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5904A - 분리하지 않는 탄성체 뚜껑을 구비한 필기구 - Google Patents

분리하지 않는 탄성체 뚜껑을 구비한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5904A
KR20020035904A KR1020000065693A KR20000065693A KR20020035904A KR 20020035904 A KR20020035904 A KR 20020035904A KR 1020000065693 A KR1020000065693 A KR 1020000065693A KR 20000065693 A KR20000065693 A KR 20000065693A KR 20020035904 A KR20020035904 A KR 20020035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writing instrument
elastic
writing
n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효승
Original Assignee
최효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효승 filed Critical 최효승
Priority to KR1020000065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5904A/ko
Publication of KR2002003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90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43K23/12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with means for preventing choking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의 잉크나 수정액을 사용하는 필기구에 있어서 뚜껑을 전진시 건조 방지 기능을 수행하고 뚜껑을 후진시 필기가 가능토록 하는 탄성체 뚜껑(130)을 구비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필기구는 통상 양호한 상태의 필기와 더불어 잉크의 건조 방지와 펜촉 보호의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과 더불어 뚜껑 망실 문제의 해결 및 필기를 전후로 한 준비 동작의 경감을 위하여 다음 형태의 탄성체 뚜껑(130)을 구비하여 기존의 필기구의 뚜껑을 대체하고자 한다. 탄성체 뚜껑의 구성은, 필기를 위해서는 펜촉이 관통할 수 있고 건조 방지를 위해서는 완전 밀폐가 가능하도록 한절개홈이 구성되어 있는 부분과 반대쪽엔 필기구 가이드 홈부(150)에 밀착되어 전후진시 스트로크를 규정하는 밀착부(151)로 구성되어 있고 고무 재질로 이루어 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출몰식 볼펜에 적용하면 누름부 기구, 스프링등을 삭제할 수가 있고 포켓에 넣고 다닐시 잉크가 새어 나와도 옷을 더럽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분리하지 않는 탄성체 뚜껑의 후진 만으로 필기가 가능하므로 야외에서 불편한 자세로 필기할 수 없는 경우에도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리하지 않는 탄성체 뚜껑을 구비한 필기구 {Writing instrument having cap anti-separating}
본 발명은 액상의 잉크를 사용하는 필기구의 건조 방지 및 펜촉 보호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기존의 건조 방지를 위한 필기구 뚜껑을 분리하고 결합하는 동작의 복잡성을 단순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펜촉 건조 방지를 위한 종래 기술로는 일본특허 특1987-0012570'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가 있다. 출몰식 필기구의 누름부를 누르면 고무줄 인장력에 의해 펜촉 부위를 덮고 있는카바가 열리고 또한번 누르면 닫혀서 밀폐시켜 잉크 건조를 방지코자 하는 것으로 구조가 복잡하여 비용 측면이나 내구성 측면에서 보완의 여지가 있다고 본다.
종래 기술로 등록실용 20-0172486 (1999.12.11)'팁보호구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가 있다. 팁보호구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펜촉에 건조 방지를 위한 팁보호구를 구비하여 상품 유통 과정중 펜촉 선단을 밀폐하여 잉크 건조를 방지코자 하는 것이다. 사용 중에는 팁보호구를 폐기해야 하므로 건조 방지 기능을 상실하며 주로 볼펜 형태의 필기구에 한정하여 적용된다.
종래 기술로 출원특허 20-1999-0023053'펜촉 마름 방지 장치'가 있다.출몰식 필기구의 누름부를 누르면 펜촉이 고무패킹의 절개홈을 뚫고 나가 펜촉이 노출되게 되어 펜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누름부를 해제 또는 재차 누름으로 인해 펜촉이 원래 자리로 돌아 오면 고무 탄성에 의해 절개홈이 밀폐되어 잉크 건조 방지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절개홈이 잦은 사용으로 인한 소성 변형이 우려되며 슬라이딩이 되어야 하는 반대쪽 누름부의 밀폐가 곤란하여 밀폐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뚜껑 개폐식 건조방지 방식의 결정적 문제점은 분리된 뚜껑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하며 분실시 잉크의 건조로 필기구를 못쓰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필기구에 있어서, 잉크 건조를 방지 또는 최대한 억제해야 하는 본연의 목적을 달성함과 아울러 뚜껑 분실 우려를 없애고 필기 전후의 준비 동작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뚜껑을 분리하지 않는 방식을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필기구에 포함된 부품의 형상을 단순화하고 부품수를 감축시켜 비용 절감에 기여한다.
