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591U -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591U
KR20090010591U KR2020080004910U KR20080004910U KR20090010591U KR 20090010591 U KR20090010591 U KR 20090010591U KR 2020080004910 U KR2020080004910 U KR 2020080004910U KR 20080004910 U KR20080004910 U KR 20080004910U KR 20090010591 U KR20090010591 U KR 200900105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push button
locking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3991Y1 (ko
Inventor
이흥원
Original Assignee
이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원 filed Critical 이흥원
Priority to KR2020080004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991Y1/ko
Publication of KR200900105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5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9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9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05C19/063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의 잠금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잠금부는 돌출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닫이식 창문의 잠금 및 해지가 용이하고, 원하는 간격까지만 열리도록 할 수 있어 실내환경 유지기능과 방범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미닫이 창문 프레임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는, 창문 또는 창틀에 구비되고, 돌출시 상기 창문의 잠금기능을 수행하고, 삽입시 상기 창문의 열림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1 푸쉬버튼, 및 상기 제1 푸쉬버튼이 돌출 또는 삽입될 수 있는 제1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1 잠금부; 및 상기 제1 잠금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고, 돌출시 상기 창문을 상기 소정 간격까지 열리도록 하고, 삽입시 창문의 열림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푸쉬버튼, 및 상기 제2 푸쉬버튼이 돌출 또는 삽입될 수 있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2 잠금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푸쉬버튼은 돌출시 눌려지지 않는 위치로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다.
창문, 잠금장치, 개폐, 고정, 자동

Description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 잠금 장치{TURNING PUSH-BUTTON TYPE LOCK ASSEMBLY FOR WINDOW}
본 발명은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닫이식 창문의 잠금 및 해지가 용이하고, 원하는 간격까지만 열리도록 할 수 있어 실내환경 유지기능과 방범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창문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창문용 잠금장치는 안쪽의 창문 프레임(1)에는 걸림편(3)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바깥쪽 창문 프레임(2)에는 걸고리(5)가 고정되는 구조로 되는 것이다. 걸림편(3)을 회전시켜서 걸고리(5)에 걸려지게 함으로써 창문을 잠글 수 있게 되고, 걸림편(3)을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편(3)이 걸고리(5)에서 이탈되어 창문을 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창문용 잠금장치는 창문을 개폐시키기 위해서는 걸림편(3)을 회전시켜야 하는 데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뛰다른다. 즉, 걸림편(3)의 위치와 걸고리(5)의 위치를 정확하게 일치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잠그고자 할 때에는 회전하는 걸림편(3)이 걸고리(5)에 걸리지 않고 헛돌게 되는데, 이럴 때에는 걸림편(3)을 역회전시켜서 처음의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안쪽 창문 프레임(1)과 바깥쪽 창문 프레임(2)의 위치를 일치시키고 다시 걸림편(3)을 회전시켜야 한다. 이 때 사용자는 걸림편(3)이 걸고리(5)의 홈에 삽입되면서 서로 마찰이 발생하여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여 걸림편(3)을 회전시켜야 한다. 이러한 마찰력은 걸고리(5)를 걸림편(3)에서 이탈시키고자 할 때에도 일정이상의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안쪽 창문 프레임(1)과 바깥쪽 창문 프레임(2)의 외부로 노출되는 걸림편(3)과 걸고리(5)의 형상은 시각적으로 투박하여 미닫이 창문 외관의 미감을 저해시키는 요인이 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기술에 따른 푸쉬버튼을 갖는 창문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기술은 창문 외부에 창살 등으로 방범창을 구비함으로써 미관을 해치고 방범창으로 인한 실내에서 느끼는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는 푸쉬버튼을 갖는 창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샤시문 하단에 구비되어 샤시문이 일정 간격 열린 상태에서 더이상 열리지 않도록 하는 잠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도 2b와 같이 푸쉬버튼으로 이루어지고, 도 2c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즉, 걸림쇠(11)의 왕복운동에 따라 돌출과 삽입이 반복되는 바, 걸림쇠(11)의 중심대(15)와 스프링 가이드(14)에 지지되어 걸림쇠(11)를 항시 밀어주는 스프링(16)과, 걸림쇠(11)의 왕복운동에 따라 90도 회전하여 왕복운동부(13)에 의해 가이드되는 핀(12)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된 푸쉬버튼 타입만으로는 충분한 방범효과를 이룰 수 없게 되는 바, 열려진 창문 틈으로 소정 길이의 기구를 이용하여 푸쉬버튼을 누르게 되면 즉시 잠금기능이 해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창문의 열림범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푸쉬버튼을 갖는 창문용 잠금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국 등록특허 제 10-0716026호(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가 제시되었다.
