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7205A - 천연 유화제를 함유하는 수중 실리콘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유화제를 함유하는 수중 실리콘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7205A
KR20020037205A KR1020000067240A KR20000067240A KR20020037205A KR 20020037205 A KR20020037205 A KR 20020037205A KR 1020000067240 A KR1020000067240 A KR 1020000067240A KR 20000067240 A KR20000067240 A KR 20000067240A KR 20020037205 A KR20020037205 A KR 20020037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smetic composition
silicone
lecithi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우식
강응수
조희원
서충석
Original Assignee
안용찬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찬,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안용찬
Priority to KR1020000067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7205A/ko
Publication of KR20020037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205A/ko

Links

Abstract

이 발명은 천연 유화제를 함유하는 수중 실리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천연 유화제로서 대두 기원의 레시틴 0.5~5.0중량%, 아크릴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드 공중합체 0.1~2.0중량%, 실리콘 오일 5~15중량% 및, 선택적 성분으로서의 실리콘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0.5~2중량% 및 C10~16고급 알코올 0.5~2중량%를 포함하는 천연 유화제 함유 수중 실리콘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되며, 수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수성겔 화장료에 실리콘 오일을 안정하게 분산시키고 천연유화제로 레시틴을 사용하여 유화의 안정성, 피부의 보습능을 개선함과 아울러, 고급 알코올, 실리콘 유화제의 사용으로 피부에 도포시 흘러내리는 결점이 보완되어 있다.