도1a는 기존 필기구로서 유성 매직 플러스 펜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1b는 기존 필기구로서 매직 마커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1c는 기존 필기구로서 누름 버튼이 있는 볼펜을 나타낸 단면도
도2a는 본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2b는 본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2c는 도2a 화살방향(190) 부분 확대도
도3a는 도2a 부분 단면 확대도
도3b는 도2a 부분 단면 확대도
도4는 본발명의 일실시예로 수정펜을 나타낸 부분 단면 확대도
도5a는 본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 확대도
도5b는 도5a 화살방향(180) 확대도
도6은 본발명의 일실시예로 링(190)은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유성 매직 플러스 펜 21:뚜껑
30:펜촉 40:매직 마카
70:볼펜 130:탄성체 뚜껑
131:절개홈 140:보조구
151:밀폐부 170:보강부
190:지지부
액상의 잉크를 사용하는 필기구는 전통적으로 만년필과 볼 포인트 펜이 있다. 근래에는 싸인펜, 플러스 펜, 주성펜, 보드 마카로 불리는 수성펜과 매직류의 유성펜이 볼 포인트펜과 더불어 많이 쓰이고 있으며 화이트라 불리는 수정펜도 필기구의 일종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필기류들은 공통적으로 잉크의 건조 문제, 펜촉 훼손 문제를 안고 있다. 그런이유로 수성펜과 유성펜은 분리되는 뚜껑(21)(51)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분리되는 뚜껑(21)(51)이 포함된 필기류의 경우 뚜껑 망실 문제, 뚜껑을 관리해야 하는 문제 및 필기 전후하여 준비 동작의 필요라는 문제를 안고 있다.
생각에 따라서는 뚜껑(21)(51)을 열고 닫는 것이 무슨 문제냐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필기행위 관련 '동작분석' 차원에서는 분명히 동작의 낭비가 된다.
기존의출몰식 필기구를 예로 들면, 1) 필기구를 오른손으로 잡고 -> 2) 엄지 손가락을 누름부에 대고 -> 3) 누르고 -> 4) 필기 자세로 고쳐 잡는 절차가 진행되어야 5) 필기가 가능하며, 뚜껑식 필기구를 예로 들면, 1) 필기구를 잡고 -> 2) 반대쪽 손으로 뚜껑을 잡고 -> 3) 뚜껑을 필기구 끝에 끼우고 -> 4) 필기 자세로 고쳐 잡는 절차 후에 5) 필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뚜껑(21)(51)에 해당되는 부위를 탄성체 재질로 구성하여 펜촉(30)(60) 부위에 절개홈(132)을 뚫어 탄성체 뚜껑(130)을 분리하지 않고 후진하는 것 만으로 필기가 가능하게 하고 후진하는 것만으로 잉크 건조 방지 및 펜촉(31) 보호 기능을 수행케 함과 아울러 필기행위 전후한 준비동작 손실을 경감코자 하는 것이다. 즉, 1) 필기구를 잡고 -> 2) 탄성체 뚜껑(130)을 후진 시키고 -> 3) 필기 자세로 고쳐 잡고 4) 필기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종전 대비 1개의 동작이 경감되며 필기 종료시는 역동작이 되므로 1개의 동작이 추가로 경감되는 것이다.
도1a는 기존의 매직펜(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몸통(20)과 펜촉(30) 뚜껑(21) 및 내부의 잉크를 담은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도1b는 기존의 매직마카(40)를 나타내며 매직펜(10)과 유사한 구조로 되어있다.
매직펜(10)과 매직 마카(40)는 뚜껑(21)(41)을 분실할시 못쓰게되는 부담이 있어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하며 필기시 매번 뚜껑을 열고 닫고 하는 동작이 요구된다.
도1c는 전형적인 볼 포인트 펜(70)을 나타내며 누름부(80)와 전후진기구(81), 스프링(100)이 추가된다. 잉크내장부(110)의 잉크는 건조가 잘 안되는 물성을 갖고 있어 볼 포인트(112)가 대기에 노출되어 있다. 부품이 많이 추가되므로 비용 부담이 증가되고 건조가 잘안되는 잉크를 사용하지만 장기간 방치시 잉크가 말라 붙어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필기구로서 문제를 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처음 필기시와 마지막 필기후 누름부(80)를 눌러야 하는 것도 동작분석 차원에서는 손실이라고 판단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후진식탄성체 뚜껑(130)을 채택하였다.
