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5353A -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5353A
KR20020035353A KR1020000065601A KR20000065601A KR20020035353A KR 20020035353 A KR20020035353 A KR 20020035353A KR 1020000065601 A KR1020000065601 A KR 1020000065601A KR 20000065601 A KR20000065601 A KR 20000065601A KR 20020035353 A KR20020035353 A KR 20020035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opening
closing
main body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0457B1 (ko
Inventor
김기영
장재영
김근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65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457B1/ko
Publication of KR20020035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지는 사용자가 서브바디(120)를 자동으로 개폐할 경우 서브바디(120)가 완전 개폐가 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해서 자동 개폐 제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자동 개폐 제어해도 완전 개폐가 되지 않으면 서브바디(120)를 초기의 상태가 되게 구동제어한다.

Description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NING/CLOSING OF SUB-BODY IN AUTOMATICALLY AND MANUALLY FOLDED PORTABL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 및 수동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서브바디 개폐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바타입(bar type) 단말기와 접이형(foldable) 단말기로 구분된다. 바타입 단말기는 키패드가 본체에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점차 그 사용이 줄어들고 있는 반면 접이형 단말기는 키패드부를 보호하기 위해 메인바디(main body)상에 서브바디(sub-body)가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서 현재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적으로 접이형 단말기는 플립 타입(flip type) 단말기, 플립 업 타입(flip up type) 단말기, 및 폴더 타입(folder type) 단말기로 구분될 수 있다. 플립 타입 단말기는 메인 바디 상에 구비된 키패드를 보호하고 송화음을 모아주는 기능을 하는 플립커버가 서브바디로서 역할을 한다. 플립 업 타입 단말기는 플립커버를 메인바디 상의 상측으로 개방하게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폴더 타입 단말기는 서브바디 상에 LCD모듈(LCD Module: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이 구비되어 있다.
단말기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발명자 김기현에 의해서 발명되고 본원 출원인에게 양도되어 1999년 11월 08일자로 특허 출원된 출원번호 제49228호(발명의 명칭: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메인바디 상에서의 간단한 스위칭 조작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서브 바디가 개폐될 수 있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서브 바디 자동 개폐를 위해서 단말기에모터를 내장하고 있다.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는 수동 및 자동으로 서브바디를 개폐할 수 있는데, 서브바디 개폐시 효율적인 수동 및 자동 개폐될 수 있다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서브바디 자동 개폐시 효율적 개폐가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상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브바디를 적어도 구비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메인바디로부터의 완전 개방됨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메인바디 면상에 완전 닫힘을 감지하는 제2센서와, 서브바디 개폐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서브바디를 자동 및 수동 개폐시키며, 서브바디 자동 개폐시 내장 모터를 이용하는 개폐장치와, 사용자에 의한 안테나 신장을 검출하는 안테나 신장 검출부와, 서브바디 개폐 키와, 상기 안테나 신장 및 서브바디 개폐키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사용자의 서브바디 자동 개폐 제어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가 내장모터를 이용하게 제어하여 서브바디가 자동 개폐되게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상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서브바디와,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메인바디로부터의 완전 개방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메인바디면상에 완전 닫힘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적어도 구비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의한 자동 개폐 제어시 상기 제1 및 제2 센서에 의해 완전개폐 감지가 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완전개폐 감지가 되지 않으면 내장 모터를 이용하는 상기 서브바디 자동 개폐 제어를 재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서브바디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서브바디가 메인바디상에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브바디를 자동으로 개방 시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브바디를 자동으로 닫을 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 내지 동일한 참조번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메인바디 상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브바디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동 개폐 및 수동개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개폐장치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개폐장치가 다른 형태의 접이형 휴대용 단말기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본 기술 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도 1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 예인 폴더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의 서브바디(120)가 메인바디(110)상에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휴대용 무선단말기(100)의 서브바디(120)가 메인바디(110)상에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무선단말기(10)는 상부 케이싱 프레임(111)과 하부케이싱 프레임(112)으로 구성되는 메인 바디(110) 및, 키패드 보호 등을 위한 서브바디(120)가 구비되어 있다. 