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0418A - 표면실장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표면실장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0418A
KR20020040418A KR1020000070457A KR20000070457A KR20020040418A KR 20020040418 A KR20020040418 A KR 20020040418A KR 1020000070457 A KR1020000070457 A KR 1020000070457A KR 20000070457 A KR20000070457 A KR 20000070457A KR 20020040418 A KR20020040418 A KR 20020040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conveyor
transfer
convey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3902B1 (ko
Inventor
황지현
김도현
Original Assignee
정문술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술, 미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문술
Priority to KR1020000070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3902B1/ko
Priority to JP2001353030A priority patent/JP3749160B2/ja
Priority to DE10157226A priority patent/DE10157226A1/de
Publication of KR20020040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902B1/ko
Priority to US10/740,425 priority patent/US20040128828A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78Simultaneously mounting of different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96Multiple station with convey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87Multiple station assembly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표면실장장치는 베이스 프레임의 소정부위에 설치된 복수개의 트랜스퍼와, 소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컨베이어와, 상기 복수개의 컨베이어를 소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평면 동력 전달장치로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표면실장방법은 제1트랜스퍼로부터 소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컨베이어중의 하나의 컨베이어에 인쇄회로기판을 전송하는 단계와, 인쇄회로기판에 부품공급장치로부터 전자부품의 실장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실장작업의 완료된 인쇄회로기판을 복수개의 컨베이어중의 다른하나의 컨베이어로 전송하는 단계와, 인쇄회로 기판을 제2트랜스퍼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표면실장장치 및 그 방법{Surface moun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면실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회로기판을 다양한 방법으로 전송할 수 있는 표면실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면실장장치는 베이스프레임(base frame), X,Y 갠트리(gantry), 헤드유니트,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및 부품공급장치로 구성된다. X,Y 갠트리는 베이스프레임 위에 조립되어 헤드유니트의 X-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헤드유니트는 X,Y 갠트리에 조립되어 이동하여 부품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게 된다. 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은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에 의해 부품실장 작업위치로 이송된다.
부품실장 작업위치로 이송된 인쇄회로기판에 부품을 실장하기 위한 표면실장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표면실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실장장치(10)는 베이스프레임(11), X,Y 갠트리(12), 복수개의 헤드유니트(13)(14),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15) 및 부품공급장치(16)로 구성된다. 베이스프레임(11)은 표면실장장치(10)의 전체적인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베이스프레임(11)의 평면에 X,Y 갠트리(12)가 설치된다.
X,Y 갠트리(12)는 Y축 고정자프레임(12a), Y축 영구자석(12b), Y축 가동자(12c), X축 고정자프레임(12d), X축 영구자석(12e) 및 X축 가동자(12f)로 구성된다. Y축 고정자프레임(12a)의 내측벽에 다수의 N,S극으로 구성되는 Y축 영구자석(12b)이 조립되며, 다수의 N,S극으로 구성되는 X축 영구자석(12e)은 X축 고정자프레임(12d)의 내측벽에 설치된다. Y축 영구자석(12b)이 조립된 Y축고정자프레임(12a)의 내측으로 Y축 가동자(12c)가 설치되고, X축 고정자프레임(12d)의 내측으로는 X축 가동자(12f)가 설치된다.