도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1a의 매직펜(10)을 변형하고 전후진식 탄성체 뚜껑(130)을 적용한 사례로 뚜껑(130)이 전진 상태(120)로서 건조 방지 및 펜촉 보호 상태를 나타낸다. 별도의 뚜껑없이 완성된 필기구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로 기존 매직펜(10)의 재료비의 절감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코자 하는 것이다.
도2b는 후진 상태(121)로 필기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탄성체 뚜껑은 고무재질로서 위생적으로 무해 처리되고 탄성 특성이 강화된 것이며 온도 변화에 민감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2c는 도2a에서 화살표 방향(190)으로 바라본 부분 확대도를 나타내며 펜촉(30)(6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절개홈(131)이 가공되어 있어 건조 방지 기능 수행시는 절개홈(131)이 완전 밀폐가 되고 필기시에는 펜촉(30)(60)의 외경만큼 벌어지는 역활을 수행한다. 절개홈의 형상은십자형(131),일점형(132)등 다양화할 수 있다. 절개홈의 형상은 자주 사용함으로 인한 변형으로 완전 밀폐를 유지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에 대한 대책의 일환으로 도3a 확대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조구(140)를 추가로 구비하여 절개부(132)의 완전 밀폐 유지를 도모하였다. 일실시예로 O형 고무링 형태가 가능하며 사용중 이탈하지 않도록 탄성체 뚜껑(13)과 접착하거나 홈(141)에 안착시킨다.가이드 홈부(150)는 탄성체 뚜껑(130)이 전후진 시 이탈하지 않게 하는 역활과 전후진 스트로크를 결정하며 밀착부(151)에서는 억지끼움 형태가 되어 건조방지 기능을 수행한다. 도3도3a는 건조방지 상태를 나타내며 도3b는 타성체 뚜껑(130)이 후진되어 필기가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또한 건조가 이루어 지는 상태를 나타내며 필기를 안할 시는 뚜껑(130)을 손가락으로 전진시키는 것만으로 건조 방지 상태 및 펜촉 보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로써, 기존의 필기구 형태의 복잡성을 단순화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기를 전후한 제반 동작의 손실을 경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화이트라고도 불리는 수정펜(160)에 탄성체 뚜껑을 적용한 사례를 나타낸 것이다.
탄성체 뚜껑(130)을 전후진할 경우 필기구 몸체와 탄성체 뚜껑(130)간의 마찰력에 의해 원하는대로 전후진이 이루어 지지 않고 접히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에 대한 대책의 일환으로보강부(170)을 구비하였다. 탄성체 뚜껑의 얇은 살위에 덧살을 붙여 전후진시 이 덧살로 하여금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역활을 수행케 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5b는 일실시예로서 도5a 화살표 방향(180)에서 바라본 덧살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가이드 홈부(150)에는 추가로 2차홈(152)를 구비하여 필기시 탄성체 뚜껑(130)의 유동을 방지한다.
탄성체 뚜껑(130)을 두 손가락으로 잡고 전후진시 파지력에 의한 변형으로 원활한 이동이 안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한 대책의 일환으로 탄성체 뚜껑(130)에서 손가락으로 집는 부위에 파지력에 의해서도 변형되지 않는링(190)을 홈부위(191)에 구비하였다. 링(190)의 외경에는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표면을 요철 처리한다.
탄성체 뚜껑(130)의 색상은 잉크 색상과 동일하게 한다.