메인바디(110)의 일측부에는 사용자의 개폐 제어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서브바디(120)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장치(1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110)의 최상단 일측에 안테나 장치(130)가 장착되어 있다. 메인바디(110)와 접하는 서브바디(120)상의 면상에는 이어피스부(140)가 위치하게 되며, 이어피스부(140)의 하측으로는 디스플레이장치인 LCD모듈(150)이 구비된다. 메인바디(110)상에는 키패드(160)와 마이크장치(170)가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바디(110)의 일측면상에는 서브바디(120)를 메인바디(110)상에서 자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자동 폴더 개폐키(18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자동 폴더 개폐키(180) 등을 이용한 사용자의 자동 개폐 제어나 사용자에 의한 수동 개폐 제어가 있으면 개폐장치(10)에 의해 서브바디(120)는 메인바디(110)상에서 개폐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안테나장치(130)의 안테나를 신장시킴을 검출하는 안테나 신장 검출부(도 2의 240)가 안테나장치(130)내에 구비되는데, 안테나 신장 검출부(도 2의 240)는 후술될 도 2의 구성과 함께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의 개략적인 회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무선부(202)는 제어부(20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음성처리부(204)는 제어부(200)의 제어 하에, 무선부(202)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 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microphone) 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무선부(202)로 출력한다. 키입력부(206)는 도 1a,b의 키패드(100)상에 구비된 다수의 숫자 키들 및 기능키들, 메인바디(110)의 일측면상에 구비된 자동 폴더 개폐키(180)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표시부(208)는 제어부(200)의 제어 하에 각종 메시지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메모리부(230)는 휴대용 무선단말기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제어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도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도 2의 개폐장치(10)의 회로 블록은 모터구동부(232), 서브바디 개폐용 모터(234), 오픈 센서(open sensor)(236), 클로우즈 센서(close sensor)(238)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 구동부(232)는 제어부(200)의 제어 하에 서브 바디 개폐용 모터(234)가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구동된다. 오픈 센서(236)는 서브바디(120)가 메인바디(110)로부터 완전히 개방되었음을 감지하는 센서이고, 클로우즈 센서(238)는 서브바디(120)가 메인바디(110)상에 완전히 닫혔음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상기 오픈 센서(236) 및 클로우즈 센서(238)는 예컨대 홀 센서(hall sensor)로 구현될 수 있다. 오픈 센서(236) 및 클로우즈 센서(238)가 홀 센서로 구현되었다면 오픈 센서(236)와 클로우즈 센서(238)의 위치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홀 센서는 홀소자와 마그네틱으로 구성되는데 오픈 센서(236)에 있어서 홀소자의 마그네틱(236a)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장치(10)의 힌지상에 구비되며 홀소자(236b)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110)의 최상측면상에 구비된다. 개폐장치(10)에 의해 서브바디(120)가 완전 개방되었을 경우 오픈 센서(236)의 홀 소자(236b)와 마그네틱(236a)은 맞닿게 되고 그에 따라 서브바디 완전개방 감지신호를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클로우즈 센서(238)에 있어서 홀센서의 마그네틱(238a)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바디(120)의 이어피스(140)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홀 센서의 홀소자(238b)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110)의 최하측면상에 구비된다. 개폐장치(10)에 의해 서브바디(120)가 완전히 닫혔을 경우 클로우즈 센서(238)의 홀 소자(238b)와 마그네틱(238a)은 맞닿게 되며 그에 따라 서브바디 완전 닫힘 감지신호를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신장 검출부(240)를 구비한다. 안테나 신장 검출부(240)는 안테나 장치(130)내에 접점식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홀 센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홀 센서로 구현시에도 안테나를 통한 데이터 무선 송수신에는 문제가 없음을 본 발명자는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200)는 호 착신시 사용자에 의한 도 1에 도시된 자동 폴더 개폐 키(180)에 대응된 키데이터를 검출하게 되면 서브바디(120)를 자동 개방되게 제어한다. 그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안테나를 뽑음에 따라 안테나 신장 검출부(240)가 안테나 신장 검출을 수신하게 되면 서브바디(120)가 자동개방되게 제어한다.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자동 폴더 개폐 키(180), 안테나 뽑음 등을 이용하여 서브바디 자동개폐 제어하게 되면 제어부(200)는 이를 인식하고 서브바디(120)를 자동 개폐하도록 개폐장치(10)의 모터 구동부(232)를 구동 제어한다. 모터구동부(232)의 구동 제어에 의해 서브바디 개폐용 모터(234)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서브바디(120)가 닫히거나 또는 개방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자동으로 서브바디 개방 시 제어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자동으로 서브바디 닫을 시 제어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지는 사용자가 서브바디(120)를 자동으로 개폐할 경우 서브바디(120)가 완전 개폐가 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해서 자동 개폐 제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자동 개폐 제어해도 완전 개폐가 되지 않으면 서브바디(120)를 초기의 상태가 되게 구동제어한다.