X축 가동자(12f)의 평면에는 복수개의 헤드유니트(13)(14) 중 제1헤드유니트(13)가 설치된다. X축 가동자(12f)의 평면에 조립된 제1헤드유니트(13)는 X축 가동자(12f)에 조립된 다수의 전기자코일(도시 않음)로 전기신호가 공급되면 전기자코일과 X축 영구자석(12e) 사이에 발생된 추력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헤드유니트(13)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X축 고정자프레임(12d)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X축 고정자프레임(12d)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위해 X축 고정자프레임(12d)은 Y축 가동자(12c)에 일체로 형성된다. X축 고정자프레임(12d)이 일체로 형성된 Y축 가동자(12c)는 Y축 고정자프레임(12a)의 내측에 조립되어 Y축 가동자(12c)에 조립된 다수의 전기자코일(도시 않음)로 전기신호를 공급하게 되면 전기자코일과 Y축 영구자석(12b) 사이에 추력이 발생되고, 이 추력에 의해 Y축 가동자(12c)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Y축 가동자(12c)가 이동함에 따라 Y축 가동자(12c)에 일체로 형성된 X축 고정자프레임(12d)이 Y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1헤드유니트(13)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X-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헤드유니트(13)와 동일하게 복수개의 헤드유니트(13)(14) 중 제2헤드유니트(14)는 제1헤드유니트(13)와 같이 방법으로 X-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X-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헤드유니트(13)와 제2헤드유니트(14)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15)에 의해 이송된 인쇄회로기판 위에 부품을 실장하게 된다.
제1헤드유니트(13)와 제2헤드유니트(14)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부품을 실장하기 위해 제1헤드유니트(13)와 제2헤드유니트(14)는 먼저 부품을 흡착하게 된다. 부품은 테이프 릴(도시 않음) 상태로 부품공급장치(16)에 장착된다. 부품공급장치(16)에 장착된 테이프 릴로부터 부품이 분리되면 제1헤드유니트(13)와 제2헤드유니트(14)는 부품을 흡착한 후 인쇄회로기판(1)에 실장된다. 부품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와 같이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15)는 베이스프레임(15a), 제1 및 제2가이드 프레임(15b)(15c), 폭조절 스크류(15d), 승강부재(15e), 스톱퍼(15f), 스톱퍼 로울러(15g) 및 배출로울러(15h)로 구성된다. 베이스프레임(15a)의 양측면에는 제1가이드 프레임(15b)과 제2가이드 프레임(15c)가 설치된다. 제1가이드 프레임(15b)과 제2가이드 프레임(15c) 사이에는 폭조절 스크류(15d)가 설치되고, 폭조절 스크류(15d)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폭조절 스크류(15h)가 설치된다.
폭조절 스크류(15h)의 일측에는 스톱퍼 로울러(15g)에 조립된 스톱퍼(15f)가 위치하며, 폭조절 스크류(15d)와 폭조절 스크류(15h) 사이에는 다수의 승강부재(15e)가 구비된다. 폭조절 스크류(15d)는 인쇄회로기판(1)을 부품실장 작업위치(a)로 이송하게 되며, 폭조절 스크류(15d)에 의해 이송된 인쇄회로기판(1)은 스톱퍼(15f)에 의해 작업 위치(a)로 이송되면 승강부재(15e)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이후 부품의 실장이 완료되면 인쇄회로기판(1)의 폭조절 스크류(15h)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을 배출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를 구비한 표면실장장치는 단일한 구조로 되어 있어 복개수의 헤드유니트에 의해 이송된 부품을 한 개의 인쇄회로기판 밖에 실장하지 못해 부품 실장작업의 생산성이 향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회로기판에 부품을 실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면실장장치에서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인쇄회로기판에 부품실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표면실장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인쇄회로기판에 동시에 부품실장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부품실장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면실장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표면실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베이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가 적용된 표면실장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를 이용한 표면실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표면실장장치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표면실장장치11: 베이스프레임
