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8743A -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8743A
KR20020038743A KR1020027002670A KR20027002670A KR20020038743A KR 20020038743 A KR20020038743 A KR 20020038743A KR 1020027002670 A KR1020027002670 A KR 1020027002670A KR 20027002670 A KR20027002670 A KR 20027002670A KR 20020038743 A KR20020038743 A KR 20020038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air dryer
valve
compressor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7561B1 (ko
Inventor
앤드류하워드 벡크
데이빗 타운센드
Original Assignee
하이, 마틴
왑코 오토모티브 유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 마틴, 왑코 오토모티브 유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하이, 마틴
Publication of KR20020038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02Air treatment devices
    • B60T17/004Draining and dry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Air Bag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이 개시된다.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10)은, 압축기(12), 공기건조기(14), 공기건조기(14)를 통해 압축기(12)로부터 공기를 받도록 설치된 저장용기(18), 및 소정 조건에 도달하면 공기건조기(14)의 표준재생을 일으키고, 소정 조건에 도달하기 전에 공기건조기(14)의 중간재생을 일으킬 수 있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Vehicle ai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타이어를 팽창시키는 경우와 같이 때때로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 많은 양의 공기를 공급하는데 적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공급 시스템은 압축기(compressor), 압축공기를 위한 저장용기, 및 브레이크 시스템이나 공압 현가장치를 작동시키고 유지하는 것과 같은 소정의 목적을 위해 저장용기로부터 공기를 내보내는 운전자에 의해 작동되는 디맨드(demand)밸브를 포함한다. 공기공급 시스템은 통상 압축기 배출공기를 위한 드라이어(dryer), 및 저장용기가 최대압력 상태이고 디맨드밸브가 닫혔을 때 압축기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고 공기건조기를 재생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밸브를 잠그거나 압축기 실린더를 대기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되고, 따라서 압축기는 부하가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압축기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엔진인 압축기 구동원에 연결하는 클러치를 포함한다. 공기건조기는 건조된 공기의 양에 관계없이 건조공기를 건조제에 역방향으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재생되고, 일반적으로 저장용기가 최대압력에 도달하였을 때 기동된다.
공압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공기외에도, 시스템은 때때로 타이어를 팽창시키기 위한 경우와 같이 저압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공기 즉, 저장용기의 용량보다 더 많은 양의 공기를 배출할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 타이어를 팽창시키기 위해 필요한 공기압은 2.5바(bar)를 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 압축기는 정상적으로 저장용기를 채우는데 필요한 시간보다 더 긴 시간동안 동작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특히 공기건조기가 저장용기가 최대 설계압력에 도달하였을 때에만 재생된다면, 압축기의 이 추가동작 시간 동안에 공기건조기의 건조제가 완전히 포화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공기건조기가 가끔씩 필요한 대용량의 공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되면, 건조제의 용량이 매우 커지게 되고, 대부분의 시간에는 상당부분이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필요한 것은 건조제의 양을 늘리지 않고 가끔씩 필요한 많은 용량의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해결책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공급시스템은, 압축기, 공기건조기, 상기 공기건조기를 통해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기를 받도록 설치된 저장용기, 및 시스템이 소정 조건에 달하면 상기 압축기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고 상기 공기건조기를 재생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나아가 상기 제어수단은 시스템이 소정 조건에 도달하였는지와 관계 없이 상기 압축기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고 상기 공기건조기를 재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어수단은 상기 소정 조건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압축기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고 상기 공기건조기를 재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압축기가 추가 동작시간 동안 가동되는 환경에서 상기 공기건조기의 건조제가 포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될 수 있고, 그래서 많은 용량을 펌핑하기에 적절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스템의 소정 조건은 상기 저장용기의 압력이고, 정압기는 상기 저장용기가 목표압력에 도달하였을 때 작동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 목표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정압기는 상기 압축기와 상기 공기건조기에 부하정지신호 또는 정화신호를 보낸다. 상기 신호는 압력신호이다. 