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7529A -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7529A
KR20020037529A KR1020000067483A KR20000067483A KR20020037529A KR 20020037529 A KR20020037529 A KR 20020037529A KR 1020000067483 A KR1020000067483 A KR 1020000067483A KR 20000067483 A KR20000067483 A KR 20000067483A KR 20020037529 A KR20020037529 A KR 20020037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pring
wire
support pi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6019B1 (ko
Inventor
김창길
Original Assignee
김창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길 filed Critical 김창길
Priority to KR10-2000-0067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019B1/ko
Publication of KR20020037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잠금장치는, 창문프레임의 내부에 고정된 제1지지핀(108)과, 상기 제1지지핀과 일정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고, 창문프레임의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지지핀(109); 상기 제1지지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주연 일부에 일방향나사산(117)이 성형되어 있는 로킹롤러(116); 상기 로킹롤러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고, 타측은 외측창문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118); 상기 로킹롤러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는 제2와이어(119); 상기 제2지지핀(109)의 외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와이어(119)와 연결되는 와이어(112)가 권취된 회전파이프(115); 상기 회전파이프와 제2지지핀(109)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복원력을 발하는 스프링기구; 상기 일방향나사산(117)과 체결되도록 일방향나사산 측으로 탄성지지되는 로커(105); 그리고 상기 로커(105)를 일방향나사산과 체결하거나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창문의 외부에서는 노출되지 않도록 창문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Locking device for windows}
본 발명은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의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어 임의로 외부에서 열 수 없도록 구성되는 창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문은 일반적인 방의 창문으로 사용되는 것은 물론이고,최근에는 아파트의 거실의 문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미닫이 창문에 있어서는, 외부에서 임의로 열 수 없도록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전통적인 잠금장치는 단순히 로커를 사람이 잠그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로커는,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만 창문을 걸어 잠글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창문이 일정하게 열린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임의로 창문을 열 수 없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89768에 의하면, 외부에서 임의로 열지 못하도록 구성되는 잠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에 의하면, 잠금장치가 창문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미관상 바람직하지 못한 단점이 지적된다. 또한 그 구성에 있어서도 여러가지 부재를 창문의 문틀(프레임)에 부착하지 않으면 안되는 기술상의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창문의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어 미관상 깨끗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임의로 창문을 열 수 없도록 구성되는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잠금장치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외측창문20 ..... 내측창문
30 ..... 조작레버105 ..... 로커
107 ..... 지지프레임108 ..... 제1지지핀
109 ..... 제2지지핀111, 114 ..... 스프링
116 ..... 로킹롤러117 ..... 일방향나사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잠금장치는, 창문프레임의 내부에 고정된 제1지지핀과, 상기 제1지지핀과 일정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고, 창문프레임의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지지핀; 상기 제1지지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주연 일부에 일방향나사산이 성형되어 있는 로킹롤러; 상기 로킹롤러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고, 타측은 외측창문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 상기 로킹롤러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는 제2와이어; 상기 제2지지핀의 외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와이어와 연결되는 와이어가 권취된 회전파이프; 상기 회전파이프와 제2지지핀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복원력을 발하는 스프링기구; 상기 일방향나사산과 체결되도록 일방향나사산 측으로 탄성지지되는 로커; 그리고 상기 로커를 일방향나사산과 체결하거나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창문의 외부에서는 노출되지 않도록 창문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기구에 대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내측단부가 제2지지핀의 외측에 고정되고, 외측단부가 창문프레임의 내부에서 고정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스프링과 병립하게 설치되고, 그 내측단부가 제2지지핀에 고정되고 외측단부가 회전파이프에 고정되는 제2스프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스프링의 탄성계수는 제2스프링보다 높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해제수단은, 로커의 후단부와 연결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후방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조작레버; 그리고 상기 로커를 일방향나사산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잠금장치(100)는,내측창문(20)의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외부에서는 사람의 눈에 띠이지 않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잠금장치(100)에 의하여, 외측창문(10)을 외부에서는 임의로 열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잠금장치(100)의 조작레버(3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잠금장치(100) 자체가 해제되어 외측창문(10)을 열 수 있게 구성되고 있다. 상기 조작레버(30)는, 일반적인 창문에 부착되어 있는 로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장치를 창문의 프레임에 부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잠금장치의 확대 사시도인 도 2 및 분해 사시도인 도 3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잠금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있어서, 도면부호 107로 도시한 것은 지지프레임이다. 