12: X,Y 갠트리13: 제1 헤드유니트
14: 제2 헤드유니트20: 제1 트랜스퍼
30: 제1 컨베이어40:제2 컨베이어
50: 제2 트랜스퍼
본 발명의 표면실장장치는 베이스 프레임의 소정부위에 설치된 복수개의 트랜스퍼와, 소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컨베이어와, 상기 복수개의 컨베이어를 소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평면 동력 전달장치로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표면실장방법은 제1트랜스퍼로부터 소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컨베이어중의 하나의 컨베이어에 인쇄회로기판을 전송하는 단계와, 인쇄회로기판에 부품공급장치로부터 전자부품의 실장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실장작업의 완료된 인쇄회로기판을 복수개의 컨베이어중의 다른하나의 컨베이어로 전송하는 단계와, 인쇄회로 기판을 제2트랜스퍼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가 적용된 표면실장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실장장치의 베이스프레임에 고정 조립되어 보관된 인쇄회로기판(1)을 이송시키는 제1트랜스퍼(20)와, X-Y축 평면으로 이동되도록 평면고정자 프레임(36) 위에 조립됨과 아울러 제1트랜스퍼로(20)부터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1)을 이송받아 부품실장 작업위치로 이송시키고 이송이 완료된 인쇄회로기판(1)을 배출시키는 제1컨베이어(30)와, X-Y축 평면으로 이동되도록 평면고정자 프레임(36)의 위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1트랜스퍼(20)로부터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1)과 제1컨베이어(30)로부터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1)을 선택적으로 이송받아 부품실장 작업위치로 이송시키고 이송이 완료된 인쇄회로기판(1)을 배출시키는 제2컨베이어(40)와, 제1컨베이어(30)와 제2컨베이어(40)를 각각 X-Y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력을 발생하도록 제1 및 제2평면가동자(35,45)와 평면고정자프레임(36)이 구비되는 평면동력전달장치(35,36,45)와, 표면실장장치(10)의 베이스프레임(11)에 고정 조립되어 제1컨베이어(30)와 제2컨베이어(40)로부터 배출되는 인쇄회로기판(1)을 선택적으로 이송받아 배출시키는 제2트랜스퍼(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면실장장치(10)는 도 3에서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 위에 X,Y 갠트리(12)가 설치된다. X,Y 갠트리(12)에는 노즐(13a)(14a)이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헤드유니트(13)(14)가 조립되며, X,Y 갠트리(12)의 저면에 테이프 릴(도시 않음)이 장착되는 부품공급장치(16)가 장착된다. X,Y 갠트리(12)가 조립된 베이스프레임(11)과 X,Y 갠트리(12) 사이에 제1트랜스퍼(20), 제1컨베이어(30), 제2컨베이어(40) 및 제2트랜스퍼(20)가 설치된다.
인쇄회로기판(1)을 부품실장 작업위치로 이송시키는 제1트랜스퍼(20)는 표면실장장치(10)의 베이스프레임(11)에 고정 설치된다. 베이스프레임(11)에 고정 조립된 제1트랜스퍼(20)는 보관한 상태에서 보관된 인쇄회로기판(1)을 제1컨베이어(30)나 제2컨베이어(40)로 이송시킨다. 인쇄회로기판(1)을 이송받은 제1컨베이어(30)는 이송된 인쇄회로기판(1)을 부품실장 작업위치로 이송시키고 부품실장이 완료되면 인쇄회로기판(1)을 이송시킨다. 제1컨베이어(30)와 선택적으로 제1트랜스퍼(20)로부터 인쇄회로기판(1)을 수신받은 제2컨베이어(40)는 이송된 인쇄회로기판(1)을 부품실장 작업위치로 이송시키고 부품실장이 완료되면 인쇄회로기판(1)을 이송시킨다. 여기서, 제1컨베이어(30)와 제2컨베이어(40)로 각각 이송된 인쇄회로기판(1)으로는 실장될 부품이 동시에 공급되어 실장된다.
제1트랜스퍼(20)로부터 인쇄회로기판(1)을 이송받아 부품실장 작업위치로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30)는 베이스프레임(11)의 중앙에 고정 조립된 평면동력전달장치(35,36,45)의 평면고정자프레임(36) 위에 조립되어 X-Y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X-Y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립되는 제1컨베이어(30)로부터 배출되는 인쇄회로기판(1)은 제2컨베이어(40)로 이송되거나 제2트랜스퍼(50)로 이송된다. 제1컨베이어(30)와 동일하게 제2컨베이어(40)는 평면고정자프레임(36) 위에 조립되어 X-Y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평면고정자프레임(36) 위에 조립되어 X-Y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컨베이어(40)는 제1트랜스퍼(20)나 제1컨베이어(30)로부터 선택적으로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1)을 이송받아 부품실장 작업위치로 이송시키고 이송이 완료되면 인쇄회로기판(1)을 배출시키게 된다. 제1컨베이어(30)나 제2컨베이어(40)로부터 배출되는 인쇄회로기판(1)은 제2트랜스퍼(50)에서 이송받는다. 제1컨베이어(30)나 제2컨베이어(40)로부터 배출되는 인쇄회로기판(1)을 이송받은 제2트랜스퍼(50)는 제1트랜스퍼(20)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에 고정 설치된다.