필기구 뚜껑이 필기구로부터 분리가 되지 않으므로 뚜껑을 망실할 우려가 없고 필기구 뚜껑의 후진 동작만으로 필기가 가능한 상태가 되며 뚜껑의 전진만으로 건조 방지 기능 및 펜촉 보호가 가능하므로 필기 전후의 준비 동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특히 건설 현장이나 생산 현장, 교통 경찰, 군인 등 책상을 떠난 곳에서 불안전한 자세로 필기를 하는 경우에 도움이 된다. 아울러 볼펜 종류에 있어서는 필기구의 부품부 감축이 가능하므로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볼펜을 포켓에 넣고 다닐 때 펜촉 끝으로 잉크가 새어 나와 낭패 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볼펜의 장기 방치시 잉크가 건조되어 더 이상 못쓰게 되는 것을 비교적 오랫동안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액상 잉크나 수정액을 사용하는 필기구이 있어서, 잉크 건조 방지 및 펜촉 보호와 뚜껑 망실 및 필기 전후 준비 동작 경감을 위하여, 펜촉 방향에는 펜촉이 관통될 수 있도록 절개홈(131)(132)이 형성되고 반대 방향은 필기구의 가이드홈(150)에 밀착된 형태를 갖춘탄성체 뚜껑(130)을 구비하여 뚜껑(130)을 후진시에는 펜촉이 노출되어 필기가 가능한 상태가 되고 뚜껑(130)을 전진시에는 잉크 건조 방지 상태가 되며 중간 부위는 필기구 몸통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하지 않는 탄성체 뚜껑(130)을 구비한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체 뚜껑은 재질이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하지 않는 탄성체 뚜껑을 구비한 필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펜촉이 관통하는 절개홈은 십자형(1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하지 않는 탄성체 뚜껑을 구비한 필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절개홈은 점형(1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하지 않는 탄성체 뚜껑을 구비한 필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탄성체 뚜껑은 필기구의 잦은 사용으로 절개부 부위가 열화되어 건조 방지 기능 수행시 완전 밀폐를 유지하지 못하게 될 경우, 완전 밀폐가 가능하도록 절개부 외곽에 보조구(140)가 안착되도록 홈을 가공하여 보조구(140)를 안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하지 않는 탄성체 뚜껑을 구비한 필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보조구(140)은 고무링(1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하지 않는 탄성체 뚜껑을 구비한 필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탄성체 뚜껑은 전후진시 중간 부위가 접히는 현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부(170)를 길이 방향으로 덧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하지 않는 탄성체 뚜껑을 구비한 필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탄성체 뚜껑은 손가락으로 집을시 눌림 현상으로 인해 전후진이 곤란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홈(191)을 형성하고 경질의 링(190)을 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하지 않는 탄성체 뚜껑을 구비한 필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링(190)은 전후진을 위하여 손가락으로 집을시 마찰력 증대를 위하여 표면이 요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하지 않는 탄성체 뚜껑을 구비한 필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탕성체 뚜껑을 후진시 위치 결정을 위하여 가이드 홈부(150)에 추가 2차홈(15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하지 않는 탄성체 뚜껑을 구비한필기구.
KR1020000065693A 2000-11-07 2000-11-07 분리하지 않는 탄성체 뚜껑을 구비한 필기구 KR20020035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693A KR20020035904A (ko) 2000-11-07 2000-11-07 분리하지 않는 탄성체 뚜껑을 구비한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693A KR20020035904A (ko) 2000-11-07 2000-11-07 분리하지 않는 탄성체 뚜껑을 구비한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904A true KR20020035904A (ko) 2002-05-16

Family

ID=19697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693A KR20020035904A (ko) 2000-11-07 2000-11-07 분리하지 않는 탄성체 뚜껑을 구비한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59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090Y1 (ko) * 2008-09-22 2011-06-15 주식회사 한일기공 유기성폐기물 퇴비제조장치의 유기성폐기물 살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090Y1 (ko) * 2008-09-22 2011-06-15 주식회사 한일기공 유기성폐기물 퇴비제조장치의 유기성폐기물 살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0016A (en) Captive pen cap
US7384207B2 (en) Ergonomic hand held implement with retractable tip
US5154526A (en) Capillary pen cover
MXPA03008989A (es) Dispositivo aplicador.
KR20020035904A (ko) 분리하지 않는 탄성체 뚜껑을 구비한 필기구
KR200290684Y1 (ko)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수성 펜
JP3003213U (ja) ペンケース
JPH08164692A (ja) 筆記具用グリップ
JP2854084B2 (ja) 筆記具被覆体
JP2008265126A (ja) 指先で操作できる筆ペン
KR20100086759A (ko) 핑거 펜
JP3042580U (ja) 持ち軸に取り付けられたままワンタッチで開閉されるキャップ
JP2019119080A (ja) キャップ式筆記具
KR100773052B1 (ko) 필기구용 홀더 및 그를 이용한 필기장치
JPH0443347Y2 (ko)
KR870000876Y1 (ko) 필기구
KR200240349Y1 (ko) 핑거 펜
KR19990008055U (ko) 필기구의 원터치 캡장치
JP3787997B2 (ja) サイドノック式筆記具
JP4437359B2 (ja) 筆記具用クリップ
KR200389337Y1 (ko) 필기구
JPH103343A (ja) 筆記具付入力ペン
KR960000964Y1 (ko) 필기구
JP6415149B2 (ja) 筆記具
JP2005169756A (ja) 印鑑付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