압력신호는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압력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정압기는 상기 압력라인에 압력작동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정압기를 우회하여 상기 압축기와 상기 공기건조기에 상기 부하정지신호 또는 정화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신호가 압력신호인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정압기를 위한 우회로(bypass line), 상기 우회로에 위치한 밸브, 및 상기 밸브를 열도록 조정된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타이머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밸브를 열고, 그에 의해 상기 부하정지신호 또는 정화신호를 보내도록 조정된다. 상기 타이머는 시스템의 소정 조건에 따라 작동되거나 정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타이머는 상기 저장용기의 압력이나 상기 압축기의 작동조건에 따라 응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는 각각의 재생후에 리셋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은, 압축기, 공기건조기, 상기 공기 건조기를 통해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기를 취득하는 제1저장용기, 상기 제1저장용기로부터 공기를 취득하는 제2저장용기, 및 시스템이 소정 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공기건조기의 표준재생이 일어나도록 제어하며 특히 시스템이 상기의 소정 조건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공기건조기의 중간재생을 일으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표준재생을 일으키는데 적합한 정압기와 상기 중간재생을 일으키는데 적합한 정압기 우회배치를 포함한다. 시스템의 소정 조건은 상기 제1저장용기의 상승된 저장용기압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압기 우회배치는 소정의 시스템 변수에 따라 동작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중간재생을 일으키도록 설정된 지연수단, 예컨데 전자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로서, 소정의 시스템 변수는 상기 제2저장용기의 감압된 저장용기압력이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저장용기로부터 많은 향의 공기가 배출되는 경우와 같이 상기 제2저장용기의 압력이 소정값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제2저장용기의 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지연수단을 동작시키는 압력동작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압력 스위치는 상기 지연수단의 공압 신호 피스톤을 동작시키도록 설정된다. 상기 공압 신호 피스톤은 정상적으로 상기 제1저장용기의 압력이 상기 피스톤을 상기 지연수단이 동작되지 않는 위치에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압력 스위치가 상기 제2저장용기의 감압된 압력에 대응하여 동작하면, 상기 피스톤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어 피스톤이 이동되며, 이로 인해 상기 지연수단이 동작된다. 상기 피스톤의 이동은 상기 피스톤 상에서 동작하는 스프링에 의해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 스위치는 상기 제1저장용기와 상기 신호 피스톤 사이에 연장된 도관에 설치된 밸브를 동작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는 솔레노이드로 동작되는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 스위치가 동작되면, 상기 밸브는 상기 제1저장용기의 압력이 상기 신호 피스톤으로 연결되는 제1위치와 상기 도관이 막히고 상기 피스톤이 대기와 연통되는 제2위치로부터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용기의 압력이 상기 소정의 값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밸브가 상기 제1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지연수단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공기건조기의 중간재생을 일으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압축기에 부하가 걸리지 않고 상기 공기건조기의 재생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공기건조기에 압력신호를 보내도록 상기 지연수단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 상기 지연수단은 상기 제1저장용기와 상기 공기건조기 사이의 도관에 설치된 밸브를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밸브는 솔레노이로 동작되며, 상기 도관이 닫히는 제1위치와 상기 도관이 열리는 제2위치 사이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보호밸브가 상기 제1저장용기와 상기 제2저장용기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보호밸브는 상기 제1저장용기에 소정의 최저압력을 유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보호밸브에 의해 상기 제1저장용기가 상기 신호 피스톤을 동작시키고 상기 공기건조기의 상기 중간재생을 일으키는데 충분한 압력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10으로 표시된 공기공급 시스템은, 압축기(12), 공기건조기(14), 충전밸브(charging valve,16), 및 저장용기(18)를 갖는다. 공기공급 시스템(10)은 저장용기(18)내의 압력에 따라 동작하며, 저장용기(18)가 목표압력에 도달하면 압축기(12)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고 공기건조기의 건조제를 재생하도록 되어 있는 정압기(governor,20)를 더 포함한다. 공기건조기 건조제의 재생은 공기건조기(14)가 대기와 연통되도록 하고, 정화통(purge tank, 22)에 저장된 적은 양의 건조공기로 건조제를 씻어 냄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에서 정화통(22)은 저장용기(18)와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정화통(22)은 저장용기(18)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끝으로, 공기공급 시스템(10)은 정화 제어밸브(24)와 타이머(26)를 포함하며 그 동작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기공급 시스템(10)의 정상동작은 아래와 같다. 압축기(12)에서 나온 습한압축공기는 도관(28)을 통해 공기건조기(14)로 이동된다. 습한 공기는 저장용기(22)와, 도관(30)과 충전밸브(16)를 경유하여 저장용기(18)로 공급되기 전에 공기건조기(14)에 있는 건조제층을 통과함으로써 건조된다. 그리고 압축된 공기는 저장용기(18)로부터 출구도관(32)과 디맨드밸브(미도시)를 경유하여 공급될 수있다. 저장용기(18)는 정압기(20)에 연결된 압력라인(3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정압기(20)는 압력라인(38)을 통해 저장용기(18)로부터 공기건조기(14)까지 신호압력을 공급할 수 있는 압력동작 밸브(36)를 포함한다.