베이스프레임(11)에 고정 조립된 제2트랜스퍼(50)는 제1컨베이어(20)나 제2컨베이어(40)로부터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1)을 이송받아 부품 실장이 완료된 인쇄회로기판(1)을 배출시키게 된다. 인쇄회로기판(1)을 부품실장 작업위치로 이송하고 부품실장이 완료된 인쇄회로기판(1)을 배출시키는 제1트랜스퍼(20), 제1컨베이어(30), 제2컨베이어(40) 및 제2트랜스퍼(5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트랜스퍼(20)는 제1트랜스퍼 베이스프레임(21), 복수개의 제1이송부 로울러(21a)(21b) 및 제1벨트부재(21c)로 구성된다. 제1트랜스퍼 베이스프레임(21)은 인쇄회로기판(1)의 이송시 인쇄회로기판(1)을 가이드하며, 측벽에 복수개의 제1이송부 로울러(21a)(21b)가 설치된다. 복수개의 제1이송부 로울러(21a)(21b)는 인쇄회로기판(1)의 이송시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복수개의 제1이송부 로울러(21a)(21b)의 회전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을 제1컨베이어(20)로 이송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제1이송부 로울러(21a)(21b)에 제1벨트부재(21c)가 설치된다. 제1벨트부재(21c) 위에 인쇄회로기판(1)이 안착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제1이송부 로울러(21a)(21b)의 회전에 의해 제1벨트부재(21c)가 회전되어 인쇄회로기판(1)을 제1컨베이어(30)나 제2컨베이어(40)로 이송된다.
제1트랜스퍼(20)에 의해 이송된 인쇄회로기판(1)은 제1컨베이어(30)에 의해 부품실장 작업위치로 이송된다. 인쇄회로기판(1)을 부품실장 작업위치로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30)는 제1컨베이어 베이스프레임(31), 제1컨베이어 이송로울러(32), 제1컨베이어 배출로울러(33) 및 제1컨베이어 승강부재(34)로 구성된다.
제1컨베이어(30)의 제1컨베이어 베이스프레임(31)은 인쇄회로기판(1)의 이송시 인쇄회로기판(1)을 가이드하게 되며 저면에는 제1평면가동자(35)가 설치된다. 제1평면가동자(35)는 표면실장장치(10)의 베이스프레임(11)에 고정 조립되는 평면고정자프레임(36) 위에 설치된다. 평면고정자프레임(36) 위에 설치된 제1평면가동자(35)는 평면고정자프레임(36)에 조립되는 다수의 영구자석(도시 않음)과 상호 작용되도록 전기자코일(도시 않음)이 설치된다.
평면동력전달장치(35,36,45)의 제1평면가동자(35)로 외부에서 전기신호가 공급되면 평면고정자프레임(36)에 조립되는 다수의 영구자석 사이에 추력이 발생되어 제1평면가동자(35)는 X-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평면가동자(35)가 평면고정자프레임(36)에서 X-Y축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평면가동자(35)에 조립된 제1컨베이어(30)가 제1트랜스퍼(20), 제2컨베이어(40) 및 제2트랜스퍼(50)로 이동하게된다.
평면고정자프레임(36)에서 X-Y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컨베이어 베이스프레임(31)의 양측벽의 일단에 제1컨베이어 이송로울러(32)가 설치된다. 제1컨베이어 이송로울러(32)는 제1트랜스퍼(20)로부터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1)을 부품실장 작업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해 회전된다. 제1컨베이어 이송로울러(32)의 회전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이 부품실장 작업위치로 이송되면 제1컨베이어 승강부재(34)에 의해 소정 높이에서 지지된다.