도 3a와 도3b는 '한국 등록특허 제 10-0716026호'에 따른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도 3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를 창문에 구성한 실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창문에 제1 푸쉬버튼(30) 및 제2 푸쉬버튼(40)이 구비되고, 제1 푸쉬버튼(30)은 창문의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것이고, 제2 푸쉬버튼(40)은 창문을 일정 간격까지만 열리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3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의 열림고정수단에 구비되는 고정부를 나타낸 것이다. 고정부는 각 푸쉬버튼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2 푸쉬버튼(40)에 구비된다. 고정부(41)는 푸쉬버튼의 일측에 돌출부(41a)를 구비하고 주변에 돌출부(41a)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다. 즉, 푸쉬버튼이 돌출되면 푸쉬버튼을 회전시켜 푸쉬버튼에 구비된 돌출부(41a)가 요철(41b)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열려진 창문 틈으로 소정 길이의 기구를 이용하더라도 푸쉬버튼은 눌려지지 않도록 하여, 방범기능을 보다 확실히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는 푸쉬버튼을 수동으로 고정시켜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창문을 부정하게 열고자하는 자가 돌출된 돌출부를 이용하여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더하여, 돌출부가 돌출되어 있어 미관상 수려하지 못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푸쉬버튼을 자동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푸쉬버튼의 외관상의 돌출부를 없애, 창문을 부정하게 열고자하는 자가 돌출된 돌출부를 이용하여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없고, 미관상 수려한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는, 창문 또는 창틀에 구비되고, 돌출시 상기 창문의 잠금기능을 수행하고, 삽입시 상기 창문의 열림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1 푸쉬버튼, 및 상기 제1 푸쉬버튼이 돌출 또는 삽입될 수 있는 제1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1 잠금부; 및 상기 제1 잠금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고, 돌출시 상기 창문을 상기 소정 간격까지 열리도록 하고, 삽입시 창문의 열림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푸쉬버튼, 및 상기 제2 푸쉬버튼이 돌출 또는 삽입될 수 있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2 잠금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푸쉬버튼은 돌출시 눌려지지 않는 위치로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고안의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에 따르면, 푸쉬버튼이 자동으로 고정되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부주의로 푸쉬버튼의 고정작 업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본연의 방범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푸쉬버튼의 외관상의 돌출부가 없으므로, 돌출부를 이용해 외부로부터 창문을 부정하게 열고자하는 행위를 차단할 수 있다.
더하여, 푸쉬버튼의 외관상의 돌출부가 없으므로, 미관상 수려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a 내지 4c는 본 고안의 일실시에에 따른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의 잠금부(400)의 구성도와 분해 사시도 및 제1 푸쉬버튼(421)의 측, 하면도로서, 잠금부는 제1 푸쉬버튼(421), 제1 수용부(411), 탄성부재(432), 구속-해제부(431)로 이루어진다.