상기 지지프레임(107)은, 창문프레임의 내측에 장착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체적인 잠금장치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07)은,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단면이 ㄷ자형태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창문의 프레임 자체를 상기 지지프레임(107)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지지프레임(107)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지지핀(108,109)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창문의 프레임으로 직접 구성하거나, 별도의 부재를 창문의 프레임 내부에 설치하는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프레임(107)에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한쌍의 지지핀(108,109)이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핀(108,109)은 지지프레임(107)의 개방된 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지지핀(108)은 상기 지지프레임(107)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그 외측에는 로킹롤러(116)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로킹롤러(116)의 중심부분에는 일방향나사산(117)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일방향나사산(117)은, 로커(105)가 걸린 상태에서는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일방향나사산(117)은, 상기 로커(105)가 걸리게 되면, 시계방향으로는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고, 반시계방향으로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겠지만, 상기 일방향나사산(117)에 의하여 로킹롤러(116)이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은, 실질적으로 밖에 있는 외측창문(10)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킹롤러(116)에는 상기 일방향나사산(117)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한쌍의 와이어(118,119)가 각각 권취되어 있다. 외측의 와이어(18)는, 그 일단이 로킹롤러(16)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외측창문(10)과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측의 와이어(118)의 타단은, 연결홈(22)을 통하여 외측창문(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외측창문(10)이 열리게 되면, 상기 와이어(118)가 로킹롤러(116)에서 풀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118)가 로킹롤러(116)에서 풀림에 따라서, 상기 로킹롤러(116)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로킹롤러(11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해서는 로커(105)가 상기 로킹롤러(116)에서 해제되어야 하는 것임은 당연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로커(105)는, 로킹롤러(116)에 체결된 상태로 로킹롤러(116)가 외측창문(10)이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커(105)가 로킹롤러(116)에서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로킹롤러(116)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 로커(105)는 로커케이싱(106)의 내부에서 스프링(104)에 의하여 탄성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상태에서 상기 로커(105)는 로킹롤러(116)에 항상 체결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로킹롤러(11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커(105)의 후방에는 와이어(12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1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3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조작레버(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로커(105)가 당겨지게 되어, 로커(105)와 로킹롤러(116)과의 체결관계가 해제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조작레버(3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로커(105)와 로킹롤러(116)의 결합관계가 해제되어, 외측창문(10)를 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일방향나사산(117)의 내측에 감겨 있는 와이어(119)는, 그 일단이 로킹롤러(116)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후술하는 와이어(112)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는 제2지지핀(109)의 주변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제2지지핀(109)는, 상기 지지프레임(10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핀(109)에는 원형단면을 가지는 케이싱(110)이 설치되는데, 상기 케이싱(110)은 지지프레임(107)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스프링(111)이 설치되는데, 상기 스프링(111)의 외측단부는 상기 케이싱(110)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고, 스프링(111)의 내측단부는 상기 제2지지핀(109)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핀(109)의 내측(창문을 기준으로 실내측)은 격판(113)에 의하여 구분되면서 다른 하나의 스프링(114)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114)의 내측단부는 상기 제2지지핀(109)에 연결되어 있고, 외측단부는 회전파이프(15)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파이프(15)의 외측에는 와이어(112)가 권취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예를 들면, 스프링(111)의 탄성계수는, 스프링(114)의 탄성계수 보다 높게 성형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114)이 먼저 감긴 후에 스프링(111)이 감기게 될 것이다. 그러나 스프링(111,114)는, 어느 일측이 먼저 감긴 후에 타측이 감기도록 구성되거나, 서로 동시에 감길 수 있도록 탄성계수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잠금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외측창문(10)이 완전하게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로커(105)가 로킹롤러(116)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로킹롤러(116)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외측창문(10)을 열 수 없게 되어 있다.
여기서 외측창문(10)을 열기 위해서는, 로킹롤러(11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조작레버(30)를 조작하여, 와이어(120)를 뒤로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하여 로커(105)를 후퇴시켜서 로킹롤러(116)의 일방향나사산(117)과의 결합관계를 해제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로킹롤러(116)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되는 것이다. 따라서 외측창문(10)을 열게 되면, 외측창문과 연결된 와이어(118)가 풀리면서 상기 로킹롤러(116)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로킹롤러(116)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로킹롤러(116)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119)가 감기게 되면서, 회전파이프(115)에 감겨진 와이어(112)는 풀리게 된다. 상기 와이어(112)가 풀리게 되면 상기 회전파이프(115)가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파이프(115)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라서 일차적으로 스프링(114)가 감기게 된다. 스프링(114)가 완전히 다 감기게 되면, 제2지지핀(109)가 다시 회전하기 시작한다. 여기서 스프링(114)의 탄성계수는 스프링(111)의 탄성계수에 비하여 낮은 경우에는, 스프링(114)가 더 부드럽기 때문에 회전파이프(115)의 회전시 일차적으로 스프링(114)이 먼저 감기게 되고, 그것이 다 감기게 되면 제2지지핀(109)이 회전하기 시작한다. 제2지지핀(109)의 회전에 의하여 스프링(111)가 감기기 시작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111)이 감기는 것은, 외측창문(10)이 전부 열릴 때 까지이다.