이하 도 1a,b,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서브바디(120)를 자동으로 개방할 경우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바디(120)를 자동 개방 제어하면 제어부(200)는 도 3의 300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302단계로 진행한다. 사용자가 자동 폴더 개폐 키(180)를 누르거나 안테나장치(130)의 안테나를 뽑으면 제어부(200)는 자동폴더 개폐 키(180) 눌림에 대응된 키데이터나 안테나를 뽑음에 따라 안테나 신장검출부(240)가 검출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자동 개방 제어를 인식한다. 302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서브바디(120)가 메인바디(110)로부터 개방되도록 모터 구동제어를 수행한다. 즉 모터구동부(232)를 구동 제어하여 서브바디 개폐용 모터(23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함으로써 서브바디(120)가 메인바디(110)로부터 개방되게 한다. 그 후 도 3의 304단계에서 오픈센서(236)로부터 서브바디(120)가 완전개방 되었음을 알리는 서브바디 완전개방 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서브바디 완전개방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00)는 도 3의 318단계로 진행하여 서브바디 개폐용 모터(234)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한편 도 3의 304단계의 판단에서 오픈센서(236)로부터 서브바디 완전개방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306단계로 진행하여 모터 구동제어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통상 서브바디 개폐용 모터(234)가 서브바디(120)를 완전 개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서 예컨대, 1.2 ∼ 1.5초가 된다. 오픈센서(236)로부터 서브바디 완전개방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모터 구동제어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도 경과했다는 것의 의미는 물리적 요인(예컨대, 사용자가 고의로 서브바디(120)를 잡고 있는 등)에 의해서 완전 개방이 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3의 306단계의 판단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도 3의 308단계로 진행하여 모터구동반복 횟수를 초기값(=0)에서 1증가시킨다. 상기 모터구동 반복횟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내부에 구비된 카운터를이용한다. 그후 제어부(200)는 도 3의 310단계에서 모터 구동 반복횟수가 미리 설정한 N(N은 자연수)인가를 판단한다. 모터 구동횟수가 N회가 되지 않았으면 302단계로 되돌아가서 그 단계부터의 동작을 다시 수행한다.