제1 푸쉬버튼(421)은 내부의 일단면에 구성되는 구속-해제 종속부(424)와 제1 탄성부재 고정부(423), 외면의 하단 측면에 구성되는 돌출부(422)를 포함한다. 제1 수용부(411)는 내면에 수직방향부(412a)와 회전방향부(412b)로 이루어지는 'ㄱ'자 모양의 안내부(412)가 구성되고, 상면에 체결부(414)와 내부 하부에 제2 탄성부재 고정부(413)를 구비한다. 탄성부재(432)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양 단부는 각각 제1 탄성부재 고정부(423)와 제2 탄성부재 고정부(413)에 결합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꺽임 처리된다. 또한, 돌출부(422) 및 탄성부재(432), 안내부의 모양, 형태, 위치, 기능 등은 다양하게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구속-해제부(431)는 제1 수용부(411)의 내부 하부측에 결합되며, 구속-해제부(431)의 상부가 제1 푸쉬버튼(421) 내부의 구속-해제 종속부(424)와 맞물린다. 제1 푸쉬버튼(421)은 제1 수용부(411)와 결합하는데, 제1 푸쉬버튼(421)의 돌출부(422)와 제1 수용부(411)의 안내부(412)가 맞물리게 된다. 탄성부재(432)는 수직으로 꺽임 처리된 각 단부가 각각 제1 탄성부재 고정부(423)와 제2 탄성부재 고정부(413)에 결합되는데, 제1 푸쉬버튼(421)이 제1 수용부(411)로부터 돌출되는 경우에 돌출부(422)가 방향전환부(412b)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회전방향 탄성력을 발생하도록 비틀림 결합된다.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제1 수용부(411)는 나사에 의해 결합된다. 구속-해제부(431)는 한번 눌리면 구속-해제 종속부(424)를 구속하고, 다시 한번 눌리면 구속-해제 종속부(424)를 자유롭게 놓아주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는 것으로, 구속-해제부(431)와 구속-해제 종속부(424)는 이미 널리 주지된 관용기술에 불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잠금부(400)의 작동과정을 제1 푸쉬버튼(421)이 눌려진 상태로부터 설명한다. 제1 푸쉬버튼(421)을 누르면, 구속-해제 종속부(424)가 맞물려 있던 구 속-해제부(431)를 누르고, 구속-해제부(431)는 구속-해제 종속부(424)를 자유로이 놓아준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432)의 수직방향 탄성력에 의해 제1 푸쉬버튼(421)은 밀려서 제1 수용부(411)로부터 돌출하게 되는데, 돌출부(422)와 맞물린 수직방향부(412a)를 따라 끝까지 밀려 올라간 제1 푸쉬버튼(421)은 탄성부재(432)의 회전방향 탄성력에 의해 방향전환부(412b)를 따라 방향전환부(412b)의 끝까지 회전하여 멈추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 푸쉬버튼(421)을 누르면 돌출부(422)가 방향전환부(412b)에 의해 지지되어, 즉 방향전환부(412b)가 걸림턱 역할을 하여, 눌려지지 않는다.
돌출된 제1 푸쉬버튼(421)을 다시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돌출시 회전했던 방향의 반대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제1 푸쉬버튼(421)을 멈출 때까지 회전시키는데, 이는 제1 푸쉬버튼(421)의 돌출부(422)가 방향전환부(412b)를 따라 이동하다가 수직방향부(412a)와 만나는 위치에서 멈추게 되는 것이다. 멈춘 제1 푸쉬버튼(421)을 누르면, 구속-해제 종속부(424)가 구속-해제부(431)를 누르고, 구속-해제부(431)는 구속-해제 종속부(424)를 구속하여 제1 푸쉬버튼(421)은 눌려진 상태로 머물게 된다.