제1컨베이어 승강부재(34)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이 지지된 후 부품실장이 완료되면 제1컨베이어 승강부재(34)가 하강하여 인쇄회로기판(1)의 지지가 해지되면서 인쇄회로기판(1)은 제1컨베이어 배출로울러(33)로 접하게 된다. 제1컨베이어 배출로울러(33)는 제1컨베이어 베이스프레임(31)의 양측벽의 타단에 조립되어 제1컨베이어 승강부재(34)가 하강하여 인쇄회로기판(1)의 지지가 해지되면 인쇄회로기판(1)을 제2컨베이어(40)로 이송시킨다.
X-Y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컨베이어(30)로부터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1)은 제2컨베이어(40)로 이송된 후 제2트랜스퍼(50)로 이송되거나 제2트랜스퍼(50)로 직접적으로 이송된다. 제1컨베이어(30)로부터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1)을 이송받거나 제1트랜스퍼(20)로부터 직접적으로 인쇄회로기판(1)을 이송받는 제2컨베이어(40)는 제2컨베이어 베이스프레임(41), 제2컨베이어 이송로울러(42), 제2컨베이어 배출로울러(43) 및 제2컨베이어 승강부재(44)로 구성된다.
제2컨베이어(40)의 제2컨베이어 베이스프레임(41)은 인쇄회로기판(1)의 이송시 인쇄회로기판(1)을 가이드하게 되며 저면에는 제2평면가동자(45)가 설치된다. 제2평면가동자(45)는 표면실장장치(10)의 베이스프레임(11)에 고정 조립되는 평면고정자프레임(36) 위에 설치된다. 평면고정자프레임(36) 위에 설치된 제2평면가동자(45)는 평면고정자프레임(36)에 조립되는 다수의 영구자석(도시 않음)과 상호 작용되도록 전기자코일(도시 않음)이 설치된다.
평면동력전달장치(35,36,45)의 제2평면가동자(45)로 외부에서 전기신호가 공급되면 평면고정자프레임(36)에 조립되는 다수의 영구자석 사이에 추력이 발생되어 제2평면가동자(45)는 X-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평면가동자(45)가 평면고정자프레임(36)에서 X-Y축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평면가동자(45)에 조립된 제2컨베이어(40)가 제1트랜스퍼(20), 제1컨베이어(30) 및 제2트랜스퍼(50)로 이동하게된다.
평면고정장프레임(36) 위를 X-Y축 방향으로 제2컨베이어 베이스프레임(41)은 인쇄회로기판(1)의 이송시 인쇄회로기판(1)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저면 중심에 제2전기자코일부(46)가 설치되고, 양측벽의 일단에 제2컨베이어 이송로울러(42)가 설치된다. 제2컨베이어 이송로울러(42)는 제1컨베이어(30)로부터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1)을 부품실장 작업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해 회전되며, 제2컨베이어 이송로울러(42)의 회전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이 부품실장 작업위치로 이송되면 제2컨베이어 승강부재(44)에 의해 소정의 높이에서 지지된 후 부품실장 작업이 완료되면 인쇄회로기판(1)의 지지를 해지시킨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은 제2컨베이어 베이스프레임(41)의 양측벽의 타단에조립된 제2컨베이어 배출로울러(43)에 의해 제2트랜스퍼(50)로 이송된다. 제2컨베이어(40)로 제1트랜스퍼(20)에서 직접적으로 인쇄회로기판(1)이 이송됨으로써 제1컨베이어(30)와 제2컨베이어(40)를 통해 동시에 부품을 인쇄회로기판(1)에 실장함으로써 부품의 실장작업 속도를 개선시킬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1)의 이송속도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제1컨베이어(30)와 제2컨베이어(40)로부터 선택적으로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이송받은 제2트랜스퍼(50)는 제2트랜스퍼 베이스프레임(51), 복수개의 제2이송부 로울러(51a)(51b) 및 제2벨트부재(51c)로 구성된다. 제2트랜스퍼 베이스프레임(51)은 인쇄회로기판(1)의 이송시 인쇄회로기판(1)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측벽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2트랜스퍼 로울러(51a)(51b)가 설치되고, 복수개의 제2트랜스퍼 로울러(51a)(51b)에는 제2벨트부재(51c)가 설치된다. 제2벨트부재(51c)는 복수개의 제2트랜스퍼 로울러(51a)(51b)에 의해 회전되어 인쇄회로기판(1)을 배출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1트랜스퍼(20), 제1컨베이어(30), 제2컨베이어(40) 및 제2트랜스퍼(50)는 제어기(61) 및 드라이브 회로(62)에 의해 제어되어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을 이송하기 위해 이동된다.