이렇게 하여 외측창문(10)이 일정한 간격 만큼 열리게 되면, 스프링(111,114)의 적어도 하나는, 탄성복원력을 가지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외측창문(10)이 일정 간격 열린 상태에서, 상기 조작레버(30)를 다시 조작하여, 로커(105)를 로킹롤러(116)의 일방향나사산(117)과 맞물리게 하면, 완전히 외측창문(10)이 로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외측창문(10)은 더 이상 열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외측창문(10)을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외측창문(10)을 닫음으로써 충분히 수행될 수 있다. 측 외측창문(10)을 닫게 되면, 상기 스프링(111,114) 들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와이어(18)이 자동으로 감기게 되어, 처음의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창문프레임의 내부에 잠금장치를 구현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창문프레임의 내부에 실시되는 잠금장치로서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을 가지도록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외측창문을 임의로 열지 못하게 하는 편리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정도의 창문의 열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방범 상의 잇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창문프레임의 내부에 고정된 제1지지핀(108)과,
    상기 제1지지핀과 일정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고, 창문프레임의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지지핀(109);
    상기 제1지지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주연 일부에 일방향나사산(117)이 성형되어 있는 로킹롤러(116);
    상기 로킹롤러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고, 타측은 외측창문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118);
    상기 로킹롤러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는 제2와이어(119);
    상기 제2지지핀(109)의 외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와이어(119)와 연결되는 와이어(112)가 권취된 회전파이프(115);
    상기 회전파이프와 제2지지핀(109)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복원력을 발하는 스프링기구;
    상기 일방향나사산(117)과 체결되도록 일방향나사산 측으로 탄성지지되는 로커(105); 그리고
    상기 로커(105)를 일방향나사산과 체결하거나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창문의 외부에서는 노출되지 않도록 창문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기구는,
    내측단부가 제2지지핀의 외측에 고정되고, 외측단부가 창문프레임의 내부에서 고정되는 제1스프링(111)과;
    상기 제2스프링과 병립하게 설치되고, 그 내측단부가 제2지지핀에 고정되고 외측단부가 회전파이프(115)에 고정되는 제2스프링(11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은, 로커(105)의 후단부와 연결된 와이어(120)와;
    상기 와이어(120)를 후방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조작레버(30); 그리고
    상기 로커를 일방향나사산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의 탄성계수는 제2스프링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10-2000-0067483A 2000-11-14 2000-11-14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100426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483A KR100426019B1 (ko) 2000-11-14 2000-11-14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483A KR100426019B1 (ko) 2000-11-14 2000-11-14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906U Division KR200223957Y1 (ko) 2000-11-24 2000-11-24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529A true KR20020037529A (ko) 2002-05-22
KR100426019B1 KR100426019B1 (ko) 2004-04-08

Family

ID=19698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483A KR100426019B1 (ko) 2000-11-14 2000-11-14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0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522Y1 (ko) * 2012-04-05 2013-08-22 정시창 이중창문의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중창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552B1 (ko) 2011-05-04 2012-02-22 (주)원룡건축사사무소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건축물의 창 구조물
KR101131907B1 (ko) 2011-05-04 2012-04-03 (주)원룡건축사사무소 안전지대 형성이 가능한 건축물의 발코니
KR101114554B1 (ko) * 2011-05-04 2012-02-22 (주)원룡건축사사무소 침수방지용 건축물의 실내개폐문
KR101131885B1 (ko) 2011-05-31 2012-04-03 (주)원룡건축사사무소 안전진단기능을 갖춘 건축용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KR101650874B1 (ko) * 2016-03-03 2016-08-26 (주)부산미르구조진단 안전진단기능을 갖춘 건축용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522Y1 (ko) * 2012-04-05 2013-08-22 정시창 이중창문의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중창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6019B1 (ko)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6019B1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US5590922A (en) Security device
AU2018275570B2 (en) Anti-ligature turn piece
KR200223957Y1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200488839Y1 (ko) 캐비넷 도어개폐장치
KR100716026B1 (ko)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
KR20030056191A (ko) 천정점검구
KR200307419Y1 (ko) 미서기창에 사용되는 자물쇠 일체형 잠금장치
KR200189768Y1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200355861Y1 (ko) 권취식 방충망의 개폐구조
KR100709147B1 (ko) 미서기 잠금장치의 보조 손잡이
KR101668328B1 (ko)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
JP3225629U (ja) 室内錠
JP4195127B2 (ja) 扉用錠前
KR20090010591U (ko)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 잠금 장치
KR200248521Y1 (ko) 창문잠금장치
KR101661462B1 (ko) 미닫이 문 잠금장치
KR200275063Y1 (ko) 창문 잠금장치
JPH09177408A (ja) 開扉装置
JP4390380B2 (ja) 打掛け錠
KR100406942B1 (ko) 창문용 괘정장치
KR101929231B1 (ko) 자동 잠김 및 벌어짐을 방지하는 안전방충망 잠금장치
JP3998336B2 (ja) 緊急事態用浴室ドア
KR200186300Y1 (ko) 자동 잠김 창문장치
JP6206896B1 (ja) 開き扉の回転式ラッ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