도 4d는 본 고안의 일실시에에 따른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의 구성도로서,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판(441)과 잠금부(400), 밀폐 잠금부(401)를 결합하는 형태이며, 잠금부(4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체결될 수 있다. 창문을 완전히 닫은 경우에 창문을 잠금,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밀폐 잠금부(401)는 잠금부(400)와 기본적으로 비슷한 구조이며, 제2 푸쉬버튼(461)과 제2 수용부(451)를 포함한다. 밀폐 잠금부(401)는 잠금부(400)를 그대로 이용하거나, 잠금부(400)에서 제1 푸쉬버튼(421)의 돌출시에 눌려지지 않는 위치로 자동으로 회전하는 구성을 생략해도 무방하다. 즉 잠금부(400)에서 안내부(412)와 제1, 제2 탄성부재 고정부(423, 413), 탄성부재(431) 양 단부의 수직 꺽임 처리를 생략하는 등, 돌출, 삽입 기능만 수행할 수 있다면 본 고안의 사상을 구현하는데 문제가 없다. 이는 밀폐 잠금부(401)에 의해 창문이 완전 밀폐되어 잠긴 경우에는 제2 푸쉬버튼(461)이 외부 침입자에 의해 부정하게 눌리는 경우를 고려하지 않아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도 4e는 본 고안의 일실시에에 따른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를 창문에 부착한 실시도로서, 복수의 잠금부(400)가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밀폐 잠금부(401)는 창문을 완전히 닫은 경우에 창문을 잠금, 고정시키며, 나머지 잠금부(400)의 위치에 따라 창문은 일정 간격까지만 열리도록 제한된다. 또한, 잠금부(400)가 하나인 경우에 잠금부(400)의 제1 푸쉬버튼(421)과 밀폐 잠금부(401)의 제2 푸쉬버튼(461) 사이의 거리, 또는 잠금부(400)가 복수인 경우에 밀폐 잠금부(401)의 제2 푸쉬버튼(461)과 가장 먼 잠금부(400)의 제1 푸쉬버튼(421) 사이의 거리는 5 내지 17㎝이다.
각 수용부(411, 451)의 체결 및 잠금부(400)와 고정판(441), 밀폐 잠금부(401)와 고정판(441)의 체결은 나사뿐만 아니라 용접이나 기타 다른 체결 수단에 의해서도 가능하며, 고정판(441)을 생략하고 잠금부(400)와 밀폐 잠금부를(401) 창문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각 푸쉬버튼(421, 461)은 빗물 등이 침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는 바, 바람직하게는 고무링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부(400)의 제1 푸쉬버튼(421)은 외면에 돌출된 부위가 없고, 제1 푸쉬버튼(421)의 돌출시에 제1 푸쉬버튼(421)을 회전시켜야만 삽입할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열려진 창문 틈으로 소정 길이의 기구를 이용하더라도 제1 푸쉬버튼(421)을 누르기가 대단히 어렵다. 따라서, 기존의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에 비하여 방범기능을 더욱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4e를 참조하면,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를 창문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설치환경이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레일이나 가이드를 포함하는 창틀 또는 슬라이딩 도어 등에도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창문용 잠금장치를 창문에 구성한 실시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창문용 잠금장치의 구성도,
도 2a는 종래기술에 따른 푸쉬버튼을 갖는 창문용 잠금장치를 창문에 구성한 실시도,
도 2b 및 2c는 종래기술에 따른 푸쉬버튼을 갖는 창문용 잠금장치의 구성도,
도 3a는 종래기술에 따른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를 창문에 구성한 실시도,
도 3b는 종래기술에 따른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의 구성도,
도 4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의 잠금부의 구성도,
도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의 잠금부의 분해 사시도,
도 4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의 제1 푸쉬버튼의 측, 하면도,
도 4d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의 구성도, 및
도 4e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를 창문에 구성한 실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400: 잠금부 401: 밀폐 잠금부
411: 제1 수용부 412: 안내부
412a: 수직방향부 412b: 수평방향부
413: 제2 탄성부재 고정부 414: 체결부
421: 제1 푸쉬버튼 422: 돌출부
423: 제1 탄성부재 고정부 424: 구속-해제 종속부
431: 구속-해제부 432: 탄성부재
441: 고정판 442: 체결나사
451: 제2 수용부 461: 제2 푸쉬버튼

Claims (5)

  1. 상기 밀폐 잠금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고, 돌출시 상기 개폐 구조물이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제한하고, 삽입시 개폐 구조물이 완전 개방되도록 제한을 해제하기 위한 제1 푸쉬버튼, 및 상기 제1 푸쉬버튼이 돌출 또는 삽입되기 위한 제1 수용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잠금부; 및