Description

천연 유화제를 함유하는 수중 실리콘 화장료 조성물{SILICON -IN-WATER TYP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EMULSIFYING AGENT}
본 발명은 천연 유화제를 함유하는 수중 실리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수성 겔 화장료 특유의 신선하고 청량하며 부드럽고 매끄러운 사용성을 가지면서도 안정한 분산성 및 피부 보습능을 나타내며, 또한 이에 더하여 피부 도포시 흘러내리지 않는 천연 유화제 함유 수중 실리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초 화장품의 주된 목적은 피부를 청결하게 하는 것이며, 피부의 건강 유지를 위해서는 청결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기초 화장품의 다음 목적은 차가운 바람이나 건조한 공기, 공해 등의 피부에 유해한 외부 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즉, 기초 화장품이란 피부를 청결히 하고 건강하게 유지시켜 피부 본래가 갖는 기능을 정상적으로 작용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화장품이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초 화장품의 기능 중, 피부의 건조 방지, 즉 보습 기능은 기초 화장품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보습 기능을원활히 부여하기 위하여 유중수, 수중유 등의 유화 타입의 화장료가 지금까지 주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유화 타입의 화장료와는 달리,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잔탄검과 같은 수용성 고분자를 이용한 수성 겔 제품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수성 겔은 그 특유의 신선하고 청량감있는 사용성, 부드럽고 매끄러운 사용성 등으로 인해 피부 보습 제품의 한 형태로 시장에서 자리잡아 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통상적인 수성 겔 화장료는 상기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유화 화장료에 비하여 보습 기능이 떨어지는 단점을 안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종래의 방안으로서, 친수기와 친유기를 함께 가진 회합성이 우수한 고분자들을 이용한 오일 함유 화장료, 특히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한 실리콘 오일만을 함유하는 전술한 화장료 등이 제안되어 있으나(USP 5,420,118, USP 5,194,250), 그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미흡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안에 있어서는, 고분자를 이용해 실리콘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조할 경우 고분자의 낮은 미셜 형성능과 계면장력 강하능에 의해 에멀젼의 입자 직경이 커서 광택이 없으므로 외관상 고급감이 열등하고, 사용시 손가락으로 잘 떠지지 않거나 피부 위의 염분에 의한 접촉면의 점도 감소로 인하여 피부 상에서 흘러 내리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 보습 화장료에 있어서 피부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고 마일드한 유화제로서의 레시틴과 고분자를 이용하고 실리콘 오일을 함유하는 새로운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수성 겔 화장료 특유의 신선하고 청량하며 부드럽고 매끄러운 사용성을 가지면서도, 분산성 및 피부 보습능이 우수한 수중 실리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에 더하여 수중 겔 특유의 피부 도포시 흘러내리는 결점을 또한 해소시킨 수중 실리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천연 유화제를 연구하던 중, 대두 기원 레시틴이 고분자 유화 에멀젼의 입자 크기 감소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사실 및, 실리콘 계면활성제 및 고급 알콜 등의 액정 형성 물질에 의한 에멀젼 강도 향상이 화장료가 피부상에서 흘러내리는 단점을 해결함에 있어 매우 효과적이라는 사실에 기초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수성 겔의 수용성 고분자로서의 아크릴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1~2.0중량%, 실리콘 오일 5~15중량% 및, 대두 기원의 레시틴 0.5~5.0중량%를 함유하는 천연 유화제 함유 수중 실리콘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한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양태에서 첨가되는 성분 외에, 실리콘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0.5~2중량% 및 고급 알코올 0.5~2중량%를 함유하는 천연 유화제 함유 수중 실리콘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수성 겔 형성을 위한 수용성 고분자로서의 아크릴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드 공중합체 0.1~2.0중량%, 보습 성분으로서의 실리콘 오일 5~15중량% 및, 천연 유화제로서 레시틴 0.5~5.0중량%를 함유하며, 선택적으로는 떠짐성 개선을 위한 실리콘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0.5~2중량% 및 고급 알코올 0.5~2중량%를 포함한다.