도 5a는 제1컨베이어(30)와 제2컨베이어(40)가 이송된 인쇄회로기판(1)에 부품을 실장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표면실장방법은 제1 트랜스퍼(20)로부터 소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컨베이어(30,40)중의 하나의 컨베이어에 인쇄회로기판(1)을 전송하는 단계와, 인쇄회로기판(1)에 부품공급장치(16)로부터 전자부품의 실장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실장작업의 완료된 인쇄회로기판(1)을 복수개의 컨베이어(30,40)중의 다른하나의 컨베이어로 전송하는 단계와, 인쇄회로기판(1)을 제2트랜스퍼(50)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5b는 제1컨베이어(30)가 부품실장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며, 제2컨베이어(40)는 제1트랜스퍼(20)로부터 이동하여 제1트랜스퍼(20)로부터 인쇄회로기판(1)을 이송받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표면실장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트랜스퍼(20)로부터 소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컨베이어(30,40)에 순차적으로 인쇄회로기판(1)을 전송하는 단계와, 먼저 전송되고 복수개의 컨베이어(30,40)중의 하나에 안착된 인쇄회로기판(1)을 소정 위치로 이동하여 전자부품의 실장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나중에 전송되고 복수개의 컨베이어(30,40)중의 다른 하나에 안착된 인쇄회로기판(1)을 소정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와, 실장작업이 완료된 인쇄회로기판(1)을 제2 트랜스퍼(50)로 전송함과 동시에 소정위치로 이동된 인쇄회로기판(1)에 전자부품의 실장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실장작업의 완료된 인쇄회로기판(1)을 제2 트랜스퍼(40)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5c는 제1컨베이어(3)가 제2컨베이어(40)로 이동하여 직접 인쇄회로기판(1)을 제2트랜스퍼(50)로 이송함과 동시에 제2컨베이어(50)는 부품실장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표면실장방법은 제1트랜스퍼로부터 소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컨베이어(30,40)에 순차적으로 인쇄회로기판(1)을 전송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컨베이어(30,40)중의 하나에 안착된 인쇄회로기판(1)과 복수개의 컨베이어(30,40)중의 다른 하나에 안착된 인쇄회로기판(1)을 소정위치로 이동하여 전자 부품의 실장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인쇄회로기판(1)중 전자부품의 실장작업이 먼저 완료된 인쇄회로기판을 제2트랜스퍼(40)로 전송하는 단계와, 전자부품의 실장작업이 나중에 완료된 인쇄회로기판(1)을 다시 제2트랜스퍼(40)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를 복수개로 구비하고 각각 제1컨베이어와 제2컨베이어를 X-Y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킴과 아울러 제1트랜스퍼와 제2트랜스퍼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부품실장 작업 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면실장장치 및 그 방법은 제1컨베이어와 제2컨베이어를 X-Y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킴과 아울러 제1트랜스퍼와 제2트랜스퍼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동시에 다수의 인쇄회기판에 부품을 실장하여 실장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7)

  1. 베이스프레임상에 설치되는 X,Y 갠트리와 상기 X,Y 갠트리의 소정부위에 설치되는 헤드유니트와,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와, 전자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부품공급장치로 이루어진 표면실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는 베이스 프레임의 소정부위에 설치된 복수개의 트랜스퍼와, 소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컨베이어와, 상기 복수개의 컨베이어를 소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평면 동력 전달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트랜스퍼는 제1 및 제2 트랜스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트랜스퍼는 