정압기(20)가 압력라인(34)을 통해 저장용기(18)가 목표압력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면, 밸브(36)는 도시된 위치에서 이동하여 라인(38)에 압력이 걸리도록 한다. 공기건조기(14)가 받은 신호는 압축기(12)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고, 공기건조기(14)가 대기와 연통되도록 하며, 정화통(22)의 건조공기로 건조제를 정화한다. 저장용기(18)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와 같이 저장용기 압력이 소정의 압력이하로 떨어지면, 밸브(36)는 도시된 위치로 복귀하고 공기건조기(14)의 압력신호는 끊어진다. 저장용기들(18,22)를 다시 채우기위해 공기건조기(14)의 배출구는 닫히고 압축기(12)는 라인에 연결된다.
압축기(12)와 공기건조기(14)의 등급과 저장용기(18) 체적은 상술한 정상동작 동안 포화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건조제의 재생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설정된다. 그러나, 압축기(12)가 정상적으로 저장용기(18)를 채우기 위해 요구되는 양을 초과하여 공기를 공급할 필요가 있는 환경에서는 건조제의 포화를 방지하기 위해 건조제의 중간재생이 저장용기의 목표압력에 도달하기 전에 필요하다.
중간재생은 타이머(26)와 정화 제어밸브(24)를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타이머(26)는 저장용기(18)의 압력에 반응하며, 저장용기 압력이 소정의 값 이하로 떨어지면 타이머(26)가 동작한다. 소정의 시간 간격 후에 타이머(26)는 솔레노이드를 통해 정화 제어밸브(24)를 동작시켜 정화 제어밸브가 도 1의 위치로부터 움직이도록 한다. 타이머(26)의 경과시간은 건조제를 완전히 포화시키는데 필요한 시간보다 적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정압기의 우회로(40)와 압력라인(34)을 통해 라인(38)에 압력이 걸리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공기건조기(14)가 수신한 압력신호는 압축기(12)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고 건조제를 정화하도록 한다. 건조제의 정화동작이, 일반적으로 수초 동안, 행해지면, 밸브(24)는 초기위치로 복귀하고 타이머(26)는 리셋된다. 라인(38)에서 압력이 소실되면 압축기(12)에 부하가 걸리게되고, 저장용기(18)에 대한 압축공기의 공급이 재개된다.
정상 동작조건 하에서 건조제는 타이머(26)가 정화 제어밸브(24)를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시간 간격보다 이전에 정압기(20)에 의해 재생된다. 이런 환경에서 저장용기(18)가 목표압력에 도달하고, 그리고/또는 정압기(20)가 동작하면 타이머는 저장용기의 압력이 강하하기 전에 정지되거나 리셋된다. 타이머에 제어되는 정화 사이클은 타이머가 정지하거나 리셋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참조부호 42로 도 2에 도시되며,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공통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42)은 압축된 공기를 공기건조기(14)를 통해 제1 및 제2저장용기(18,44)에 공급하도록 된 압축기(12)를 포함한다. 제1저장용기(18)의 압력에 반응하는 정압기(20)는 제1저장용기(18)가 목표압력 예를 들면, 10바(bar)에 도달하면 압축기(12)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고 공기건조기(14)를 재생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1저장용기(18)가 목표압력에 도달하면, 정압기(20)가 동작하여 제1저장용기(18)로부터 이중체크밸브(58)를 통해 공기건조기(14)로 압력신호를 보낸다.