한편, 기초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 중 대표적인 것으로서, 통상적인 보습제 1~20중량%, 통상적인 증점제 0.1~0.5중량%를 들 수 있으며, 그 외 통상적인 성분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성 겔을 이루기 위한 조성 성분은 아크릴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서 그 함량은 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1~2.0중량%이며, 증점 보조제로서는 카르복시비닐 중합체가 사용되고 그 알짜 함량은 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1~0.5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보습 및 광택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실리콘 오일로서는, 이에 한정되는 아니나, 메칠사이클로폴리실록산, 디메칠폴리실록산, 헥사메칠디실록산, 페닐메칠폴리실록산, 카프릴릴메칠폴리실록산,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한 실리콘 오일은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또는 그 혼합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5~15중량% 함유되는 바, 종래의 수중유 유화 화장료의 오일 함량이 15~40중량%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리콘 오일로서의 실록산계 오일의 양은 1/2~1/3 정도로 오일 함량이 매우 소량이면서 내수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상기한 실리콘 오일은 피부 도포시 가볍고 매끄러운 사용감 및 산뜻한 화장 효과를 부여한다.
사용시 손에 의한 떠짐성 개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C10~16고급 알코올은, 바람직하게는 C10~16고급 알코올이 사용되며, 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5~2.0중량% 함유될 수 있으며, 이 성분은 경도의 상승 및 보습성 증진에도 도움이 되며, 배합 함량의 조정에 따라 사용성이 다양한 제형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같은 목적 및 안정제로 사용될 수 있는 실리콘 폴리에테르 공중합체는 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5~2.0중량% 함유되며, HLB(Hydrophile Lipophile Balance)값이 5.0~13.9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레시틴, 고급 알코올, 실리콘 폴리에테르는 종래의 수성 겔 화장료에 있어서 열등하였던 안정성 및 사용성 개선을 위해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레시틴으로서는 그 출처원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대두 기원의 레시틴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보습제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글리세린, 1,3-부틸렌 글리콜, 메칠글루세스 20, 솔비톨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에, 방부제, 향료, 색소 등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다양한 성분들을 첨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 등을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만 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5 및 비교예 1,2
구분 원료명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수상 아크릴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2중량% 수용액)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2중량% 수용액) 15.0 15.0 15.0 15.0 15.0 15.0 15.0
글리세린 3.0 3.0 3.0 3.0 3.0 3.0 3.0
1,3-부틸렌 글리콜 3.0 3.0 3.0 3.0 3.0 3.0 3.0
메칠글루세스 20 3.0 3.0 3.0 3.0 3.0 3.0 3.0
솔비톨 3.0 3.0 3.0 3.0 3.0 3.0 3.0
레시틴 1.0 1.0 1.0 1.0 1.0 --- ---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유상 휘발성 실록산 10.0 --- 5.0 5.0 5.0 5.0 5.0
비휘발성 실록산 --- 10.0 5.0 5.0 5.0 5.0 5.0
실리콘 에테르 공중합체 1.0 1.0 1.0 --- 1.0 --- 1.0
C10~16고급 알코올 1.0 1.0 1.0 1.0 --- --- 1.0
중화제 트리에탄올아민(10중량%수용액) 0.6 0.6 0.6 0.6 0.6 0.6 0.6
첨가제 에탄올 5.0 5.0 5.0 5.0 5.0 5.0 5.0
방부제 q.s. q.s. q.s. q.s. q.s. q.s. q.s.
q.s. q.s. q.s q.s. q.s. q.s. q.s.
색소 q.s. q.s. q.s. q.s. q.s. q.s. q.s.
*BF 굳리치사(社)제, 상품명 TR-1 사용
상기한 표 1에 나타낸 조성비에 따라, 정제수에 수상 성분을 가하여 70∼75℃까지 가열 용해하여 수상을 만들고, 유상 성분은 65∼70℃까지 가열 용해하여유상을 만든 다음, 유상을 서서히 수상에 가하여 65∼70℃ 부근에서 3500rpm으로 3분간 유화시킨 후, 냉각시키면서 50℃ 부근에서 첨가제를 가하고 1분간 교반 혼합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시험예)
상기한 실시예 1~5 및 비교예 1,2와 같은 조성에 따라 제조된 제품을 평가하기 위하여 피부 안전성 시험 결과, 사용상의 편리성 및 사용감 시험 결과, 실온, 고온 및 저온 사이클에서의 경시(經時) 안정성 시험 결과, 그리고 보습력 시험 결과를 비교하는 품질 평가를 하였다.
시험예 1 : 피부 안전성 시험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팔하박부 안쪽에 각 시료 2.0g 씩을 첩포 시험용 헤이즐 챔버에 묻혀 48시간 첩포한 후, 헤이즐 챔버를 제거하고 1시간 경과 후, 육안으로 피부 상태 변화를 판독하여 이를 1차 판정, 제거하고, 48시간 후에 다시 판독하는 2차 판정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판정은 하기의 자극도 계산식 1에 의해 구한 값을 하기의 판정표에 따라 판정하였다.
