2005-01-04
KR100767770B1 (ko) 2007-10-17
JP2002162643A (ja) 2002-06-07
US20020060764A1 (en) 200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770B1 (ko) 공통 전극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US2023040887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6721028B2 (en) Apparatus for fringe field switching liquid crystal display
US809427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327613B1 (ko) 액정표시장치
EP2833198B1 (en) Curved display device
KR100293811B1 (ko) 아이피에스모드의액정표시장치
US6879353B2 (en) Array substrate for IPS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03576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127894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US7528894B2 (en) LCD having storage capacitor electrodes with wider portions located within triangular areas of pixel regions and with spacers disposed in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triangular areas to mitigate dark-state light leakage
CN109343263B (zh) Coa型液晶显示器
US6734939B2 (en) Array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10011946A (ko) 멀티 도메인 액정표시소자
KR100566811B1 (ko) 인플레인 스위칭모드 액정 표시장치용 어레이 패널
KR100579545B1 (ko) 인플레인 스위칭모드 액정 표시장치용 어레이 패널
JPH09171175A (ja) 液晶表示素子
JPH07318944A (ja) 液晶表示素子及びこの素子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20040061886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