공기건조기(14)의 재생은 공기건조기(14)가 대기와 연통되도록 하고, 정화통(22)에 저장된 건조공기로 공기건조기에 담겨 있는 건조제를 씻어냄으로써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화통(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18,44)와 분리될 수 있고, 또는 저장용기(18,44)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저장용기(18,44)는 연속으로 배치되어 있어 압축기(12)로부터 나온 건조공기는 제1저장용기(18)에 공급되고, 이어서 제2저장용기(44)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보호밸브(46)는 저장용기들(18,44) 사이에 설치되며, 제2저장용기(44)의 압력에 관계 없이 제1저장용기(18)의 압력을 소정의 값으로 유지한다. 일실시예로서, 보호밸브(46)는 제1저장용기(18)의 압력을 최소 6바로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저장용기(18,44)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용기로 할 수 있으며, 하나의 용기의 구획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호밸브(46)의 하류에는 제2저장용기(44)의 압력에 반응하여 작동하는 압력스위치(48)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48)는 제2저장용기의 압력이 설정값,예컨대 6바 이하로 떨어질 때 제1솔레노이드(50)를 동작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솔레노이드(50)는 제1저장용기(18)와 타이머 유닛(26)의 신호 피스톤(54) 사이에 연결된 압력라인(52)에 마련되어 있다. 정상동작 상태에서 솔레노이드(50)는 제1저장용기(18)의 압력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위치를 유지하며 제1저장용기의 압력이 압력라인(52)을 통해 신호피스톤(54)에 작용하도록 한다. 신호 피스톤(54)에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타이머 유닛(26)은 동작하지 않게 된다. 제2저장용기(44) 내의 압력이 소정값 이하로 떨어지면 압력스위치(48)가 작동하며 제1솔레노이드(50)의 이동을 일으키게 된다. 제1솔레노이드의 이동에 의해 제1저장용기(18)와 신호 피스톤(54)을 연결하는 압력라인(52)이 막히고 신호 피스톤(54)은 대기와 연통된다. 신호 피스톤(54)의 스프링(62)이 상기의 동작을 일으키고 타이머 유닛(26)을 동작시킨다.
타이머 유닛(26)은 제1저장용기(18)와 이중체크밸브(58) 사이에 설치된 제2솔레노이드 밸브(64)를 주기적으로 동작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2솔레노이드(64)는 정상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하고 있어 제1저장용기(18)와 이중체크밸브(58) 사이의 압력라인(66)은 막혀 있다.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타이머 유닛(26)은 제2솔레노이드(64)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압력라인(68)이 연통되고 이중체크밸브(58)롤 통해 공기건조기(14)에 압력이 작용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공기건조기(14)에 압력이 가해지면 압축기(12)에 부하가 걸리지 않고 공기건조기(14)는 재생된다. 공기건조기(14)의 재생이 일단 실행된 후에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64)는 원위치로 복귀하고 압축기(12)는 가동되어 저장용기 들(18,44)에 대한 공기의 공급이 재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타이머 유닛(26)에 의해 제어되는 공기건조기(14)의 주기적 재생은, 제2저장용기(44)가 압력스위치(48)를 해제하고 신호 피스톤(54)을 재가압하여 타이머 유닛(26)을 정지시키기에 충분한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보호밸브(46)로 분리된 2개의 저장용기(18,44)를 제공함으로써, 제1솔레노이드(50)를 통해 신호 피스톤(54)을 작동시키고, 제2솔레노이드(64)를 통해 공기건조기(14)의 재생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시스템 압력이 항상 존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타이머(26)는 저장용기 압력을 감지하고 그 압력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작동된다. 타이머(26)는 다른 시스템 변수들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머(26)는 압축기가 동작하면 작동되고 압축기가 정지하면 정지 또는 리셋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24)

  1. 압축기;
    공기건조기;
    상기 공기건조기를 통해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기를 받도록 설치된 제1저장용기;
    상기 제1저장용기로부터 공기를 취득하는 제2저장용기; 및
    소정 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공기건조기의 표준재생을 일으키고, 상기 소정 조건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공기건조기의 중간재생을 일으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조건은 상기 제1저장용기의 상승된 저장용기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표준재생을 일으키는 정압기와, 중간재생을 일으키는 정압기 우회배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기 우회배치는 소정의 시스템 변수에 대응하여 동작하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중간재생을 일으키도록 설정된 지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스템 변수는 상기 제2저장용기의 감압된 저장용기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스템 변수는 상기 압축기의 동작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소정의 설정값 이하로 떨어진 상기 제2저장용기의 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지연수단을 동작시키는 압력동작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동작 스위치는 상기 지연수단의 공압 신호 피스톤을 동작시키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피스톤은 상기 제1저장용기의 압력이 상기 지연수단이 동작되지 않는 위치에 상기 피스톤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스위치는 상기 제1저장용기와 상기 신호 피스톤 사이에 연장된 도관에 설치된 밸브를 동작시키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솔레노이드로 작동되는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제1저장용기의 압력이 상기 신호 피스톤으로 연결되는 제1위치와, 상기 도관이 막히고 상기 피스톤이 대기와 연통되는 제2위치로부터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13. 제 4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수단은 상기 압축기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고 상기 공기건조기를 재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공기건조기에 압력신호를 보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수단은 상기 제1저장욕기와 상기 공기건조기 사이에 연장된 도관에 마련된 밸브롤 동작시키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16. 제 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도관이 닫히는 제1위치와 상기 도관이 열리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호밸브가 상기 제1저장용기와 제2저장용기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보호밸브는 상기 제1저장용기의 소정의 최소압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공기공급 시스템.