도 3의 310단계의 판단에서 모터 구동 반복횟수가 미리 설정한 N(N은 자연수)이 되면 제어부(200)는 서브바디(120)가 닫히도록 제어한다. 즉 모터구동부(232)를 구동 제어하여 서브바디 개폐용 모터(23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함으로써 서브바디(120)가 메인바디(110)면상에 닫히도록 한다. 그 후 도 3의 314단계에서 클로우즈 센서(238)로부터 서브바디(120)가 완전 닫혔음을 알리는 서브바디 완전 닫힘 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서브바디 완전닫힘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00)는 도 3의 318단계로 진행하여 서브바디 개폐용 모터(234)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한편 도 3의 314단계의 판단에서 클로우즈센서(238)로부터 서브바디 완전 닫힘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316단계로 진행하여 모터 구동제어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통상 서브바디 개폐용 모터(234)가 서브바디(120)를 완전히 닫히도록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서 예컨대, 1.2 ∼ 1.5초가 된다. 도 3의 316단계의 판단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도 3의 318단계로 진행하여 서브바디 개폐용 모터(234)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서브바디(120)를 자동으로 닫히게 경우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바디(120)를 자동 닫힘 제어를 하게 되면 제어부(200)는 도 4의 400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302단계로 진행한다. 사용자가 자동 폴더 개폐 키(180)를 누르거나 안테나장치(130)의 안테나를 넣으면 제어부(200)는 자동폴더 개폐 키(180) 눌림에 대응된 키데이터나 안테나 넣음에 따라 안테나 신장검출부(240)가 검출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자동 닫힘 제어를 인식한다. 402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서브바디(120)가 메인바디(110)면상에 닫히도록 모터 구동제어를 수행한다. 즉 모터구동부(232)를 구동 제어하여 서브바디 개폐용 모터(23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함으로써 서브바디(120)가 메인바디(110)면상에 닫히도록 한다. 그 후 도 4의 404단계에서 클로우즈센서(238)로부터 서브바디(120)가 완전히 닫힘을 알리는 서브바디 완전닫힘 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서브바디 완전 닫힘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00)는 도 4의 418단계로 진행하여 서브바디 개폐용 모터(234)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한편 도 4의 404단계의 판단에서 클로우즈 센서(238)로부터 서브바디 완전닫힘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406단계로 진행하여 모터 구동제어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통상 서브바디 개폐용 모터(234)가 서브바디(120)를 완전히 닫히게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서 예컨대, 1.2 ∼ 1.5초가 된다. 클로우즈 센서(238)로부터 서브바디 완전 닫힘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모터 구동제어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도 경과했다는 것의 의미는 물리적 요인(예컨대, 사용자가 고의로 서브바디(120)를 잡고 있는 등)에 의해서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이다.
도 4의 406단계의 판단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도 4의 408단계로 진행하여 모터구동반복 횟수를 초기값(=0)에서 1증가시킨다. 상기 모터구동 반복횟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내부에 구비된 카운터를 이용한다. 그후 제어부(200)는 도 4의 410단계에서 모터 구동 반복횟수가 미리 설정한 N(N은 자연수)인가를 판단한다. 모터 구동횟수가 N회가 되지 않았으면 402단계로 되돌아가서 그 단계부터의 동작을 다시 수행한다.
도 4의 410단계의 판단에서 모터 구동 반복횟수가 미리 설정한 N(N은 자연수)이 되면 제어부(200)는 서브바디(120)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즉 모터구동부(232)를 구동 제어하여 서브바디 개폐용 모터(23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함으로써 서브바디(120)가 메인바디(110)로부터 개방되게 한다. 그 후 도 4의 414단계에서 오픈 센서(236)로부터 서브바디(120)가 완전 개방됨을 알리는 서브바디 완전 개방 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서브바디 완전 개방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00)는 도 4의 418단계로 진행하여 서브바디 개폐용 모터(234)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한편 도 4의 414단계의 판단에서 오픈 센서(236)로부터 서브바디 완전 개방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416단계로 진행하여 모터 구동제어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통상 서브바디 개폐용 모터(234)가 서브바디(120)를 완전히 개방되게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서 예컨대, 1.2 ∼ 1.5초가 된다. 도 4의 416단계의 판단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도 4의 418단계로 진행하여 서브바디 개폐용 모터(234)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서브바디 자동 개폐시 효과적인 개폐 제어를 수행한다.

Claims (6)

  1.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상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브바디를 적어도 구비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메인바디로부터의 완전 개방됨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메인바디 면상에 완전 닫힘을 감지하는 제2센서와,
    서브바디 개폐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서브바디를 자동 및 수동 개폐시키며, 서브바디 자동 개폐시 내장 모터를 이용하는 개폐장치와,
    사용자에 의한 안테나 신장을 검출하는 안테나 신장 검출부와,
    서브바디 개폐 키와,
    상기 안테나 신장 및 서브바디 개폐키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사용자의 서브바디 자동 개폐 제어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가 내장모터를 이용하게 제어하여 서브바디가 자동 개폐되게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바디 개폐 제어장치.