인쇄회로기판을 각기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 트랜스퍼 베이스프레임의 소정부위에 각기 설치되고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제1 및 제2 이송부 로울러와, 상기 제1 및 제 2 이송부 로울러에 연결설치되어 이를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벨트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컨베이어는 제1 및 제2 컨베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컨베이어는 제1 컨베이어 베이스프레임과, 제1 트랜스퍼로부터 이송되는 인쇄회로 기판을 부품실장 작업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해 회전되는 제1 컨베이어 이송 로울러와, 인쇄회로기판을 소정의 높이에서 지지한 후 부품 실장 작업이 완료되면 하강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지지를 해지시키는 제1컨베이어 승강부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제2트랜스퍼로 배출시키는 제1컨베이어 배출로울러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컨베이어는 제2 컨베이어 베이스프레임과, 제1트랜스로부터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부품실장 작업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해 회전되는 제2 컨베이어 이송로울러와, 인쇄회로기판을 소정의 높이에서 지지한 후 부품실장 작업이 완료되면 하강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지지를 해지시키는 제2컨베이어 승강부재와, 상기 인쇄 회로기판을 제2트랜스퍼로 배출시키는 제2컨베이어 배출로울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컨베이어는 다양한 속도로 인쇄회로기판을 이송하기 위하여 드라이브 회로에 연결된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장치.
  5. 소정의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표면실장방법에 있어서,
    제1트랜스퍼로부터 소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컨베이어중의 하나의 컨베이어에 인쇄회로기판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부품공급장치로부터 전자부품의 실장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실장작업의 완료된 인쇄회로기판을 복수개의 컨베이어중의 다른하나의컨베이어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회로 기판을 제2트랜스퍼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방법.
  6. 소정의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표면실장방법에 있어서,
    제1트랜스퍼로부터 소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컨베이어에 순 차적으로 인쇄회로기판을 전송하는 단계와;
    먼저 전송되고 복수개의 컨베이어중의 하나에 안착된 인쇄회로 기판을 소정 위치로 이동하여 전자부품의 실장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나중에 전송되고 복수개의 컨베이어중의 다른 하나에 안착된 인쇄회로 기판을 소정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와; 상기 실장작업이 완료된 인쇄회로기판을 제2 트랜스퍼로 전송함과 동시에 소정위치로 이동된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의 실장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실장작업의 완료된 인쇄회로 기판을 제2 트랜스퍼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방법.
  7. 소정의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표면실장방법에 있어서,
    제1트랜스퍼로부터 소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컨베이어에 순차적으로 인쇄회로기판을 전송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컨베이어중의 하나에 안착된 인쇄회로기판과 복수개의 컨베이어중의 다른 하나에 안착된 인쇄회로기판을 소정위치로 이동하여 전자 부품의 실장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중 전자부품의 실장작업이 먼저 완료된 인쇄회로기판을 제2트랜스퍼로 전송하는 단계와;
    전자부품의 실장작업이 나중에 완료된 인쇄회로기판을 다시 제2트랜스퍼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방법.