  18. 압축기;
    공기건조기;
    상기 공기건조기를 통해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기를 취득하는 저장용기; 및
    소정 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공기건조기의 표준재생을 일으키고, 상기 소정 조건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공기건조기의 중간재생을 일으킬 수 있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표준재생을 일으키는 정압기와, 중간재생을 일으키는 정압기 우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조건은 상승된 저장용기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21. 제 19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기 우회로는 소정의 시스템 변수에 대응하여 동작하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중간재생을 일으키도록 설정된 지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스템 변수는 감압된 저장용기의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스템 변수는 상기 압축기의 동작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24. 제 21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수단은 상기 공기건조기가 재생된 후에 리셋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KR1020027002670A 1999-09-03 2000-09-04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KR100647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920694.8 1999-09-03
GBGB9920694.8A GB9920694D0 (en) 1999-09-03 1999-09-03 Vehicle air supply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743A true KR20020038743A (ko) 2002-05-23
KR100647561B1 KR100647561B1 (ko) 2006-11-23

Family

ID=1086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670A KR100647561B1 (ko) 1999-09-03 2000-09-04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40463B1 (ko)
EP (1) EP1208026B1 (ko)
JP (1) JP4330301B2 (ko)
KR (1) KR100647561B1 (ko)
AT (1) ATE398056T1 (ko)
DE (1) DE60039175D1 (ko)
GB (1) GB9920694D0 (ko)
WO (1) WO20010178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289B1 (ko) * 2012-12-17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프로세싱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23350D0 (en) * 2000-09-22 2000-11-08 Wabco Automotive Uk Ltd Vehicle air braking system
DE10220790C1 (de) * 2002-05-10 2003-11-27 Haldex Brake Prod Gmbh Druckluftaufbereitungseinrichtung für Kfz-Druckluftanlagen
GB0215421D0 (en) * 2002-07-03 2002-08-14 Wabco Automotive Uk Ltd Vehicle air supply system
GB0307422D0 (en) * 2003-03-31 2003-05-07 Walker Filtration Ltd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gas dryer
US7608132B2 (en) * 2006-02-24 2009-10-27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Vehicle air system and method with forced purging
DE102006048071A1 (de) * 2006-10-11 2008-04-17 Wabco Gmbh Druckluftversorgungsanlage und Verfahren zur Parameter-Ermittlung der Anlage
DE102008056322A1 (de) * 2008-11-07 2010-05-12 Wabco Gmbh Steuereinrichtung für eine Druckluftaufbereitungseinrichtung eines Fahrzeuges, Druckluftaufbereitungs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 deren Steuerung
DE102010018949A1 (de) * 2010-04-30 2011-11-03 Wabco Gmbh Druckluftaufbereitungseinrichtung, Druckluftversorgungssystem mit einer Druckluftaufbereitungseinrichtung und Aufbereitungsmodul hierfür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Druckluftaufbereitungseinrichtung, Steuermodul und Fahrzeug mit einer Druckluftaufbereitungseinrichtung
DE102010024476A1 (de) 2010-06-21 2011-12-22 Wabco Gmbh Druckluftsteuerungseinrichtung, Druckluftsteuerungsverfahren, elektronische Steuereinrichtung, Druckluftversorgungssystem, Druckluftversorgungsverfahren und Fahrzeug
KR101354227B1 (ko) * 2012-10-26 2014-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탱크 퍼지 제어 방법
DE102013109476A1 (de) 2013-08-30 2015-03-05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Regeneration eines Zweikammer-Lufttrockners
US9266515B2 (en) 2014-03-05 2016-02-23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Air dryer purge controller and method
GB2517075A (en) * 2014-06-30 2015-02-11 Daimler Ag Compressed air system for a vehicle
CN104595167B (zh) * 2014-12-26 2017-01-04 金龙联合汽车工业(苏州)有限公司 一种纯电动汽车打气泵控制方法
EP3611377A4 (en) * 2017-04-13 2020-11-11 Nabtesco Automotive Corporation AIR DISTRIBUTION CIRCUIT