* 판정표
-:반응없슴(자극 정도 :0)
±:의심되는 양성반응. 약간의 홍반반응(자극 정도:0.5)
+:약간의 양성반응. 홍반, 구진, 확실한 인설반응(자극 정도:1.0)
++:심한 양성반응. 홍반, 구진, 침윤 병소, 소포(자극 정도:2.0)
+++: 격심한 양성반응(자극 정도:3.0)
(식 1)
구 분 1 차 판정 2 차 판정 점수
± ++ ± ++
실시예 1 30 0 0 0 30 0 0 0 0.00
실시예 2 30 0 0 0 30 0 0 0 0.00
실시예 3 30 0 0 0 30 0 0 0 0.00
실시예 4 30 0 0 0 30 0 0 0 0.00
실시예 5 30 0 0 0 30 0 0 0 0.00
비교예 1 29 1 0 0 29 1 0 0 0.56
비교예 2 29 1 0 0 27 3 0 0 1.11
상기한 표 2로부터 명료히 인지되는 바와 같이, 피부 자극성 시험 결과, 천연 유화제로서의 레시틴은 실리콘 유화제 및 휘발성 실록산 배합 조성물에서 유발될 수 있는 자극을 완화시켜 현저히 낮은 자극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시험예 2 : 사용성 평가
일반 고객 25~30세 사이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5 및 비교예 1,2의 화장료 제품을 일반적인 사용법에 따라 사용할 때의 떠짐성 및 얼굴에 도포한후의 촉촉함, 보습감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점수는 매우 만족:2점, 만족:1점, 보통:0점, 나쁨:-1점, 매우 나쁨:-2점으로 하여 종합점수를 하기의 계산식 2에 따라 산출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식 2)
구 분 떠짐성 종합 점수 촉촉함 종합 점수
2 1 0 -1 -2 2 1 0 -1 -2
실시예 3 9 11 0 0 0 1.45 8 10 2 0 0 1.30
실시예 4 0 9 8 3 0 0.30 5 12 3 0 0 1.10
실시예 5 0 10 7 3 0 0.35 4 10 6 0 0 0.90
비교예 1 0 0 6 6 8 -1.10 0 3 10 7 0 -0.20
비교예 2 5 11 4 0 0 1.05 0 7 8 5 0 0.10
상기한 표 3으로부터 인지되는 바와 같이, 실리콘계 계면활성제와 고급 알코올류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유화제 함유 조성물의 의해 수성 겔 화장료가 가지는 문제점인 사용시 점도 저하에 따른 흘러 내림 현상을 현저히 개선(즉, 바꿔 말하면, 떠짐성 개선)시켰으며, 레시틴에 의해 촉촉함이 현저히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레시틴은 함유하나 실리콘계 계면활성제와 고급 알코올류는 함유시키지 않은 본 발명의 실시예 4 및 5의 경우에 있어서는, 보습성(촉촉함)은 우수하나 사용시 흘러 내림성은 열등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실시예 4 및 5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용 액상 보습제 등에는 유효하게 적용될 수가 있다.
시험예 3 : 장기 보존 안정성(경시 안정성)
실시예 1∼5 및 비교예 1,2에 대한 장기 보존 안정성을 항온조(-5 ℃, 37℃, 43℃, 50℃, 사이클) 및 실온에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사이클 평가는, -5℃→25℃→45℃를 1 사이클로하여 24시간 주기로 점진적으로 순환시키며, 유화 상태가 파괴되어 분리되는 현상을 관찰하는 순환 온도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평가 점수는 매우 안정:◎, 보통:ㅇ, 불안정:△, 분리:×로 하여 표시하였다.
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5℃ 1개월
3개월
6개월 ??
37℃ 1개월
3개월 ??
6개월
43℃ 1개월 ??
3개월 ??
6개월 ×
50℃ 1개월 ??
2개월 ×
사이클 10회
20회 × ??
실온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 ??
상기한 표 4의 안정도 시험 결과표로부터 명확히 확인되는 바와같이, 실리콘계 오일만을 함유한 수성겔 화장료의 안정성에 천연 유화제인 레시틴을 첨가한 실시예 1∼5는 유화 안정성에 있어서 매우 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4 : 수분 보유능 측정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실시예 3과 비교예 1,2의 수분 보유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분 보유능 측정은 Corneometer(Courage+Khazaka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피부 표면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온도는 25℃, 40% 상대 습도를유지하는 항온항습실에서 피부 16㎠당 0.05g의 시료를 도포후 30분, 2시간후의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피시험자는 20명으로 하였으며 3회 측정한 결과를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시료 도포전 평균 값은 약 70이었다.
실험 항목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1회 도포후 30분 후 135 115 118
도포 후 2시간 후 112 86 91
2회 도포후 30분 후 136 116 117
도포 후 2시간 후 110 84 92
3회 도포후 30분 후 135 114 118
도포 후 2시간 후 110 84 90
상기한 표 5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레시틴을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3이 레시틴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2의 화장료에 비해 수분 보유능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유화제 함유 수중 실리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수성 겔 화장료에 실리콘 오일을 안정하게 분산시킬 수가 있으며, 천연 유화제인 레시틴의 첨가에 의해 유화 안정성, 피부 보습능이 개선되며, 고급 알코올, 실리콘 유화제의 사용으로 피부 도포시 흘러내리는 결점이 보완되어 있다.