  2.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상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브바디와,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메인바디로부터의 완전 개방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메인바디면상에 완전 닫힘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적어도 구비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의한 자동 개폐 제어시 상기 제1 및 제2 센서에 의해 완전개폐 감지가 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완전개폐 감지가 되지 않으면 내장 모터를 이용하는 상기 서브바디 자동 개폐 제어를 재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개폐 제어는 사용자에 의한 안테나 신장 및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구비된 서브바디 개폐키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바디 자동 개폐제어 재수행이 미리 설정된 반복 횟수만큼 수행될 기간에 완전 개폐 감지가 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기간에 완전 개폐 감지가 되지 않으면 상기 서브바디를 사용자의 의한 자동 개폐 제어 이전의 개폐 상태가 되게 자동 개폐 제어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개폐 제어 이전의 개폐 상태가 되게 자동 개폐 제어 후 상기 제1 및 제2 센서에 의해 이전상태의 완전개폐 감지가 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이전 상태의 완전 개폐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내장모터를 이용한 모터 구동을 중지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6.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상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브바디와,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메인바디로부터의 완전 개방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메인바디면상에 완전 닫힘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적어도 구비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의한 안테나 신장이 있으면 상기 서브바디가 자동 개폐되게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자동 개폐 제어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센서에 의해 완전개폐 감지가 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완전개폐 감지가 되지 않으면 내장 모터를 이용하는 상기 서브바디 자동 개폐 제어를 재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KR1020000065601A 2000-11-06 2000-11-06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350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601A KR100350457B1 (ko) 2000-11-06 2000-11-06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601A KR100350457B1 (ko) 2000-11-06 2000-11-06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353A true KR20020035353A (ko) 2002-05-11
KR100350457B1 KR100350457B1 (ko) 2002-08-29

Family

ID=19697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601A KR100350457B1 (ko) 2000-11-06 2000-11-06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04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867B1 (ko) * 2000-11-23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8251A (en) * 1993-09-23 1995-09-05 At&T Corp. Automatic telescopic antenna mechanism
JPH08222925A (ja) * 1995-02-13 1996-08-30 Nippon Denki Ido Tsushin Kk 折畳み式携帯電話機
KR20000014981U (ko) * 1998-12-31 2000-07-25 김종수 휴대용 전화기
KR200174766Y1 (ko) * 1999-09-29 2000-03-15 주식회사슈버 핸드폰용 커버 개폐장치
KR100686126B1 (ko) * 1999-12-20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화기의 자동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867B1 (ko) * 2000-11-23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0457B1 (ko) 200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1139B1 (ko)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JP2002261882A (ja) 移動通信端末装置
US20040092247A1 (en) Portable telephone, auto dial lock method employed therefor and program of the method
KR100350504B1 (ko)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파워 제어 장치
KR100350867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369652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제어 최적화 방법
KR100369653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EP1345389B1 (en) Folding-type radio terminal, conversation start method and conversation start program
KR100350457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JP2004128780A (ja) キーロック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100350467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350494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자동제어방법
KR100350495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및 통화 패스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405141B1 (ko)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엘 씨 디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JP3609708B2 (ja) 無線情報端末機
JP3028915B2 (ja) 電子システム手帳型携帯電話装置
JP3838930B2 (ja) 携帯電話機
KR100724874B1 (ko)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착신호 자동제어방법
KR20040077192A (ko) 이중 스피커를 구비하고 그의 절체를 위한 상폴더 회전형이동통신 단말기
JP2001320462A (ja) 携帯端末
JPH11355413A (ja) 携帯型通信機器
KR20010053642A (ko) 폴더형 휴대폰에서 양면 액정표시장치_
KR20030032365A (ko) 투명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한 폴더형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