    슬라이딩 개폐 구조물에 구비되고, 돌출시 상기 개폐 구조물의 잠금기능을 수행하고, 삽입시 상기 개폐 구조물의 열림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푸쉬버튼, 및 상기 제2 푸쉬버튼이 돌출 또는 삽입되기 위한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밀폐 잠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푸쉬버튼의 돌출시 상기 제1 푸쉬버튼은 눌려지지 않는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푸쉬버튼은, 상기 제1 수용부 내로 삽입되는 원주면의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제1 수용부의 내면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푸쉬버튼과 상기 제1 수용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푸쉬버튼의 돌출이 종료되면 상기 돌출부를 상기 안내부의 걸림턱으로 안내하는 탄성부재를 포 함하는 회전 푸쉬버튼식 슬라이딩 구조물 잠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의 상기 제1 푸쉬버튼과 상기 밀폐잠금부의 상기 제2 푸쉬버튼의 간격은 5 내지 17센티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푸쉬버튼식 슬라이딩 구조물 잠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와 상기 밀폐잠금부는 하나의 고정판 상에 결합되는 특징으로 하는 회전 푸쉬버튼식 슬라이딩 구조물 잠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두께는 0.5 내지 3밀리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
KR2020080004910U 2008-04-14 2008-04-14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 잠금 장치 KR2004539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910U KR200453991Y1 (ko) 2008-04-14 2008-04-14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910U KR200453991Y1 (ko) 2008-04-14 2008-04-14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 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591U true KR20090010591U (ko) 2009-10-19
KR200453991Y1 KR200453991Y1 (ko) 2011-06-10

Family

ID=41553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910U KR200453991Y1 (ko) 2008-04-14 2008-04-14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99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1002806U1 (de) * 2011-02-17 2011-05-12 Kallwellis, Dieter Türfeststeller
KR101354143B1 (ko) 2012-05-25 2014-01-24 이흥원 창문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문 구조
KR20210037914A (ko) 2019-09-30 2021-04-07 (주)에스엔시 창문 안전 잠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0799U (ko) 1977-10-24 1979-05-19
KR100755590B1 (ko) * 2002-11-07 2007-09-06 한국델파이주식회사 파워스티어링 펌프용 리테이너 링
KR100716026B1 (ko) * 2006-06-30 2007-05-08 이흥원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
KR200440617Y1 (ko) 2007-09-21 2008-06-20 (주)아모레퍼시픽 일정한 회전에 의해 누름버튼 작동 규제가 가능한 펌프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991Y1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7914A (ko) 창문 안전 잠금 장치
KR200453991Y1 (ko)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 잠금 장치
AU2018275570B2 (en) Anti-ligature turn piece
KR200461180Y1 (ko) 회전 잠금 타입 창문용 잠금장치
KR100716026B1 (ko)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
KR100934321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110003030U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200186315Y1 (ko) 미닫이창의 잠금장치
KR101245186B1 (ko) 미닫이창문의 자동잠금장치
KR101152369B1 (ko) 출입문용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KR20030056191A (ko) 천정점검구
KR101962898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200384262Y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장치
KR101756863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220014010A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KR200441795Y1 (ko) 슬라이딩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KR200386046Y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KR20090007344U (ko) 창호용 겸용 잠금장치
KR101627648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안전 방충망
KR101053339B1 (ko) 창문의 잠금장치
KR200486599Y1 (ko) 창문 안전 잠금장치
KR100709147B1 (ko) 미서기 잠금장치의 보조 손잡이
KR101401653B1 (ko) 창호용 잠금장치
KR200307287Y1 (ko) 미닫이 샤시문의 보조 잠금창치
KR200153944Y1 (ko)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