KR1020000070457A 2000-11-24 2000-11-24 표면실장장치 및 그 방법 KR100363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457A KR100363902B1 (ko) 2000-11-24 2000-11-24 표면실장장치 및 그 방법
JP2001353030A JP3749160B2 (ja) 2000-11-24 2001-11-19 表面実装装置及びその方法
DE10157226A DE10157226A1 (de) 2000-11-24 2001-11-22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lächenmontage
US10/740,425 US20040128828A1 (en) 2000-11-24 2003-12-22 Surface mounting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457A KR100363902B1 (ko) 2000-11-24 2000-11-24 표면실장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418A true KR20020040418A (ko) 2002-05-30
KR100363902B1 KR100363902B1 (ko) 2002-12-11

Family

ID=1970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457A KR100363902B1 (ko) 2000-11-24 2000-11-24 표면실장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128828A1 (ko)
JP (1) JP3749160B2 (ko)
KR (1) KR100363902B1 (ko)
DE (1) DE101572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3917B1 (en) 2000-01-19 2003-11-11 Delaware Capital Formation Redundant system for assembly of electronic components to substrates
JP4353156B2 (ja) * 2005-08-19 2009-10-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方法
DE102006025170B3 (de) * 2006-05-30 2007-12-06 Siemens Ag Verfahren zum Transportieren von Substraten in Bestückautomaten und Transportsystemen
US8555783B2 (en) 2008-11-19 2013-10-15 Illinois Tool Works Inc. Apparatus for depositing viscous material including transport system with upper and lower track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0431A (en) * 1988-01-22 1991-08-20 Canon Kabushiki Kaisha Movement guiding mechanism
US5208975A (en) * 1990-07-06 1993-05-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electronic parts
SE9400077D0 (sv) * 1994-01-10 1994-01-14 Mytronic Ab Maskinkoncept
US5509193A (en) * 1994-05-06 1996-04-23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burn-in boards
US5517748A (en) * 1994-10-07 1996-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conveying circuit boards through a component-mounting station
JP3402876B2 (ja) * 1995-10-04 2003-05-0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表面実装機
US6073342A (en) * 1996-11-27 2000-06-13 Fuji Machine Mfg., Co., Ltd. Circuit-substrate-related-operation performing system
JP3700915B2 (ja) * 1998-05-12 2005-09-28 株式会社安川電機 リニアモータ
US6045653A (en) * 1998-07-24 2000-04-04 Xemod, Inc. Glue deposit device for power printed circuit board
US6324752B1 (en) * 1999-11-05 2001-12-04 U.S. Philips Corporation Component placement machine
US6643917B1 (en) * 2000-01-19 2003-11-11 Delaware Capital Formation Redundant system for assembly of electronic components to substr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171094A (ja) 2002-06-14
JP3749160B2 (ja) 2006-02-22
US20040128828A1 (en) 2004-07-08
KR100363902B1 (ko) 2002-12-11
DE10157226A1 (de) 200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3898B1 (ko) 표면실장장치 및 그 방법
KR101164595B1 (ko) 부품실장기용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인쇄회로기판 이송방법
US20030094348A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printed circuit board
JP4138016B2 (ja) プリント基板に電気的構造部品を装着する装置
JP2001163428A (ja) 基板搬送装置および基板作業システム
KR100363903B1 (ko) 표면실장장치 및 그 방법
KR100530743B1 (ko) 부품실장장치
KR100363902B1 (ko) 표면실장장치 및 그 방법
CN211330101U (zh) 一种双轨道进料机构
KR100363899B1 (ko) 표면실장장치 및 그 방법
JP2002198693A (ja) 表面実装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366221B1 (ko) 표면실장장치 및 그 방법
KR100363897B1 (ko) 다수의 인쇄회로기판에 동시작업이 가능한 표면실장장치
KR100369950B1 (ko) 고속 이송 시스템
KR100347370B1 (ko) 표면실장기의 부품 이송 유니트
KR100521233B1 (ko) 전기 하위부품 제조장치
JP2816190B2 (ja) 電子部品の搭載装置及び搭載方法
KR100311748B1 (ko) 표면실장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
KR20050109215A (ko) 전자부품 실장장치
KR100391849B1 (ko) 다층구조를 갖는 표면실장장치
KR101583672B1 (ko) 전자 부품 실장 장치
KR200262969Y1 (ko) 트레이 피더가 설치된 마운터
KR20100079934A (ko) 표면실장장치
KR19990055045A (ko) 부품 장착기
KR19990015017U (ko) 이형 부품 삽입기의 콘베이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