Claims (4)

  1. 수성 겔 형성을 위한 수용성 고분자 0.1~2.0중량%, 보습 및 광택 성분으로서의 실리콘 오일 5~15중량% 및, 천연 유화제로서의 레시틴 0.5~5.0중량%를 포함하는
    천연 유화제 함유 수중 실리콘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용성 고분자가 아크릴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고, 상기한 화장료 조성물이 실리콘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0.5~2중량% 및 고급 알코올 0.5~2중량%를 또한 포함하는 천연 유화제 함유 수중 실리콘 화장료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화장료 조성물이 증점 보조제로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를 0.1~0.5중량% 또한 포함하며, 상기한 고급 알코올이 C10~16고급 알코올인 천연 유화제 함유 수중 실리콘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리콘 폴리에테르 공중합체의 HLB(Hydrophile Lipophile Balance)값이 5.0~13.9인 천연 유화제 함유 수중 실리콘 화장료 조성물.
KR1020000067240A 2000-11-13 2000-11-13 천연 유화제를 함유하는 수중 실리콘 화장료 조성물 KR200200372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240A KR20020037205A (ko) 2000-11-13 2000-11-13 천연 유화제를 함유하는 수중 실리콘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240A KR20020037205A (ko) 2000-11-13 2000-11-13 천연 유화제를 함유하는 수중 실리콘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205A true KR20020037205A (ko) 2002-05-18

Family

ID=19698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240A KR20020037205A (ko) 2000-11-13 2000-11-13 천연 유화제를 함유하는 수중 실리콘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72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882A (ko) 2020-01-17 2021-07-27 김범수 구아검 유래의 고분자를 이용한 저자극성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547A (ko) * 1991-11-30 1993-06-22 강진구 가스센서 원료분말의 제조방법
US5306498A (en) * 1991-04-05 1994-04-26 L'oreal Cosmetic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triple emuls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6498A (en) * 1991-04-05 1994-04-26 L'oreal Cosmetic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triple emulsion
KR930010547A (ko) * 1991-11-30 1993-06-22 강진구 가스센서 원료분말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882A (ko) 2020-01-17 2021-07-27 김범수 구아검 유래의 고분자를 이용한 저자극성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5538C2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основа под макияж для кожи, удаляемая теплой водой
KR20090017336A (ko)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7090B1 (ko) 보습력이 우수한 젤 타입의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
US6143308A (en) Gelled composition of elastomeric organopolysiloxane combined with a fatty phase, for removing make-up from around the eyes
KR100879134B1 (ko) 수용성 성분 함유 오일형 화장료 조성물
JP3935421B2 (ja) 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KR101737397B1 (ko)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308960B1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047694B1 (ko) 휘발 안정성과 탁월한 보습력을 가지는 고형 수중유형화장료 조성물
CN113952245B (zh) 一种温和卸妆啫喱及其制备方法
KR100377261B1 (ko) 고분자 유화 타입의 오일-프리형 수중유 조성물
KR20020037205A (ko) 천연 유화제를 함유하는 수중 실리콘 화장료 조성물
KR102065321B1 (ko) 재결정 입자를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153352B2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組成物
KR100646487B1 (ko) 보습력이 증진된 고분자 실리콘 겔 화장료 조성물
KR100305186B1 (ko) 피지조절능및화장지속성이우수한실리콘유화형수용성젤화장료조성물
KR101834196B1 (ko) 겔 형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0467032B1 (ko) 불소계오일을함유한수성겔화장료조성물
KR100569304B1 (ko) 파우더 타입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439920B1 (ko) 젤리타입의 미스트 화장료 조성물
KR20120049590A (ko)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보습감이 증진된 립메이크업 조성물
KR100286788B1 (ko) 끈적임이 없는 투명 젤상의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20220094711A (ko) 오일 겔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02962A (ko) 백탁 현상이 없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WO2020021448A1 (en) Skin cleansing composition containing visible oil dropl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