CN108657460A (zh) * 2018-05-17 2018-10-16 北京中资燕京汽车有限公司 车载巡飞器气动发射系统
JP2020093685A (ja) * 2018-12-13 2020-06-1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充填装置及び空気充填方法
JP7226991B2 (ja) * 2018-12-28 2023-02-21 ナブテスコオートモーティブ株式会社 空気供給システム
US20200277959A1 (en) * 2019-02-28 2020-09-03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Controller Apparatus and Method for a Compressed Air System
US11607519B2 (en) 2019-05-22 2023-03-21 Breathe Technologies, Inc. O2 concentrator with sieve bed bypas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11892B1 (ko) * 2019-10-28 2020-05-18 한국이야사까기기공업 주식회사 자동차 배출가스 측정기용 수분 제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8967A (en) * 1971-01-18 1973-12-18 Air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fractionation by the adsorption of a compressed gas
GB1594454A (en) * 1976-12-23 1981-07-30 Boc Ltd Gas separation
US4549888A (en) * 1984-11-07 1985-10-29 Allied Corporation Automatic control for an external air supply
US4714483A (en) * 1986-06-13 1987-12-22 Allied Corporation Air dryer purge control for turbocharged compressors
US4892569A (en) * 1987-02-23 1990-01-09 Nippon Air Brake Co., Ltd. Compressed air pressure supply system
GB8807715D0 (en) * 1988-03-31 1988-05-05 Bendix Ltd Compressed gas systems
US5027529A (en) * 1989-01-26 1991-07-02 Allied-Signal Inc. Charge/purge control system for air dryer having limited charge time
US4936026A (en) * 1989-01-26 1990-06-26 Allied-Signal Inc. Charge/purge control system for air dryer
US5209764A (en) * 1991-08-20 1993-05-11 Allied Signal Inc. Compressed air system with twin air dryers
US5458676A (en) * 1994-04-28 1995-10-17 Alliedsignal Truck Brake Systems Company Pressure differential control valve for compressed air system
US5575541A (en) * 1995-06-26 1996-11-19 Alliedsignal Truck Brake Systems Co. Air supply system and method with enhanced purge capacity
JPH09116225A (ja) 1995-10-20 1997-05-02 Hitachi Ltd 半導体発光素子
US5592754A (en) * 1996-06-07 1997-01-14 Alliedsignal Truck Brake Systems Co. Electronic control of compressor unloader and air dryer purge
GB9619535D0 (en) * 1996-09-19 1996-10-30 Wabco Automotive Uk An air drier
GB9706227D0 (en) * 1997-03-26 1997-05-14 Wabco Automotive Uk Vent valve
US5917139A (en) * 1997-12-18 1999-06-29 Alliedsignal Truck Brake Systems Company Air dryer reservoir module
US6074462A (en) * 1997-12-18 2000-06-13 Alliedsignal Truck Brake Systems Co. Air dryer reservoir module components
US6120107A (en) * 1998-04-21 2000-09-19 Meritor Heavy Vehicle Systems, Llc Compressor and air dryer control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289B1 (ko) * 2012-12-17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프로세싱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39175D1 (de) 2008-07-24
KR100647561B1 (ko) 2006-11-23
JP4330301B2 (ja) 2009-09-16
JP2003508304A (ja) 2003-03-04
EP1208026B1 (en) 2008-06-11
EP1208026A1 (en) 2002-05-29
US6640463B1 (en) 2003-11-04
GB9920694D0 (en) 1999-11-03
WO2001017834A1 (en) 2001-03-15
ATE398056T1 (de) 200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7561B1 (ko) 차량용 공기공급 시스템
US8403427B2 (en) Vehicle air supply system
RU2449908C2 (ru) Система снабжения сжатым воздухом 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араметров системы
US6540308B1 (en) Electronic compressed-air processing system
US4549888A (en) Automatic control for an external air supply
US5378266A (en) Air dryer system
US5145495A (en) Air dryer purge cycle timing control
US8745982B2 (en) Method for regenerating a compressed air supply device, control unit and compressed air supply device
JPH06510227A (ja) 一対の脱湿器を備えた圧縮空気システム
JP5265839B2 (ja) 車両用空気ブレーキシステム
US20070096554A1 (en) Electronic compressed air system
CN107206992B (zh) 用于给商用车供给压缩空气的设备和方法
CN107548438B (zh) 特别是用于制备压缩空气的切换组件
EP1218231B1 (en) Vehicle air braking systems
US20210332823A1 (en) Controller Apparatus and Method for a Compressed Air System
JPH035613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